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7825B1 -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825B1
KR100737825B1 KR1020060119005A KR20060119005A KR100737825B1 KR 100737825 B1 KR100737825 B1 KR 100737825B1 KR 1020060119005 A KR1020060119005 A KR 1020060119005A KR 20060119005 A KR20060119005 A KR 20060119005A KR 100737825 B1 KR100737825 B1 KR 10073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upport
plate
joint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원장현
Original Assignee
동남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이엔씨(주) filed Critical 동남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06011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8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의 양측에 설치되는 배수로가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로 하부에서 지지하여 주는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연결되도록 마주보는 단부의 상면 일부와 끝단에 이음판삽입홈(11)이 형성되고, 끝단에 다수개의 원형 삽입홈(12)이 형성되는 배수로(10); 넓은 사각판체로 이루어진 침하방지판(21)의 저면에 다수개의 매설돌기(22)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침하방지판(21)의 상면에 지지프레임(23)을 고정 설치하며, 지지프레임(23)은 2쌍의 지지바(24) 중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받침판(25)과 수평받침판(25)의 저면과 침하방지판(21) 사이에 고정되는 수직받침판(26)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바(24)에는 상하로 봉홀(27)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3)의 상부에 배수로(10)의 저면과 동일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28)이 고정되는 배수로지지부재(20); 배수로지지부재(20)와 동일한 구성의 침하방지판(21), 매설돌기(22), 지지프레임(23)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23)의 상부에 배수로이음지지부(31)가 고정설치되며, 배수로이음지지부(31)는 지지프레임(23) 상부에 고정되는 배수로(10) 저면 형상의 지지판(32)에 이음판삽입홈(11)이 형성된 배수로(10) 단부 두께만큼 이격되어 이음판(33)이 중앙연결부(35)로 고정되고, 이음판(33)과 지지판(32) 사이에 형성된 배수로삽입홈(34)으로 인접한 배수로(10)의 단부가 삽입되며, 중앙연결부(35)의 양측으로 연결돌기(36)가 다수개 형성되어 배수로(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 양단에 나사산(41)이 형성되어 배수로지지부 재(20)와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의 봉홀(27)에 동시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연결봉(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수로, 차도, 침하방지 구조물, 배수로지지부재

Description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CONSTRUCTION OF DRAINAGE FRO ROAD}
도 1은 종래의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를 도시한 지지 상태도.
도 4a는 도로의 배수로 이음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로의 배수로 저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차도 2 : U형측구
3, 10 : 배수로 11 : 이음판삽입홈
12 : 삽입홈 20 : 배수로지지부재
21 : 침하방지판 22 : 매설돌기
23 : 지지프레임 24 : 지지바
25 : 수평받침판 26 : 수직받침판
27 : 봉홀 28 : 지지판
30 :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 31 : 배수로이음지지부
32 : 지지판 33 : 이음판
34 : 배수로삽입홈 35 : 중앙연결부
36 : 연결돌기 40 : 연결봉
41 : 나사산
본 발명은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의 양측에 설치되는 배수로가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로 하부에서 지지하여 주는 도로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침하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도(1)의 양측으로 U형 측구(2)로 이루어진 배수로(3)가 형성된다.
차도(1)는 특히 비가 내리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물이 차게 되면 이러한 물에 의하여 차량의 제동이 제대로 되지 않아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차도는 배수가 원활하게 되어야 하므로 차도(1)의 양측에는 배수로(3)가 형성된다.
