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8914B1 -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914B1
KR100738914B1 KR1020060031602A KR20060031602A KR100738914B1 KR 100738914 B1 KR100738914 B1 KR 100738914B1 KR 1020060031602 A KR1020060031602 A KR 1020060031602A KR 20060031602 A KR20060031602 A KR 20060031602A KR 100738914 B1 KR100738914 B1 KR 100738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c
audio
voice
data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우대식
이동학
유재황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2Speech codec negot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GSM망으로부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임계값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c)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GSM망에서 음성 또는 오디오를 인코딩할 때, 코덱 식별자를 삽입하여 음성 또는 오디오를 인코딩한 코덱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어, GSM망에서 추가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지 않아도, 이동 단말기에서 지정된 코덱을 기본 코덱으로 하여 음성 또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링백톤, 대체음, 오디오, 코덱, 음성, 임계값, GSM

Description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Method, System and Server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for Use i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Station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슬롯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덱 식별자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발신 MS 112: 착신 MS
120: GSM망 130: 발신 BSS
132: 착신 BSS 140: 발신 MSC
142: 착신 MSC 150: 공통선 신호망
160: HLR 170: 음원 서버
180: 음원 제공부 510: 무선 통신 처리부
520: SIM 처리부 530: 코덱 제어부
540: 오디오 코덱부 550: 음성 코덱부
560: 출력부
본 발명은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GSM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GSM망에서 링백톤 대체음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고 오디오 코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삽입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 후, 바이패스 모드로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해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본 코덱을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인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이미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동하면서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음악, 음성 등을 착신자에게 전화를 건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대기음 즉, 링백톤으로 들려주는 소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개발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지정한 대체음을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통상적으로 통화를 연결할 때 발생하는 기계적인 대기음, 예컨대, "따르릉"과 같은 단순한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 새소리, 물소리 등 미리 녹음해 둔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목소리까지도 링백톤 대체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발신자는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링백톤을 청취하는 대신 다양한 음원의 소리를 청취함으로써 청각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GSM,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등과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된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로 제공된다. 여기서, GSM 시스템은 CDMA 시스템과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주파수 채널을 시간으로 분할하는 시분할다중접 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과 비동기식 전송망 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한편, GSM 시스템에서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13.0 kbps의 전송률을 갖는 RTE-LTP(Regular Pulse Excited-Long Term Predictor) 코덱 또는 12.2 kbps의 전송률을 갖는 EFR(Enhanced Full Rate) 코덱 등의 음성 코덱을 사용한다.
하지만, 음성 코덱은, 샘플링률(Sampling Rate)이 사람이 낼 수 있는 목소리의 범위로 제한되고 대화가 없는 경우에는 묵음 검출 등을 수행하는 등 통상적으로 사람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사람의 음성 이외의 고주파 영역의 음악을 효율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음성이 아닌 음악은 음성 코덱이 아닌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적용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GSM 시스템에서 전술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로 오디오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대체음임을 알리고 음성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변경하여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도록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GSM 시스템의 많은 장치를 개조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투자 비용이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GSM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음원을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이동 단말기에서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은, GSM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GSM망에서 링백톤 대체음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고 오디오 코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삽입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 후, 바이패스 모드로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해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본 코덱을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으로부터 음성 및 링백톤 대체음 음원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GSM망으로부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임계값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c)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처리부,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코덱부, 음성 코덱을 구비하여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음성 코덱부, 음성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 있어서, GSM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무선 통신 처리부로부터 수신하면,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임계값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고,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부로 전달하는 코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으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다수 개의 오디오 프레임을 생성하고, 다수 개의 오디오 프레임을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타임 슬롯에 매핑하여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은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했음을 나타내는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착신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이동 단말기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에 있어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오디오 코덱 음원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오디오 코덱 음원의 서브 프레임에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했음을 나타내는 코덱 식별자를 삽입하고, 오디오 코덱 음원의 재생을 요청받으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오디오 코덱 음원을 송신하는 음원 서버; 발신 이동 단말기 및 착신 이동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및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 및 발신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를 요청받으면, HLR을 이용하여 음원 서버와 호를 설정하고, 음원 서버로부터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바이패스 모드를 설정하고, 바이패스 모드로 오디오 코덱 음원을 발신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MS(Mobile Station)(110), 착신 MS(112), GSM망(1200 및 음원 제공부(180)를 포함한다.
