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5157B1 -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157B1
KR100735157B1 KR1020060083828A KR20060083828A KR100735157B1 KR 100735157 B1 KR100735157 B1 KR 100735157B1 KR 1020060083828 A KR1020060083828 A KR 1020060083828A KR 20060083828 A KR20060083828 A KR 20060083828A KR 100735157 B1 KR100735157 B1 KR 10073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ank
bubbles
bubble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진욱
Original Assignee
염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진욱 filed Critical 염진욱
Priority to KR102006008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거품제거장치는 액체가 배출되는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하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는 거품차단탱크와, 상기 거품차단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거품차단탱크의 하부가 액체에 잠기어 공간부의 밀폐 시 대기압 또는 주위의 압력과 상기 공간부 내의 압력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차 발생방지부재를 구비한다. 이 거품제거장치는 거품제거 탱크 내에서 거품을 소멸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로 거품이 노출되는 것을 근본 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거품제거탱크, 충격, 거품소멸

Description

거품제거장치{apparatus of removing bub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가 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품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에 완충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액체의 배출 시에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약품이 함유된 액체, 오수, 폐수 등은 배출시 액체 상호간의 충격으로 액체가 배출되는 장소에 다량의 거품이 발생된다. 오픈 된 탱크 내에서 발생된 거품은 탱크를 넘쳐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오수의 방류 시 하천 등에서 발생된 거품은 오염되었다는 혐오감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거품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액체의 배출속도를 줄이면서 벽면을 따라서 공급하거나 발생한 기포를 탈포장치로서 제거한다. 그러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서 액체의 배출속도를 줄이는 것은 액체의 매출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탈포(脫泡)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설비의 시설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거품을 제거하는 탈포 작업시에는 액체의 공급을 중단하여야 하고, 고농도의 액체를 넣는 경우는 탈포가 곤란하다.
그밖에 초음파나 원심력 등을 이용하여 탈포하는 제안도 되어 있지만 이러한 것들은 설비를 설치 시 과도한 비용이 소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2-19808호 공보에는 탱크에 액체를 공급하는 때에 탱크내의 액체 낙하부에 벽을 설치하고, 이것으로서 액체 낙하시의 거품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장치를 사용하면 대량의 액체를 급속으로 공급할 수 있지만, 장벽 통과후의 액체가 난류로 되어서 탱크에 공급되기 때문에, 장벽 통과후의 액체에도 다소의 기포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벽에 공급된 액체중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도 곤란하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379876호 공보에는, 상방에 요철형 곡면을 갖는 액체 안내부재를 탱크내의 액체중에 침적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안내부재 상부에 액체 공급관이 배설되어 있는 액체 공급장치가 개시되었다.
이 장치에서는 공급액체가 비산 함에 의한 거품발생은 방지할 수 있지만, 액체 안내부재 상을 흘러내리는 액체가 난류 상태이기 때문에 유속이 빠르면 거품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공급된 액체중의 기포를 제거할 수도 없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995-09060호에는 거품을 형성시키지 않고 탱크에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장치는 탱크 중앙의 소정 높이 중앙 위치를 정점으로 하고, 그 하단이 탱크 내주벽면 근방으로 연장하는 하강사면을 갖는 액체 안내부와, 이 액체 안내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유로 형성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는 하강서면을 갖는 안내부에 의해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거품을 줄인다하여도 경사면과 탱크내의 액체가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되는 액체로부터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는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용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품제거장치는,
액체가 배출되는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하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는 거품차단탱크와, 상기 거품차단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거품차단탱크의 하부가 액체에 잠김에 따른 공간부의 밀폐 시 대기압 또는 주위의 압력과 상기 공간부의 압력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차 발생방지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가 개방된 거품 차단탱크는 개방된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넓이가 접차 좁아진다. 