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195B1 - 수액 장치와 클램프 - Google Patents
수액 장치와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7195B1 KR100737195B1 KR1020050097902A KR20050097902A KR100737195B1 KR 100737195 B1 KR100737195 B1 KR 100737195B1 KR 1020050097902 A KR1020050097902 A KR 1020050097902A KR 20050097902 A KR20050097902 A KR 20050097902A KR 100737195 B1 KR100737195 B1 KR 1007371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locking
- infusion
- tube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1)
-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상기 클램프는,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主其部)와,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제1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副其部)와,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부기부의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수액 튜브 폐색 수단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상기 클램프를 장전할 때에 상기 부기부를 상기 폐색 상태로 이동 압박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아암 부재가 상기 부기부의 측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적절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여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상기 회전 아암 부재와,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로 구성되고,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계지부를 갖는 제1 계지부와 제3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계지부는,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폐쇄 위치로 이동 및 고정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압박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는 상기 수액 튜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안내부를 각각의 단부에 형성하는 동시 에,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의 횡단면 형상은 예각의 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안내부에 있어서 상기 수액 튜브의 절곡을 규제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로의 삽입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는 역방향이면서 또한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에 삽입부에 삽입되는 보강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욱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를 연장 설치하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는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으로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아암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산부(山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수액 정밀도가 보증된 전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전용 클램프, 또는 수액 정밀도가 보증되어 있지 않고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범용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범용 클램프 중 어느 하나를 장전 및 검출 가능하게 하기 위한 클램프 장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 상기 장전되는 상기 전용 클램프 또는 상기 범용 클램프의 판별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전용 클램프 또는 상기 범용 클램프의 장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상기 범용 클램프의 장전시에 있어서 상기 점적 계측 수단에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을 때에 경고 내지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에 설치된 피검출 부재를 비접촉으로 광학식 또는 전파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는,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길이가 다른 검출 부재를 형성한 주기부와,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부기부의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검출 부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계지부는,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 2 연장 설치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폐쇄 위치로 이동 및 고정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압박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램프의 상기 검출 부재에 제1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검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보다 깊은 제2 오목부를 형성하고,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상기 전용 클램프 또는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의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회전 아암 부재와,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한 경사 부재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가 계지되고, 상기 클램프를 취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오목부 또는 상기 제2 오목부가 잠입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력이 전해지는 절결부와, 오목부를 외주면에 형성하여 초기 위치로 회전 압박되는 디스크와,상기 오목부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광투과식의 광학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램프와 상기 범용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다른 색의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어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상기 클램프는,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제1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회전 아암 부재와,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을 압박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계지부는,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폐쇄 위치로 이동 및 고정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압박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압박면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회전 아암 부재의 상기 미끄럼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가 계지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폐색 상태로 취출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는 상기 수액 튜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안내부를 각각의 단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의 횡단면 형상은 예각의 산(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안내부에 있어서, 상기 수액 튜브의 절곡을 규제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로의 삽입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는 역방향 또한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의 상기 한쪽 개구 안내부에 삽입부에 삽입되는 보강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욱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를 연장 설치하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는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으로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아암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이며,상기 클램프는,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제1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해제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계지부는,상기 주기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 두께의 양면을 갖는 제1 연장 설치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계지부와,상기 제1 연장 설치부의 상기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계지부와,상기 부기부로부터 제2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다른 쪽 폐색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압박되어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를 잠입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외주면에 상기 압박면을 가진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3 계지부와,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하는 제4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로 상기 폐색 상태가 유지되고,상기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는 상기 수액 튜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안내부를 