발신 MS(110)는 GSM망(120)을 이용하여 각 이동 단말기 상호 간에 또는 공중 교환 전화망(미도시)을 통한 일반 유선 전화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GSM폰과 같은 비동기식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MS(110)는 발신자의 키 조작에 따라 GSM망(120)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착신 MS(112)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고,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GSM망(120)으로부터 링백톤 대체음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MS(110)는 GSM망(120)을 이용하여 착신 MS(112)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 후 GSM망(120)으로부터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포함한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면 매 슬롯 데이터의 특정 비트(예를 들면, 마지막 4 비트)를 분석하여, 코덱 식별자와 동일한 패턴이 검출되면 해당 슬롯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로서 인식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한 후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검출되지 않으면 음성 코덱을 기본 코덱으로 설정하여 디코딩하고 재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MS(110)는 음성 코덱뿐만 아니라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여기서, 슬롯 데이터는 20 ms의 타임 슬롯에 매핑된 음성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GSM망(120)에서 링백톤 대체음 음원 또는 음성을 음성 코덱으로 인코딩한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GSM망(120)에서는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할 때,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임을 나타내기 위해 코덱 식별자를 삽입하므로 발신 MS(110)는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덱 식별자와 동일한 패턴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슬롯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지 또는 음성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기본 코덱이란 발신 MS(110)가 구비한 코덱 중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기본으로 설정한 코덱으로서, 음성 코덱 또는 오디오 코덱이 될 수 있다. 발신 MS(110)는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덱 식별자와 동일한 패턴이 연속해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오디오 코덱을 기본 코덱으로 설정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재생하며, 코덱 식별자와 동일한 패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 코덱을 기본 코덱으로 설정하여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재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MS(110)는 GSM망(120)으로부터 시그널링(Signaling) 메시지를 수신하여 시그널링 메시지에 따라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 또는 오디오 코덱으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MS(112)는 GSM망(120)을 이용하여 발신 MS(110)로부터 통화 요청을 받는 이동 단말기로서, GSM망(120)의 페이징 요청 에 따라 응답한다.
GSM망(120)은 발신 BSS(Base Station System)(130), 착신 BSS(1320),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 140), 착신 MSC(142), 공통선 신호망(CCSN: Common Channel Signaling Network, 15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 160) 및 음원 서버(170)를 포함하며, 발신 MS(110) 및 착신 MS(112)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이다.
발신 BSS(130) 및 착신 BSS(13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와 BSC(Base Station Controller)로 구성되며 BTS와 BSC는 Abis Interface를 이용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다. 여기서, BTS는 무선 송수신기로 구성된 장비이며 발신 MS(110) 및 착신 MS(112)와 무선 링크를 통하여 교신한다. BSC는 다수의 BTS를 관리하며 무선 채널 관리, 발신 MS(110) 및 착신 MS(112)와의 프로토콜 정합, BTS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 오버 처리, 발신 MSC(140) 및 착신 MSC(142)와의 정합,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발신 MSC(140) 및 착신 MSC(142)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하는 회선 교환기로서, 각각 HLR(160)을 이용하여 발신 MS(110), 착신 MS(112)의 이동통신 가입자인 발신자, 착신자에 대한 정보 및 각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파악한다.
