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0567B1 - 액체레벨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액체레벨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567B1
KR100740567B1 KR1020060025657A KR20060025657A KR100740567B1 KR 100740567 B1 KR100740567 B1 KR 100740567B1 KR 1020060025657 A KR1020060025657 A KR 1020060025657A KR 20060025657 A KR20060025657 A KR 20060025657A KR 100740567 B1 KR100740567 B1 KR 10074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flow
unit
opening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이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06002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567B1/ko
Priority to EP06013522A priority patent/EP1837634B1/en
Priority to AT06013522T priority patent/ATE541190T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5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6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being actuated by mechanical or fluid means, e.g. using gas, mercury, or a diaphragm as transmitting element, or by a column of liquid
    • G01F23/165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being actuated by mechanical or fluid means, e.g. using gas, mercury, or a diaphragm as transmitting element, or by a column of liquid of bubbler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6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being actuated by mechanical or fluid means, e.g. using gas, mercury, or a diaphragm as transmitting element, or by a column of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탱크 속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액체레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량의 개폐와 역류방지 및 과압에 따른 내부구성의 보호가 효율적이고, 전체적인 구성이 간결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보다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는 액체레벨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며, 개방된 경우 압축공기를 일정한 유량으로 유동하도록 조절하여 유출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개방되어 액체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 폐쇄되어 레벨을 측정하고자 하는 액체가 저장된 탱크로부터 역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부를 통해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공급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보호부가 개방된 경우 그로부터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과 통상의 대기압을 비교·연산하여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액체레벨, 역류방지

Description

액체레벨측정장치{Liquid Level Measurement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액체레벨측정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의 전체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수직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 바디의 수평투영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A-A단면도와 부분확대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유량개폐부의 분해사시도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유량조절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막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의 수직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수직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수평투영도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A-A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과압방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고착방지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의 수직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체레벨측정장치 2 : 공급부 3 : 역류방지부 4 : 보호부 5 : 측정부
21 : 공기공급부 22 : 제 2 챔버 23 : 유량개폐부 24 : 제 1 챔버
25 : 유량조절부 26 : 제 1 공급로 27 : 제 1 분기부 28 : 바디
29 : 연결로 31 : 제 1 유입로 32 : 제 3 챔버 33 : 역류방지밸브
34 : 제 2 공급로 35 : 바디 36 : 지지부 41 : 제 2 유입로
42 : 과압방지부 43 : 제 4 챔버 44 : 제 3 공급로 45 : 제 2 분기부
46 : 고착방지구 47 : 바디 51 : 개방구 52 : 제 3 유입로
53 : 측정전환부 54 : 과압방지조절부 55 : 제 3 분기부 56 : 바디
57 : 커버 100 : 종래의 액체레벨측정장치 101 : 주엔클로져
102 : 상부챔버 103 : 하부챔버 104 : 분기막 105 : 보조엔클로져
106 : 상부보조챔버 107 : 하부보조챔버 108 : 분기막 109 : 기준엔클로져
110 : 기준챔버 111 : 보호챔버 112 : 분기막 113 : 밸브 114 : 탐침밸브
115 : 압력감지부재 116 : 관로 211 : 필터 212 : 오링 231 : 몸체
232 : 유동밸브 233 : 지지구 234 : 개폐조절구 241 : 유로
251 : 유량조절밸브 252 : 보호캡 253 : 유량공급부 271 : 탄성막
272 : 상부스토퍼 273 : 하부스토퍼 274 : 너트 281 : 중심공
331 : 몸체 332 : 유동밸브 333 : 지지구 334 : 개폐조절구 335 : 오링
361 : 몸체 362 : 연결부 363 : 지지구 411 : 금속볼 421 : 몸체
422 : 과압방지밸브 423 : 지지구 424 : 개폐조절구 425 : 유량조절구
451 : 탄성막 452 : 상부스토퍼 453 : 하부스토퍼 454 : 너트
461 : 고착방지밸브 462 : 보호캡 463 : 조절구 464 : 제 1 유로
465 : 제 2 유로 471 : 중심공 511 : 필터 512 : 관로 541 : 압축조절구 542 : 과압방지조절구 551 : 탄성막 552 : 상부스토퍼 553 : 하부스토퍼
554 : 너트 2111 : 고정플렌지 2311 : 플렌지 2311a : 유동홈
2312 : 오링삽입홈 2312a : 오링 2313 : 결합구 2314 : 연결구
2315 : 유동공 2315a : 관통공 2315b : 안내공 2321 : 개폐구
2322 : 오링홈 2323 : 압축구 2324 : 고정구 2325 : 오링 2331 : 체결구 2332 : 헤드 2511 : 헤드 2512 : 유량조절구 2513 : 오링삽입홈
2313a : 오링 2514 : 체결구 2515 : 결합구 2516 : 유량조절로
2521 : 체결구 2522 : 오링홈 2522a : 오링 2523 : 헤드 2524 : 삽입공
2711 : 체결공 2712 : 연결공 2721 : 관통공 2731 : 플렌지 2732 : 가압부
2733 : 체결구 3611 : 체결구 3621 : 관로 3631 : 체결구 4211 : 플렌지
4211a : 유동홈 4212 : 오링삽입홈 4212a : 오링 4213 : 결합구
4214 : 연결구 4214a : 오링홈 4214b : 오링 4215 : 유동공
4215a : 관통공 4215b : 안내공 4216 : 유입공 4217 : 오링 4221 : 개폐구
4222 : 오링홈 4223 : 압축구 4224 : 고정구 4231 : 체결구 4232 : 헤드
4233 : 고정구 4611 : 밸브헤드 4612 : 오링삽입홈 4613 : 지지플렌지
4614 : 연결구 4621 : 체결구 4622 : 오링홈 4622a : 오링 4623 : 캡헤드
4624 : 삽입공 5111 : 오링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탱크 속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액체레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며, 개방된 경우 압축공기를 일정한 유량으로 유동하도록 조절하여 유출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개방되어 액체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 폐쇄되어 레벨을 측정하고자 하는 액체가 저장된 탱크로부터 역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부를 통해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공급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보호부가 개방된 경우 그로부터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과 통상의 대기압을 비교·연산하여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최대 200m 정도 되는 배관라인을 통해 탱크까지 연결되는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관에는 각종 이물질이 퇴적되고, 이는 배관내 의 압력손실을 유발하여 수위 측정에 오류를 일으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배관내부를 세정해주어야 한다. 이때, 높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배관의 내부를 세척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축공기가 탱크 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에도 갑작스럽게 전달되어 액체레벨측정장치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체레벨측정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미국특허 제4,554,830호의 액체레벨측정장치(100)에서는, 도 1을 참고하면, 주엔클로져(101)는 분기막(104)에 의해 상부챔버(102)와 하부챔버(103)로 분기되고, 상기 주엔클로져(101)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엔클로져(105)는 다른 분기막(108)에 의해 상부보조챔버(106)와 하부보조챔버(107)로 나뉘며, 상기 주엔클로져(101)의 상부에 연결되는 기준엔클로져(109)는 다른 분기막(112)에 의해 기준챔버(110)와 보호챔버(111)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하부챔버(103)와 상부보조챔버(106) 사이에 밸브(113)를 구비하고, 입구파이프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하여 압축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하부보조챔버(107)에 탐침밸브(114)를 구비하여 탱크에 있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며, 상기 상부챔버(102)는 상기 기준챔버(110)와 보호챔버(111)와의 관계에서 상기 기준엔클로져(109)에 구비된 압력감지부재(115)에 과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압축공기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113)와 역류방지수단인 탐침밸브(114)는 각 분기막(104, 108)에 연결되어 제어되고, 상부챔버(102)와 하부보조챔버(107)가 관로(116)를 통해 연결되어 액체레벨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체레벨측정장치(100)는 밸브(113)와 탐침밸브 (114)의 개폐를 위한 정밀한 제작이 요구되고,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각 구성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챔버(102)와 하부보조챔버(107)가 관로(116)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유동경로가 짧아 압축공기의 유동시 헌팅이 발생하거나,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상기 상부챔버(102)와 압력감지부재(115)로 가는 경로에서 마찰 등을 통한 압력감소가 거의 없어 과압방지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의 개폐와 역류방지를 오링을 사용하여 개폐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액체레벨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량개폐부와 역류방지밸브에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고, 각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 및 구성이 간단하며, 전체적인 구성이 간결하게 이루어져 제조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액체레벨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기막을 유연성과 내구성이 동시에 구비된 특수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보다 오랜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액체레벨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가 측정부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하여 그 유동경로를 길게 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유동시 발생할 수 있는 헌팅을 방지하고,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측정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마찰 등에 의해 유압이 일부 소멸되어 과압의 압축공기의 유입에 따른 손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액체레벨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체레벨측정장치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며, 