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251B1 - Video output method with audio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Video output method with audio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5251B1 KR100735251B1 KR1020030029588A KR20030029588A KR100735251B1 KR 100735251 B1 KR100735251 B1 KR 100735251B1 KR 1020030029588 A KR1020030029588 A KR 1020030029588A KR 20030029588 A KR20030029588 A KR 20030029588A KR 100735251 B1 KR100735251 B1 KR 100735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 portable terminal
- image
- video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 출력 방법에 있어서, 녹음을 시작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음성 녹음을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녹음 진행중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녹음을 정지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녹음된 음성을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에 상기 녹음된 음성을 삽입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음성이 삽입된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utputting an image with audio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performing a voice recording on at least one image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image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key signal to start recording is input; Checking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while the voice recording is in progress; storing a recorded voice in a buffer when the set time elapses or a key signal for stopping recording is input; and inserting the recorded voice into the image. And reproducing the video into which the voice is inserted when a user requests for reproducing.
대그룹, 소그룹, 데이터 구조, 음성 녹음Large Group, Small Group, Data Structure, Voice Record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들을 그룹별로 설정하는 흐름도.2A is a flowchart of setting images in group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을 만드는 흐름도.2b is a flowchart of making an image with voic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an image having audio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대그룹을 표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large group i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소그룹을 표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mall group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나 타낸 흐름도.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을 갖는 영상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king an image having sound.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영상은 신호 처리 및 영상 처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할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다. 즉, 영상을 확대, 축소, 합성 등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음성은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음성도 출력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general,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when a user captures an image, the image is signal processed and image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user can store the captured image in the memory if desired. The user may edit the photographed images. That is, the image may be processed and output in a shape and size desired by a user such as enlargement, reduction, and synthesis. However,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an image in the portable terminal, no audio is outpu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method in which an audio can also be output in outputting an image from a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음성을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at the same tim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에 삽입할 음성을 녹음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cording a voice to be inserted into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들을 그룹별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images in groups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 출력 방법에 있어서, 녹음을 시작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음성 녹음을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녹음 진행중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녹음을 정지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녹음된 음성을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에 상기 녹음된 음성을 삽입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음성이 삽입된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video output method having a voice in a portable terminal, when a key signal to start recording is input, a voice for at least one video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image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process of recording,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while the voice recording is in progress, a process of storing the recorded voice in a buffer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or a key signal for stopping recording is input; And inserting the recorded voice and reproducing the video into which the voice is inserted when a user requests a playback.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을 갖는 영상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영상을 포함하는 그룹들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영상 각각에 대한 음성 녹음을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룹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영상 및 그 영상에 대응되는 음성을 함께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output method having a voice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setting 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set group Performing a voice recording for each, and playing back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selected group and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mage when a request for reproducing the group selected by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groups;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1)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23)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각종 기능키들은 소그룹 설정키, 대그룹 설정키, 녹음 시작키, 녹음 정지키, 저장키, 선택키, 계속키 등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복수개의 동작을 수행하는 키로서, 네비게이션키, 숫자키, 문자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키들의 조합으로도 기능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메모리(1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인식모드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버퍼(130)는 녹음된 음성을 일시적 으로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모리(129)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도 2b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영상입력부(150)는 카메라, 캠코더, 스캐너 등 영상을 입력하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입력부(150)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입력부(150)를 내장형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하여 사용하는 외장형 영상입력부(150)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신호처리부(160)는 상기 영상입력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160)는 디지털 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70)는 상기 신호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7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180)의 