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9800B1 - Device and method for menu search of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menu search of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800B1
KR100739800B1 KR1020060021283A KR20060021283A KR100739800B1 KR 100739800 B1 KR100739800 B1 KR 100739800B1 KR 1020060021283 A KR1020060021283 A KR 1020060021283A KR 20060021283 A KR20060021283 A KR 20060021283A KR 100739800 B1 KR100739800 B1 KR 10073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enus
display unit
display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기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8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80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로서 메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게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다른 차수의 2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복수의 키로 구성되고 메뉴 이동이나 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키 입력에 따라 표시부의 메뉴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search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menu,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to a user and displaying two or more menus of different orders belonging to another menu group,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display unit by using an input unit for movement and menu selec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enu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hanging a menu display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에 의할 경우 다른 차수의 메뉴 간 이동이나,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메뉴간의 이동에 필요한 키입력 횟수을 줄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특히 서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2 이상의 작업을 반복해서 실시할 경우 그 효과는 더욱 현저하다. According to the menu searc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ve time by reducing the number of keystrokes required for movement between menus of different orders or between menus belonging to different menu groups. In particular, The effect is more conspicuous.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 및 방법{A menu navigation device of a mobile electronics}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 menu navigation device and a mobile phone of a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방법을 보여준다.FIG. 1 illustrates a menu search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기능 블록도이다.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nu search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 구조를 보여준다.3 shows a menu structu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을 다시 그린 것으로서, 도 3의 각 메뉴 명칭을 아라비아 숫자로서 간략하게 표현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again showing Fig. 3, which i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each menu name in Fig. 3 as Arabic numeral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u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u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FIG.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u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nu search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 휴대용 단말기 는 도 1에서 보듯이 사용자의 메뉴(menu) 선택을 돕기 위해 단말기의 LCD 창을 통해 메뉴를 표시한다. 종래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메뉴는 일반적으로 도 1의 트리(tree)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트리 구조는 메뉴들 간의 실제 관계(예:주종 관계, 상/하위 관계, 대등 관계 등)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어 사용자의 직관적인 메뉴 인식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메뉴 간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용어를 정의한다. 메뉴 구조의 최상위 메뉴는 1차 메뉴(11)(예: music, fm radio 등), 1차 메뉴를 모메뉴(parent menu)로 하는 메뉴는 2차 메뉴(12), 그리고 2차 메뉴를 모메뉴로 하는 메뉴를 3차 메뉴(13)라고 정의한다. "내가 만든 순위"(14)와 "내 재생 목록"(15) 같이 차수가 같은 메뉴는 동차 메뉴라 한다. 메뉴와 메뉴를 잇는 선을 가지(branch)라고 부르며, 2 이상의 가지가 만나는 점을 마디(node)라고 부른다. 각각의 메뉴와 그 메뉴를 상위 메뉴로 하는 모든 하위 메뉴들을 포괄하여 메뉴군(menu group)이라 한다(예: 2차 메뉴인 음향 설정 및 3차 메뉴인 사용자 EQ, SRS WOW, 효과음 설정, 재생모드, 페이드인). 따라서 2 이상의 서로 다른 메뉴가 모메뉴(parent menu) 및 조메뉴(parent-parent menu)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할 경우 이 메뉴들은 서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트리 구조하에서는 부자관계의 메뉴들(예: music-재생목록-내가 만든 순위) 간 이동이나 동일한 모메뉴를 가지는 동차 관계의 메뉴들(14,15), 즉 동일한 메뉴군 내의 이동이 용이하다. 