각각의 단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 폐색부와 상기 다른 쪽 폐색부의 횡단면 형상은 예각의 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상기 수액 튜브의 절곡을 규제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으로써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삽입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와는 역방향 또는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에 삽입되는 보강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욱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를 연장 설치하는 상기 제2 탄성 지지부는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으로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제1 계지부와 상기 제3 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되고, 상기 제2 계지부와 상기 제4 계지부가 계지하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으로의 장전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와 상기 계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일체 사출 성형 후에 상기 대기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계지부가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 수액 튜브의 도중 부위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수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가 되는 클램프를 클램프 장전 수단에 장전하는 수액 장치이며,상기 수액 튜브는 그 외주면을 차례로 압박하여 수액을 행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액 수단과,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상기 수액 튜브를 압박하는 압박판을 설치한 도어 사이에서 협지 상태로 유지되고,상기 클램프는,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한쪽 폐색부를 형성한 주기부와,상기 수액 튜브를 폐색하는 다른 쪽 폐색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기부로부터 탄성 지지부를 거쳐서 상기 대기 위치 방향으로 이동 압박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부기부와,상기 주기부와 상기 부기부를 계지함으로써 상기 폐색 상태로 하는 동시에 외주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압박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해제 상태로 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상기 클램프 장전 수단은,상기 클램프의 상기 주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한쪽 개구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의 축 부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의 상기 부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출납하는 다른 쪽의 개구 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기부를 상기 주기부측으로 이동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을 구비한 회전 아암 부재와,상기 클램프의 상기 압박면을 압박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경사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압박 수단은,상기 도어의 상기 본체에 대한 저어널부의 근방에 형성되는 접촉면에 대해 그 접촉부가 접촉함으로써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이동되는 이동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1 링크 부재와,상기 회전 아암 부재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제2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그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 유지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로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 부재와 함께 상기 회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04314 | 2004-10-19 | ||
JPJP-P-2004-00304313 | 2004-10-19 | ||
JP2004304314A JP4473091B2 (ja) | 2004-10-19 | 2004-10-19 | 輸液装置 |
JP2004304315A JP4473092B2 (ja) | 2004-10-19 | 2004-10-19 | クランプ |
JPJP-P-2004-00304315 | 2004-10-19 | ||
JPJP-P-2004-00304312 | 2004-10-19 | ||
JP2004304312 | 2004-10-19 | ||
JP2004304313A JP4473090B2 (ja) | 2004-10-19 | 2004-10-19 | 輸液装置 |
JPJP-P-2005-00276429 | 2005-09-22 | ||
JP2005276429A JP4754917B2 (ja) | 2004-10-19 | 2005-09-22 | 輸液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4059A KR20060054059A (ko) | 2006-05-22 |
KR100737195B1 true KR100737195B1 (ko) | 2007-07-10 |
Family
ID=3715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7902A KR100737195B1 (ko) | 2004-10-19 | 2005-10-18 | 수액 장치와 클램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7195B1 (ko) |
TW (1) | TWI381861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233B1 (ko) | 2016-04-27 | 2017-04-12 | 이상운 |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
KR102171665B1 (ko) | 2020-03-17 | 2020-10-29 |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 수액주입용 유량조절 레귤레이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1994B1 (ko) * | 2006-09-29 | 2007-07-23 | 주식회사세운메디칼 | 의료용 클램프 |
ES2456352T3 (es) * | 2009-06-25 | 2014-04-22 | Nestec S.A. | Ensamble de abrazadera de sujeción para casete de infusión |
TWI554299B (zh) * | 2014-04-17 | 2016-10-21 | 弘人工業股份有限公司 | 點滴輔助推送裝置 |
TWI674120B (zh) * | 2018-06-14 | 2019-10-11 | 英華達股份有限公司 | 輸液設備 |
CN117919583B (zh) * | 2024-03-15 | 2024-06-07 | 潍坊市华星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输液器带针流量可反复使用的调节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41787A2 (de) * | 2001-11-15 | 2003-05-22 | Arcomed Ag |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infusionspump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17115A (en) * | 1998-10-12 | 2000-09-12 | B. Braun Medical, Inc. | Medical tubing slide clamp device for determining proper tubing siz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
JP2000237308A (ja) * | 1999-02-22 | 2000-09-05 | Ckd Corp | 輸液ポンプ |
JP4369139B2 (ja) * | 2002-06-17 | 2009-11-18 | テルモ株式会社 | クランプとこれを用いた輸液装置 |
-
2005
- 2005-10-07 TW TW094135244A patent/TWI38186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0-18 KR KR1020050097902A patent/KR1007371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41787A2 (de) * | 2001-11-15 | 2003-05-22 | Arcomed Ag |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infusionspump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233B1 (ko) | 2016-04-27 | 2017-04-12 | 이상운 | 수액세트용 에어 차단장치 |
KR102171665B1 (ko) | 2020-03-17 | 2020-10-29 |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 수액주입용 유량조절 레귤레이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4059A (ko) | 2006-05-22 |
TW200613023A (en) | 2006-05-01 |
TWI381861B (zh) | 2013-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80376B1 (en) | Infusion pump | |
KR100753748B1 (ko) | 수액 장치 | |
US7264148B2 (en) | Drug container and drug infus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EP0843563B1 (en) | Systems for cassette identification for drug pumps | |
EP2345441B1 (en) | Syringe pump | |
WO2014049661A1 (ja) | 輸液ポンプ | |
JP2005021463A (ja) | シリンジポンプ | |
KR100737195B1 (ko) | 수액 장치와 클램프 | |
WO1999024093A1 (fr) | Appareil medical | |
JP5323437B2 (ja) | シリンジポンプ | |
JP4754917B2 (ja) | 輸液装置 | |
WO2014049656A1 (ja) | 輸液ポンプ | |
JPH09122237A (ja) | シリンジポンプ | |
JP2004073822A (ja) | クランプとこれを用いた輸液装置 | |
JP4949700B2 (ja) | 輸液チューブ装填補助具および輸液装置 | |
CN100558417C (zh) | 输液装置及夹子 | |
JP3124022U (ja) | 輸液装置 | |
CN103415311A (zh) | 医疗用泵 | |
JP4473092B2 (ja) | クランプ | |
JP4473090B2 (ja) | 輸液装置 | |
JP3140940U (ja) | 経腸輸液ポンプ | |
JP4121485B2 (ja) | 薬液断続弁および薬液注入装置 | |
JPH0219167A (ja) | 液体容器を自動的に識別する装置 | |
JP4473091B2 (ja) | 輸液装置 | |
US7140843B2 (en) | Fluid pump for medical purposes and measuring chamber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0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