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344B1 - Modular TV which can control module collectively through OSD method - Google Patents
Modular TV which can control module collectively through OS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2344B1 KR100742344B1 KR1020010010099A KR20010010099A KR100742344B1 KR 100742344 B1 KR100742344 B1 KR 100742344B1 KR 1020010010099 A KR1020010010099 A KR 1020010010099A KR 20010010099 A KR20010010099 A KR 20010010099A KR 100742344 B1 KR100742344 B1 KR 1007423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menu
- osd
- arrangement
- col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설치된 모듈의 수와 그 기능이 가변적인 운영 환경 하에서 일괄적이고 효율적으로 각 모듈의 기능을 통제 및 조절할 수 있는 모듈라 텔레비젼이 개시된다. 모듈라 텔레비젼은 각각 상이한 색상 및 일정 형태의 배열을 갖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모듈의 동작을 위해 선택된 신호에 따라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공통제어부, 및 공통제어부에 의해 모듈이 선택되면 모듈의 세부기능에 대응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를 OSD방식으로 제공하는 OSD메뉴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키의 색상 또는 배열이 OSD방식으로 제공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의 색상 또는 배열에 대응되도록 한다. 모듈라 텔레비젼에 새로운 모듈이 설치될 때마다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없으며 하나의 입력장치로 다수의 모듈 통제가 가능하다.Disclosed is a modular television capable of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functions of each module collectively and efficiently under an operating environment in which the number of modules installed and their functions are variable. The modular television has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a different color and a certain form of arrangement, and the common control unit controls the correspo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signal select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dule, and when the module is selected by the common control unit, the detailed function of the module An OSD menu processing unit provides a corresponding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in an OSD manner. Here, the color or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keys corresponds to the color or arrangement of the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provided by the OSD method. Whenever a new module is installed in a modular television, no separate input device is required, and one module can control multiple modules.
모듈라 텔레비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Modular TV, on-screen display
Description
도 1은 도어가 오픈 되어 있는 모듈라 텔레비젼을 도시한 도면,1 shows a modular television with the door open;
도 2는 도 1의 모듈랙 접속구조를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ular rack connection structure of FIG.
도 3은 도 1의 모듈랙에 장착되는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dule mounted on the module rack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SD방식을 통해 모듈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듈라 텔레비젼을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ular television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module through the OS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모듈랙에 장착되는 모듈에 대한 예를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dule mounted on the module rack of FIG. 4;
도 6은 도 4의 공통제어수단의 예로서 리모콘을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remote controller as an example of the common control means of FIG.
도 7은 도 4의 OSD메뉴처리부에 의해 세부기능선택메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is displayed on a screen by the OSD menu processing unit of FIG. 4; FIG.
도 8은 도 4의 OSD메뉴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SD menu processing unit of FIG. 4; and
도 9는 도 6의 공통제어키와 도 4의 모듈에 대한 세부기능선택메뉴의 세팅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common function key of FIG. 6 and a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for the module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받침대 12 : 스피커 10: pedestal 12: speaker
14 : 도어 18, 58 : 화면14 door 18, 58 screen
20, 100 : 모듈랙 30, 300 : 메인보드 20, 100:
40 : 모듈장착용슬롯 42, 44 : IEEE1394 슬롯 40:
46, 46a : 전원콘넥터 48 : 장착검출부46, 46a: power connector 48: mounting detection unit
42a, 44a : IEEE1394 포트 60 : 스피커 42a, 44a: IEEE1394 port 60: speaker
70 : 디스플레이부 200 : 공통제어수단 70: display unit 200: common control means
200a : 리모콘 220 : 제어신호출력부 200a: remote controller 220: control signal output unit
240 : 전원단추 260 : 공통제어키240: power button 260: common control key
310 : 제어부 330 : 선택신호입력부310: control unit 330: selection signal input unit