규격에 맞도록 전송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한다. The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127)의 키신호를 입력받아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80)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80)를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한다면, 상기 키입력부(127)와 상기 표시부(180)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음성을 녹음할 때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80)는 상기 영상처리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The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들을 그룹별로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을 만드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상기 도 2a와 상기 도 2b와 상기 도 3과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129)에 저장된 영상들을 그룹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영상에 음성을 삽입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2A is a flowchart of setting images by group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flowchart of making an image with audio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an image having audio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2A, 2B, 3, and 4, a process of setting images stored in the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들을 보기 위해 상기 키입력부(127)의 영상 목록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목록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들을 의미하며, 상기 영상 목록키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들을 볼 수 있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키이다.When the user presses the image list key of the
상기 2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10)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영상목록 키신호가 아니면 초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영상목록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고 2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부(180)는 상기 도 3의 (a)와 같이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현재 저장된 영상들이 12개라고 가정하지만 상기 메모리(129)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소그룹 설정 키신호가 아니면 221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소그룹 설정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소그룹으로 설정할 영상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고 2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부(180)는 상기 도 3의 (b)와 같이 소그룹으로 설정할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소그룹은 하나의 카테고리를 가지고 다양한 영상들을 분류하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프라는 카테고리를 가지고 3개의 영상(①, ⑦, ⑨)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b)에서, ⑨의 영상 밑에 있는 아이콘은 음성이 있는 영상이라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도 2b에서 설명한다.In
상기 2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선택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207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선택 키신호이면 상 기 제어부(110)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선택키는 소그룹으로 설정할 영상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로서, 상기 도 3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선택키를 이용하여 ①, ⑦, ⑨의 영상들을 선택한다. In
상기 2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제목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고 213단계를 진행한다. 선택된 영상들에 대해 사용자는 제목을 입력하기 위해 문자키 등을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목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①, ⑦, ⑨의 영상들이 와이프와 관련된 영상들이라 가정하면, 사용자는 와이프라는 카테고리를 제목으로 사용할 것이다.In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저장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211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저장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1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설정된 소그룹을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129)를 제어하고 217단계를 진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b)와 같이 와이프와 관련된 ①, ⑦, ⑨의 영상들과 와이프라는 소그룹 제목을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129)를 제어한다. In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계속 키신호이면 상기 207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계속 키신호가 아니면 상 기 제어부(110)는 219단계를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영상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소그룹을 설정하고 싶으면, 상기 계속키를 누르면 된다. In
상기 2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대그룹 설정 키신호가 아니면 235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대그룹 설정 키신호가 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2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소그룹 목록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고 22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부(180)는 상기 도 3의 (c)와 같이 소그룹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In
상기 2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선택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223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선택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2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선택키는 대그룹으로 설정할 소그룹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로서, 일 예로 상기 도 3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선택키를 이용하여 (1), (2)의 소그룹들을 선택한다. In
2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상기 소그룹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문자키 등을 입력받아 대그룹의 제목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고 229단계를 진행한다. 사용자는 와이프와 관련된 영상들의 소그룹과 아들과 관련된 영상들의 소그룹을 하나의 대그룹으로 설정한다. 일 예로, 상기 도 3의 (c)와 같이 사용자가 대그룹의 제목을 "가족"이라고 정했다. 즉, 사용자는 상기 "가족"이라는 카테고리를 가진 와이프와 아들의 소그룹들을 하나의 대그룹으로 설정한 것이다.In
상기 22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저장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227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저장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3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3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설정된 대그룹을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129)를 제어하고 233단계를 진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c)와 같이 선택된 소그룹들과 입력된 제목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129)를 제어한다.In
상기 23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계속 키신호이면 상기 223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계속 키신호가 아니면 219단계를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소그룹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대그룹을 설정하고 싶으면, 상기 계속키를 누르면 된다. In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종료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203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종료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종료를 원하지 않으면, 소그룹, 대그룹 또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03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한다.In
상기 23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영상 선택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203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영상 선택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3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상기 소그룹 설정키, 상기 대그룹 설정키, 상기 영상 선택키를 누르지 않았기 때문이며, 일정시간(일 예로 1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종료하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In