배수로(3)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통상적으로 U형측구(2)가 배수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차도는 무거운 중량의 차들이 계속 지나다니고, 특히 대형차량이 지나가면 도로에 하중이 걸려 아래로 약간씩 침하를 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동하중이 배수로에 영향을 미쳐 배수로가 침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배수로가 침하되면 제대로 배수가 되지 않게 되고, 배수가 되지 않은 물은 다시 차도로 침범하여 차량의 진행에 방해를 할 뿐만 아니라 제동거리를 길게 하여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수막현상에 의하여 차량이 미끄러져 사고를 일으키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도에 있는 물이 배수로를 통하여 잘 배수되도록 배수로가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로의 연결부를 잡아주며 지지하게 하여 연결부에서 침하가 방지되게 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를 고정하여 주는 역할을 하며, 배수로의 저부에서 배수로가 침하되지 않게 지지하여 침하에 의한 파손을 막아주는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결되도록 마주보는 단부의 상면 일부와 끝단에 이음판삽입홈이 형성되고, 끝단에 다수개의 원형 삽입홈이 형성되는 배수로; 넓은 사각판체로 이루어진 침하방지판의 저면에 다수개의 매설돌기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침하방지판의 상면에 지지프레임을 고정 설치하며, 지지프레 임은 2쌍의 지지바 중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받침판 및 수평받침판의 저면과 침하방지판 사이에 고정되는 수직받침판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바에는 상하로 봉홀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수로의 저면과 동일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이 고정되는 배수로지지부재; 배수로지지부재와 동일한 구성의 침하방지판, 매설돌기,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수로이음지지부가 고정설치되며, 배수로이음지지부는 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배수로 저면 형상의 지지판에 이음판삽입홈이 형성된 배수로 단부 두께만큼 이격되어 이음판이 중앙연결부로 고정되고, 이음판과 지지판 사이에 형성된 배수로삽입홈으로 인접한 배수로의 단부가 삽입되며, 중앙연결부의 양측으로 연결돌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배수로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수로지지부재와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의 봉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은 인접한 배수로(10)의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이음판삽입홈(11)을 형성하고, 이음판삽입홈(1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수로이음지지부(31)가 형성된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를 배수로(10) 사이에 고정하며,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에서 배수로 이음지지부(31)를 제외한 구성이 동일한 배수로지지부재(20)를 배수로(10) 저면에 안착시켜 배수로(10)의 침하를 막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배수로(10)는 연결되도록 마주보는 인접한 두개가 서로 맞닿는 단부의 상면 일부와 끝단에 이음판삽입홈(11)이 형성되고, 끝단에 다수개의 원형 삽입홈(12)이 형성된다.
배수로(10)를 저면에서 지지하여 주는 배수로지지부재(20)는 넓은 사각판체로 이루어진 침하방지판(21)의 저면에 다수개의 매설돌기(22)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침하방지판(21)의 상면에 지지프레임(23)을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침하방지판(21)은 넓은 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므로 하방 압력을 받을 때 압력을 지면 골고루 분산시켜 침하를 방지하게 한다.
배수로지지부재(20)의 지지프레임(23)은 2쌍의 지지바(24)를 침하방지판(21)의 상면 양측에 한쌍씩 4개를 고정하되, 지지바(24)의 넓은 면이 배수로(10)의 진행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한다. 각각 두개의 지지바(24) 사이에 수평받침판(25)이 위치하도록 고정하되, 지지바(24)의 중간 높이 정도에 수평받침판(25)이 위치하게 용접으로 고정한다. 지지바(24)에는 상 하 두곳에 봉홀(27)이 형성되고, 봉홀(27)에 후술할 연결봉(40)이 삽입되어 다수개의 배수로지지부재(20)와 후술할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를 연결하여 같은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하여 준다.
수평받침판(25)의 저면과 침하방지판(21) 사이에 수직되도록 고정되는 수직받침판(26)이 수평받침판(25)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고, 지지프레임(23)의 길이방향에 연결된 수평받침판(25)의 상부에 배수로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28)이 고정된다. 지지판(28)의 상면에 배수로(10)의 저면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배수로(10)의 이음부에서는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가 밀착지지되어 다수개의 배수로(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는 배수로지지부재(20)와 동일한 구성의 침하방지판(21), 매설돌기(22), 지지프레임(23)이 형성된다. 다만 지지프레임(23)의 상부에 배수로이음지지부(31)가 고정설치되는 것이 상이하다.