발신 MSC(140)는 발신 BSS(130)를 통해 발신 MS(110)로부터 음성 통화를 요 청하는 통화 호를 요청받으면 HLR(160)과 연동하여 발신 MS(110)와 인증(Authentication) 절차, 암호화(Ciphering) 절차를 수행하고, 발신 MS(110)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호 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MSC(140)는 HLR(160)로 착신 MS(112)의 위치와 발신 MS(110) 또는 착신 MS(112)의 부가 서비스 즉,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해 문의하여 착신 MSC(142)와 음원 서버(170)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획득한 후, 착신 MSC(1420)와 호 설정을 수행하고,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 즉, 오디오 코덱 음원이 전달되면 바이패스(Bypass) 모드로 전환하여 음성 부호화기(Voice Encoder)를 거치지 않고 발신 MS(110)로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MSC(340)는 착신 MSC(142)로부터 착신 MS(112)의 응답 사실을 통보받으면, 상호 간의 바이패스 모드를 해제하고, 착신 MS(112)의 응답 사실을 경보 정보(Alert Information)로서 발신 MS(110)로 통보하여 발신 MS(110)와 착신 이동 단말기(112) 간에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음성 통화를 중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MSC(142)는 발신 MSC(140)로부터 착신 MS(112)에 대한 음성 통화 요청이 있음을 통보받으면, 발신 MSC(140)와 호 설정을 수행하고 착신 MS(112)를 페이징(Paging)하며, 음원 제공 장치(170)로부터 링백톤 대체음에 대한 정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발신 MSC(340)로 전달하고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한 후, 음원 서버(170)로부터 발신 MSC(140)로 송신되는 오디오 코덱 음원을 중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MSC(142)는 착신 MS(112)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발신 MSC(140)로 통보한 후 바이패스 모드를 해제하며, 발신 MS(110)와 착신 MS(112) 간의 음성 통화를 중계한다.
공통선 신호망(150)은 신호점 및 신호링크로 구성되어 표준화된 공통선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망(Network)을 말한다. 여기서, 공통선 신호 방식이란 신호정보 및 망관리 정보를 음성과 데이터로 분리하여, 신호 전송용으로 공통으로 사용하는 별도의 채널로 전송하는 신호 방식을 말한다.
HLR(160)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이동 단말기의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단말기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가입 여부 등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 및 음원 제공 장치(370)로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음원 서버(170)는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저장하는 지능망용 IP로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요청받으면 음원 제공부(180)로 음원 인증을 요청하여 음원 인증이 성공한 경우, 착신 MSC(142)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송신한다. 또한, 음원 서버(170)는 음원 제공부(180)로부터 링백톤 대체음 음원이 전달되면 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버(170)는 착신 MSC(142)와 호 설정을 수행한 후, 착신 MS(112)에 대해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확인하여 링백톤 대체음에 대한 정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착신 MSC(142)로 송신하며, 오디오 코덱 음원을 착신 MSC(142)로 송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버(170)는 착신 MS(112)에 대해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이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코덱 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디오 코덱 음원인 경우, 링백톤 대체음에 대한 정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제어 정보 등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버(170)는 음원 제공부(18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생성한 후, 음성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타임 슬롯 형태로 매핑하여 서브 프레임을 생성하고, 각 MSC를 통해 발신 MS(110)로 송신한다. 여기서, 음원 서버(170)가 서브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음원 제공부(180)는 인터넷, 음원 제공 제어 서버, 가입자 DB 및 웹 서버를 포함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생성, 수신하고 저장하여 음원 서버(17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발신 MS(110)가 발신 BSS(130)를 통해 발신 MSC(140)로 착신 MS(112)와의 음 성 통화를 요청하면(S202), 발신 MSC(140)는 HLR(160)와 연동하여 발신 MS(110)와 인증 절차와 암호화 절차를 수행하고, 발신 MS(110)로 무선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호 설정을 수행한다(S204).
발신 MSC(140)는 HLR(160)로 착신 MS(112)의 위치와 발신 MS(110) 또는 착신 MS(112)의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S206), 착신 MSC(142)와 음원 서버(170)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한다(S208).
라우팅 정보를 수신한 발신 MSC(140)는 착신 MSC(142)와 호 설정을 수행하한다(S210). 발신 MSC(140)와 호 설정을 수행한 착신 MSC(142)는 착신 MS(112)를 페이징한 후(S212), 음원 서버(170)와 호 설정을 수행하고 발신 MS(110) 또는 착신 MS(112)에 대해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요청하고(S214), 음원 서버(170)는 착신 MSC(142)와 호 설정을 완료하고 발신 MS(110) 또는 착신 MS(112)에 대해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재생하여 착신 MSC(142)로 송신한다(S216). 이때, 음원 서버(170)는 발신 MS(110) 또는 착신 MS(112)에 대해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확인하여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코덱 음원인 경우에는 링백톤 대체음에 대한 정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착신 MSC(142)로 송신한다.
착신 MSC(142)는 음원 서버(170)로부터 오디오 코덱 음원을 수신하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하고, 발신 MSC(140)로 하여금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 후, 오디오 코덱 음원을 송신한다. 발신 MSC(140)는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한 후 오디오 코덱 음원을 수신하면 추가로 음성 부호화기를 거치지 않고 발신 BSS(130)를 통해 발신 MS(110)로 중계한다(S218).