그리고 상기 거품차단탱크의 내부에는 거품의 제거하기 위한 단부가 첨예한 돌기들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차 발생 방지부재는 상기 거품차단탱크의 상면에 공간부와 연통 되도록 설치되는 연통관을 구비하며, 이 연통관에는 밸브가 설치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는 액체가 공급관을 통하여 탱크 또는 용기로의 배출 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거품제거장치(10)는 액체 저장탱크(100)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0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급관(200)의 단부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부(11)를 가지는 거품 차단탱크(12)와, 상기 거품차단탱크(12)에 설치되어 상기 거품차단탱크(12)의 하부가 액체에 잠김에 따른 공간부의 밀폐 시 대기압 또는 주위의 압력과 상기 공간부의 압력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차 발생방지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거품차단탱크(12)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에서 공급관(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거품이 공간부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제거탱크(12)의 공간부(11)가 하단부 측으로부터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품제거탱크(12)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와 탱크(100) 내의 유체의 충돌에 따른 충격으로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완만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30)가 더 구비된다. 이 완충부재는 상기 공급관(200)의 배출 측과 대응되는 측에 위치된 첨예한 한 지점(3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완만한 경사면(32)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 측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부(33)가 형성되어 속도가 극격히 줄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30)는 거품제거탱크(12)의 내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3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거품제거탱크(12)의 내면에는 거품을 터트리기 위하 첨예한 돌기(40)들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품제거탱크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거품을 가두어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압력차 발생방지부재(20)는 상기 거품제거탱크(12)의 상면에 내부의 공간부(11)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연통관(21)과 이 연통관(21)에 설치되는 밸브(22)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차 발생방지수단(2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공간부(11) 내의 압력과 외부압력 즉, 대기압 또는 탱크(100) 내의 압력이 평행을 이룰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10)의 거품제거탱크의 하단부가 탱크 내의 액 체(300)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공간부(11)가 외부와 밀폐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급관(200)으로부터 거품이 발생되는 액체가 공급도면, 이 액체는 상기 거품제거탱크(12) 내부의 액체와 충돌하면서 거품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거품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거품제거탱크(12)의 내부에서 소멸되게 된다.
특히, 이때에 상기 거품제거탱크(12)의 내부 공간부는 압력차 발생방지부재(20)에 의해 공간부(11)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평형을 이룬 상태이므로 상기 공급관(200)으로 공급된 액체는 거품제거탱크(12)의 하면에 개방된 부위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거품제거탱크(12)의 내부의 수위는 탱크의 수위와 항상 일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거품제거탱크(12)의 내에서 발생된 거품은 공간부(11)의 내부가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되므로 거품의 소멸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부에는 거품을 터트리기 위한 첨예한 돌기(40)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품의 소거를 가속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제거탱크(12)의 내부에는 완충부재(30)가 설치되어 공급관(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거품제거탱크(12) 내의 액체와 충돌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어 거품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공급관(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는 완충부재(30)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된 액체가 일부에 집중하지 않고 상기 완충부재의 주방향(周方向)에 적절하게 분산된다. 더욱이 완충부재(30)의 경사면의 각도는 5-10°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면(32)을 흐르는 액체는 액체방울이 형성되지 않고 적절한 유속으로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공급한 액체가 일부에 집중함에 의한 공기의 혼입이나 액체방울의 발생에 의한 공기의 혼입 등이 없게 되어 거품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품제거장치는 고가의 설비나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대량의 액체의 배출시 거품의 발생을 줄이고 거품제거탱크의 공간부내에서 소멸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거품의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는 점도가 0.4-500 포이즈의 수성액체나 유성액체를 도포제로 하는 도포조 또는 점착풀 도공용 탱크 혹은 액상의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저장(storage) 탱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액체가 배출되는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하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는 거품차단탱크와, 상기 거품차단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거품차단탱크의 하부가 액체에의해 잠김에 따른 공간부의 밀폐 시 대기압 또는 주위의 압력과 상기 공간부의 압력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차 발생방지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 개방된 거품 차단탱크는 개방된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넓이가 접차 좁아지며, 상기 거품차단탱크의 내부에는 거품의 제거하기 위한 단부가 첨예한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 발생 방지부재는 상기 거품차단탱크의 상면에 공간부와 연통 되도록 설치되는 연통관을 구비하며,
