KR100742607B1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2607B1 KR100742607B1 KR1020060034520A KR20060034520A KR100742607B1 KR 100742607 B1 KR100742607 B1 KR 100742607B1 KR 1020060034520 A KR1020060034520 A KR 1020060034520A KR 20060034520 A KR20060034520 A KR 20060034520A KR 100742607 B1 KR100742607 B1 KR 100742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power
- capacity
- wind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7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by measures acting on the electrical genera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2)
- 풍력발전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전원을 전력수요장치로 공급하는 초소형 풍력발전시스템에 있어서,상기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선택적으로 충전됨과 아울러 전력수요장치를 포함한 제반 회로로 사용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배터리;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제공받아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부;상기 전압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특정 배터리로 출력하여 충전시키는 배터리충전부;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각각 검출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용량감지부; 및상기 배터리와 배터리충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용량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각 배터리의 충전용량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경로를 선택 제어함과 아울러 일정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력수요장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선택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압제어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되 선택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 가 절환되어 전압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배터리충전부 또는 전력수요장치로 선택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배터리충전부와 각 배터리 사이의 전류통로에 설치되되 선택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전류통로를 개폐시키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각 배터리와 전력수요장치 사이의 전류통로에 설치되되 선택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전류통로를 개폐시키는 스위칭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는풍력에 의해 발생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는상기 전력수요장치를 포함한 제반 장치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원공급용 배터리; 및 상기 동작전원공급용 배터리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용 배터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선택제어부는 전력수요장치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라인을 인접 배터리로 변경할 경우 일시적인 전원공급 중단 현상을 막기 위해 각 배터리의 출력단을 순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풍력발전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전원을 전력수요장치로 공급하는 초소형 풍력발전시스템에 있어서,상기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이 선택적으로 충전됨과 아울러 전력수요장치를 포함한 제반 회로로 사용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제공받아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부;상기 전압제어부의 출력단에 병렬 설치되어 전압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충전하여 전력수요장치로 선택 공급하는 고용량 콘덴서;상기 고용량 콘덴서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선택제어부로 출력하는 전압검출부;상기 전압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배터리로 출력하여 충전시키는 배터리충전부;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검출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용량감 지부; 및상기 배터리와 배터리충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용량감지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의 충전용량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경로와 무선센서노드의 전원공급을 제어함과 아울러 고용량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이 무선센서노드로 직접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선택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고용량콘덴서와 전력수요장치 사이의 전류통로에 설치되되 선택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전류통로를 개폐시키는 스위칭수단; 상기 배터리충전부와 배터리 사이의 전류통로에 설치되되 선택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전류통로를 개폐시키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배터리와 전력수요장치 사이의 전류통로에 설치되되 선택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전류통로를 개폐시키는 스위칭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 풍력발전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전원을 전력수요장치로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풍력발전기를 통해 직류전원을 얻는 제 1단계;상기 전력수요장치로 공급하고 있는 제 1배터리의 잔여충전용량을 검출하는 제 2단계;상기 제 1배터리의 잔여충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용량과 비교하여 기준용량 이하일 경우에는 만충전된 제 2배터리를 제 1배터리에 병렬로 연결하는 제 3단계;상기 제 2배터리의 전원을 전력수요장치를 포함한 제반 회로로 공급하는 제 4단계; 및상기 제 1배터리 측으로 풍력발전기를 통해 얻는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제 1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제 5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 1단계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 전압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방법.
-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제 1단계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이 일정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전력수요장치로 직접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방법.