발신 MS(110)는 오디오 코덱 음원을 다수 개의 타임 슬롯의 슬롯 데이터로서 수신하는데, 매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덱 식별자와 동일한 패턴이 일정한 횟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S220), 동일한 패턴이 검출되면 해당 슬롯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로서 인식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변경한 후(S222), 디코딩하여 재생하고(S224), 검출되지 않으면 기본 코덱으로 설정된 음성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한편, 단계 S212에서 착신 MSC(142)가 수행한 페이징에 대해 착신 MS(112)가 응답하면(S226), 착신 MSC(142)는 음원 서버(170)와 호 설정을 해제하고(S228), 발신 MSC(140)로 음성 호 연결을 통지하여(S230), 발신 MSC(140)와 착신 MSC(142)의 바이패스 모드를 해제하고, 음성 호 연결을 통지받은 발신 MSC(140)는 발신 MS(110)로 착신 MS(112)가 페이징에 응답했음을 알린다(S232). 이후에, 착신 MS(112)에서 통화를 위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면 착신 MSC(142), 발신 MSC(140)로 음성 데이터가 차례로 전달되어 보코딩된 후, 발신 MS(110)로 타임 슬롯의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로서 송신된다(S234).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한 발신 MS(110)는 매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덱 식별자와 동일한 패턴이 일정한 횟수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236), 동일한 패턴이 일정한 횟수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으로 전환하여 음성 코덱으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재생함으로써 착신 MS(112)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S240),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본 코덱을 변경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슬롯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GSM망(120)에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13.0 kbps의 전송률을 갖는 RPE-LTE(Regular Pulse Excited Long Term Prediction) 코덱과 12.2 kbps의 전송률을 갖는 EFR(Enhanced Full Rate) 코덱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코덱의 종류에 따라 20 ms 타임 슬롯에 할당되는 데이터 즉, 음성 데이터의 크기도 다르다.
즉, RPE-LTE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코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20 ms 타임 슬롯에 260 비트의 음성 데이터가 할당되고, EFR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코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20 ms 타임 슬롯에 244 비트의 음성 데이터가 할당된다. 따라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음원 데이터도 전술한 RPE-LTE 코덱 또는 EFR 코덱의 종류에 따라 할당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GSM망(120)에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고급 오디오 부호화(AAC+: Advanced Audio Codec Plus, 이하 'AAC+'라 칭함) 코덱, 적응성 다중 비율(AMR: Adaptive Multi Rate, 이하 'AMR'이라 칭함) 코덱 등의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20 ms 타임 슬롯에 할당되는 데이터의 크기로 할당된다.
즉, GSM망(120)에서 사용하는 음성 코덱이 RPE-LTE 코덱인 경우에는 오디오 코덱 음원도 하나의 20 ms 타임 슬롯에 260 비트가 할당되고, 음성 코덱이 EFR 코덱인 경우에는 오디오 코덱 음원도 하나의 20 ms 타임 슬롯에 244 비트가 할당된다. 이와 같은 GSM망(120)에서 사용하는 음성 코덱의 종류에 따른 오디오 코덱 음원의 서브 프레임(Subframe) 구조를 도 4에 도시하였다.
3A는 GSM망(120)에서 RPE-LTE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코딩하는 경우, 오디오 코덱 음원의 서브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3A에는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오디오 프레임(N-1 번째 오디오 프레임 및 N 번째 오디오 프레임)을 나타냈지만, 실제로 오디오 코덱 음원의 오디오 프레임은 그 이상의 다수 개의 오디오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오디오 프레임은 GSM망(120)의 발신 MS(110)로 음성 또는 음원을 송신할 무선 채널을 고려하여 20 ms 타임 슬롯의 형태로 매핑되어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생성된다. RPE-LTE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코딩하는 경우 하나의 20 ms 타임 슬롯에는 260 비트의 데이터가 할당되므로, 서브 프레임도 260 비트로 구성된다. 이때, 오디오 코덱의 특성상 오디오 프레임은 바이트 단위로 전송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총 260 비트의 서브 프레임은 32 바이트 즉, 256 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와 4 비트의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즉, 음원 서버(170)는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함으로써 오디오 프레임을 생성하고, 오디오 프레임을 발신 MS(110)로 송신할 무선 채널을 고려하여 20 ms 타임슬롯의 형태로 매핑함으로써 260 비트의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생성하는데, 서브 프레임 중 256 비트에만 오디오 데이 터를 삽입하고 나머지 4 비트에는 발신 MS(110)가 오디오 데이터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코덱 식별자를 생성하여 삽입한다.
