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4476B1 -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476B1
KR100734476B1 KR1020050062592A KR20050062592A KR100734476B1 KR 100734476 B1 KR100734476 B1 KR 100734476B1 KR 1020050062592 A KR1020050062592 A KR 1020050062592A KR 20050062592 A KR20050062592 A KR 20050062592A KR 100734476 B1 KR100734476 B1 KR 10073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vehicle
road safety
light source
cur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795A (ko
Inventor
이원섭
Original Assignee
경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경기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5006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4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4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2Self-contained devices for melting dislodged snow or ice, e.g. built-in melting chambers, movable meltin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관측이 불가능한 급커브길에서 운전 차량의 진입시나 반대편 차량의 진입시 자동으로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작동하여 커브길에서의 도로 상황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일형의 루프 센서로 도로의 바닥에 매설되어 차량의 통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센서에 의해 차량이 진입하고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과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표시하는 안내부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원공급이 어려운 도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도로의 바닥에 차량 주행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에만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커브길에서 진행 방향과 맞은편 도로에서의 차량 진입 여부를 동시에 알 수 있으므로 방어 운전으로 커브길에서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브길, 도로, 안전장치, 표지판, 히팅코일

Description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Safty Signal Apparatus for Curved Road using Solar cell}
도 1은 도로에서의 급커브를 알리기 위한 종래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커브길에서 맞은 편의 차량 진입 여부를 알리기 위한 종래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의 안내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의 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면의 결빙 방지를 위한 코일을 구비한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내지 18 : 차량 감지 센서
19 : 히팅 코일
20 : 태양전지
30,30a,30b : 안내부 31, 32 : 광원
34 : 제어부 35 : 케이스
36 : 표시판 37, 38 : 표시부
100,100a : 진행 차량 200,100b : 맞은 편 차량
본 발명은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 관측이 불가능한 급커브길에서 운전 차량의 진입시나 반대편 차량의 진입시 자동으로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작동하여 커브길에서의 도로 상황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도로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인의 생활에 있어서 필수 생활용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교통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운전자가 도로 지형에 대해 미리 숙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특히 운전자가 낯선 곳을 주행할 경우 전방의 급커브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과속으로 인해 도로를 이탈하게 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급커브길에 대한 도로 상황을 운전자에게 미리 인지시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커브길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로의 일 측을 따라 설치되는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도 1과 같이 직사각형의 금속평판(1)에 갈매기 모양(≪≪)의 반사지(2)를 부착하여 지지대(3) 상측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여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커브길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미리 급커브길에 대한 대비를 하도록 하여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반사지(2)를 이용한 표지판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화되거나 먼지나 차량에서 발생하는 매연이 반사지(2) 표면에 쌓이게 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지 못하여 도로 안전 표지판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못하게 되고, 반사지(2)가 자외선에 의해 표면이 갈라지거나 쉽게 훼손되어 주기적으로 반사지(2)를 보수하고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커브길에 고정된 도로 안전 표지판은 야간에 차량 주행시 전조등 불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차량이 표지판에 가까이 접근하여야만 빛의 반사가 선명하게 인지되므로 운전자는 순간적으로 당황하게 되어 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로 안전 표지판으로 야간 운전자에게 먼 거리에서도 명확하게 표지판을 인지할 수 있도록 빛의 발산이 우수한 LED 를 이용한 안전 표지판이 개발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표지판은 반사지를 이용한 표지판에 비해 빛의 발산이 우수하여 먼 거리에서도 인지가 가능하며,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LED를 이용한 표지판은 LED를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커브길이 많은 산간지역에서는 전원을 공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로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안전 표지판의 LED는 차량의 통행 여부에 상관없이 계속 빛을 발하게 되므로 전력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급커브길에서의 차량 운행에서 운전자는 전방 관측이 불가능하므로 맞 은 편에서 다른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당황하게 되고, 심지어 맞은편 차량과 충돌을 하게 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 표지판들은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대해서만 커브길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전방 관측이 어려운 커브길에서의 맞은 편 차량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이를 위해 급커브길에는 도로의 방향을 표시하는 안전 표지판 외에 맞은편 차량의 진입에 대한 정보를 위해 도 2와 같이 볼록 거울을 이용한 반사경(4)을 지지대(5)에 부착하여 커브길의 가장자리에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커브길의 양 방향에서 진입하는 운전자는 반사경(4)을 통해 맞은편의 차량 진입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반사경 또한 먼지나 차량의 매연 등이 표면에 쌓이게 되면 맞은편의 정보를 선명히 나타내지 못하며, 특히 시야가 흐리거나 야간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맞은편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기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산간 지역의 커브길에 설치되기 위한 안전 표시 장치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고, LED나 EL 시트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대해 인지도가 우수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의 바닥에 차량 주행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에만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브길에서 차량 진행 방향과 함께 맞은편 도로에서의 차량 진입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여 커브길에서의 사고를 방지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커브길에서의 주행시 급커브에 대한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차량의 통행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점등되고, 제 2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소등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에만 점등되는 제 1광원, 상기 차량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광원을 점멸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 1광원과 제어부가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어 케이스 내부를 보호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이 표시된 제 1표시부로 상기 제 1광원의 빛이 투광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표시판,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케이스와 표시판을 연결하여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로 구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커브길에서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센서부는 