개방된 경우 압축공기를 일정한 유량으로 유동하도록 조절하여 유출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개방되어 액체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 폐쇄되어 레벨을 측정하고자 하는 액체가 저장된 탱크로부터 역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부를 통해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공급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보호부가 개방된 경우 그로부터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과 통상의 대기압을 비교·연산하여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공기공급부와, 그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2 챔버와,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유량개폐부와, 상기 유량개폐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1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유량조절부와, 상기 유량조절부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유출하는 제 1 공급로와, 상기 제 2 챔버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제어되어 유동하는 제 1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제 1 공급로를 통해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제 1 유입로와, 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3 챔버와, 상기 공급부의 제 1 분기부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제 3 챔버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일부를 유출하는 제 2 공급로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2 공급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제 2 유입로와, 그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과압방지부와, 상기 과압방지부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4 챔버와, 상기 제 4 챔버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유출하는 제 3 공급로와, 상기 공급부의 유량개폐부를 제어하는 유량조절구와, 제 2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 3 공급로를 통해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제 3 유입로와, 대기압과 연통되는 통로인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를 통한 대기압과 상기 제 3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비교·연산하여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전환부와, 상기 보호부의 과압방지부를 제어하는 과압방지조절부와, 제 3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개폐부는 상기 공급부에 체결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와 체결되고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지지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유동밸브와,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유량개폐부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유동밸브의 하단과 상기 지지구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조절구와, 상기 공급부와 몸체 사이로 압축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역류방지부에 체결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와 체결되고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유동밸브와,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역류방지밸브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유동밸브의 하단과 상기 지지구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조절구와, 상기 역류방지부와 몸체 사이로 압축공기의 누설과 액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과압방지부는 측벽에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유입로와 연통되는 유입공을 가지고 그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상기 과압방지부를 개폐하는 과압방지밸브와, 상기 과압방지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과압방지부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과압방지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조절구와, 상기 개폐조절구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상기 보호부와 몸체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과, 상기 지지구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분기부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챔버에 저장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 2 분기부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량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개폐부의 몸체는 상기 유량개폐부가 개방된 경우 압축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밸브와 접촉하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일정 깊이의 유동홈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밸브 및 상기 과압방지부의 몸체의 상면에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 유동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링하여 순수 공기만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유수분 제어용 필터와, 상기 필터와 공기공급부 사이에서 압축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오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별도의 고정용 부품없이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플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제 1 공급로와 연통되는 유량공급부와, 상기 유량공급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유량조절부와 공급부 사이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과 보호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유량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유량조절로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유량공급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점감되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압방지조절부는 상기 제 3 분기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 4 챔버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 3 분기부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압방지조절구와, 상기 과압방지조절구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와 체결되어 그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과압방지조절구가 반응하는 소정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축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그 연결단에 오링을 삽입하여 밀봉되는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공급부는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 1 공급로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임의로 주입하여 각 구성이 올바르게 작동되는 것인가를 체크할 수 있는 공급로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그 내부에 과압이 유입되어 상기 과압방지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과압방지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과압방지부를 개폐하는 오링이 상 기 과압방지부의 몸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입로 및 제 4 챔버와 연통되고, 이를 통해 압축공기를 유출하여 상기 과압방지조절구가 상기 제 3 분기부를 통해 상기 과압방지밸브를 유동시킬 수 있는 고착방지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착방지구는 상기 제 4 챔버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고착방지밸브와, 상기 고착방지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조절구를 가지고, 상기 조절구를 지지하고 상기 고착방지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고착방지밸브가 삽입되어 유동할 수 있는 삽입공을 가지는 보호캡과, 상기 고착방지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고착방지구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보호캡과 상기 보호부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부는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탄성막과, 상기 탄성막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탄성막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분기부 및 제 3 분기부도 동일한 재질의 탄성막과 상부스토퍼, 하부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은 그 재질이 NBR과 NYLON66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2 유입로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에 의해 형성된 홀에, 그 홀의 직경보다 큰 금속볼을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하여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는 일측에 상기 측정전환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유수분 제어용 필터와, 상기 측정전환부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정전환부와 연통되는 관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의 전체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레벨측정장치(1)는 공급부(2), 역류방지부(3), 보호부(4), 측정부(5)를 포함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수직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 바디의 수평투영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A-A단면도와 부분확대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유량개폐부의 분해사시도,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유량조절부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2)를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공기 공급부(2)는 공기공급부(21), 제 2 챔버(22), 유량개폐부(23), 제 1 챔버(24), 유량조절부(25), 제 1 공급로(26), 제 1 분기부(27)과 상기 구성들을 둘러싸는 바디(28)를 포함한다.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공기공급부(21)는 상기 액체레벨장치(1)에 압축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중공의 형상으로, 일측은 외부파이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와 체결되며, 끝단에 필터(211)와 오링(21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필터(211)는 순수 공기만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링하는 유수분 제어용 필터로, 일측은 상기 공급부(2)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공급부(21)와 연결되며, 고정플렌지(211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렌지(2111)는 상기 필터(211)가 상기 공기공급부(21)와 연결되는 끝단에서 상기 공기공급부(21)에 상기 필터(211)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플렌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렌지(2111)에 의해 상기 필터(211)는 별도의 고정용 부품없이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21)와 결합된다.
상기 오링(212)은 상기 공기공급부(21)와 필터(211)사이에 삽입되어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한다.
상기 제 2 챔버(22)는 상기 공기공급부(21)의 필터(211) 일부가 삽입되어 액체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저장한다.
상기 유량개폐부(23)를 도 4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량개폐부(23)는 상기 제 2 챔버(22)에 일부 삽입되고,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되어 결합되며, 몸체(231), 유동밸브(232), 지지구(233), 개폐조절구(234)를 포함한다.