3B는 GSM망(120)에서 EFR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코딩하는 경우, 오디오 코덱 음원의 서브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3B에는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오디오 프레임(N-1 번째 오디오 프레임 및 N 번째 오디오 프레임)을 나타냈지만, 실제로 오디오 코덱 음원의 오디오 프레임은 그 이상의 다수 개의 오디오 프레임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오디오 프레임은 GSM망(120)의 발신 MS(110)로 음성 또는 음원을 송신할 무선 채널을 고려하여 20 ms 타임 슬롯의 형태로 매핑되어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생성된다. EFR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코딩하는 경우 하나의 20 ms 타임 슬롯에는 244 비트의 데이터가 할당되므로, 서브 프레임도 244 비트로 구성된다. 이때, 오디오 코덱의 특성상 오디오 프레임은 바이트 단위로 전송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총 244 비트의 서브 프레임은 30 바이트 즉, 240 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와 4 비트의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즉, 음원 서버(170)는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함으로써 오디오 프레임을 생성하고, 오디오 프레임을 발신 MS(110)로 송신할 무선 채널을 고려하여 20 ms 타임슬롯의 형태로 매핑함으로써 244 비트의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서브 프레임 중 240 비트에만 오디오 데이터를 삽입하고 나머지 4 비트에는 발신 MS(110)가 오디오 데이터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코덱 식별자를 생성하여 삽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GSM망(120)에서 음성 코덱으로서, RTE-LTE 코덱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EFR 코덱을 사용하는 경우) 생성된 서브 프레임은 발신 BSS(130)에서 다수 개의 20 ms 타임 슬롯에 실려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로서 발신 MS(110)로 송신되고, 발신 MS(110)는 수신한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슬롯 데이터에 코덱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코덱 식별자가 기 설정된 오디오 임계값이상으로 반복되어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디오 코덱 음원으로 인식하고,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여 오디오 코덱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여기서, 오디오 임계값이란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코덱 식별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면 오디오 코덱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된 횟수의 최대값을 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덱 식별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4A는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코덱 적용 여부만을 나타낼 때의 비트값을 나타낸 것이다.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코덱 적용 여부만을 나타낼 때에는 코덱 식별자의 비트값을 두 개의 값으로 정의한다. 즉, 오디오 코덱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코덱 식별자의 비트값을 '0000'으로 일련의 '0'의 값을 갖도록 하여, 발신 MS(110)에서 슬롯 데이터의 코덱 식별자에서 4 비트의 값이 '0000'으로 검출되면 해당 슬롯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이고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해야 함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오디오 코덱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덱 식별자의 비트값을 '0000'이 아닌 '0001' 내지 '1111' 중 하나의 값으로 갖도록 하여 발신 MS(110)에서 슬롯 데이터에서 코덱 식별자의 값이 '0001' 내지 '1111' 중 하나의 값으로 검 출되면 해당 슬롯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가 아님을 인식하도록 한다. 여기서, '0000'과 '0001' 내지 '1111'의 값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덱 식별자의 비트값은 다양한 형태(예를 들면, 16 진수 '000F' 등)로 나타낼 수 있다.
