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5293B1 -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 Google Patents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293B1
KR100735293B1 KR1020050074363A KR20050074363A KR100735293B1 KR 100735293 B1 KR100735293 B1 KR 100735293B1 KR 1020050074363 A KR1020050074363 A KR 1020050074363A KR 20050074363 A KR20050074363 A KR 20050074363A KR 100735293 B1 KR100735293 B1 KR 10073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avelength division
light source
coupling ratio
cross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412A (ko
Inventor
신동재
김현수
신홍석
박성범
정대광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293B1/ko
Priority to US11/502,826 priority patent/US20070036483A1/en
Publication of KR2007001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2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1Power control, e.g. to keep the total optical power const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6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9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 H04J14/02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e.g. for transmissions from-ONU-to-OLT or from-ONU-to-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6Fixed carrier allocation, e.g. according to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광섬유를 통해 광대역 광을 송신하고, 상기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를 수신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은, 광대역 광을 출력하는 광원과; 기설정된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광대역 광을 크로스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광신호를 바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은 상기 광신호의 파워에 따라 조절된다.
광대역 광원, 수동형 광가입자망, 결합기, 제어부, 크로스 결합

Description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LIGHT SOURCE AND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기의 광결합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른 손실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광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ON: WDM PON)에 적용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light source)에 관한 것이다.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ON: WDM PON)은 각 가입자(subscriber)에게 별도의 파장을 할당하기 때문에 복수의 가입자를 위한 광원들과 이로부터 발생한 복수의 광신호를 다중화하기 위한 파장분할 다중화기(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WDM)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들과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간의 파장 정렬을 경제적인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이 망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더불어 분포궤환 레이저 어레이(distributed feedback laser array),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ight emitting diode array) 또는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의 조합이 제안된 바 있다. 최근에는 광원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광원의 출력 파장이 광원 자체에 의하지 않고 외부에서 주입되는 광에 의해 결정되는 광주입형 광원(light source with external light injection)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광원으로서 페브리-페롯 레이저(Fabry-Perot laser diode: FP-LD)와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가 있다. 광주입형 광원들의 장점은 광원의 파장이 주입광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한 종류의 광원들이 별다른 조정 없이 서로 다른 파장의 복수의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광원들과 파장분할 다중화기 사이에 파장 정렬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망의 운영, 유지 및 보수가 간단해진다. 이러한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주입 광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입 광원으로서는,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erbium doped fiber amplifier: EDFA),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등 넓은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광원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중앙 기지국(central office: CO)에서 생성된 상향 대역(upstream band)의 광을 전송 광섬유를 통해 가입자측 장치(subscriber side apparatus: SUB)에 제공하기 위해, 순환기(circulator) 또는 3㏈ 결합기(coupler)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순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광신호의 전송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저가화에 어려움이 있고, 3㏈ 결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렴하지만 상향 대역의 광 및 상향 광신호에 각각 3㏈의 결합 손실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측 장치에 구비되는 각 