배수로 이음지지부재(30)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23)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로이음지지부(31)는 지지프레임(23)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32)이 고정되고, 지지판(32)은 배수로(10) 저면 형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판(32)에 배수로(10) 단부 두께만큼 이격되어 이음판(33)이 고정되되, 이음판(33)과 지지판(32) 사이의 공간이 배수로삽입홈(34)이 된다. 이음판(33)과 지지판(32)의 가운데에 중앙연결부(35)로 고정되고, 중앙연결부(35)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인접한 두개의 배수로(1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중앙연결부(35)의 양측으로 연결돌기(36)가 다수개 형성되어 배수로(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양단에 나사산(41)이 형성되어 배수로지지부재(20)와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의 봉홀(27)에 동시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연결봉(40)은 전체 배수로(10)를 동일 수평면상에서 지지하여 주도록 배수로지지부재(20)와 배수로이음지지부재(30)를 고정하여 여러개의 배수로지지부재(20)와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의 지지력이 합하여져 지지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수로지지부재가 배수로의 저면에서 지지하고,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가 두개의 배수로가 연결되는 부위에 고정되어 배수로의 침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침하방지판이 지중에 넓게 펼쳐져 있으므로 하방압력을 받아도 판체의 저항압력에 의하여 아래로 침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하방지판 저면에 형성되는 매설돌기에 의해 지중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연결봉에 의하여 다수개의 배수로지지부재와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가 하나의 결합체를 형성하므로 지지력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결되도록 마주보는 단부의 상면 일부와 끝단에 이음판삽입홈(11)이 형성되고, 끝단에 다수개의 원형 삽입홈(12)이 형성되는 배수로(10);
    배수로(10)의 저면에서 밀착지지되되, 넓은 사각판체로 이루어진 침하방지판(21)의 저면에 다수개의 매설돌기(22)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침하방지판(21)의 상면에 지지프레임(23)을 고정 설치하며, 지지프레임(23)은 2쌍의 지지바(24) 중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받침판(25)과 수평받침판(25)의 저면과 침하방지판(21) 사이에 고정되는 수직받침판(26)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바(24)에는 상하로 봉홀(27)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3)의 상부에 배수로(10)의 저면과 동일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28)이 고정되는 배수로지지부재(20);
    배수로(10)의 이음부를 밀착지지하여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수로(10)를 연결하되, 배수로지지부재(20)와 동일한 구성의 침하방지판(21), 매설돌기(22), 지지프레임(23)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23)의 상부에 배수로이음지지부(31)가 고정설치되며, 배수로이음지지부(31)는 지지프레임(23) 상부에 고정되는 배수로(10) 저면 형상의 지지판(32)에 이음판삽입홈(11)이 형성된 배수로(10) 단부 두께만큼 이격되어 이음판(33)이 중앙연결부(35)로 고정되고, 이음판(33)과 지지판(32) 사이에 형성된 배수로삽입홈(34)으로 인접한 배수로(10)의 단부가 삽입되며, 중앙연결부(35)의 양측으로 연결돌기(36)가 다수개 형성되어 배수로(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
    배수로지지부재(20)와 배수로 이음지지부재(30)를 유동이 없도록 연결하되, 양단에 나사산(41)이 형성되어 배수로지지부재(20)와 배수로이음부지지부재(30)의 봉홀(27)에 동시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연결봉(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KR1020060119005A 2006-11-29 2006-11-29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73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05A KR100737825B1 (ko) 2006-11-29 2006-11-29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05A KR100737825B1 (ko) 2006-11-29 2006-11-29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825B1 true KR100737825B1 (ko) 2007-07-12

Family

ID=3850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0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7825B1 (ko) 2006-11-29 2006-11-29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64563A (zh) * 2023-12-06 2024-01-09 山东中创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982B1 (ko) * 2005-09-26 2005-12-2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외부보강시설 설치구조
KR100554868B1 (ko) * 2005-10-24 2006-02-24 (주)미래기술단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방지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982B1 (ko) * 2005-09-26 2005-12-2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외부보강시설 설치구조
KR100554868B1 (ko) * 2005-10-24 2006-02-24 (주)미래기술단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방지시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38982
10-055486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64563A (zh) * 2023-12-06 2024-01-09 山东中创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装置
CN117364563B (zh) * 2023-12-06 2024-03-15 山东中创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713B1 (ko)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956742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658065B1 (ko)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1998105B1 (ko)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737825B1 (ko) 도로의 배수로 침하방지 구조물
JP5025364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JP2019052471A (ja) 排水溝
KR100839671B1 (ko)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PT1887137E (pt) Sistema de drenagem de canal largo
KR102246715B1 (ko) 차선분리대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KR101740960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37273B1 (ko) 미끄럼방지 조립식 맨홀뚜껑
KR20150084181A (ko) 신축이음장치
KR102211286B1 (ko) 차선분리대
JP6318384B2 (ja) 遮水装置
KR101153717B1 (ko)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KR200405644Y1 (ko) 배수로가 구비된 경사면 보호블록
KR100581530B1 (ko) 도로 배수측구의 집수박스
JP3250397U (ja) 側溝用ブロック及び側溝
KR20100090895A (ko) 미끄럼 방지 겸용 중하중 그레이팅
KR100613414B1 (ko) 교량 중앙분리대의 베이스플레이트 고정구조
KR102442631B1 (ko) 도시 열섬화 방지 및 비점 오염물 제거를 위한 블록고정 프레임
KR102666802B1 (ko)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