4B는 코덱 식별자가 코덱의 종류를 나타낼 때의 비트값을 나타낸 것이다.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코덱 적용 여부뿐만 아니라 해당 코덱의 종류를 나타낼 때에는 4 비트의 각 비트값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의 종류 또는 음성 코덱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코덱 식별자의 비트값이 '0000'인 경우에는 해당 슬롯 데이터를 인코딩한 코덱이 AAC+ 코덱이고, '0001'인 경우에는 해당 슬롯 데이터를 인코딩한 코덱이 AMR-WB+ 코덱이며, '1111'인 경우에는 해당 슬롯 데이터를 인코딩한 코덱이 AAC+ 코덱이 되도록 하여, 코덱 식별자의 비트값에 따라 코덱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0000'과 '0001' 내지 '1111'의 값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덱 식별자의 비트값은 다양한 형태(예를 들면, 16 진수 '000F' 등)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음원 서버(170)는 각 서브 프레임을 생성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4 비트의 코덱 식별자를 삽입하지 않고, 3 비트의 코덱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즉, 260 비트 중 256 비트를 제외한 4 비트 또는 244 비트 중 240 비트를 제외한 4 비트에서 1 비트를 다른 용도(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오류에 따라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손실된 경우 해당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해당 오디오 프레임 전체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를 다른 서브 프레임으로 이동시키고 그를 나타내기 위한 헤더 식별자 등)로 사용하여 3 비트의 코덱 식별자를 삽입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코덱 식별자의 비트 수가 줄어들어 발신 MS(110)가 코덱을 정밀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임계값이 커져야 한다. 즉, 3 비트만을 코덱 식별자로서 삽입하는 경우에는 4 비트를 코덱 식별자로서 삽입하는 경우보다 오디오 임계값을 더욱 크게 설정하여, 발신 MS(110)가 슬롯 데이터에서 코덱 식별자를 더욱 많은 회수로 연속해서 검출한 경우에만 슬롯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로서 인식하게 함으로써, 코덱 전환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 처리부(510),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처리부(520), 코덱 제어부(530), 오디오 코덱부(540), 음성 코덱부(550), 출력부(560) 및 제어부(5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SM망(120)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한 발신 MS(110)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 MS(110)라 칭한다.
무선 통신 처리부(510)는 발신 MS(110)가 GSM망(120)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GSM망(120)이 제공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처리 수단이다.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처리부(510)는 GSM망(120)으로부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여 코덱 제어부(530)로 전달한다.
SIM 처리부(52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 SIM 카드가 삽입되면, SIM 카드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발신 MS(11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발신 MS(110)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제어부(570)로 제공하여, 무선 통신 처리부(510)가 해당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GSM망(12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코덱 제어부(530)는 무선 통신 처리부(510)로부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면 각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고, 코덱 식별자가 삽입되었는지 여부와 코덱 식별자가 연속해서 오디오 임계값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코덱 식별자가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서 오디오 임계값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슬롯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임을 인식하고,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여 슬롯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부(540)로 전달하고, 오디오 임계값 미만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슬롯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임을 인식하여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으로 설정하여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부(550)로 전달한다.
오디오 코덱부(540)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면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오디오를 출력부(560)로 전달한다.
음성 코덱부(550)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음성 코덱을 구비하 여,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면 음성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음성을 출력부(560)로 전달한다.
출력부(560)는 오디오 코덱부(540) 또는 음성 코덱부(550)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와 음성을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570)는 발신 MS(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구비된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무선 통신 처리부(510), SIM 처리부(520), 코덱 제어부(530), 오디오 코덱부(540), 음성 코덱부(550), 출력부(560)를 제어하여 발신 MS(110)가 GSM망(120)으로부터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면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스로 슬롯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지 또는 음성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적절한 코덱 즉, 오디오 코덱 또는 음성 코덱을 기본 코덱으로 설정하여 오디오 또는 음성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MS(110)는 GSM망(120)으로부터 수신하는 슬롯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지 또는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그에 따른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발신 MS(110)는 코덱 카운터를 구비하여 슬롯 데이터에 코덱 식별자가 검출된 횟수를 카운트해야 한다.
즉, 발신 MS(110)에서 기본 코덱이 음성 코덱으로 설정되고, 코덱 카운트가 0으로 카운트된 경우에는(S602), GSM망(120)으로부터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면(S604),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슬롯 데이터에서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지 여 부를 확인하여(S606),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슬롯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서 인식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지 않고 코덱 카운트를 리셋(Reset)하여 '0'으로 설정한 후, 다음 슬롯 데이터를 수신한다(S608).
한편, 발신 MS(110)는 단계 S606의 확인 결과,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코덱 카운트를 '+1'만큼 증가시켜 증가된 코덱 카운트를 저장한다(S610), 즉, 코덱 카운트가 '0'이었던 경우에는 증가된 코덱 카운트는 '1'로 저장되고, 코덱 카운트가 '1'이었던 경우에는 증가된 코덱 카운트가 '2'로 저장된다.