광주입형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향 광신호의 파워는 상기 광주입형 광원에 입력된 주입광의 파워에 비례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가입자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전송 광신호의 손실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된 결합 손실을 갖는 3㏈ 결합기를 사용하므로 비효율적이며 신호 품질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송 광신호의 손실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 광신호의 손실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라, 광섬유를 통해 광대역 광을 송신하고, 상기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를 수신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은, 광대역 광을 출력하는 광원과; 기설정된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광대역 광을 크로스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광신호를 바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은 상기 광신호의 파워에 따라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라, 중앙 기지국과, 간선 광섬유를 통해 중앙 기지국과 연결된 가입자측 장치를 포함하는 파장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기지국은, 상향 대역의 광을 출력하는 상향 광대역 광원과; 입력된 상향 광신호들을 검출하는 복수의 광송수신기와; 기설정된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라서, 상기 상향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상향 대역의 광을 크로스 결합하여 상기 간선 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간선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상향 광신호들을 바 결합하여 상기 광송수신기들로 출력하는 결합기와; 상기 검출된 상향 광신호들의 파워들에 따라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동형 광가입자망(100)은 중앙 기지국(CO, 110)과, 상기 중앙 기지국(110)과 간선 광섬유(feeder fiber: FF, 190)를 통해 연결된 지역 기지국(remote node: RN, 200)과, 상기 지역 기지국(200)과 제1 내지 제N 분배 광섬유(distribution fiber: DF, 220-1~220-N)를 통해 연결된 가입자측 장치(SUB, 2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기지국(110)은 상기 지역 기지국(200)으로 다중화된 하향 광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역 기지국(200)으로부터 다중화된 상향 광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중앙 기지국(110)은 하향 광대역 광원(downstream broadband light source: DBLS, 140)과, 상향 광대역 광원(upstream broadband light source: UBLS, 150)과, 결합기(coupler: CP, 160)와, 파장분할 다중화기(WDM, 130)와, 제1 내지 제N 광송수신기(optical transceiver: TRX, 120-1~120-N)와, 주 제어부(main controller: CTRLM, 170) 및 보조 제어부(secondary controller: CTRLS, 180)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기지국(110)의 구성 소자들은 또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을 구성한다.
상기 하향 광대역 광원(140)은 하향 대역의 광을 출력하며, 하향 광원(downstream light source: DLS, 142)과, 제1 아이솔레이터(isolator: ISO, 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향 광원(142)은 하향 광신호들의 파장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향 대역 의 광을 출력한다. 상기 하향 광원(142)으로는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이솔레이터(144)는 상기 하향 광원(142)으로부터 입력된 하향 대역의 광을 통과시키고, 그 역방향으로 입력되는 광을 차단한다.
상기 상향 광대역 광원(150)은 상향 대역의 광을 출력하며, 상향 광원(ULS, 152)과, 제2 아이솔레이터(154)를 포함한다.
상기 상향 광원(152)은 상향 광신호들의 파장들을 모두 포함하는 상향 대역의 광을 출력한다. 상기 상향 광원(152)으로는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154)는 상기 상향 광원(152)으로부터 입력된 상향 대역의 광을 통과시키고, 그 역방향으로 입력되는 광을 차단한다.
상기 결합기(160)는 제1 내지 제4 포트를 구비하며, 제1 포트는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와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154)와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간선 광섬유(190)와 연결되고, 제4 포트는 상기 제1 아이솔레이터(144)와 연결된다. 상기 결합기(160)는 제1 및 제3 포트를 바 연결(bar coupling)하고, 제2 및 제4 포트를 바 연결하며, 제1 및 제4 포트를 크로스 연결(cross coupling)하고, 제2 및 제3 포트를 크로스 연결한다. 상기 결합기(160)는 기설정된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라서 어느 한 포트에 입력된 광을 다른 연결된 두 포트로 결합하여 출력한다.
도 2는 상기 결합기(160)의 광결합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결합기(160)의 제1 포트에 광이 입력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기(160)는 60%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결합기(160)는 제1 포트에 입력된 광의 40%에 해당하는 광을 제3 포트로 바 결합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60%에 해당하는 광을 제4 포트로 크로스 결합하여 출력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기(160)는 제4 포트에 입력된 하향 대역의 광을 제1 포트로 크로스 결합하여 출력하고, 제2 포트에 입력된 상향 대역의 광을 제3 포트로 크로스 결합하여 출력하며, 제1 포트에 입력된 다중화된 하향 광신호를 제3 포트로 바 결합하여 출력하고, 제3 포트에 입력된 다중화된 상향 광신호를 제1 포트로 바 결합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결합기(160)는 상기 보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크로스 결합 비율이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기(160)는 기설정된 크로스 결합 비율을 가지므로, 바 결합하여 출력하는 광신호는 크로스 결합되는 부분만큼 손실을 겪게 되며, 크로스 결합하여 출력하는 광대역 광은 바 결합되는 부분만큼 손실을 겪게 된다.