도 4d를 참고하면, 상기 몸체(231)는 플렌지(2311), 오링삽입홈(2312), 결합구(2313), 연결구(2314), 유동공(2315)을 포함한다.
상기 플렌지(2311)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밸브(232)가 상기 몸체(231)의 내부에서 탈선되지 않고 유동할 수 있고, 오링(2325)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공(2315)에 포함되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2315a)이 형성된 중공의 원반형 플렌지로, 유동홈(2311a)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유동홈(2311a)은 상기 플렌지(2311)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으로,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공(2315)의 관통공(2315a)과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동홈(2311a)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도 3 및 도 4d를 참고하면, 상기 유량개폐부(23)의 개방시 상기 제 1 분기부(27)이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플렌지(23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315a)을 폐쇄하여 압축공기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상기 관통공(2315a)과 연통되어 압축공기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플렌지(2311)의 상면에 십자가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다른 형태의 홈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삽입홈(2312)은 상기 플렌지(231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소정 길이 연장된 홈으로서,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오링삽입홈(2312)에 오링(2312a)을 삽입하여 상기 몸체(231)와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구(2313)는 상기 오링삽입홈(2312)의 하면에서 확경되어 일정 길이 연장된 중공원통 형태이며, 그 하부측에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구(2313)의 하부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유량개폐부(23)를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의 중심공(281, 도 4b에 도시됨)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연결구(2314)는 상기 결합구(2313)의 하면에서 확경되고, 하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중공의 덮개로서, 중심선을 따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공(2315)이 상기 오링삽입홈(231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2314)의 내측 하단 내주면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314)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회전을 가하여 상기 유량개폐부(23)를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에 형성된 중심공(281, 도 4b에 도심됨)에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그 외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동공(2315)은 상기 유량개폐부(23)의 개방시 압축공기가 유동할 수 있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밸브(232)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3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며, 관통공(2315a)과 안내공(2315b)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2315a)은 상기 플렌지(2311)의 내부에서 상기 플렌지(2311)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밸브(232) 사이에 삽입되는 오링(2325)이 상기 플렌지 (2311)의 하면에 밀착된 경우 상기 유량개폐부(23)가 폐쇄될 수 있는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2315b)은 상기 관통공(2315a)의 하면에서 확경되어 상기 연결구(2314)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압축공기의 유로이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밸브(232)가 상기 유량개폐부(23)의 개폐를 위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유동밸브(232)는 상기 유동공(2315)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여 상기 유량개폐부(23)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구(2321), 오링홈(2322), 압축구(2323), 고정구(2324)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구(2321)는 타원면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231)의 플렌지(23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315a)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2315a)을 통해 압축공기가 보다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타원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를 위한 것이면 원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구(2321)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공급부(2)에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에는 상기 개폐조절구(234)에 의해 상기 관통공(2315a)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오링(2325)을 통해 유로를 폐쇄하지만, 상기 공급부(2)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거나 소정 압력 이하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분기부(45)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여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오링홈(2322)은 상기 개폐구(232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일정 길이 연 장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몸체(231)의 플렌지(23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315a)을 밀봉할 수 있는 소정 직경의 오링(2325)을 삽입하여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기 유량개폐부(23)를 직접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압축구(2323)는 상기 오링홈(2322)의 하면에서 확경되어 소정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몸체(231)의 플렌지(23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315a)보다 큰 직경을 가지지만, 상기 몸체(231)의 유동공(2315)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압축구(2323)의 상면은 상기 오링홈(2322)에 삽입되는 오링(2325)을 지지하고, 그 하면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개폐부(23)의 개폐조절구(234)의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구(2324)는 상기 압축구(2323)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개폐부(23)의 개폐조절구(234)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233)는 상기 몸체(231)에 체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체결구(2331), 헤드(233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2331)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몸체(231)의 연결구(2314)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2332)는 상기 체결구(2331)의 하면에 연결되어 확장되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몸체(231)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체결구의 관통공과 연결되어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중공의 너트형상이다. 도 4a 및 도 4d를 참고하면, 상기 헤드(2332)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회전을 가하여 상기 지지구(233)를 상기 몸체(231)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형상으로 형성되나, 이러한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면 그 외면이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조절구(234)는 소정의 외압에 의해 수축되고 그 외압이 제거된 경우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밸브(232)의 고정구(2324)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압축구(2323)의 하면과 상기 지지구(233)의 체결구(2331) 상면에 지지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개폐조절구(234)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기 유동밸브(232)가 상기 제 2 분기부(45)에 의한 외압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수축되고, 그 외압이 제거된 경우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유동밸브(232)를 상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부재로, 예컨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챔버(24)를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챔버(24)는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의 상부에 상기 유량개폐부(23)를 거쳐 유입된 압축공기가 저장될 수 있도록 규정된 공간으로,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조절부(25)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유로(24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유로(241)는 상기 제 1 챔버(24)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조절부(25)의 유량공급부(253)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압축공기의 통로이다.
상기 유량조절부(25)를 도 4b, 도 4c 및 도 4e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량조절부(25)는 유량조절밸브(251), 보호캡(252), 유량공급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251)는 헤드(2511), 유량조절구(2512), 오링삽입홈(2513), 체결구(2514), 결합구(2515), 유량조절로(2516)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2511)는 소정 직경의 원형면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량조절구(2512)는 일측이 상기 헤드(2511)의 상면에서 축경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점감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고, 타측이 소정 직경의 원형단면을 가지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량조절구(2512)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유량조절부(25)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공급부(253)와 연통되는 유량조절로(2516)가 개방되는 단면적을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와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구(2512)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챔버(24)의 유로(24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일정 유량으로 상기 유량공급부(253)에 공급한다.
상기 오링삽입홈(2513)은 상기 헤드(251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도4c를 참고하면, 상기 오링삽입홈(2513)에 오링(2513a)이 삽입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251)와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구(2514)는 상기 오링삽입홈(2513)의 하면에서 확경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체결구(2514)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 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구(2514)의 하부와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구(2515)는 상기 체결구(2514)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결합구(2515)의 하단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회전을 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체결구(2514)의 체결정도를 조절하여 점감되어 형성된 상기 유량조절구(2512)의 단면적의 크기가 조절되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공급부(253)와 연결되는 유량조절로(2516)가 개방되는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챔버(24)의 유로(24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일정 유량으로 상기 유량공급부(253)에 공급한다.