코덱 카운트를 증가시킨 발신 MS(110)는 저장된 코덱 카운트가 오디오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612), 오디오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604로 진행하여 다음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한다(S614). 즉, 오디오 임계값이 '4'로 설정된 경우에는 코덱 카운트가 '4' 이상이 되면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코덱 카운트가 '3'인 상황에서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608과 같이 코덱 카운트가 리셋 되어 다시 '0'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기본 코덱은 기 설정된 음성 코덱으로 유지되고, 연속해서 4 개 이상의 슬롯 데이터에서 코덱 식별자가 검출된 경우에만 코덱 카운트가 '4' 즉, 오디오 임계값 이상이 되어 기본 코덱이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된다.
정리하면, 발신 MS(110)가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면, 각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덱 식별자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코덱 식별자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본 코덱을 전환하지 않고 다음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 고, 코덱 식별자가 삽입된 경우에는 다음 슬롯 데이터에도 연속해서 삽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디오 임계값이상으로 연속해서 삽입된 경우에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한다.
단계 S614에서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한 발신 MS(110)는 수신한 슬롯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본 코덱으로 설정된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코덱 카운트를 리셋하여 '0'으로 설정한다(S616).
또한, 코덱 카운트를 리셋한 발신 MS(110)는 다음 슬롯 데이터를 다시 수신하여(S618), 수신한 슬롯 데이터에 코덱 식별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620), 슬롯 데이터에 코덱 식별자가 삽입된 경우에는 슬롯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임을 인식하고, 단계 S618로 진행하여 다음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고, 코덱 식별자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코덱 카운트를 '+1'만큼 증가시켜, 증가된 코덱 카운트를 저장한다(S622).
증가된 코덱 카운트를 저장한 발신 MS(110)는 코덱 카운트가 음성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624), 코덱 카운트가 음성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618로 진행하여 다음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고, 코덱 카운트가 음성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으로 전환하고(S626), 코덱 카운트를 리셋하여 '0'으로 설정한다(S628). 여기서, 코덱 카운트가 음성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경우 단계 S608과 같이 코덱 카운트를 리셋하여 '0'으로 설정하지 않는 것은 슬롯 데이터에 코덱 식별자가 연속해서 검출되지 않더라도 일정 회수 이상으로 검출된다면 슬롯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인식해도 되기 때문이다. 한편, 단계 S626에서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으로 전환한 발신 MS(110)는 슬롯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을 재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MS(110)는 GSM망(120)으로부터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계 S602 내지 단계 S616과 단계 S618 내지 단계 S628의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지 또는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음성 또는 오디오 코덱 음원을 재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GSM망에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때,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후, 바이패스 모드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므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 공하는 데 있어서, 기존에 구축된 GSM망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GSM망에서 음성 또는 오디오를 인코딩할 때, 코덱 식별자를 삽입하여 음성 또는 오디오를 인코딩한 코덱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어, GSM망에서 추가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지 않아도, 이동 단말기에서 지정된 코덱을 기본 코덱으로 하여 음성 또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서 음성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할 때, 특정 회수 이상 연속해서 코덱 식별자가 검출된 경우에만 오디오 코덱으로 전화하기 때문에, 음성 또는 오디오를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Claims (26)

  1.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으로부터 음성 및 링백톤 대체음 음원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GSM망으로부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임계값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 중 하나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2) 상기 단계 (b1)의 확인 결과,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코덱 카운트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코덱 카운트를 저장하는 단계;
    (b3)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오디오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4) 상기 단계 (b3)의 확인 결과,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오디오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 코덱을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b2) 이후에,
    (b21) 상기 단계 (b1)의 확인 결과,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코덱 카운트를 리셋하여 '0'으로 설정하고 상기 단계 (b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b4) 이후에,
    (b5)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오디오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 (b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GSM망으로부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코덱 식별자가 음성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f)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음성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e1)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 중 하나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2) 상기 단계 (e1)의 확인 결과,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코덱 카운트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코덱 카운트를 저장하는 단계;
    (e3)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음성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4) 상기 단계 (e3)의 확인 결과,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음성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 코덱을 상기 음성 코덱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e2) 이후에,
    (e21) 상기 단계 (e1)의 확인 결과,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e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e4) 이후에,
    (e5)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음성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 (e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음성 코덱으로 인코딩된 음성인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인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식별자는,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됐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식별자는,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인코딩한 코덱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 방법.