상기 23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고 23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부(180)는 상기 도 3의 (d)와 같이 선택된 영상 ⑥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39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 또는 입력신호가 녹음 시작 신호가 아니면 상기 237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 또는 입력신호가 녹음 시작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4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입력은 상기 도 3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녹음시작/정지"를 한번 터치하면 된다.In
상기 24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 녹음을 진행하고 24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4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설정된 시간(음성 녹음이 가능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설정시간(일 예로 1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246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상기 제어부(110)는 24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4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더 이상 음성 녹음을 할 수 없다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 시부(180)를 제어하고 247단계를 진행한다. In
상기 24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 또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 또는 입력신호가 녹음 정지 신호가 아니면 상기 241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 또는 입력신호가 상기 녹음 정지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4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녹음 정지 신호는 상기 설정된 시간(일 예로 1분)이전에 발생되는 신호일 것이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입력은 상기 도 3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녹음 시작을 위해 "녹음시작/정지"를 한번 터치하고, 녹음 정지를 위해 "녹음시작/정지"를 다시 한번 터치하면 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언급은 없지만, 터치스크린의 입력으로도 상기 키입력부(127)의 키입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In
상기 24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녹음된 음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상기 버퍼(130)를 제어하고 24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버퍼(130)는 설정된 시간만큼 녹음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고, 녹음 정지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까지 녹음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24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저장 키신호가 아니면 253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저장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51단계를 진행한다. In
상기 25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37단계에서 선택한 영상에 상기 버퍼(130)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음성을 삽입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129)를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129)는 상기 도 4와 같은 데이터의 구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도 4는 연속되는 영상에 음성이 삽입되는 데이터 구조로서, 상기 데이터의 구조는 슬라이드 헤더, 슬라이드의 포인터, 슬라이드의 텍스트 정보, 슬라이드의 음성정보 등을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나열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언급한 소그룹 및 대그룹을 통칭하여 상기 슬라이드라고 정의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는 소그룹이 될 수 있고, 대그룹이 될 수 있다. In step 251, the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헤더(401)는 슬라이드의 종류, 슬라이드 이름, 슬라이드 장수, 지연시간의 정보가 들어 있다. 슬라이드의 포인터(402, 411)는 각각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지시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들을 구분할 수 있다. 슬라이드의 텍스트 정보(403, 412)는 텍스트 정보 길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의 음성정보(404, 413)는 음성정보 길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25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삭제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251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삭제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1)는 25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51단계를 반복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저장키 또는 삭제키를 누르지 않았기 때문이며, 일정시간(일 예로 1분) 동안 상기 저장키 또는 상기 삭제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녹음되었던 음성을 영상에 삽입하여 저장하겠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녹음되었던 음성을 영상에 삽입하여 저장하지 않고, 삭제할 수 있다.
In
상기 25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을 삭제하도록 상기 버퍼(130)를 제어하고 25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5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계속 키신호가 아니면 종료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계속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2a의 203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는데, 상기 표시부(180)는 상기 도 3의 (a)와 같이 복수개의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3 (a)에서 영상 ⑥과 ⑨는 음성을 가진 영상으로서, 재생을 하게되면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대그룹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소그룹을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와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음성 녹음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설정된 대그룹 및 소그룹을 어떻게 표시되고 재생되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5 is a view showing a large group i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mall group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nd FIG. 6, as another embodiment, the user will learn how to record a voice. We will also look at how large and small groups are displayed and played back.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대그룹은 3개의 소그룹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네비게이션키, 선택키 등을 이용하여 소그룹별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그룹 ①을 선택하면, 상기 표시부(180)는 상기 도 6과 같이 소그룹을 표시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음성 녹음을 할 영상을 선택하면, 다른 영상들보다 크게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녹음시작/정지"를 한번 터 치하면 음성 녹음은 시작되고, 상기 "녹음시작/정지"를 한번 더 터치하면 음성녹음은 완료된다. 상기 도 5의 대그룹에서, 사용자가 소그룹 ①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도 6과 같이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소그룹 ①을 표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3개의 영상들은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영상들이 선택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음성을 가진 영상이 있으면, 영상과 함께 음성이 재생된다.Referring to FIG. 5, one large group may be composed of three small groups, and the user may select each small group using a navigation key, a selection key,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과 상기 도 4와 상기 도 5와 상기 도 6과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영상을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4, 5, 6, and 7, the operation of the
상기 도 5에서 사용자가 소그룹 ①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7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7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6과 같이 상기 소그룹 ①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하고 703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소그룹 ①은 3개의 영상들이 있고, 상기 영상들은 네비게이션키 또는 선택키에 따라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영상들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한다는 가정 하에 설명한다.If the user selects the
상기 7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되는 키신호가 재생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701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재생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705단계를 진행한다.