도 3은 상기 결합기(160)의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른 손실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실선은 광신호에 대한 손실 곡선(310)이고, 점선은 광대역 광에 대한 손실 곡선(320)이다. 즉, 크로스 결합 비율이 감소하면, 크로스 결합되는 광대역 광의 파워가 감소하게 되고, 바 결합되는 광신호의 파워는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크로스 결합 비율이 증가하면, 크로스 결합되는 광대역 광의 파워가 증가하게 되고, 바 결합되는 광신호의 파워는 감소하게 된다. 또한, 요구되는 신호 품질을 충족하기 위해, 광신호 손실에 대한 허용 범위(330)가 설정될 수 있고, 또한 광대역 광(340)에 대한 허용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허용 범위들(330,340)을 만족하도록, 상기 결합기(160)의 크로스 결합 비율에 대한 최적 범위(350)가 설정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는 다중화 포트(multiplexing port: MP)와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demultiplexing port: DP)를 구비하며, 다중화 포트는 상기 결합기(160)의 제1 포트와 연결되고,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송수신기(120-1~120-N)와 차례로 일대일 연결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는 다중화 포트에 입력된 하향 대역의 광을 스펙트럼 분할하여 제1 내지 제N 하향 주입광을 생성하며, 생성된 제1 내지 제N 하향 주입광을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를 통해 차례로 일대일 출력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는 다중화 포트에 입력된 다중화된 상향 광신호를 제1 내지 제N 상향 광신호로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로 차례로 일대일 출력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는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에 입력된 제1 내지 제N 하향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로는 통상의 1×N 도파로열 격자(arrayed waveguide grating: AWG)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광송수신기(120-1~120-N)는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의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와 차례로 일대일 연결된다. 상기 제N 광송수신기(120-N)는 제N 하향 주입광 및 제N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고, 제N 하향 광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N 광송수신기(120-N)는 제N 하향 광송신기(downstream optical transmitter: DTX, 122-N)와, 제N 상향 광수신기(upstream optical receiver: URX, 124-N)와,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FT, 126-N)를 포함한다.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126-N)는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며, 제1 포트는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의 제N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제N 하향 광송신기(122-N)와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제N 상향 광수신기(124-N)와 연결된다.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126-N)는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로부터 입력된 제N 하향 주입광을 상기 제N 하향 광송신기(122-N)로 출력하고,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로부터 입력된 제N 상향 광신호를 상기 제N 상향 광수신기(124-N)로 출력하며, 상기 제N 하향 광송신기(122-N)로부터 입력된 제N 하향 광신호를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30)로 출력한다.
상기 제N 하향 광송신기(122-N)는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126-N)로부터 입력된 제N 하향 주입광에 의해 생성된 동일 파장의 제N 하향 광신호를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126-N)로 출력한다. 상기 제N 하향 광송신기(122-N)로는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N 상향 광수신기(124-N)는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126-N)로부터 입력된 제N 상향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한다.
상기 주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송수신기(120-1~120-N)가 검출한 제1 내지 제N 상향 광신호의 파워들 중 최저 파워를 파악한다. 상기 주 제어부(170)는, 상기 최저 파워가 기설정된 최고 허용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결합기(160)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최저 파워가 기설정된 최저 허용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크로스 결합 비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보조 제어부(18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주 제어부(170)는 최저 파워가 최적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보조 제어부(290)는 상기 주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결합기(160)에 전류를 인가하여 크로스 결합 비율을 조절한다.
도 4는 상기 제어부(170,180)의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170,180)의 제어 알고리즘은 하기하는 (a)~(e) 과정(S1~S5)으로 구성된다.
