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5898B1 -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898B1
KR100735898B1 KR1020060081280A KR20060081280A KR100735898B1 KR 100735898 B1 KR100735898 B1 KR 100735898B1 KR 1020060081280 A KR1020060081280 A KR 1020060081280A KR 20060081280 A KR20060081280 A KR 20060081280A KR 100735898 B1 KR100735898 B1 KR 10073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lasma
inlet
separator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종
황윤욱
김유창
박상진
허필우
윤의수
안연찬
류준오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8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898B1/ko
Priority to US11/691,086 priority patent/US2008004789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uspended solids or molecules independently from the bulk fluid flow, e.g. for trapping or sorting beads, for physically stretching molec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01N33/48778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dry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52Sorting or classification of particles or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0Integrating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 single entity, e.g. lab-on-a-chip concep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45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혈액을 별도의 동력 수단 없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혈액 성분을 전기화학 방식으로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에 형성되어 혈액이 도입되는 혈액 도입부; 상기 혈액 도입부로 도입된 혈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기판 유입홈이 형성된 혈액 유입부; 상기 혈액 유입부에 유입된 혈액 검체로부터 혈장이 분리되도록 상기 혈액 유입부의 유입홈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으며 상기 혈액 유입부로부터 연장 구비되는 추출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혈장 추출부로 이루어져 혈액 내의 혈장 및 혈구를 분리하고 분리된 혈장내의 성분을 분석하는 혈액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혈장 추출부에는 효소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 공간부 내에는 추출된 혈장 성분을 전기화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인 방식으로 분석하도록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체가 더 구비된 것이다.
미세 혈액, 혈장, 모세관, 분리, 분석, 전기화학

Description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THE PORTABLE MICRO BLOOD SEPA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 분리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된 혈장 성분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도.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본체
11 : 상부 기판, 12 : 하부 기판
2 : 혈액 도입부
21 : 개방부, 22 : 도입홈
3 : 혈액 유입부
31 : 유입홈
4 : 혈장 추출부
41 : 추출 공간부, 42 : 효소 주입구
5 : 도체
51 : 작동 전극, 52 : 기준 전극
6 : 혈액 유입 유도부
본 발명은 혈액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혈액을 별도의 동력 수단 없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혈액 성분을 전기화학 방식으로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수단으로서, 체액, 특히 혈액의 생화학적 검사가 널리 실시되고 있으나, 혈액중의 구성 성분, 예컨대 대사산물, 단백질, 지방질, 전해질, 효소, 항원, 항체 등의 종류 및 농도의 측정은 전혈 그대로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다.
삭제
이에, 미리 채혈한 혈액을 원심 분리기에서 작동시켜 분리시키고,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 분석기기 또는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 분리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혈액 분리기는 미세한 홈 유로(102)가 형성된 하부 기판(101)과, 도시되지는 않지만 이 하부 기판을 덮는 상부 기판(1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로(102)에는 혈액 채취 수단(103)과, 분리 수단(104), 분석 수단(105) 및 이동 수단(106)이 순차로 설치된다.
또한, 혈액 채취 수단(103)에는 체내에 찔러 기판 내로 혈액을 도입시키기 위한 중공의 채혈 바늘(103a)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리 수단(104)은 유로(102)의 도중을 만곡시킨 것으로, 예를 들면 U자형 마이크로캐필러리로 이루어진다.
분석 수단(105)은 혈액 중의 pH값, 산소, 이산화탄소, 나트륨, 칼슘, 단백질 등의 각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102)의 최하류부에 위치하는 이동 수단(106)은 마이크로캐필러리 속에서 혈액을 전기 침투류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이며, 전극(107,108)과 그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 부분으로 이루어져, 전극 간에 전압 입가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침투류에 의해 유로 내에 미리 채워 놓은 완충액을 유로 하류측으로 이동시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유로(102) 최전부의 채취 수단(103)으로부터 기판 내로 혈액을 도입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혈액 분리기는 채혈을 실시하고, 원심 분리기 등을 사용하여 유형성분인 혈구와 혈장을 분리한 후 혈액 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해야 하므로, 혈액을 많이 필요로 한다.