In
상기 7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슬라이딩되면서 재생되는 영상이 음성을 가지고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재생되는 영상이 음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709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재생되는 영상이 음성을 가지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707단계를 진행한다. 음성을 가진 영상은 최초 재생되는 시점부터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4와 같은 데이터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음성정보 또는 영상정보와 관련된 정보 등을 알 수 있다. In
상기 7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이 재생되는 시간 동안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한다. 상기 7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일 예로 10초) 동안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180)를 제어한다. 상기 도 7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하나의 영상에 대해 재생할 수 있고, 연속적인 재생키의 입력에 따라 연속적으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In step 707, th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영상을 이용하는 기기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와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으로 하는 기기이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프레젠테이션의 목차를 대그룹 및 소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프레젠테이션의 자료에 대한 설명을 음성으로 녹음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그룹 중에 하나의 소그룹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상기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재생하고, 녹음된 음성을 재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devices using images as well as portable terminals. That is, if the device comprises 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a memory for storing the imag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input unit, the memory, and the display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cable. I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presentation material may be stored in a memory, the contents of the presentation may be set in large and small groups in a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material of the presentation may be recorded by voice. When the user selects one small group from the large group, the controller can automatically play the presentation material and play the recorded voic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영상에 삽입함으로써, 영상에 따른 음성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하나의 카테고리를 그룹별로 설정함으로써, 영상 자료들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using the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ideo by inserting the audio into the video in the portable terminal, by setting one category for each group, the advantage that can conveniently manage the video data There is this.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9588A KR100735251B1 (en) | 2003-05-10 | 2003-05-10 | Video output method with audio in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9588A KR100735251B1 (en) | 2003-05-10 | 2003-05-10 | Video output method with audio in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6694A KR20040096694A (en) | 2004-11-17 |
KR100735251B1 true KR100735251B1 (en) | 2007-07-03 |
Family
ID=3737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95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251B1 (en) | 2003-05-10 | 2003-05-10 | Video output method with audio in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52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47216A1 (en) * | 2006-12-19 | 2008-06-19 | Sandisk Il Ltd. | Secured Storage Media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1817A (en) * | 1999-03-31 | 2000-10-25 | 윤종용 |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picture data, and opera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
KR20010018540A (en) * | 1999-08-20 | 2001-03-05 | 윤종용 | Method for editing photograph and voice together in camera-phone |
JP2001309221A (en) | 2000-04-24 | 2001-11-02 | Fuji Photo Film Co Ltd | Camera |
KR20010106869A (en) * | 2000-05-23 | 2001-12-07 | 스마트아이엔티 주식회사 | The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that have voice recording function. |
KR20030051941A (en) * | 2001-12-20 | 2003-06-26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phon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compounding image and sound using mobile phone |
-
2003
- 2003-05-10 KR KR1020030029588A patent/KR1007352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1817A (en) * | 1999-03-31 | 2000-10-25 | 윤종용 |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picture data, and opera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
KR20010018540A (en) * | 1999-08-20 | 2001-03-05 | 윤종용 | Method for editing photograph and voice together in camera-phone |
JP2001309221A (en) | 2000-04-24 | 2001-11-02 | Fuji Photo Film Co Ltd | Camera |
KR20010106869A (en) * | 2000-05-23 | 2001-12-07 | 스마트아이엔티 주식회사 | The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that have voice recording function. |
KR20030051941A (en) * | 2001-12-20 | 2003-06-26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phon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compounding image and sound using mobile 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6694A (en) | 2004-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207726A1 (en) | Portable multimedia electronic device | |
JP2003111031A (en) | Portable electronic image display device and audio player,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capturing a plurality of digital images | |
EP1819141A1 (en) | Multi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for portable device | |
JP2003008946A (en) | Image pickup device | |
KR101434498B1 (en) | How to manage your mobile device and its videos | |
WO2006112429A1 (en) | Recording device | |
JP4578831B2 (en) |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ording / reproducing video signal and / or audio sig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2007003112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reproducing media data in a mobile terminal | |
KR100735251B1 (en) | Video output method with audio in portable terminal | |
EP1850344A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a program | |
US20060070000A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CN100385564C (en) | Composite system with multiple reproduction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ling its operation | |
WO2020038290A1 (en) | Bookmark display method and device | |
EP1583363A1 (en) | Portable mulitmedia electronic device | |
US8195314B2 (en) | Method of reproducing previous audio file in multimedia device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 |
US7974518B2 (en) | Record reproducing device, simultaneous record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simultaneous record reproduction control program | |
JP3708922B2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 |
JP2006352485A (en) |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 |
KR20080093567A (en) | How to display mobile terminal and video list | |
JP2004215123A (en) | Image reproduc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image reproduction program | |
KR100211327B1 (en) | Method of concurrently processing video and audio in a home automation device | |
JP4055585B2 (en) | Content information playback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 |
JP3096532U (en) | Optical disc playback device | |
KR100658900B1 (en) | TV broadcasting receiver multimedia data processing device | |
KR100772368B1 (en) |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reproducing image signal and/or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5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