상기 (a) 과정(S1)은, 상기 주 제어부(170)가 상기 제1 내지 제N 광송수신기(120-1~120-N)가 검출한 제1 내지 제N 상향 광신호의 파워들 중 최저 파워(Pmin)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상기 (b) 과정(S2)은, 상기 주 제어부(170)가 상기 최저 파워(Pmin)가 기설정된 최고 허용치(P1)보다 작은 값인지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상기 최저 파워(Pmin)가 보다 큰 값인 경우에는 아래의 (c) 과정(S3)을 수행하고, 보다 작은 값인 경우에는 아래의 (d) 과정(S4)을 수행한다.
상기 (c) 과정(S3)은, 최저 파워(Pmin)가 기설정된 최적 범위(P2~P1) 내에 있도록, 상기 제어부(170,180)가 상기 결합기(160)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증가시키는 과정이다. 이후, 최저 파워(Pmin)가 기설정된 최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a) 과정(S1)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d) 과정(S4)은, 상기 주 제어부(170)가 상기 최저 파워(Pmin)가 기설정된 최저 허용치(P2)보다 큰 값인지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상기 최저 파워(Pmin)가 보다 큰 값인 경우에는 제어 과정을 종료하고, 보다 작은 값인 경우에는 아래의 (e) 과정(S5)을 수행한다.
상기 (e) 과정(S5)은, 최저 파워(Pmin)가 기설정된 최적 범위(P2~P1) 내에 있도록, 상기 제어부(170,180)가 상기 결합기(160)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감소시키는 과정이다. 이후, 최저 파워(Pmin)가 기설정된 최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a) 과정(S1)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a)~(e) 과정(S1~S5)은 최저 파워(Pmin)가 기설정된 최적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연속적으로 반복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역 기지국(200)은 파장분할 다중화기(210)를 포함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210)는 다중화 포트와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며, 다중화 포트는 상기 간선 광섬유(190)와 연결되고,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는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 광섬유(220-1~220-N)와 차례로 일대일 연결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210)는 다중화 포트에 입력된 상향 대역의 광을 스펙트럼 분할하여 제1 내지 제N 상향 주입광을 생성하며, 생성된 제1 내지 제N 상향 주입광을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를 통해 차례로 일대일 출력한다.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기(210)는 다중화 포트에 입력된 다중화된 하향 광신호를 제1 내지 제N 하향 광신호로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로 차례로 일대일 출력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210)는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에 입력된 제1 내지 제N 상향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210)로는 통상의 1×N 도파로열 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측 장치(230)는 제1 내지 제N 광송수신기(240-1~240-N)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 광송수신기(240-1~240-N)는 상기 제1 내지 제N 분배 광섬유(220-1~220-N)와 차례로 일대일 연결된다. 상기 제N 광송수신기(240-N)는 제N 상향 주입광 및 제N 하향 광신호를 수신하고, 제N 상향 광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N 광송수신기(240-N)는 제N 상향 광송신기(UTX, 242-N)와, 제N 하향 광수신기(DRX, 244-N)와,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FT, 246-N)를 포함한다.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246-N)는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며, 제1 포트는 상기 제N 분배 광섬유(220-N)와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제N 상향 광송신기(242-N)와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제N 하향 광수신기(244-N)와 연결된다.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246-N)는 제N 분배 광섬유(220-N)로부터 입력된 제N 상향 주입광을 상기 제N 상향 광송신기(242-N)로 출력하고, 상기 제N 분배 광섬유(220-N)로부터 입력된 제N 하향 광신호를 상기 제N 하향 광수신기(244-N)로 출력하며, 상기 제N 상향 광송신기(242-N)로부터 입력된 제N 상향 광신호를 상기 제N 분배 광섬유(220-N)로 출력한다.