또한, 원심 분리기 및 혈액을 유로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전극 등과 같은 주변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소수의 검체를 급하게 처리하고 싶을 경우 또는 현장 검사 등에서는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며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 유입 기판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기판 내의 혈액 중 크기가 작은 혈장 성분만 추출되도록 한 후 전기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혈장 성분을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주변 장치 없이 혈액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주변 장치 없이 기판에 형성된 공간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이 분리되도록 한 후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혈액 분리기의 소형화를 통해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에 형성되어 혈액이 도입되는 혈액 도입부; 상기 혈액 도입부로 도입된 혈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기판 유입홈이 형성된 혈액 유입부; 상기 혈액 유입부에 유입된 혈액 검체로부터 혈장이 분리되도록 상기 혈액 유입부의 유입홈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으며 상기 혈액 유입부로부터 연장 구비되는 추출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혈장 추출부로 이루어져 혈액 내의 혈장 및 혈구를 분리하고 분리된 혈장내의 성분을 분석하는 혈액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혈장 추출부에는 효소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 공간부 내에는 추출된 혈장 성분을 전기화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인 방식으로 분석하도록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체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혈액 도입부는 상기 상부 기판에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하부 기판에 형성된 도입홈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유입홈은 혈액 중의 혈장이 상기 혈장 추출부로 원활하게 추출되도록 둘레가 라운딩된 반원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 공간부는 상기 혈액 도입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혈장 내 다양한 성분들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도체는 혈장과 효소가 반응하는 장소를 제공하여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 을 위한 전자 부품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는 작동 전극과, 상기 작동 전극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기준 전압을 인가받는 기준 전극으로 구성되어, 상기 혈장과 효소가 반응되어 나타나는 전류 변화를 외부 측정기에서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체(1)와, 혈액 도입부(2)와, 혈액 유입부(3)와, 혈장 추출부(4) 및 도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는 상부 기판(11)과 하부 기판(12)으로 구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지만 별도의 혈액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액 내의 성분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혈액 도입부(2)는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혈액이 도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부 기판(11)에 형성된 개방부(21)와, 상기 하부 기판(12)에 형성된 도입홈(22)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방부(21)를 통해 혈액이 도입되어 진다.
또한, 상기 혈액 유입부(3)는 상기 혈액 도입부(2)로 도입된 혈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기판(12)에 형성된 유입홈(3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입홈(31)은 혈액 중의 혈장이 후술하는 혈장 추출부(4)로 원활하게 추출되도록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추출되는 혈장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 상단부가 라운딩되는 곡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장 추출부(4)는 상 기 혈액 유입부(3)로부터 연장 구비되는 추출 공간부(41)로 이루어지며 그 끝단에 효소 주입구(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혈장 추출부(4)는 상기 혈액 유입부(3)에 유입된 혈액 검체로부터 혈장이 분리되도록 상기 혈액 유입부(3)의 유입홈(31)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홈(31)으로 유입된 혈액 성분들 중 혈구 성분과 같이 직경이 큰 성분들을 제외한 혈장 또는 혈청만 상기 추출 공간부(41)로 추출된다.
한편, 상기 도체(5)는 상기 추출 공간부(41)로 추출된 혈장 성분을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을 위한 전자 부품을 통해 분석하도록 상기 추출 공간부(41) 내에 구비되어, 상기 효소 주입구(42)를 통해 주입된 효소와 반응하는 혈장 성분을 분석하도록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체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체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체(5)는 혈장과 효소가 반응하는 장소를 제공하여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을 위한 전자 부품으로부터의 전압을 인가받는 작동 전극(51)과, 상기 작동 전극(51)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을 위한 전자 부품으로부터 기준 전압을 인가받는 기준 전극(5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효소와 혈장이 반응할 때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을 위한 전자 부품을 이용하여 작동 전극(51) 및 기준 전극(52)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면, 혈장 내 성분에 따라서 전류 변화가 나타나게 되고, 이를 외부의 측정기를 이용하여 검출하여 분석함으로써, 혈장 내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체를 이용한 전기화학 방식의 성분 검출 기술은 이 발명 이전에 이미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혈액 도입부(2) 타측의 혈액 유입부(3) 끝단에는 상기 혈액 도입부(2)로부터의 혈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혈액 유입부(3)로 유입되도록 혈액을 유도하는 혈액 유도부(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도시한 평면도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혈장 추출부(4)는 상기 혈액 도입부(2)를 중심으로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연장된 다수의 추출 공간부(41)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추출 공간부(41) 끝단부에는 효소 주입구(42)가 형성되고, 추출 공간부(41) 내에는 도체(5)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혈장 추출부(4)가 다수 형성됨에 따라 혈장 내의 다수의 성분에 대한 분석을 단일 분석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혈장 추출부(4)에 각각 도체(5) 및 효소 주입구(42)가 형성됨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는 성분에 따라 서로 다른 효소를 주입한 후 분석을 실시하면 여러 종류의 성분들을 단일 분석 센서로 분석할 수 있게 되는바, 분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에서 혈장 추출부를 혈액 유입부로부터 연장된 일자형 또는 방사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과 반응하는 효소를 효소 주입구(42)를 통해 주입한 후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체취된 혈액을 혈액 도입부(2)의 개방부(21)로 떨어뜨려 도입 홈(22)에 혈액이 도입되도록 한다.