350 : 오디오처리부 370 : 비디오처리부350: audio processor 370: video processor
400 : OSD메뉴처리부 420 : 신호처리부 400: OSD menu processing unit 420: Signal processing unit
440 : 제어메뉴제공부 460 : 제어정보저장부440: control menu providing unit 460: control information storage unit
본 발명은 설치된 각 모듈의 기능을 통제 및 조절할 수 있는 모듈라 텔레비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된 모듈의 수와 그 기능이 가변적인 운영 환경 하에서 일괄적이고 효율적으로 각 모듈의 기능을 통제 및 조절할 수 있는 모듈라 텔레비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television that can control and adjust the functions of each installed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and adjust the functions of each module collectively and efficiently under an operating environment in which the number of installed modules and their functions are variable. It is about modular TV.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의 수명은 십여년 이지만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 비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수명은 이보다 매우 짧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은 새로운 형태의 멀티미디어 기기가 출현할 때마다 그 기능을 업그레이드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텔레비젼은 이러한 업그레이드가 자유롭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디지털 영상을 구현하는 텔레비젼이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the life of a TV is about a decade, but the life of multimedia devices with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is much shorter. Accordingly, digital television capable of performing multimedia functions needs to be upgraded whenever new types of multimedia devices appear. However, the general television has a disadvantage that such an upgrade is not free, 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recently, a television that implements a digital image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디지털 영상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가정 내 가전기기들은 디지털 제품으로 상용화되어 출시되고 있다. 즉,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규격을 따르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이 1998년 11월 미국에서 시작됨에 따라 가전기기 업체들은 디지털 TV 수상기 및 디지털 방송을 녹화 및 재생할 수 있는 D-VHS, DVD, 디지털 캠코더 등이 상품화되어 제공되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home appliances in the home are commercialized and released as digital products. In other words, as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following the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 was launched in the United States in November 1998, consumer electronics companies could use D-VHS, DVD, digital camcorders, etc. to record and play digital TV receivers and digital broadcasts. This product is commercialized and provided.
디지털 가전기기들의 출현은 가정내의 여러 기기들을 하나로 묶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기기 간의 연결 기술로 고속 디지털 전송방식인 IEEE1394가 각광 받고 있다.The emergence of digital home appliances ha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home network by combining various devices in a home, and IEEE 1394, a high-speed digital transmission method, has been spotlighted as a connection technology between devices.
이와 같은 IEEE1394 등과 같은 인터페이싱 방식을 이용하여 출시된 신 개념의 디지털 텔레비젼을 모듈라 텔레비젼이라 하며(모듈라 텔레비젼에 대한 정의로서 타당성 및 부연설명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모듈라 텔레비젼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접속할 수 있는 메인보드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보드에 접속되는 모듈은 새로이 개발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메인보드는 이러한 모듈들과 디지털 텔레비젼간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개발된 경우에도, 이러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제작하여 이를 메인보드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젼은 새로운 멀티미디어 기능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 new concept of digital television released using an interfacing method such as IEEE1394 is called modular television (please explain the validity and detail as a definition for modular television), and such modular television can connect module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It has a main board. Modules connected to the motherboard can perform newly developed multimedia functions, and the motherboard provides mutu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se modules and digital television. Therefore, even if a multimedia function that does not exist previously is developed, by making a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such a new multimedia function and mounting it on the motherboard, digital television can easily perform a new multimedia function.