상기 유량조절로(2516)는 일측이 상기 제 1 챔버(24)의 유로(241)와 연통되고, 타측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공급부(253)와 연통되며, 도 4c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 사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기의 통로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량조절로(2516)는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 사이에 소정 경사각을 가지고 점감되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구(2512)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로(2516)의 단면적의 크기가 조절되어 압축공기를 일정 유량으로 상기 유량공급부(253)에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캡(252)은 상기 유량조절밸브(251)와 연결되고, 체결구(2521), 오링홈(2522), 헤드(252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2521)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체결구(252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소정 직경의 삽입공(2524)이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251)의 결합구(2515)가 삽입될 수 있으며,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구(2521)는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와 체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251)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오링홈(2522)은 상기 체결구(252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홈으로서,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오링홈(2522)에 오링(2522a)을 삽입하여 상기 보호캡(252)과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와의 체결시 그 사이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2523)는 상기 오링홈(2522)의 하면에서 확경되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너트형상으로 형성되나,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상기 보호캡(252)을 상기 공급부(2)의 바디(28)에 체결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외면이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공(2524)은 상기 체결구(2521)와 상기 오링홈(2522)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2515)가 삽입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밸브(251)가 상기 유량조절로(2516)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유동할 수 있는 통로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유량공급부(253)는 일측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제 1 공급로(26)와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유출하고, 타측은 상기 유량조절로(2516)와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관로(25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량공급부(25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공급로에 상기 공기공급부(21)를 통하지 않고 소정 압력의 공기를 임의로 주입하여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각 구성이 올바르게 작동되는 것인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급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로(2531)는 상기 유량조절밸브(251)의 유량조절구(2512)에 의해 단면적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상기 유량조절로(2516)로부터 조절된 일정 유량의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통로이다.
상기 제 1 공급로(26)는 일측이 상기 유량공급부(253)와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유입하고, 타측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역류방지부(3)와 연통되어 유입한 압축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부(3)에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분기부(27)는 탄성막(271), 상부스토퍼(272), 하부스토퍼(273), 너트(27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막(271)은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데, 특히 NBR과 NYLON66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2711), 연결공(271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체결공(2711)은 상기 탄성막(27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하기에 설명할 상기 하부스토퍼(273)의 체결구(2733)가 관통하여 상기 상부스토퍼(272)에 형성된 관통공(2721)을 거쳐 상기 너트(274)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통로이다.
상기 연결공(2712)은 상기 탄성막(27)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도 3을 참고하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장치(1)의 작동상태에서 상기 탄성막(27)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공(2712)은 상기 공급부(2)의 제 1 공급로(26)가 관통하여 상기 역류방지부(3)의 제 1 유입로(31)와 연통될 수 있고, 타측에 형성된 연결공(2712)은 상기 공급부(2)의 연결로(29)가 관통하여 상기 역류방지부(3)의 제 2 공급로(34) 및 상기 보호부(4)의 제 2 유입로(4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스토퍼(272)는 중앙에 소정 직경의 관통공(2721)이 형성된 원반형상의 외주면을 상방으로 일정 기울기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막(271)을 상면에서 지지한다.
상기 하부스토퍼(273)는 상기 탄성막(271)을 하면에서 지지하고, 플렌지(2731), 가압부(2732), 체결구(2733)를 가진다.
상기 플렌지(2731)는 타원면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원반형상으로, 상기 플렌지(2731)의 상면이 상기 탄성막(271)의 하면과 접촉하여 지지한다. 또한, 상기 플렌지(2731)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상태에서 상기 역류방지밸브(33)가 개방된 경우 상기 플렌지(2731)가 압축공기의 유동을 저해하지 않고, 상기 탄성막(271)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타원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를 위한 것이면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732)는 상기 플렌지(273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소정 기울기로 연장되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가압부(2732)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장치(1)의 작동상태에서 상기 탄성막(271)과 함께 하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역류방지밸브(33)를 가압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구(2733)는 상기 플렌지(2731)의 상면에서 축경되어, 상기 상부스 토퍼(272)의 관통공(2721) 및 상기 탄성막(271)의 체결공(2711)과 일치하는 소정 직경을 가지고,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274)는 상기 탄성막(271)과 상부스토퍼(27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체결구(2733)와 상기 탄성막(271)의 상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탄성막(271), 상부스토퍼(272), 하부스토퍼(273)를 포함하는 제 1 분기부(27)를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로(29)는, 도 3 을 참고하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역류방지부(3)의 제 2 공급로(34)와 상기 보호부(4)의 제 2 유입로(41)를 연통시키는 압축공기의 유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역류방지부(3)는 상기 공급부(2)의 하면에 연결되고, 제 1 유입로(31), 제 3 챔버(32), 역류방지밸브(33), 제 2 공급로(34)와 상기 구성들을 둘러싸는 바디(35)를 포함하고, 지지부(36)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로(31)는 상기 공급부(2)의 제 1 공급로(26)와 연결되어 상기 역류방지부(3)에 압축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관로이다.
상기 제 3 챔버(32)는 상기 제 1 유입로(3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역류방지부(3)의 바디(35) 상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33)는 상기 제 1 유입로(31)를 거쳐 상기 제 3 챔버(32)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레벨을 측정하고자 하는 액체가 저장된 탱크로 유출하 여 레벨을 측정하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기 공급부(2)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어 탱크에 저장된 액체가 역류하여 상기 액체레벨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33)는 몸체(331), 유동밸브(332), 지지구(333), 개폐조절구(334)를 포함하고,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부(2)의 유량개폐부(23, 도 4d 참고)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작동관계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 2 공급로(34)는 상기 제 3 챔버(32)에 유입된 압축공기 중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보다 높은 양만큼은 상기 역류방지밸브(33)를 통해 탱크로 배출하고, 액체레벨에 해당하는 압축공기의 일부만을 상기 공급부(2)의 연결로(29)와 보호부(4)를 거쳐 상기 측정전환부(5)로 공급하여 액체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압축공기의 유로이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6)는 상기 역류방지부(3)의 바디(35) 하부에 연결되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361), 연결부(362), 지지구(36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61)는 상기 역류방지부(3)의 하단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체결구(361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362)는 상기 역류방지부(3)가 개방된 경우 유출되는 압축공기를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액체가 저장된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관로(3621)를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지지구(363)는 상기 연결부(362)가 가지는 관로(3621)와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원반형상으로, 상기 연결부(362)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구(363)는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를 다른 구조물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체결구(3631)를 포함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수직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수평투영도,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A-A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과압방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의 고착방지구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4)를 도 7a 내지 도 7e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보호부(4)는 제 2 유입로(41), 과압방지부(42), 제 4 챔버(43), 제 3 공급로(44), 제 2 분기부(45)과 상기 구성들을 둘러싸는 바디(47)를 포함하고, 고착방지구(46)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a를 참고하면, 상기 제 2 유입로(41)는 일측이 상기 역류방지부(3)의 제 2 공급로(34)에서 유출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부(2)의 연결로(29)를 거쳐 유입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형성되어 연통되고, 그로부터 타측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과압방지부(4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기의 유로이다. 한편, 상기 제 2 유입로(41)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로를 가공하는 공정에서 상기 보호부(4)의 외면에 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홀의 직경보다 큰 금속볼(411)을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보호부(4)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과정을 줄이고, 내부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압방지부(42)를 도 3, 도 7a 및 도 7d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과압방지부(42)는 몸체(421), 과압방지밸브(422), 지지구(423), 개폐조절구(424), 유량조절구(425)를 포함한다.
도 7d를 참고하면, 상기 몸체(421)는 플렌지(4211), 오링삽입홈(4212), 결합구(4213), 연결구(4214), 유동공(4215)을 포함한다.