그러나 메뉴 차수가 같더라도 모메뉴가 다르거나(15, 16), 상위 메뉴를 달리하는 메뉴(15, 17) 간의 이동, 즉 다른 메뉴군 간의 이동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취소" 버튼이나 "이전" 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탐색 중인 메뉴 자신의 상위 메뉴를 거쳐 공통 마디(node)까지 이동한 후 다시 원하는 하위 메뉴로 내려 가야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한 메뉴 선택은 메뉴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사용자에게 여러 번 키 조작을 요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서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메뉴(예:15-16, 15-17) 간 이동은 여러 번의 키(key) 조작을 필요로 하여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1,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displays a menu through an LCD window of a terminal to help a user select a menu. A menu displayed on a conventional terminal generally has a tree structure of FIG. However, such a tree structure reflects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nus (e.g., main / subordinate relationship, upper / lower relationship, equality relation, etc.), which can be helpful for intuitive menu recognition of the user,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rst, we define terms. The top menu of the menu structure includes a primary menu 11 (e.g., music, fm radio, etc.), a menu having a primary menu as a parent menu, a secondary menu 12, Is defined as a tertiary menu 13, as shown in Fig. Menus of the same order, such as "my rank" (14) and "my playlist" (15), are called homogeneous menus. A line connecting a menu and a menu is called a branch, and a point where two or more branches meet is called a node. Each menu and all the submenus with the menu as the upper menu is called menu group (eg, the secondary menu, the sound setting and the third menu, user EQ, SRS WOW, effect sound setting, , Fade in). Accordingly, when two or more different menus are different from one or more of a parent menu and a parent-parent menu, the menus belong to different menu groups. Under such a tree structure, it is easy to move between the menus of rich relations (e.g., music-playlist - the rank that I made) or menus (14, 15) of the same parent menu having the same parent menu; However, even if the menu order is the same, it is not easy to move between different menus (15, 16), between menus (15, 17) with different upper menu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ove to the common node through the upper menu of the menu currently being searched by using the "cancel" button or the "previous" The menu selection by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key operation is required to the user several times as the degree of the menu increases. Especially, movement between menus belonging to different menu groups (e.g., 15-16, 15-17) requires a lot of key operations and wastes a lot of ti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표시부에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다른 차수의 2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고 이를 선택할 수 있게함으로써 메뉴 선택을 위한 키조작이 간단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search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displays a menu of two or more different orders belonging to different menu groups on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and allows selection of the menu, .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 장치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nu display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메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menu;

사용자에게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다른 차수의 2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to at least two of the other orders belonging to another menu group for displaying the menu to the user;

복수의 키로 구성되고 메뉴 이동이나 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keys and for moving a menu or selecting a menu; And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키 입력에 따라 표시부의 메뉴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display unit using information on the menu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hanging a menu display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enu searching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기능 블록도이다.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nu search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는 저장부(21), 제어부(22), 표시부(23) 및 입력부(24)로 구성된다. 저장부(21)는 메뉴의 종류, 메뉴의 구조, 메뉴 간 관계, 각 메뉴의 위치 포인터(pointer) 등 메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표시부는 LCD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메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메뉴를 탐색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입력부(24)는 복수의 키(key)(예: 이동키, 선택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를 이동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어부(22)는 저장부(21)에 저장된 메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2)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받아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를 키 입력에 대응하는 메뉴로 변경하거나 선택된 메뉴를 실행한다.The menu searching appar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21, a control unit 22, a display unit 23, and an input unit 24. The storage unit 21 stores information on menus, such as the type of menu, the structure of the menu,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us, and the position pointer of each menu. The display unit is composed of an LCD or the like and provides the user with visually menu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navigate or select the menu. The input unit 24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e.g., a move key and a select key) so that the user can move or select a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22 displays a plurality of menus on the display unit using information on the menu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 receives the user's 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changes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a menu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or executes the selected menu.