도 1은 이러한 모듈라 텔레비젼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듈라 텔레비젼은 받침대(10) 위에 설치된 모듈랙(20), 및 모듈랙(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면(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랙(20)의 전면에는 모듈랙(20)을 개폐하는 도어(14)가 설치되어 있고, 모듈랙(20)의 양 측면에는 스피커(12)가 설치되어 있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such a modular television is open. The modular television is comprised of the
도 1은 모듈랙(20)에 복수의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모듈랙(2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들이 선택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랙(20)은 메인보드와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1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are mounted in the
도 2는 도 1의 모듈랙(20) 접속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모듈랙(20)에 장착되는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듈랙(20)에는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듈접속용슬롯(40)을 구비하며, 각 모듈접속용슬롯(40)에는 인터페이스 포트와 같은 두개의 IEEE1394 슬롯(42, 44)과 하나의 전원콘넥터(46) 및 장착검출부(48)가 구비되어 있다. 모듈랙(20)과 모듈은 두개의 IEEE1394 슬롯(42, 44)을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방식으로 상호 연결된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모듈은 두개의 IEEE1394 포트(42a, 44a)와 하나의 전원 콘넥터(46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두개의 IEEE1394 포트(42a, 44a)와 하나의 전원콘넥터(46a)는 모듈접속용슬롯(40)에서 두개의 IEEE1394 슬롯(42, 44)과 하나의 전원콘넥터(46)에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장착검출부(48)는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이를 메인보드(30)에 알리는 장착검출신호를 발생하여 모듈의 장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듈라 텔레비젼에 의하면, 새로운 기능을 구비한 모듈이 개발되는 경우에 이를 모듈랙(20)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젼이 별도의 업그레이드 없이도 새로운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module has two IEEE1394
이와 같은 모듈라 텔레비젼에서 모듈이 선택되어 동작되는 동안 사용자는 해당 모듈의 세부기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공된 메뉴얼을 참조하여 입력수단을 통해 순서에 따라 모듈의 기능을 제어한다. 그런데, 모듈랙(20)에 장착된 모듈의 수와 그 기능이 가변적인 운영 환경을 갖는 모듈라 텔레비젼에서는 각 모듈에 대응되는 세부기능에 대한 메뉴얼을 참고하여 제어하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각 모듈별로 서로 다른 제어 메뉴얼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각 메뉴얼을 학습 등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the modular television, while the module is selected and operated, the user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module in order through the input means with reference to the provided manual in order to control the detailed function of the module. By the way, in the modular television having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and the number of modules mounted o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듈라 텔레비젼에 설치된 모듈의 수와 그 기능이 가변적인 운영 환경 하에서 일괄적이고 효율적으로 각 모듈의 동작에 대한 통제 및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라 텔레비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modular TV which enables the control and adjustment of the operation of each module collectively and efficiently under the operating environment in which the number of modules installed in the modular TV and its functions are variabl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라텔레비젼은 각각 상이한 색상 및 일정 형태의 배열을 갖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모듈의 동작을 위 해 선택된 신호에 따라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공통제어수단, 및 공통제어수단에 의해 모듈이 선택되면 모듈의 세부기능에 대응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를 OSD방식으로 제공하는 OSD메뉴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키의 색상 또는 배열이 OSD방식으로 제공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의 색상 또는 배열에 대응되도록 한다.Modular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a different color and a predetermined shape arrangement comm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select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dule, And an OSD menu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a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module by the OSD method when the module is selected by the common control means. Here, the color or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keys corresponds to the color or arrangement of the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provided by the OSD method.
OSD메뉴처리부는 OSD메뉴처리부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를 해당하는 곳에 전송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공통제어수단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모듈이 선택되면 신호처리부를 통해 선택된 모듈의 세부기능에 대응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메뉴제공부, 및 세부기능선택메뉴의 색상 및 배열이 공통제어수단의 색상 및 배열에 대응되도록 하여 저장하는 제어정보저장부를 갖는다.The OSD menu processing unit is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OSD menu processing unit. If a module is selected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o the common control means, the detail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function of the selected module is selected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control menu providing unit for outputting a menu to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lor and arrangement of the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to correspond to the color and arrangement of the common control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라 텔레비젼에 새로운 모듈이 설치될 때마다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 없으며 하나의 입력장치로 다수의 모듈 통제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a new module is installed in a modular television, no separate input device is required, and one module can control a plurality of modul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라 텔레비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dular telev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SD방식을 통해 모듈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듈라 텔레비젼에 대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modular television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module through the OS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라 텔레비젼은, 각각 상이한 색상 및 일정 형태의 배열을 갖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모듈의 동작을 위해 선택된 신호에 따라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리모콘과 같은 공통제어수단(200), 공통제어수단(200)에 의해 모듈이 선택되면 선택된 모듈의 세부기능에 대응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를 OSD방식으로 제공하는 OSD메뉴처리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통제어수단(200) 에 부착된 복수의 키의 색상 또는 배열이 OSD메뉴처리부(400)에 의해 OSD방식으로 제공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의 색상 또는 배열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modular telev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on control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a different color and a predetermined form of arrangement to control the module according to a signal selected for operation of the module ( 200, when the module is selected by the common control means 200, the OSD
OSD(OSD : On Screen Display)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알아야할 정보를 화면상에 직접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GUI(GUI : Graphic User Interface)의 일부로 그래픽적인 요소와 텍스트적인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제품 컨트롤(control)에 대한 출력(output)을 화면상에 보여주어 사용자와 제품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원활히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OSD를 통하여 모듈의 동작상태 및 동작중인 모듈의 세부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제공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On Screen Display (OSD) refers to displaying information that a user needs or needs to know directly on the screen. It is a part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hich includes both graphical and textual elements, and shows the output of the user's product control on the screen. ) Smooth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on for selecting an operation state of a module and a detailed function of an active module through an OSD to be displayed on a screen.