상기 플렌지(4211)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과압방지밸브(422)가 상기 몸체(421)의 내부에서 탈선되지 않으며 유동할 수 있고, 오링(4217)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공(4215)에 포함되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4215a)이 형성된 중공의 원반형 플렌지로, 유동홈(4211a)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유동홈(4211a)은 상기 플렌지(4211)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으로,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공(4215)의 관통공(4215a)과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홈(4211a)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도 3 및 도 7d를 참고하면,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개방시 상기 제 3 분기부(55)가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플렌지(42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4215a)을 폐쇄하여 압축공기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상기 관통공(4215a)과 연통되어 압축공기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플렌지(4211)의 상면에 십자가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다른 형태의 홈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오링삽입홈(4212)은 상기 플렌지(421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소정 길이 연장된 홈으로서, 도 7a를 참고하면, 상기 오링삽입홈(4212)에 오링(4212a)을 삽입하여 상기 몸체(421)와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구(4213)는 상기 오링삽입홈(4212)의 하면에서 확경되어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내부에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공(4215)이 연장되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측에는 상기 제 2 유입로(41)와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공(42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구(4213)의 하부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과압방지부(42)를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의 중심공(471, 도 7b에 도시됨)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연결구(4214)는 상기 결합구(4213)의 하면에서 확경되고, 하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중공의 덮개로서, 중심선을 따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동공(4215)이 상기 오링삽입홈(421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4214)의 내측 하단 내주면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4214)의 하면에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지지구(423)와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오링(4214b)을 삽입할 수 있는 소정 직경의 오링홈(42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4214)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회전을 가하여 상기 과압방지부(42)를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에 형성된 중심공(471, 도 7b에 도시됨)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 며, 예켠대 그 외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동공(4215)은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개방시 압축공기가 유동할 수 있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과압방지밸브(422)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42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며, 관통공(4215a)과 안내공(4215b)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4215a)은 상기 플렌지(4211)의 내부에서 상기 플렌지(4211)와 하기에 설명할 상기 과압방지밸브(422) 사이에 삽입되는 오링(4217)이 상기 플렌지(4211)의 하면에 밀착된 경우 상기 과압방지부(42)가 폐쇄될 수 있는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4215b)은 상기 관통공(4215a)의 하면에서 확경되어 상기 연결구(4214)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압축공기의 유로이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과압방지밸브(422)가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개폐를 위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과압방지밸브(422)는 개폐구(4221), 오링홈(4222), 압축구(4223), 고정구(4224)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부(2)의 유량개폐부(23)에 구비된 상기 유동밸브(232)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작동관계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지지구(423)는 상기 몸체(421)에 결합고정되고, 체결구(4231), 헤드(4232), 고정구(423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4231)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상으로, 상기 몸체(421)의 연결구(4214)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구(4231)의 상면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개폐조절구(42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4232)는 상기 체결구(4231)의 하면에 연결되어 확경되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너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421)의 연결구(4214)의 하면에 밀착하여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4214)의 하면에 형성된 오링홈(4214a)에 삽입된 오링(4214b)에 의해 압축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4232)의 하면은 하기에 설명할 유량조절구(425)를 지지하고, 상기 헤드(4232)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회전을 가하여 상기 지지구(423)를 상기 몸체(421)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형상으로 형성되나, 이러한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면 그 외면이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4233)는 상기 헤드(4232)의 하면에서 소정 직경을 가지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할 상기 유량조절구(425)를 상기 고정구(4233)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구(424)는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부(2)의 유량개폐부(23)에 구비된 상기 개폐조절구(234)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그 작동관계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유량조절구(425)는, 도 7a 및 도 7d를 참고하면, 소정의 외압에 의해 수축되고 그 외압이 제거된 경우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 기 지지구(423)의 고정구(4233)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헤드(4232)의 하면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제 2 분기부(45)에 의해 지지된다. 도 3 을 참고하면, 상기 유량조절구(425)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기 공급부(2)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거나, 소정 압력 이하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그 공기압을 극복하고 상기 제 2 분기부(45)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상기 제 2 분기부(45)에 의해 상방으로 압축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되며, 예컨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4 챔버(43)는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과압방지밸브(422)가 개방되어 유입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도록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 3 공급로(44)는 상기 제 4 챔버(43)에 유입된 압축공기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측정부(5)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의 유로이다.
상기 제 2 분기부(45)는 탄성막(451), 상부스토퍼(452), 하부스토퍼(453), 너트(454)를 포함하고,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부(2)의 제 1 분기부(27)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작동관계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고착방지구(46)는, 도 7b, 도 7c 및 도 7e를 참고하면, 고착방지밸브(461), 보호캡(462), 조절구(463)를 포함하고, 상기 고착방지구(46)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 4 챔버(43)와 연통되는 제 1 유로(464)와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유입로(41)와 연통되는 제 2 유로(465)를 포함한다. 상기 고착방지구(46)는, 도 3을 참고하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상기 제 4 챔버(43)를 제외한 모든 구성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는 상기 역류방지부(3)를 통해 탱크로 배출되어 소멸하나, 상기 제 4 챔버(43)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는 배출될 수 없어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과압방지밸브(422)와 상기 과압방지부(42)의 플렌지(4211) 사이에 삽입된 오링(4217)이 상기 플렌지(4211)의 상면에 밀착되어 오랜 시간이 지나면 고착되어 유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고착방지구(46)를 통해 상기 제 4 챔버(43)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과압방지부(42)를 자동복원시켜 상기 플렌지(4211)와 과압방지밸브(422) 및 오링(4217)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착방지밸브(461)는, 도 7e를 참고하면, 밸브헤드(4611), 오링삽입홈(4612), 지지플렌지(4613), 연결구(4614)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헤드(4611)는, 도 7c 및 도 7e를 참고하면, 소정 직경의 원형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반형상과, 그 원반형상의 상면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점감되어 일정 길이 연장된 절두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반형상은 상기 제 1 유로(464)에 삽입될 수 있는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링삽입홈(4612)은 상기 밸브헤드(461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홈이고, 상기 오링삽입홈(4612)에 오링(4612a)이 삽입되어 상기 고착방지밸브(461)와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 사이를 밀봉하여, 상기 제 1 유로(464)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렌지(4613)는 상기 오링삽입홈(4612)에서 확경되어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반형상으로, 상기 지지플렌지(4613)의 상면은 상기 오링삽입홈(4612)에 삽입되는 오링(4612a, 도 7c에 도시됨)을 지지하고, 그 하면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절구(463)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플렌지(4613)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기 조절구(463)에 의해 상기 오링삽입홈(4612)에 삽입된 오링(4612a)을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에 밀착시켜 상기 제 1 유로(464)를 밀봉하거나,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 1 유로(464)를 통해 압축공기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4614)는 상기 지지플렌지(4613)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연장면에서 다시 축경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다단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하부측에 형성된 축경된 원통형상은 하기에 설명할 보호캡(462)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462)은 상기 고착방지밸브(46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체결구(4621), 오링홈(4622), 캡헤드(4623), 유동로(462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4621)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구(4614)가 유동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나사산을 통해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구(4621)의 상면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조절구(463)를 지지한다.
상기 오링홈(4622)은 상기 체결구(4621)의 하면에서 축경되어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홈으로, 상기 오링홈(4622)에 오링(4622a, 도 7c에 도시됨)이 삽입 되어 상기 보호캡(462)과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캡헤드(4623)는 상기 오링홈(4622)의 하면에서 확경되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너트형상으로 형성되나,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상기 보호캡(462)을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에 체결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외면이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공(4624)은 상기 체결구(4621)와 상기 오링홈(4622)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4614)가 삽입되어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장치(1)의 작동상태에서 상기 고착방지밸브(461)가 상기 보호부(4)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압에 따라 유동할 수 있는 통로이다.