    상기 거품저장탱크의 내부에는 공급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의 흐름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기 위한 경사면을 가진 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KR1020060083828A 2006-08-31 2006-08-31 거품제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28A KR100735157B1 (ko) 2006-08-31 2006-08-31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28A KR100735157B1 (ko) 2006-08-31 2006-08-31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157B1 true KR100735157B1 (ko) 2007-07-03

Family

ID=3850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8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157B1 (ko) 2006-08-31 2006-08-31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1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925B1 (ko) 2011-11-11 2014-01-24 한상천 거품수집 및 파쇄장치
KR101590302B1 (ko) * 2015-07-28 2016-02-01 (주)데어리텍 기포 제거 장치 및 집유 시스템
CN105944405A (zh) * 2016-06-27 2016-09-21 江苏宝钢精密钢丝有限公司 回液池用消泡装置
KR101808350B1 (ko) * 2011-02-21 2017-12-1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분 셀룰로오스의 회수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제조 방법
CN116163495A (zh) * 2023-03-06 2023-05-26 山东田兴建工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改造外墙外保温工艺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060A (ko) * 1993-09-29 1995-04-21 히로시 하마다 거품을 형성시키지 않고 탱크에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장치와, 상기 장치를 구비한 탱크
US6460830B1 (en) 1997-01-08 2002-10-08 Carbofil International Device for stirring and aerating a liquid and eliminating foam in a tank for treating said liquid
JP2003103110A (ja) 2001-09-28 2003-04-0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液体の脱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04338B1 (ko) 2005-11-22 2006-07-25 홍원기 기포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060A (ko) * 1993-09-29 1995-04-21 히로시 하마다 거품을 형성시키지 않고 탱크에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장치와, 상기 장치를 구비한 탱크
US6460830B1 (en) 1997-01-08 2002-10-08 Carbofil International Device for stirring and aerating a liquid and eliminating foam in a tank for treating said liquid
JP2003103110A (ja) 2001-09-28 2003-04-0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液体の脱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04338B1 (ko) 2005-11-22 2006-07-25 홍원기 기포 제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350B1 (ko) * 2011-02-21 2017-12-1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분 셀룰로오스의 회수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제조 방법
KR101343925B1 (ko) 2011-11-11 2014-01-24 한상천 거품수집 및 파쇄장치
KR101590302B1 (ko) * 2015-07-28 2016-02-01 (주)데어리텍 기포 제거 장치 및 집유 시스템
WO2017018827A1 (ko) * 2015-07-28 2017-02-02 (주)데어리텍 기포 제거 장치 및 집유 시스템
CN105944405A (zh) * 2016-06-27 2016-09-21 江苏宝钢精密钢丝有限公司 回液池用消泡装置
CN105944405B (zh) * 2016-06-27 2018-02-09 江苏宝钢精密钢丝有限公司 回液池用消泡装置
CN116163495A (zh) * 2023-03-06 2023-05-26 山东田兴建工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改造外墙外保温工艺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157B1 (ko) 거품제거장치
US2610697A (en) Gas and liquid separator apparatus
JPH09287533A (ja) 燃料タンクのガス排出装置
CN104096491B (zh) 反气泡发生器及制备方法
US360698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gases
KR101457237B1 (ko) 통기 밸브
US4356131A (en) Circulating device for liquids containing long-chain molecules
KR20110017394A (ko) 유체 처리 장치
WO2007002129A3 (en) Mixing system for increased height tanks
JP3694461B2 (ja) 消泡装置
JP4814964B2 (ja) 生物濾過処理用浮上濾材層の自動洗浄装置
CN113804357B (zh) 液管内的气泡推进方法及气泡筛选推进器
JP3770133B2 (ja) 気体溶解装置
KR20150058626A (ko) 거품 저감을 위한 수중위어를 갖는 방류구조물
JP5850644B2 (ja) 泡放出装置、泡放出方法及び泡放出装置の設計方法
JP2019103787A (ja) 固定式コーンルーフタンクの消火システム
US4159726A (en) Liquid filling device with automatic shut-off sensor
US3169561A (en) Defoaming system
JP4139824B2 (ja) 泡放出機構及び泡放出装置
JP2008032091A (ja) 配管構造
US7591278B1 (en) Sewer system vent monitor
JP2011139972A (ja) 気泡除去装置及び基板処理装置
JPH0429703A (ja) アキュムレータ
JP2007125545A (ja) 排水処理装置
JP2020157257A (ja) 気液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15-X000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806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62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