또한 공통제어수단(200)의 예로 리모콘을 사용하는 것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세부기능선택메뉴를 일정거리 이하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한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use of the remote controller as an example of the common control means 200 is because the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freely selec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thereby facilitating control by the user.
도면에서 모듈랙(100)은 복수의 모듈접속용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접속용슬롯에는 모듈(120, 140, 160)이 장착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모듈(120, 140, 160)의 동작을 제어하며 모듈(120, 140, 160)에서 출력된 데이터에 대한 추속처리를 수행하는 메인보드(300)는 제어부(310), 선택신호입력부(330), 오디오처리부(350), 비디오처리부(37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OSD메뉴처리부(400)는 메인보드(300)내에 부착되어 제어부(31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응되도록 비디오처리부(370)에 신호를 출력하여 화상 처리 되도록 한다.The
제어부(310)는 선택신호입력부(330)로부터 입력된 모듈에 대한 제어신호를 모듈(120, 140, 160) 중에서 해당 모듈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모듈(120, 140, 160)로부터 출력되는 모듈의 동작신호를 비디오성분 신호와 오디오성분 신호 분리하여 비디오성분 신호는 비디오처리부(370)에 출력하고 오디오성분 신호는 오디오처리부(350)에 출력한다.The
선택신호입력부(330)는 리모콘과 같은 공통제어수단(200)에서 출력된 선택신호를 메인보드(300)로 제공하여 입력된 선택신호에 따라 메인보드(300)와 해당 모듈간에 프로세싱 되어 모듈라 텔레비젼이 동작되도록 한다.The selection
비디오처리부(370)는 제어부(310)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성분 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70)에 출력한다. 오디오처리부(350)는 제어부(3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성분 신호를 저주파증폭을 통해 저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는 스피커(60)로 출력한다.The
도 5는 모듈랙에 장착 가능한 모듈에 대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최상단의 모듈은 유선을 통해 수신되는 공중방송을 포함한 텔레비젼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케이블방송모듈(110)이며, 케이블방송모듈(110)의 하부에 있는 모듈은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통신 또는 이 메일(e-mail)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모듈(120)이다. 인터넷모듈(120)의 하부에 있는 모듈은 오프라인(off-line) 또는 온라인(on-line) 상에서 고음질의 오디오 압축 파일을 업로드(up-load) 또는 다운로드(down-load)하여 재생 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MP3모듈(130)이며, MP3모듈(130)의 하부에 있는 모듈은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비롯한 모듈을 통해 동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irve)와 같은 저장매체모듈(140)이다. 저장매체모듈(140)의 하부에 있는 모듈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에서 게임(game)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게임모듈(150)이며 게임모듈(150)의 하부에 있는 모듈은 위성을 통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위성방송모듈(160)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dule that can be mounted in a modular rack. In the drawing, the uppermost module is a
도 6은 도 4의 공통제어수단(200)의 예로서 리모콘(remote control)(200a)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리모콘(200a)은 모듈라 텔레비젼의 전원을 온/오프하는데 필요한 전원단추(240),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키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출력부(220), 모듈랙(100)에 장착된 모듈(120, 140, 160)의 동작에 따른 세부기능에 대응되는 선택키를 제공하는 공통제어키(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통제어키(260)는 일정한 형태의 배열과 각각 상이한 색상을 갖는 선택키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선택키는 모듈의 세부기능에 대응되어 각각 상이한 기능을 제공한다. 일 예로서, 좌측 상부에서 우측으로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의 색상을 가지며 좌측 하부에서 우측으로 파랑색, 남색, 보라색, 흰색의 색상을 가지는 선택키를 갖는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한편, 도 7과 같이 모듈랙(100)에 장착된 모듈이 선택되어 동작되면 OSD메뉴처리부(400)에 의해 리모콘(200a)의 공통제어키(260)와 동일한 배열과 색상을 갖는 세부기능선택메뉴(400a)를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화면(58)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여기서, 세부기능선택메뉴(400a)는 리모콘(200a)에서 공통제어키(260)의 선택 키에 대응되는 배열 및 색상을 갖는 선택아이콘을 갖는다. Meanwhile, when a module mounted in the