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의 a는 1차 메뉴의 종류 및 이동 방향, b는 1차 메뉴인 음향 설정 메뉴(5)의 2차 메뉴의 종류 및 그 이동 방향 그리고 c는 2차 메뉴인 SRS(5-1)의 3차 메뉴의 종류와 이동 방향을 보여준다. FIG. 3 shows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 shows the typ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primary menu, (b) the type of the secondary menu of the sound setting menu 5 which is the primary menu, and the moving direction thereof, and (c) Displays the type of 3rd menu and direction of movement.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의 각 메뉴 명칭을 아라비아 숫자로서 간략하게 표현한 것이다.FIG. 4 i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each menu name in FIG. 3 as Arabic numera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4의 a의 화살표는 메뉴 간 이동 가능한 방향을 표시하는 것으로 1차 메뉴 (1-14) 간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동차 메뉴 간에 좌우 이동만이 가능한 종래의 트리형 메뉴 구조에 비해 이동 방식에 있어 높은 자유도를 가진다. 가령 메뉴(1)와 메뉴(6) 간 이동은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6번의 키 조작을 요구하나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구조하에서는 3번의 키 조작(1-4-5-6)만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시간이 절약된다.The arrows in FIG. 4A indicate the directions in which the menus can be moved between the menus, so that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between the first menus 1-14. Therefore, it has a higher degree of freedom in the moving mod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ee type menu structure which can only move left and right between menu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 (1) and the menu (6) requires six key operations, but the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ovement only by three key operations (1-4-5-6) This saves tim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의 예를 보여준다. 각각의 큰 사각형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의 표시부(23)를 나타내며 큰 사각형 내의 작은 사각형들은 하나의 메뉴를 상징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표시부(23)는 LCD 로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최대 9(3*3)개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의 총 14개의 1차 메뉴 중 9개 메뉴만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표시 가능한 최대 메뉴의 개수는 LCD의 크기, 메뉴의 종류의 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d는 1차 메뉴(5)에서 다른 1차 메뉴(4)로의 이동 방법을 보여 준다. 간단하게는 좌측 이동 키를 조작해 메뉴(5)에서 바로 메뉴(4)로 이동하는 방법도 있으나, 여기서는 메뉴(5)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메뉴(7)를 거쳐 다시 메뉴(4)로 이동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순서:a-b-c-d). 각 단계에서 활성화된 메뉴는 중앙으로 이동하며 메뉴 아이콘의 크기나 색깔도 다른 메뉴와 달리함으로써 차별되도록 할 수 있다(활성화된 메뉴란 현재 이동키가 머무는 메뉴로서, 선택키를 입력하면 그 메뉴가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종래의 트리 구조 메뉴 탐색 방식에서는 동차 메뉴 간 이동은 좌,우, 양 방향만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도 5에서 보듯이 동차 메뉴 간에도 4방향 이동이 가능하다.FIG. 5 shows an example of a menu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large rectangle represents the display unit 23 of the menu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mall rectangles within a large rectangle represent one menu. The display unit 23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splay up to 9 (3 * 3) menus as a user interface composed of LCDs. Therefore, only nine menus out of a total of 14 primary menus of FIG. 4A are displayed. The maximum number of displayable menu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CD, the number of types of menus, and the like. 5 (a) to 5 (d) show how to move from the primary menu 5 to the other primary menu 4. The user may move the menu 5 from the menu 5 to the right and move to the menu 4 again via the menu 7 by simply operating the left navigation key (Sequence: abcd). The menu activated in each step moves to the center and the size and color of the menu icon can be differentiated by different from other menus. (The activated menu is a menu where the current move key is staying. . In the conventional tree structure menu navigation method, the movement between homing menus is possible only in the left, right, and both direction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6의 a 내지 d는 1차 메뉴(5)에서 그 3차 메뉴(5-1-1)로 이동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u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show how to move from the primary menu 5 to the tertiary menu 5-1-1.