상기 도입홈(22)에 도입된 혈액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 유입부(3)의 유입홈(31)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홈(31)에 유입된 혈액 중 크기가 큰 혈구 성분들은 유입홈(31)에 잔류하는 반면, 크기가 작은 검체 성분들인 혈장이나 혈청 성분은 상기 유입홈(31)으로부터 연장된 추출 공간부(41)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분리되어 추출되어 건조된 효소와 반응한다.
한편, 상기 혈장 성분이 추출되면 별도의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을 위한 전자 부품을 이용하여 도체(5)에 전압을 인가, 즉, 작동 전극(51)에는 작동 전압을 기준 전극(52)에는 기준 전압을 각각 인가하여 효소와 반응한 혈장에 의한 전류 변화를 관찰하는 전기화학 분석 방식을 이용하면 혈장 내 성분을 분석 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효소 주입구(42)로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과 반응하는 효소를 주입하여 전고시킨 후, 상기 추출 공간부(41)를 통해 추출되는 혈장 성분이 추출되면 전압을 인가하는데, 이때 추출된 혈장과 효소가 반응하여 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효소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는 분석 대상의 농도와 관련되므로 전류 측정을 하면 분석 대상의 농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효소 주입구(42)로 주입되는 효소는 측정 대상물과 산화 환원 반응하는 것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 글루코오스 디히드로게나아제(glucose dehydrogenase : GDH) 등은 글루코오스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효소로서 주입되는데, 이때 주입되는 효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화 환원 반응을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관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된 혈장 성분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도이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c 각 도면의 (가)는 전극 형상을, (나)는 인가 전압에 따른 전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도로, 전기화학 분석 방식 중 순환 전압-전류법을 이용한 것이다.
우선, 효소 주입구로 주입된 효소와 혈장 선분이 접촉하면 산화-환원 반응을 하게 되고, 산화-환원 반응 및 인가 전압에 따라서 도체에 흐르는 전류가 증감하게 되므로,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치를 검출하여 이 전류값에 의거하여 혈장 성분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때, 도체 즉 전극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검출되는 전류 값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혈액 분석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극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최적화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는, 혈액을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분리된 혈장에 효소 반응을 시켜 전기화학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혈장 내 성분 분석을 함으로써, 소량의 혈액 분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어 휴대가 가능해진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 유입 기판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기판 내의 혈액 중 크기가 작은 혈장 성분만 추출되도록 한 후 전기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혈장 성분을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주변 장치 없이 혈액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주변 장치 없이 기판에 형성된 공간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이 분리되도록 한 후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혈액 분리기의 소형화를 통해 휴대가 가능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혈액 검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상부 기판(11)과 하부 기판(12)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일측에 형성되어 혈액이 도입되는 혈액 도입부(2)와 상기 혈액 도입부(2)로 도입된 혈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기판(12) 유입홈(31)이 형성된 혈액 유입부(3) 및 상기 혈액 유입부(3)에 유입된 혈액 검체로부터 혈장이 분리되도록 상기 혈액 유입부(3)의 유입홈(31)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으며 상기 혈액 유입부(3)로부터 연장 구비되는 추출 공간부(41)로 이루어지는 혈장 추출부(4)로 이루어져 혈액 내의 혈장 및 혈구를 분리하고 분리된 혈장내의 성분을 분석하는 혈액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혈장 추출부(4)에는 효소 주입구(42)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 공간부(41) 내에는 추출된 혈장 성분을 전기화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인 방식으로 분석하도록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체(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도입부(2)는;
    상기 상부 기판(11)에 형성된 개방부(21)와 상기 하부 기판(12)에 형성된 도입홈(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31)은;
    혈액 중의 혈장이 상기 혈장 추출부(4)로 원활하게 추출되도록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공간부(41)는;
    상기 혈액 유입부(3)를 중심으로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5)는;
    혈장과 효소가 반응하는 장소를 제공하여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을 위한 전자 부품으로부터의 전압을 인가받는 작동 전극(51)과,
    상기 작동 전극(51)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전압 인가 및 전류 측정을 위한 전자 부품으로부터 기준 전압을 인가받는 기준 전극(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KR1020060081280A 2006-08-25 2006-08-25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KR10073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280A KR100735898B1 (ko) 2006-08-25 2006-08-25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US11/691,086 US20080047892A1 (en) 2006-08-25 2007-03-26 Portable micro blood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280A KR100735898B1 (ko) 2006-08-25 2006-08-25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898B1 true KR100735898B1 (ko) 2007-07-04

Family