상기 조절구(463)는, 도 7c를 참고하면, 소정의 외압에 의해 수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는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렌지(4613)의 하면과 상기 캡헤드(4623)의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조절구(463)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기 제 4 챔버(43)에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 2 유로(465, 도 7b에 도시됨)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가 상기 역류방지밸브(3)를 통해 배출된 경우 상기 제 4 챔버(43)와 상기 제 2 유로(465, 도 7b에 도시됨)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압력에 민감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의 수직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5)를 도 3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측정부(5)는 개방구(51), 제 3 유입로(52), 측정전환부(53), 과압방지조절부(54), 제 3 분기부(55)와 상기 구성들을 둘러싸는 바디(56)를 포함하고, 커버(57)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방구(51)는 외부와 연통되어 대기압을 전달하는 통로이고, 필터(511), 관로(51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511)는 상기 측정부(5)와 연결되는 상기 개방구(51)의 일측에 결합되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측정전환부(53)에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방지하는 유수분 제어용 필터이며, 상기 필터(511)와 상기 측정부(5)의 바디(56) 사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오링(5111)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관로(512)는 일측이 상기 필터(511)와 수평으로 연통되고, 타측은 하기에 설명할 상기 측정전환부(53)와 수직으로 연통되며, 이러한 구성은 상기 필터(511)에서 여과되지 않은 일부 수분이 유입된 경우에도, 그 수분이 상기 측정전환부(53)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타측에 의해 상기 측정전환부(53)로 침투할 수 없도록 하는 2중방수의 수단이다.
상기 제 3 유입로(52)는 상기 보호부(4)의 제 3 공급로(44)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유입하고, 하기에 설명할 상기 측정전환부(53)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측정전환부(53)는 상기 제 3 유입로(52)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유압과 상기 개방구(51)를 통해 유입된 통상의 대기압을 측정하여 비교·연산함으로써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전환부(5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에 상응하는 압축공기의 유압과 통상의 대기압을 비교하여 압력의 차이값을 전류신호로 전환하여 소정의 연산식에 의거 계산된 액체레벨값을 원격지상의 컴퓨터나 표시부 등에 전송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압방지조절부(54)는 상기 보호부(4)에 유입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보호부(4)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압축조절구(541)와 과압방지조절구(542)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조절구(541)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측정부(5)의 바디(56)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그 체결정도에 따라 하기에 설명할 과압방지조절구(542)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과압방지조절구(542)는 소정의 외압에 의해 수축되고 그 외압이 제거된 경우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조절구(541)의 하면과 하기에 설명할 상기 제 3 분기부(55)에 의해 지지된다. 도 3 을 참고하면, 상기 과압방지조절구(542)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기 보호부(4)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거나, 소정 압력 이하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상기 제 3 분기부(55)를 하방으로 가압하며,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상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 3 분기부(55)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탄성력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며, 예켠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분기부(55)는 탄성막(551), 상부스토퍼(552), 하부스토퍼(553), 너트(554)를 포함하고,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부(2)의 제 1 분기부(27)와 동 일한 구성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작동관계는 하기에 설명할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커버(57)는 상기 측정부(5)의 내부에 있는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57)와 상기 측정부(5)의 결합면 사이에 오링을 삽입하여 밀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측정부(5)의 측정전환부(53)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측정전환부(53)가 탱크에 저장된 액체레벨을 전류값으로 변환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바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본 구성과 결합관계에 따라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공급부(2)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상태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공급부(2)는 상기 보호부(4)의 과압방지부(42)에 구비된 상기 유량조절구(425)에 의해 상기 제 2 분기부(45)가 하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공급부(2)의 유동밸브(232)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조절구(234)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유량개폐부(23)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역류방지부(3)는 상기 제 1 분기부(27)에 가해지는 외압이 없으므로, 상기 제 1 분기부(27)가 상기 역류방지부(3)의 역류방지밸브(33)에 구비된 상기 유동밸브(332)와 이격되어 가압하지 않고, 상기 유동밸브(332)는 상기 개폐조절구 (334)에 의해 오링(335)을 통해 상기 몸체(331)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역류방지밸브(33)를 폐쇄시킴으로써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며;
상기 보호부(4)는 상기 측정부(5)의 과압방지조절부(54)에 구비된 과압방지조절구(542)에 의해 상기 제 3 분기부(55)가 하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보호부(4)의 과압방지밸브(422)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조절구(424)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과압방지부(42)가 개방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기 공급부(2)에 소정 압력 이하의 압축공기가 공급된 경우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공급부(2)의 유량개폐부(23)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와 같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공급부(2)의 공기공급부(21, 도 4c에 도시됨)에 구비된 필터(211, 도 4c에 도시됨)를 통해 여과된 압축공기가 상기 제 2 챔버(22)로 유입되며, 그로부터 압축공기는 상기 유량개폐부(23)를 거쳐 제 1 챔버(24)로 유입되고, 상기 제 1 챔버(24)에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유로(241, 도 4c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유량조절로(2516, 도 4c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됨)로 공급되며, 상기 유량조절부(25, 도 4c에 도시됨)는 상기 유량조절로(2516, 도 4c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됨)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일정 유량을 상기 관로(2531, 도 4b에 도시됨)를 통해 상기 유량공급부(253)로 공급하고, 상기 유량공급부(253)는 상기 제 1 공급로(26)를 통해 상기 역류방지부(3)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이 경우 상기 제 2 챔버(22)에 유입되어 저장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 1 분기 부(27)를 가압하여 하측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 1 분기부(27)가 상기 역류방지부(3)의 역류방지밸브(33)에 구비된 상기 유동밸브(332)를 가압하여 역류방지밸브(33)의 개폐조절부(334)가 가지는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개폐조절부(334)를 압축시켜 상기 역류방지밸브(33)의 유동밸브(332)와 몸체(331) 사이에 삽입된 오링(335)을 상기 몸체(331)의 하면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역류방지밸브(33)를 개방시키고;
상기 역류방지부(3)는 상기 공급부(2)의 제 1 공급로(26)에서 유출된 압축공기를 제 1 유입로(31)를 통해 유입하여 제 3 챔버로(32)로 공급하고, 상기 제 3 챔버(32)에 유입된 압축공기는 앞서 설명한대로 개방된 상기 역류방지밸브(33)를 거쳐 상기 지지부(36)의 연결부(362)에 형성된 관로(3621)를 통해 탱크에 압축공기를 전달하며, 그 압축공기 중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보다 높은 양만큼은 탱크에서 배출되고, 그 레벨에 해당하는 압축공기의 일부만이 상기 제 2 공급로(34)를 통해 상기 보호부(4)로 공급되며;
상기 보호부(4)는 상기 역류방지부(3)의 제 2 공급로(34)에서 유출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부(2)의 연결로(29)를 거쳐 상기 제 2 유입로(41)를 통해 유입하고, 상기 보호부(4)의 과압방지부(42)는 유입된 압축공기의 유압이 상기 측정부(5)의 과압방지조절구(542)의 탄성력보다 약하므로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부(2)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제 4 챔버(43)를 거쳐 제 3 공급로(44)를 통해 상기 측정부(5)로 공급하고;
상기 측정부(5)는 상기 보호부(4)의 제 3 공급로(44)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 기의 유압과 상기 개방구(51)를 통해 유입되는 통상의 대기압에 해당하는 유압을 상기 측정전환부(53)에 전달하고, 상기 측정전환부(53)는 양 유압을 비교·연산하여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 공급부(2)에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과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된 경우 상기 액체레벨측정장치(1)의 작동관계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공급부(2)의 유량개폐부(23)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유량개폐부(23)를 통해 상기 제 1 챔버(24)에 과압의 압축공기가 전달되고, 그 압축공기의 유압은 상기 보호부(4)의 제 2 분기부(45)를 하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압하고 있는 상기 과압방지부(42)에 구비된 유량조절구(425)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제 2 분기부(45)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하며, 그에 의해 상기 제 2 분기부(45)와 상기 유량개폐부(23)의 유동밸브(232)가 이격되어 상기 유량개폐부(23)의 개폐조절구(234)에 의해 상기 유동밸브(232)가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몸체(231)의 하면에 오링(2325)이 밀착되어 상기 유량개폐부(23)가 폐쇄되고;