상기 제N 상향 광송신기(242-N)는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246-N)로부터 입력된 제N 상향 주입광에 의해 생성된 동일 파장의 제N 상향 광신호를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246-N)로 출력한다. 상기 제N 상향 광송신기(242-N)로는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N 하향 광수신기(244-N)는 상기 제N 파장분할다중 필터(246-N)로부터 입력된 제N 하향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전송 광신호의 손실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광섬유를 통해 광대역 광을 송신하고, 상기 광섬유를 통해 광신호를 수신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에 있어서,
    광대역 광을 출력하는 광원과;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광대역 광을 크로스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광신호를 바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은 상기 광신호의 파워에 따라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검출하는 광수신기와;
    상기 검출된 광신호의 파워에 따라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은 상기 결합기를 통해 상기 광섬유로부터 입 력된 복수의 광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광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광신호들의 파워들 중 최저 파워에 따라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저 파워가 최고 허용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크로스 결합 비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최저 파워가 최저 허용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크로스 결합 비율을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를 통해 상기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광수신기들로 일대일 출력하는 파장분할 다중화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6. 중앙 기지국과, 간선 광섬유를 통해 중앙 기지국과 연결된 가입자측 장치를 포함하는 파장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기지국은,
    상향 대역의 광을 출력하는 상향 광대역 광원과;
    입력된 상향 광신호들을 검출하는 복수의 광송수신기와;
    크로스 결합 비율에 따라서, 상기 상향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입력된 상향 대역의 광을 크로스 결합하여 상기 간선 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간선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상향 광신호들을 바 결합하여 상기 광송수신기들로 출력하는 결합기와;
    상기 검출된 상향 광신호들의 파워들에 따라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상향 광신호들의 파워들 중 최저 파워에 따라 상기 결합기의 크로스 결합 비율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저 파워가 최고 허용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크로스 결합 비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최저 파워가 최저 허용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크로스 결합 비율을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를 통해 상기 간선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상향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광송수신기들로 일대일 출력하는 파장분할 다중화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KR1020050074363A 2005-08-12 2005-08-12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363A KR100735293B1 (ko) 2005-08-12 2005-08-12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US11/502,826 US20070036483A1 (en) 2005-08-12 2006-08-10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light source and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363A KR100735293B1 (ko) 2005-08-12 2005-08-12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412A KR20070019412A (ko) 2007-02-15
KR100735293B1 true KR100735293B1 (ko) 2007-07-03

Family

ID=3774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3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293B1 (ko) 2005-08-12 2005-08-12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36483A1 (ko)
KR (1) KR100735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0083B2 (en) * 2008-01-03 2012-06-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Burst power measurements using averaged power measurement
EP3267605B1 (en) * 2016-07-07 2019-03-27 ADVA Optical Networking SE A method and central network device for establishing an embedded optical communication channel in an optical wdm transmission system
US12271040B2 (en) 2017-06-28 2025-04-0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extender ports,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359577B2 (en) 2017-06-28 2019-07-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s and optical connectors with rotationally discrete locking and keying features
US11668890B2 (en) 2017-06-28 2023-06-06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s and other devices having optical connection ports with securing fea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U2017421287A1 (en) 2017-06-28 2020-01-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ompact fiber optic connectors having multiple connector footprints, along with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300746B2 (en) 2017-06-28 2022-04-1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port module inserts,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187859B2 (en) 2017-06-28 2021-11-30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768382B2 (en) 2018-11-29 2020-09-0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ccess apertures and a release tool
HUE069765T2 (hu) 2018-12-28 2025-04-28 Corning Res & Dev Corp Multiport egység, ami tartalmaz szerelési elemeket vagy pordugókat
CA3139937A1 (en) 2019-05-31 2020-12-03 Thierry Luc Alain Dannoux Multiports and other devices having optical connection ports with sliding actua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294133B2 (en) 2019-07-31 2022-04-0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networks using multiports and cable assemblies with cable-to-connector orientation