  12.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처리부,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코덱부, 음성 코덱을 구비하여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음성 코덱부, 음성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 있어서,
    상기 GSM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 처리부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코덱 식별자가 오디오 임계값 이상으로 연속해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고,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부로 전달하는 코덱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서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코덱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의 각 슬롯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덱 카운터를 이용하여 코덱 카운트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코덱 카운트를 저장하고,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오디오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코덱 카운트가 상기 오디오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 코덱을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제어부는,
    상기 코덱 식별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코덱 카운트를 리셋하여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제어부는,
    상기 기본 코덱을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전환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코덱 식별자가 음성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으로 전환하고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음성 코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음성 코덱으로 인코딩된 음성인 상기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인 상기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식별자는,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됐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식별자는,
    상기 다수 개의 슬롯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인코딩한 코덱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 적용을 위한 이동 단말기.
  20.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칭함)망으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다수 개의 오디오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오디오 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타임 슬롯에 매핑하여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은 상기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상기 오디오 코덱 으로 인코딩했음을 나타내는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서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GSM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적용하는 음성 코덱이 RPE-LTE(Regular Pulse Excited Long Term Prediction) 코덱인 경우, 상기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의 각 서브 프레임을 260 비트의 크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서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프레임은,
    256 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와 4 비트의 상기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서버.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GSM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적용하는 음성 코덱이 EFR(Enhanced Full Rate) 코덱인 경우, 상기 다수 개의 서브 프레임의 각 서브 프레임을 244 비트의 크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서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프레임은,
    240 비트의 오디오 데이터 및 4 비트의 상기 코덱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서버.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식별자는,
    상기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인코딩한 코덱의 종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서버.
  26. 착신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이동 단말기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에 있어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오디오 코덱 음원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상기 오디오 코덱 음원의 서브 프레임에 상기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했음을 나타내는 코덱 식별자를 삽입하고, 상기 오디오 코덱 음원의 재생을 요청받으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상기 오디오 코덱 음원을 송신하는 음원 서버;
    상기 발신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 및
    상기 발신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 통화를 요청받으면, 상기 HLR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 서버와 호를 설정하고,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모 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바이패스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바이패스 모드로 상기 오디오 코덱 음원을 상기 발신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시스템.
KR1020060031602A 2006-04-06 2006-04-06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738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602A KR100738914B1 (ko) 2006-04-06 2006-04-06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602A KR100738914B1 (ko) 2006-04-06 2006-04-06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914B1 true KR100738914B1 (ko) 2007-07-12

Family

ID=3850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602A KR100738914B1 (ko) 2006-04-06 2006-04-06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9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473A (ko) * 2004-07-16 2006-0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의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473A (ko) * 2004-07-16 2006-0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의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0107B2 (ja) マルチメディア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機及び端末機の制御方法
EP1946517B1 (en) Audio data packet format and decod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correc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dec setup err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same
AU5336396A (en) Transcoder with prevention of tandem coding of speech
JP2008506329A (ja) マルチメディア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コーデック設定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793327B1 (ko) 지능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01322375B (zh) 音频数据包格式及其解码方法、校正移动通信终端编解码器安装错误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移动通信终端
KR100566298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의 채널 코딩 적응형 음원 변환처리방법
CN101622711A (zh) 用于无声插入描述符(sid)转换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KR1007476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능력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38914B1 (ko) 지에스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793320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부가 정보를 이용한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23697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과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WO2007091787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lternative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KR100786651B1 (ko) 서비스 노드 방식을 이용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88889B1 (ko) 코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1247961B1 (ko) 다중 오디오 코덱 정보 및 지능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KR100793294B1 (ko)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프레임 생성 방법, 시스템 및장치
KR1006686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코덱 설정 오류 수정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47712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866775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프리미엄 링백톤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48503B1 (ko) 오디오 코덱 변경을 이용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84755A (ko) 지능망을 이용한 발신 중심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04848B1 (ko)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의 코덱 변경 및 적응 방법
KR100806198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음성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6446B1 (ko) 플렉시블 페이징에 따른 프리미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