먼저 선택 키를 입력하여 메뉴(5)를 선택하면 메뉴(5)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그 우측에 2차 메뉴(5-1)와 메뉴(5-2)가 나타난다. 이동 키를 이동하여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2차 메뉴(5-1)를 선택하면 2차 메뉴(5-1)은 좌측을 이동하고 3차 메뉴(5-1-1) 및 메뉴(5-1-2)가 나타난다. 다시 이동 키를 이용해 3차 메뉴(5-1-1)로 이동하여 선택하면 원하는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menu 5 by first inputting the selection key, the menu 5 moves to the left, and the secondary menu 5-1 and the menu 5-2 appear on the right side thereof. If the secondary menu 5-1 is selected by moving the movement key and moving to the right, the secondary menu 5-1 moves to the left and the tertiary menu 5-1-1 and the menu 5-1- 2) appears. Move to the tertiary menu (5-1-1) again using the navigation key and select the desired menu.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방법에 의할 경우 표시부(23)에는 동일한 메뉴군의 상, 하위 메뉴(5, 5-1, 5-1-1)가 함께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 도 6의 c에서 보듯이는 서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상, 하위 메뉴(예: 1, 5-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 두 번만의 키 조작만으로도 간단하게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다른 차수의 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메뉴(5-1)의 작업 중 한 번의 키 입력으로 1차 메뉴(2) 또는 1차 메뉴(9)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menu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menus 5, 5-1 and 5-1-1 of the same menu group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As shown in the figure, upper and lower menus belonging to different menu groups (for example, 1 and 5-1) can be displayed together. Therefore, even with the key operation of one or two times,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o the menu of another order belonging to another menu group. That is, the user can move to the primary menu 2 or the primary menu 9 by one key inpu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enu 5-1.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7의 a 내지 f는 3차 메뉴(5-1-1)에서 다른 메뉴군의 2차 메뉴(3-3)로의 이동 방법을 보여 준다. 종래의 트리 구조형 탐색 방법에 의할 경우 위와 같은 경우 먼저 3차 메뉴(5-1-1)의 상위 메뉴인 2차 메뉴(5-1)와 1차 메뉴(5)를 거쳐 1차 메뉴(3)로 이동해야 하나 도 7의 a와 b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탐색 방법에서는 한 번의 키 입력만으로 메뉴(5-1-1)에서 메뉴(2)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f에서 보듯이 표시부에 현재 작업 중인 3차 메뉴(3-3)와 종전에 작업중이던 메뉴(5-1-1)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가지 작업을 반복해서 오가며 수행하는 경우라면 메뉴 변경을 위한 키 입력의 횟수가 종래 기술에 비해 크게 줄어든다.FIG.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u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F show how to move from the tertiary menu (5-1-1) to the secondary menu (3-3) of another menu group.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ree-structured search method, first, the primary menu 3 (5-1) via the secondary menu 5-1 and the primary menu 5, which are upper menus of the tertiary menu 5-1-1, However, as shown in FIGS. 7A and 7B, in th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from the menu 5-1-1 to the menu 2 with only one key inpu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F, the display unit displays a third menu (3-3) currently being operated and a menu (5-1-1) that has been in the past operation.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wo different operations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number of times of key input for changing a menu is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위와 같은 메뉴의 이동 및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메뉴는 4개의 위치 포인터(pointer)를 갖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설계된다. 위치 포인터는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포인터로 구성되는데 상(up) 포인터는 각 메뉴의 상위 메뉴에 관한 정보를, 하(down) 포인터는 각 메뉴의 하위 메뉴에 관한 정보를, 좌(left) 및 우(right) 포인터는 각 메뉴와 동차인 메뉴 중 인접한 2개의 메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포인터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의 c에서 1차 메뉴(3)는 하(down) 포인터로서 하위 메뉴인 2차 메뉴(3-1)에 관한 위치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입력부(24)를 통해 1차 메뉴(3)가 선택되면 표시부에 2차 메뉴(3-1)와 상기 2차 메뉴(3-1)와 동차인 다른 2차 메뉴(3-2)가 표시된다(도 7의 d). 도 7의 d에서 2차 메뉴(3-2)는 우(right) 포인터로 다른 2차 메뉴(3-3)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7의 d에서 입력부를 통해 우측 이동키가 입력되면 2차 메뉴(3-3)가 표시부에 나타나게 된다. 위 위치 포인터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위와는 다른 방식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movement and selection of the above-described menu, each menu is designed in software to have four position pointers. The position pointer is composed of up, down, left, and right pointers. The up pointer indicates information about an upper menu of each menu, And the left and right pointers include information on two adjacent menus of menus that are the same as menus. The position pointer will be described with a specific example. In FIG. 7C, the primary menu 3 has a down pointer and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ary menu 3-1 which is a lower menu. Therefore, when the primary menu 3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4, the secondary menu 3-1 and another secondary menu 3-2 which is the same as the secondary menu 3-1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ig. 7 (d)). In Fig. 7D, the secondary menu 3-2 includes information on the other secondary menu 3-3 as a right pointer. Accordingly, when the right navigation key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in FIG. 7D, the secondary menu 3-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upper position pointer is only one embodiment and can be defined in a different manner.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and execu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메뉴 탐색 장치에 의할 경우 다른 차수의 메뉴 간 이동이나,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메뉴간의 이동에 필요한 키입력 횟수을 줄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특히 서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2 이상의 작업을 반복해서 실시할 경우 그 효과는 더욱 현저하다. According to the menu searc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ve time by reducing the number of keystrokes required for movement between menus of different orders or between menus belonging to different menu groups. In particular, The effect is more conspicuous.