US11487073B2 (en) 2019-09-30 2022-11-01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able input devices having an integrated locking feature and assemblies using the cable input devices
EP3805827A1 (en) 2019-10-07 2021-04-1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terminals and fiber optic networks having variable ratio couplers
US11650388B2 (en) 2019-11-14 2023-05-16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networks having a self-supporting optical terminal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optical terminal
US11536921B2 (en) 2020-02-11 2022-12-27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terminals having one or more loopback assemblies
US11604320B2 (en) 2020-09-30 2023-03-1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telecommunication enclosures
US11686913B2 (en) 2020-11-30 2023-06-27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connector assemblies having a crimp ring and crimp body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1927810B2 (en) 2020-11-30 2024-03-1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member
US11994722B2 (en) 2020-11-30 2024-05-2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n adapter housing and a locking housing
US11880076B2 (en) 2020-11-30 2024-01-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housing
US11947167B2 (en) 2021-05-26 2024-04-0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terminals and tool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split ratio of a fiber optic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649A (ko) * 2003-11-12 2005-05-17 한국과학기술원 패브리 페롯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대역 비간섭성광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4091B (en) * 1984-01-27 1987-10-14 Yokogawa Hokushin Electric Optical data way
US5835199A (en) * 1996-05-17 1998-11-10 Coherent Technologies Fiber-based ladar transceiver for range/doppler imaging with frequency comb generator
GB9618706D0 (en) * 1996-09-06 1996-10-16 Northern Telecom Ltd Optical element power control
US7224908B2 (en) * 2000-10-13 2007-05-29 Kiribati Wireless Ventures, Llc Attenuation and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a laser detector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4011290B2 (ja) * 2001-01-10 2007-11-21 富士通株式会社 分散補償方法、分散補償装置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US6724786B2 (en) * 2001-08-31 2004-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ing wavelength locked loop tuning
KR100496710B1 (ko) * 2002-01-21 2005-06-28 노베라옵틱스코리아 주식회사 주입된 비간섭성 광에 파장 잠김된 광원을 이용한 양방향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KR100605858B1 (ko) * 2003-10-01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주입 광원을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US7289728B2 (en) * 2004-03-11 2007-10-3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Use of variable ratio couplers for network protection and reco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649A (ko) * 2003-11-12 2005-05-17 한국과학기술원 패브리 페롯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대역 비간섭성광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10-2005-45649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412A (ko) 2007-02-15
US20070036483A1 (en)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293B1 (ko)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원 및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US8126332B2 (en) Method of wavelength alignment for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703388B1 (ko) 광송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동형 광가입자망
JP4584584B2 (ja) 波長分割多重パッシーブ光ネットワークを含む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US20080074731A1 (en) Optical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40040659A (ko) 중앙 기지국에서 생성된 다파장 광의 루프백을 이용하는수동형 광통신망
JP2006191618A (ja) 波長分割多重方式の受動型光加入者網
US7209609B2 (en) Light source apparatus for WDM optical communication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4109296B2 (ja) 中央基地局及びこれを用いる波長分割多重方式の受動型光加入者網
US5793507A (en) Discretely chirped multiple wavelength optical source for use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617708B1 (ko) 광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동형 광네트웍
US7319818B2 (en)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wavelength-locked optical transmitter
US6748172B2 (en) Multi-channel light source generator in a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2012015866A (ja) 双方向光増幅器並びにこれを用いたpon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724901B1 (ko) 인터리버를 구비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KR100514383B1 (ko) 상하향 채널이 동일파장을 가지는 파장분할 다중방식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KR100703396B1 (ko)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대역 광원
KR100584382B1 (ko) 파장교대 필터를 이용한 수동형 광 가입자망
KR100547721B1 (ko) 광 증폭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 전송 시스템
EP1033835A2 (en) Optical central office
KR100734855B1 (ko) 광 가입자 확장을 위한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KR100606039B1 (ko) 양방향 광송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동형 광네트워크
WO2004095751A1 (en)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wdm channels
KR19980020475A (ko) 파장분할다중(wdm) 광전송 시스템의 이득가변 보상장치
KR20090000404A (ko) 광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동 광통신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