상기 역류방지부(3)는 상기 공급부(2)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가 제 3 챔버(32)에 유입되고, 그 유압은 상기 공급부(2)의 제 2 챔버(22)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유압과 동일하므로 상기 역류방지부(3)의 역류방지밸브(33)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보호부(4)는 상기 공급부(2)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부(3)와 상기 공급부(2)를 차례로 거쳐 유입하므로, 그 과정에서 압축공기의 유 압이 일부 소멸될 수 있고;
그 압축공기가 상기 보호부(4)에 유입되면, 상기 보호부(4)의 과압방지부(42)를 통해 상기 제 4 챔버(43)로 공급되어 상기 측정부(5)의 제 3 분기부(55)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상기 과압방지조절구(542)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제 3 분기부(55)를 상방으로 유동시키므로, 상기 제 3 분기부(55)와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과압방지밸브(422)를 이격시켜 상기 과압방지밸브(422)가 상기 개폐조절구(424)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몸체(421)의 하면에 오링(4217)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과압방지부(42)가 폐쇄되며;
상기 측정부(5)는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부(2)의 유량개폐부(23)와 상기 보호부(4)의 과압방지부(42)의 폐쇄가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에 이루어지므로 소량의 압축공기만이 전달되고, 그 소량의 압축공기도 상기 보호부(4)의 제 3 공급로(44)를 통해 우회하여 공급되도록 형성되므로 그 과정에서 압축공기의 유압이 일부 소멸될 수 있어 상기 측정전환부(53)는 과압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4)의 고착방지구(46)는, 도 7b 및 도 7c를 참고하면, 상기 보호부(4)에 유입되는 과압의 압축공기가 상기 제 2 유입로(41)와 연결되는 상기 제 2 유로(465)를 통해 상기 고착방지구(46)에 공급되고, 그 압축공기의 유압은 상기 고착방지구(46)의 조절구(463)보다 큰 힘으로 상기 고착방지밸브(461)를 오링(4612a)과 함께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에 밀착시켜 밀봉함으로써 상기 제 1 유로(464)를 통해 상기 제 4 챔버(43)에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량개폐부(23)와 과압방지부(42)가 폐쇄된 경우 상기 보호부(4)의 고착방지구(46)의 작동상태를 도 3, 도 7b 및 도 7c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공급부(2)의 유량개폐부(23)와 상기 보호부(4)의 과압방지부(42)가 폐쇄된 경우, 그 과압의 압축공기는 상기 역류방지부(3)의 역류방지밸브(33)를 통해 탱크로 배출되어 소멸하므로, 상기 유량개폐부(23)를 폐쇄시킨 제 2 분기부(45)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압하던 유압이 소멸하여 다시 상기 과압방지부(42)의 유량조절구(42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2 분기부(45)가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유량개폐부(23)의 유동밸브(23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유량개폐부(23)를 개방시키고;
상기 과압방지부(42)는 상기 제 4 챔버(43)가 밀폐되므로 일부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없어,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과압방지밸브(422)와 오링(4217)이 상기 과압방지부(42)의 몸체(421)에 밀착되어 오랜 시간이 지나면 고착되어 유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고착방지구(46)를 통해 상기 과압방지부(42)를 자동으로 복원시키며;
그 작동상태는 상기 고착방지구(46)가 제 4 챔버(43)와 제 1 유로(464)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챔버(43)를 제외한 모든 구성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는 상기 역류방지부(3)를 통해 탱크로 배출되어 소멸하므로, 상기 제 1 유로(464)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압은 상기 고착방지구(46)에 구비된 조절구(463)의 탄성력보다 강하여 상기 조절구(463)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고착방지밸브(461)와 오링(4622a)을 상기 보호부(4)의 바디(47)와 이격시켜 상기 제 4 챔버(43)에 유입된 과압의 압축공기를 배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3 분기부(55)가 상기 과압방지조절구(542)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과압방지부(42)의 과압방지밸브(42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과압방지부(4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과 결합, 작동상태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원화된 구성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구조을 간결하게 함으로써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액체레벨측정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과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그 압축공기가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부재로 우회하여 전달되도록 하여 그 유압이 일부 소멸되도록 함으로써 과압의 압축공기 유입에 따른 손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을 개폐하는 수단으로 오링을 사용함으로써 그 구성이 간 단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각 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을 개폐하기 위해 외압을 가하는 수단으로 유연성과 내구성을 구비한 특수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오랜 시간동안 사용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을 통하는 유로를 가공하여 발생하는 홀의 밀폐공정을 금속볼을 이용한 강제끼워맞춤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가공을 줄여 제작이 용이하고,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에 별도의 고정용 부품 없이 필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결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외부와 연결되는 각 구성에 오링이 장착된 보호캡을 사용함으로써 내부 구성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구성에 홈을 추가로 구비하여 개방시 압축공기가 보다 원활히 유동할 수 있으며, 외부 대기압과 연결되는 통로에 필터를 구비하고, 그 통로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2중방수를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이고 내부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7)

  1.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며, 개방된 경우 압축공기를 일정한 유량으로 유동하도록 조절하여 유출하고, 상기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유량개폐부를 포함하는 공급부와 ;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공급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개방되어 액체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 폐쇄되어 레벨을 측정하고자 하는 액체가 저장된 탱크로부터 역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공급부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제어되어 개폐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역류방지부와 ;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부를 통해 유입하여, 그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폐쇄되고,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공급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역류방지부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과압방지부를 포함하는 보호부와 ;
    상기 보호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보호부가 개방된 경우 그로부터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 압력과 통상의 대기압을 비교·연산하여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보호부의 과압방지부를 제어하는 과압방지조절부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공기공급부와, 그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2 챔버와,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유량개폐부와, 상기 유량개폐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1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유량조절부와, 상기 유량조절부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유출하는 제 1 공급로와, 상기 제 2 챔버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제어되어 유동하는 제 1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제 1 공급로를 통해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제 1 유입로와, 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3 챔버와, 상기 공급부의 제 1 분기부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제 3 챔버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일부를 유출하는 제 2 공급로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2 공급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제 2 유입로와, 그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과압방지부와, 상기 과압방지부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 4 챔버와, 상기 제 4 챔버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유출하는 제 3 공급로와, 상기 공급부의 유량개폐부를 제어하는 유량조절구와, 제 2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 3 공급로를 통해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제 3 유입로와, 대기압과 연통되는 통로인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를 통한 대기압과 상기 제 3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비교·연산하여 액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전환부와, 상기 보호부의 과압방지부를 제어하는 과압방지조절부와, 제 3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개폐부는