도 8은 도 4의 OSD메뉴처리부(4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OSD메뉴처리부(400)는 신호처리부(420), 제어메뉴제공부(440), 제어정보저장부(460)로 구성되어 있다.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OSD
신호처리부(420)는 OSD메뉴처리부(400)에 대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해당하는 곳에 전송 처리한다. 제어메뉴제공부(440)는 공통제어수단(400)을 통해 신호에 따라 모듈랙(100)에 장착된 모듈(120, 140 160) 중에서 해당 모듈이 선택되면 신호처리부(420)를 통해 선택된 모듈의 세부기능에 대응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400a)를 디스플레이부(70)에 출력한다. 제어정보저장부(460)는 세부기능선택메뉴(400a)의 색상 및 배열이 리모콘(200a)과 같은 공통제어수단(200)의 색상 및 배열에 대응되도록 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서 모듈에 대한 세부기능제어가 가능하다. The
도 9는 도 6의 리모콘(200a) 선택키와 도 4의 모듈랙(100)에 장착된 각 모듈(120, 140, 160)에 대한 세부기능선택메뉴(120a, 140a, 160a)의 선택아이콘을 세팅하는 것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shows selection icons of the detailed
도면에서 제 1모듈(120)은 VTR(Video Tape Recorder)모듈이고, 제 2모듈(140)은 MP3(MPEG Audio Layer-3)모듈이며, 제 3모듈(160)은 케이블방송모듈이다. 따라서 제 1모듈인 VTR모듈에서 세부기능선택메뉴(120a)의 선택아이콘은 좌측상부에서부터 되감기(122a), 재생(122b), 일시정지(122c), 빨리감기(122d), 멈춤(122e), 녹화(122f), 예약녹화(122g), 취소(122h)의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다. 또한 제 2모듈인 MP3모듈에서 세부기능선택메뉴(140a)의 선택아이콘은 좌측상부에서부터 곡 리스트 보여주기(144a), 곡의 다운로드(144b), 선택곡 삭제(144c), 정지(144d), 재생(144e), 다음곡 재생(144f), 이전곡 재생(144g), 녹음(144h)의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다. 한편, 제 3모듈인 케이블방송모듈 세부기능선택메뉴(160a)의 선택아이콘은 좌측상부에서부터 채널고정(166a), 다음채널(166b), 이전채널(122c), 시청중인 채널 저장(166d)의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다. In the figure, the
도면에서 공통제어키(260)의 선택키(260a, 260b, 260c, 260d, 260e, 260f, 260g, 260h)와 각 모듈에 대한 세부기능선택메뉴의 선택아이콘은 동일한 배열과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통제어키(260)와 동일한 색상과 배열 상에 위치하는 각 모듈의 선택아이콘은 선택아이콘의 하부에 명시된 기능을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In the drawing,
따라서, 공통제어키(260)의 빨강색 선택키(260a)는 제 1모듈(120)에 대응되는 VTR모듈이 동작 중일때 세부기능선택메뉴에서 빨강색 선택아이콘(120a)에 대응되는 되감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 2모듈(140)에 대응되는 MP3모듈이 동작 중일때 선택아이콘(140a)은 곡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제 3모듈(160)에 대응되는 케이블방송모듈이 동작 중일때 시청중인 방송에 대한 채널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red selection key 260a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라 텔레비젼에 새로운 모듈이 설치될 때마다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 없으며 하나의 입력장치로 다수의 모듈 통제가 가능하다. 또한, 모듈에 대한 동작 상황 및 동작 중인 모듈의 세부기능에 대응되는 세부기능선택메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듈의 동작 상황 인지 및 동작중인 모듈의 세부기능 선택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a new module is installed in a modular television, no separate input device is required, and one module can control a plurality of modules. In addition, by displaying a detailed function selection menu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ule and the detailed function of the module in operation, it is easier for a user to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ule and to select the detailed function of the module in oper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will b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0099A KR100742344B1 (en) | 2001-02-27 | 2001-02-27 | Modular TV which can control module collectively through OS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0099A KR100742344B1 (en) | 2001-02-27 | 2001-02-27 | Modular TV which can control module collectively through OS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9733A KR20020069733A (en) | 2002-09-05 |
KR100742344B1 true KR100742344B1 (en) | 2007-07-25 |
Family