-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제 3단계에서 제 1배터리의 충전용량이 기준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상기 제 1배터리의 전원을 전력수요장치를 포함한 제반회로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상기 제 1배터리를 동작전원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제 2배터리의 충전용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상기 제 2배터리의 충전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용량 이하일 경우에는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직류전원을 제 2배터리에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4520A KR100742607B1 (ko) | 2006-04-17 | 2006-04-17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4520A KR100742607B1 (ko) | 2006-04-17 | 2006-04-17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2607B1 true KR100742607B1 (ko) | 2007-07-25 |
Family
ID=3849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45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2607B1 (ko) | 2006-04-17 | 2006-04-17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2607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1016B1 (ko) * | 2008-01-25 | 2010-09-07 | 이기찬 |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의 점등제어장치 |
KR101011415B1 (ko) * | 2010-05-24 | 2011-01-28 | 주식회사 에버엔스 | 차량 주행풍을 이용한 터널용 풍력발생장치 |
CN103075306A (zh) * | 2013-01-08 | 2013-05-01 | 杭州电子科技大学 | 无线传感器网络中基于空调外机的风能收集方法 |
CN103490475A (zh) * | 2013-09-29 | 2014-01-01 | 浙江大学 | 多能源采集的无线传感网络节点电源 |
CN103915871A (zh) * | 2014-03-28 | 2014-07-09 | 安徽农业大学 | 面向农业物联网测控节点的光伏电源管理单元 |
KR101589418B1 (ko) * | 2015-11-20 | 2016-01-28 |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 안정화 장치 |
CN108924895A (zh) * | 2018-07-13 | 2018-11-30 | 国网四川省电力公司技能培训中心 | 一种无线传感器网络移动充电模型及路由优化方法 |
KR20200003582A (ko) * | 2018-07-02 | 2020-01-1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230016509A (ko) * | 2021-07-26 | 2023-02-02 | 주식회사 메디트 | 에너지 절감형 구강 스캐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7185A (ko) * | 2001-09-28 | 2004-05-04 | 우벤 알로이즈 | 풍력 발전소의 운용방법 |
-
2006
- 2006-04-17 KR KR1020060034520A patent/KR10074260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7185A (ko) * | 2001-09-28 | 2004-05-04 | 우벤 알로이즈 | 풍력 발전소의 운용방법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1016B1 (ko) * | 2008-01-25 | 2010-09-07 | 이기찬 |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의 점등제어장치 |
KR101011415B1 (ko) * | 2010-05-24 | 2011-01-28 | 주식회사 에버엔스 | 차량 주행풍을 이용한 터널용 풍력발생장치 |
CN103075306A (zh) * | 2013-01-08 | 2013-05-01 | 杭州电子科技大学 | 无线传感器网络中基于空调外机的风能收集方法 |
CN103490475A (zh) * | 2013-09-29 | 2014-01-01 | 浙江大学 | 多能源采集的无线传感网络节点电源 |
CN103915871A (zh) * | 2014-03-28 | 2014-07-09 | 安徽农业大学 | 面向农业物联网测控节点的光伏电源管理单元 |
KR101589418B1 (ko) * | 2015-11-20 | 2016-01-28 |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 안정화 장치 |
KR20200003582A (ko) * | 2018-07-02 | 2020-01-1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102175913B1 (ko) * | 2018-07-02 | 2020-11-06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N108924895A (zh) * | 2018-07-13 | 2018-11-30 | 国网四川省电力公司技能培训中心 | 一种无线传感器网络移动充电模型及路由优化方法 |
KR20230016509A (ko) * | 2021-07-26 | 2023-02-02 | 주식회사 메디트 | 에너지 절감형 구강 스캐너 |
KR102612160B1 (ko) * | 2021-07-26 | 2023-12-11 | 주식회사 메디트 | 에너지 절감형 구강 스캐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2607B1 (ko)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993224B1 (ko) |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에너지 충전 장치 | |
CN100349356C (zh) | 独立电源系统 | |
US1228766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and-alone direct current power system | |
KR101256077B1 (ko) | 전력 제어 시스템 및 전력 제어 방법 | |
US8350411B2 (en) | Modular system for unattended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 |
JP6122974B2 (ja) | センサノード、及びセンサノードの制御方法 | |
CN202772612U (zh) | 控制装置、蓄电系统、电子装置、电动车辆和电力系统 | |
KR101100131B1 (ko) | 버퍼 커패시터를 이용한 저전력 충전 장치 및 방법 | |
US9866022B2 (en) | Power supply system | |
JP2007252146A (ja) | 給電システム | |
JP2012161190A (ja) | 太陽光発電システム | |
CN116508225A (zh) | 一种电池系统及控制方法 | |
KR101435507B1 (ko) | 3상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JP2013102571A (ja) | 電源供給装置および電力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電気機器の起動方法 | |
CN104333052A (zh) | 电池模块、电池模块供电管理方法及其装置 | |
US10110008B2 (en) | Micro grid stabilization device | |
JP3966998B2 (ja) | 風力発電機による発電電力の供給接続装置 | |
JP2010226857A (ja) | 電源供給システム | |
KR101674041B1 (ko) | 소형 솔라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 |
US11962232B2 (en) | DC-dC converter for solar power-linked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2003289630A (ja) | 蓄電装置の電圧均等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電力貯蔵システム | |
JP6804266B2 (ja) |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 |
JP2007209092A (ja) | 蓄電システム | |
WO2006038795A2 (en) | Rechargeable object ligh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