    상기 공급부에 체결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와 체결되고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지지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유동밸브와,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유량개폐부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유동밸브의 하단과 상기 지지구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조절구와, 상기 공급부와 몸체 사이로 압축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역류방지부에 체결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와 체결되고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유동밸브와,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역류방지밸브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유동밸브의 하단과 상기 지지구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유동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조절구와, 상기 역류방지부와 몸체 사이로 압축공기의 누설과 액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과압방지부는 측벽에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유입로와 연통되는 유입공을 가지고 그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상기 과압방지부를 개폐하는 과압방지밸브와, 상기 과압방지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과압방지부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과압방지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조절구와, 상기 개폐조절구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상기 보호부와 몸체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과, 상기 지지구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분기부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챔버에 저장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 2 분기부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량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개폐부의 몸체는
    상기 유량개폐부가 개방된 경우 압축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밸브와 접촉하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일정 깊이의 유동홈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밸브 및 상기 과압방지부의 몸체의 상면에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 유동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링하여 순수 공기만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유수분 제어용 필터와, 상기 필터와 공기공급부 사이에서 압축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오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별도의 고정용 부품없이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플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제 1 공급로와 연통되는 유량공급부와, 상기 유량공급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유량조절부와 공급부 사이로 압축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과 보호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유량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유량조절로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유량공급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점감되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압방지조절부는
    상기 제 3 분기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 4 챔버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 3 분기부의 유동을 제어하는 과압방지조절구와, 상기 과압방지조절구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와 체결되어 그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과압방지조절구가 반응하는 소정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축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그 연결단에 오링을 삽입하여 밀봉되는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공급부는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 1 공급로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임의로 주입하여 각 구성이 올바르게 작동되는 것인가를 체크할 수 있는 공급로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그 내부에 과압이 유입되어 상기 과압방지부가 폐쇄된 경우 상기 과압방지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과압방지부를 개폐하는 오링이 상기 과압방지부의 몸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입로 및 제 4 챔버와 연통되고, 이를 통해 압축공기를 유출하여 상기 과압방지조절구가 상기 제 3 분기부를 통해 상기 과압방지밸브를 유동시킬 수 있는 고착방지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방지구는
    상기 제 4 챔버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고착방지밸브와, 상기 고착방지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조절구를 가지고, 상기 조절구를 지지하고 상기 고착방지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고착방지밸브가 삽입되어 유동할 수 있는 삽입공을 가지는 보호캡과, 상기 고착방지밸브의 유동에 따라 상기 고착방지구를 개폐하는 오링과, 상기 보호캡과 상기 보호부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부는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탄성막과, 상기 탄성막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탄성막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분기부 및 제 3 분기부도 동일한 재질의 탄성막과 상부스토퍼, 하부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은
    그 재질이 NBR과 NYLON66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 2 유입로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에 의해 형성된 홀에, 그 홀의 직경보다 큰 금속볼을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하여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는 일측에 상기 측정전환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유수분 제어용 필터와, 상기 측정전환부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정전환부와 연통되는 관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레벨측정장치
KR1020060025657A 2006-03-21 2006-03-21 액체레벨측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4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657A KR100740567B1 (ko) 2006-03-21 2006-03-21 액체레벨측정장치
EP06013522A EP1837634B1 (en) 2006-03-21 2006-06-29 Liquid level measurement apparatus
AT06013522T ATE541190T1 (de) 2006-03-21 2006-06-29 Flüssigkeitsstandmes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657A KR100740567B1 (ko) 2006-03-21 2006-03-21 액체레벨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567B1 true KR100740567B1 (ko) 2007-07-18

Family

ID=3796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6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0567B1 (ko) 2006-03-21 2006-03-21 액체레벨측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837634B1 (ko)
KR (1) KR100740567B1 (ko)
AT (1) ATE541190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337B1 (ko) * 2020-08-26 2021-04-22 주식회사 티엔에스 공기 게이트홀 개방 면적 조절식 레벨 게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1492B (zh) * 2018-07-13 2020-10-02 贵阳博烁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81A (ko) * 2004-01-02 2005-07-08 범아정밀(주) 액체레벨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9205A (en) * 1918-05-10 1921-12-06 Hannah H Frey Level-indicating apparatus
FR2522813A1 (fr) 1982-03-03 1983-09-09 Auxitrol Tete de detection de niveau par effet hydrostatique avec protection
US5901603A (en) * 1998-07-16 1999-05-11 Isco Inc. Liquid level mon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81A (ko) * 2004-01-02 2005-07-08 범아정밀(주) 액체레벨측정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 10-2005-0071781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337B1 (ko) * 2020-08-26 2021-04-22 주식회사 티엔에스 공기 게이트홀 개방 면적 조절식 레벨 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7634A3 (en) 2008-12-17
EP1837634A2 (en) 2007-09-26
ATE541190T1 (de) 2012-01-15
EP1837634B1 (en)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91560T3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protective cap
US6601609B2 (en) Fluid flow control valve
US7478647B2 (en) Tank manifold assembly
EP2584205B1 (en) Time-delay valve
CA2470878A1 (en) Faucet assembly with easy-install pre-rinse unit mechanism
DE60018584D1 (de) Einrichtung zur pumpverhütung
US4637439A (en) Mini-regulator valve assembly
KR100740567B1 (ko) 액체레벨측정장치
KR102181224B1 (ko)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CN109340411A (zh) 供氢系统一体式调压装置
JPH05301595A (ja) 呼吸装置用ファーストス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4064899A (en) Control and signal arrangement for respirators
CN209278556U (zh) 供氢系统一体式调压装置
EP1591144A4 (en) PRESSURE CONTROL VALVE WITH QUICK OPENING MECHANISM, FIRE EXTINGUISHER WITH PRESSURE CONTROL VALVE, HIGH-PRESSURE GAS BOTTLE DEVICE AND FAST LIQUID SUPPLY DEVICE
KR200412367Y1 (ko)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JP2008507753A (ja) ガスレギュレータ
US6126409A (en) Integral housing unit having a lockdown check valve and a pressure relief valve for a submersible pump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5116435B2 (ja) 圧力調整弁および消火設備
CA2597851A1 (en) Automatic draining double check vacuum breaker
JP2020168265A (ja) 一斉開放弁並びにチャッキ弁構造
KR100801478B1 (ko) 이산화탄소의 가스압력 조절기
GB2308425A (en) Presure reduction valve
CN223089535U (zh) 一种新型齿轮泵的安全阀装置
CN111911675A (zh) 一种水下呼吸器用氧气减压器
CN214999622U (zh) 一种医用减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