Claims (5)

메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menu; 사용자에게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메뉴군에 속하는 다른 차수의 2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to at least two of the other orders belonging to another menu group for displaying the menu to the user; 복수의 키로 구성되고 메뉴 이동이나 메뉴 선택을 위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keys and for moving a menu or selecting a menu; And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키 입력에 따라 표시부의 메뉴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display unit using information on the menu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hanging a menu display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상기 표시부에 현재 작업 중인 메뉴와 종전에 작업중이던 메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menu currently being operated and a menu that has been in operation at the same tim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메뉴에 관한 정보는 메뉴의 종류, 메뉴의 구조 및 각 메뉴의 위치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The menu search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nu information includes a menu type, a menu structure, and a location pointer of each menu. 제 3항에 있어서, 각 메뉴의 위치 포인터는 상, 하 , 좌 및 우 위치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The menu search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pointer of each menu includes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sition point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 중 활성화된 메뉴는 다른 메뉴 와 크기 및 색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탐색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ctivated menu among the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fferent in size and color from the other menus.
KR1020060021283A 2006-03-07 2006-03-07 Device and method for menu search of portable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0739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83A KR100739800B1 (en) 2006-03-07 2006-03-07 Device and method for menu search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83A KR100739800B1 (en) 2006-03-07 2006-03-07 Device and method for menu search of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800B1 true KR100739800B1 (en) 2007-07-13

Family

ID=3850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2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9800B1 (en) 2006-03-07 2006-03-07 Device and method for menu search of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80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600A (en) * 2003-03-27 2004-10-2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Menu selecting device and menu selection method
KR20050010269A (en)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KR20050046367A (en) * 2003-11-14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f hierarchy structures in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060015133A (en)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Display Menu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16994A (en) * 2004-08-19 2006-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ow to configure the menu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600A (en) * 2003-03-27 2004-10-2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Menu selecting device and menu selection method
KR20050010269A (en)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KR20050046367A (en) * 2003-11-14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f hierarchy structures in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060015133A (en)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Display Menu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16994A (en) * 2004-08-19 2006-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ow to configure the menu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5480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and deleting pages
US73589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data on small screen devices
US104600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 word to be defin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lectronic dictionary
US817142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large format data files
JP5406176B2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device
KR100790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mpletion of compound letters
US20070233654A1 (en) Facet-based interface for mobile search
US6091416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and generating a multitool icon
CN104205098A (en) Navigating among content items in a browser using an array mode
US20140337778A1 (en) Navigation Framework for Visual Analytic Displays
US20120278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icon in touch screen terminal
JP2008542942A (en) Reconfiguration of electronic device standby screen
KR100750120B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circular keyboard layout
CN103168302B (en) Th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of data processing terminal, data search method and storage control program
US2012016694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age division display function and page display method
GB2420429A (en) Method of navigating a hierarchical structure
US20080222567A1 (en) Apparatus with Multiple Highlights
KR201401399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f electronic device
US20070168865A1 (en) Operation screen generating method,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program
CN101995256A (en) Itinerary plann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ed
JP2008009781A (en) Display control device
US6907366B2 (en) Electronic measurement apparatus having a function to a display a function menu over a plurality of pages in a list and function menu display method
CN101667101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terface thereof
KR100739800B1 (en) Device and method for menu search of portable terminal
US20050212768A1 (en) Graphic object designating apparatus, graphic object designating method, and graphic object designat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