ID=3850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280A KR100735898B1 (ko) 2006-08-25 2006-08-25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47892A1 (ko)
KR (1) KR1007358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727B1 (ko) 2007-11-22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세관력을 이용한 개방형 혈장 분리 필터 소자
KR100907909B1 (ko) 2009-04-17 2009-07-16 한국기계연구원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KR100912530B1 (ko) 2007-11-13 2009-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회용 다층형 혈장 분리 필터 소자
KR101004989B1 (ko) 2009-11-25 2010-12-29 이현정 바이오 센서
WO2018155865A1 (ko) * 2017-02-27 2018-08-30 (주)오상헬스케어 혈액 분석용 스트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7870A (en) 1991-01-07 1994-01-11 United Medical Manufacturing Company Blood glucose reflectance meter including a null prompting means and a device for providing a constant brightness light
KR0163476B1 (ko) * 1994-05-05 1998-12-15 베른트 콜프, 마르틴 크나우어 환자 혈액중의 분석 대상 물질을 모니터링하는 분석 시스템
JP2003083926A (ja) 2001-09-10 2003-03-19 Jun Kikuchi 血液分析装置ならびに血液分析方法
KR20050098948A (ko) * 2003-02-19 2005-10-12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혈액 분석장치 및 혈액 분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8605A (en) * 1993-10-15 1995-11-21 Molecular Devices Corp. Transverse flow plungers for microphysiometers
US6821410B2 (en) * 2001-03-07 2004-1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sensor and method of substrate quantification
JP4213361B2 (ja) * 2001-05-22 2009-0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
US6766817B2 (en) * 2001-07-25 2004-07-27 Tubarc Technologies, Llc Fluid conduction utilizing a reversible unsaturated siphon with tubarc porosity action
CN1701229A (zh) * 2003-04-28 2005-1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过滤器及具有该过滤器的生物传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7870A (en) 1991-01-07 1994-01-11 United Medical Manufacturing Company Blood glucose reflectance meter including a null prompting means and a device for providing a constant brightness light
KR0163476B1 (ko) * 1994-05-05 1998-12-15 베른트 콜프, 마르틴 크나우어 환자 혈액중의 분석 대상 물질을 모니터링하는 분석 시스템
JP2003083926A (ja) 2001-09-10 2003-03-19 Jun Kikuchi 血液分析装置ならびに血液分析方法
KR20050098948A (ko) * 2003-02-19 2005-10-12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혈액 분석장치 및 혈액 분석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30B1 (ko) 2007-11-13 2009-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회용 다층형 혈장 분리 필터 소자
KR100889727B1 (ko) 2007-11-22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세관력을 이용한 개방형 혈장 분리 필터 소자
KR100907909B1 (ko) 2009-04-17 2009-07-16 한국기계연구원 연속식 혈액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칩
KR101004989B1 (ko) 2009-11-25 2010-12-29 이현정 바이오 센서
WO2011065729A2 (ko) * 2009-11-25 2011-06-03 주식회사 테크넬 바이오 센서
WO2011065729A3 (ko) * 2009-11-25 2011-10-27 주식회사 테크넬 바이오 센서
WO2018155865A1 (ko) * 2017-02-27 2018-08-30 (주)오상헬스케어 혈액 분석용 스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47892A1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898B1 (ko) 휴대용 미세 혈액 분리기
Vrouwe et al. Microchip capillary electrophoresis for point-of-care analysis of lithium
WO200502214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ay of electrochemical properties
KR20070099233A (ko) 무동력 혈액분리수단을 구비한 바이오센서 칩
KR20120099452A (ko) 바이오센서용 언더필 인식 시스템
Carru et al. Ultrarapid capillary electrophore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ed and oxidized glutathione in red blood cells
WO2010052867A1 (ja) 電位差式センサチップ、電位差測定方法、及び測定キット
RU2016124537A (ru) Двухкамерная аналитическая тест-полоска
WO2015166246A1 (en) Ammonia Trap
KR20140041469A (ko) 유체를 포집하도록 구성된 스트립 포트 커넥터를 갖는 검사 측정기
Shi et al. Modern microfluidic approaches for determination of ions
CA2886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hematocrit insensitive glucose concentration
KR20100101591A (ko) 컨트롤 액의 판별 방법 및 분석 장치
KR100577367B1 (ko) 무동력 미세 혈액 분리기
JP2008020287A (ja) バイオセンサ
Kremplova et al. Automated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iron ions in erythrocytes from MeLiM minipigs suffering from melanoma
KR101349054B1 (ko) 마이크로 칩을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장치
Dos Santos et al. Simultaneous detection of dopamine and ascorbic acid by using a thread-based microfluidic device and multiple pulse amperometry
JP2016510119A (ja) 電気化学的な分析物測定において回復パルスからの情報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装置とそれらを組み込むシステム
KR20220043015A (ko) 검체 측정을 위한 바이오센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검체 측정 방법
CN103748463A (zh) 用于医疗仪器的试片
EP3813666B1 (en) Stacked sensor assembly for fluid analyzer
KR101882480B1 (ko)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JP2001050952A (ja) 血漿分離回収方法及びそのための器具
Punter Villagrasa et al. Bioimpedance Technique for Point-of-Care Devices Relying on Disposable Label-Free Sensors–An Anemia Detection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