ID=2769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00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2344B1 (en) | 2001-02-27 | 2001-02-27 | Modular TV which can control module collectively through OS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234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1164A (en) * | 1996-11-30 | 1998-08-17 | 배순훈 | Multiple function setting controller of TV |
KR19980047715A (en) * | 1996-12-16 | 1998-09-15 | 구자홍 | Integrated remote control |
KR19980075331A (en) * | 1997-03-31 | 1998-11-16 | 배순훈 | Control Program Loading Device and Execution Method in Modular Television |
KR20000021434A (en) * | 1998-09-29 | 2000-04-25 | 전주범 | System for controlling/integrating electric home appliances |
-
2001
- 2001-02-27 KR KR1020010010099A patent/KR1007423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1164A (en) * | 1996-11-30 | 1998-08-17 | 배순훈 | Multiple function setting controller of TV |
KR19980047715A (en) * | 1996-12-16 | 1998-09-15 | 구자홍 | Integrated remote control |
KR19980075331A (en) * | 1997-03-31 | 1998-11-16 | 배순훈 | Control Program Loading Device and Execution Method in Modular Television |
KR20000021434A (en) * | 1998-09-29 | 2000-04-25 | 전주범 | System for controlling/integrating electric home applian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9733A (en) | 2002-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13017B2 (en) |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operational modes | |
CN1332585C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 |
KR100694043B1 (en) | AB system and its function expansion module | |
EP179638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 |
JP2008206210A (en) |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input option | |
US20060267726A1 (en) | Remote controller, equipment operation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 |
KR100377361B1 (en) | modular television for providing a distinguishable sound about selection of module and/or module function | |
JP2000083178A5 (en) | Image display system and remote control system | |
US20050120383A1 (en) | System for saving settings of an audiovisual system | |
EP1898637B1 (en) | Multimedia system with a remote controller | |
GB2370399A (en) | Remotely-controllable media device | |
US20090044219A1 (en) |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operation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using the method | |
US20070069919A1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nd simulcasting carrier frequencies | |
KR100742344B1 (en) | Modular TV which can control module collectively through OSD method | |
KR101300949B1 (en) | Control method of external A/V devices connected to Display | |
JP2003018495A (en) |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method | |
JP3309408B2 (en) | Input / output status display | |
KR100331801B1 (en) | Method for guidance of installing TV | |
US8237862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remote control functions | |
CN100508576C (en) | Video-audio play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selecting video-audio signal | |
EP1355490A2 (en) | Multifunction video apparatus | |
JPH10187209A (en) | Centralized control system for plural pieces of equipment | |
KR20050120090A (en) | Multi function apparatus having scart connec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0121257Y1 (en) | Circuit for controlling on screen display of video cassette recorder in personal computer | |
KR100377360B1 (en) | modular television capable of storing and renewing information of 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