맞은 편에서의 차량 진입 여부를 감지 하는 제 3 및 제 4감지 센서와,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3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점등되고, 제 4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소등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에만 점등되는 제 2광원과, 상기 표시판에는 상기 제 2광원의 빛이 투광되어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표시하는 제 2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매설되는 히팅 코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부(30)는 센서에 의해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점멸되는 제 1광원(31)과, 센서의 신호에 의해 광원을 점멸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34), 제 1광원과 제어부가 내장되는 케이스(35),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어 케이스 내부를 보호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이 표시된 제 1표시부(37)로 제 1광원의 빛이 투광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표시판(36),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케이스와 표시판을 연결하여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39)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광원(31)으로는 빛의 발산이 우수하며 야간 운전자에 게 먼 거리에서도 명확하게 안내부(30)가 인지될 수 있는 광원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나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이하 'EL'이라 함)가 이용되며, 이러한 소자는 광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광원(31)은 케이스(35) 내면에 인쇄회로기판 형태의 제어부(34)에 부착되어 구성되거나 별도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원(31)의 형상은 표시판(36)에 형성된 제 1표시부(37)와 동일하고, 도로의 곡선 형태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갈매기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4)는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케이스(30) 내부에 배치되며, 센서(도6의 11,12)에 의해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광원(31)을 점멸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판(36)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이나 아크릴 필름 등으로 구성되고, 표시판(36)의 내측 표면에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갈매기 형상의 제 1표시부(37)가 형성되어 제 1표시부(37)로 상기 제 1광원(31)이 투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표시부(37)에는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하도록 하고, 원거리에서도 운전자에게 명확히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판(36)은 케이스(35) 내에 먼지나 차량의 매연,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스(35) 내부를 보호하게 되며, 이를 위해 케이스(35)의 둘레와 동일한 형상의 플랜지(39)에 의해 케이스(35)와 고정되어 부착된다. 이 경우 플랜지(39)와 케이스(35) 사이에는 고무 패킹(미도시)을 삽입하여, 플랜지(39)와 케이스 (35)의 접촉을 더욱 치밀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안내하는 표시부가 더 구비된 안내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만을 안내하는 도 3의 안내부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맞은 편에서 차량이 진입 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점멸되는 제 2광원(32)과, 제 2광원의 빛이 투광되어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표시하는 제 2표시부(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광원(32)은 도 3에서의 제 1광원(3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광원(32)의 형상은 표시판(36)에 형성된 제 2표시부(38)와 동일하도록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나타내는 자동차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표시부(38)는 도 3에서의 제 1표시부(37)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표시부(38)의 형상은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나타내는 자동차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1표시부(37)와 제 2표시부(38)는 운전자에게 구분이 용이하도록 서로 다른 색깔의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 광원(31)을 점멸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여 공급할 수도 있으나, 산골지역 등 외부로부터 전원을 연결하기 어려운 경우를 위해 태양전지(20)를 이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태양전 지(20)는 솔라셀(21)과 축전지 및 인버터, 제어기가 구비된 함체(22)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태양전지(20)는 주간에는 태양으로부터의 빛을 이용해 전원을 충전시키고, 야간에 감지 센서(11 내지 18)에 의해 차량(100)이 통행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광원(3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점등으로 인한 내구성의 저하와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또한 후술하는 히팅 코일(도11의 19)에 전원을 공급하여 코일을 가열함으로써 겨울철 도로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태양전지(20)는 도 5와 같이 안내부(30)와 별도로 설치되어 구성되지만, 안내부(30)의 일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의 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만을 안내하는 안내부(가)와 차량의 진행 방향과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모두 안내하는 안내부(나)를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안내부(30)는 지지대(40)에 부착되어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진행중인 차량의 정면을 향하여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설치된다.
표시부(37,38)와 광원(31,32)은 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이 진행하거나 맞은 편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진행 방향과 맞은 편 차량의 진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며 점멸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안내부(30)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도 6에 있어서, 진행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갈매기 형상의 표시부(37)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고, 맞은 편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형상의 표시부(38)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었고, 도 8은 차량의 진행 방향과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안내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 9는 양쪽 방향에서의 차량의 진행방향과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안내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개의 안내부(30)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진행 차선 도로의 바닥에는 차량(100)의 통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코일형의 루프 센서(11,12)가 매설된다. 센서(11,12)는 차량(100)이 커브길로 진입하기 전, 즉 차량(100)이 진행하는 방향에서의 첫번째 안내부(30)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미터 이상 떨어진 곳(d)에 매설되어 진행중인 차량(100)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1감지 센서(11)와, 차량(100)이 커브길을 통과한 후, 즉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안내부(30)가 설치된 곳에 매설되어 차량(100)의 통과를 감지하는 제 2감지 센서(1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100)이 제 1감지 센서(11)를 통과하는 경우 안내부(30)의 제 1광원(31)이 점등되고 갈매기 형상의 제 1표시부(37)를 투광하여 차량(100)이 회전하여야 하는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광원(31)이 수개인 경우(표시부가 수개인 경우) 광원(31)은 회전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점멸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안내부(30)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차량(100)이 제 2감지 센서(12)를 통과하는 경우 안내부(30)의 제 1광원(31)은 소등되고, 본 발명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한편, 두대 이상의 파량이 통과하게 되는 경우 선행하는 차량 제 2감지 센서(12)를 통과하기 전에 후행하는 차량이 제 1감지 센서(11)를 통과하는 경우, 선행 차량이 제 2감지 센서(12)를 통과하더라도 점등 상태는 계속 유지되고, 후행하는 차량이 제 2감지 센서(12)를 통과할 때 소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비교하여 맞은 편 차량(200)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코일형의 루프 센서(13,14)가 더 매설된다. 센서(13,14)는 맞은 편 차선에서의 차량(200)이 커브길로 진입하기 전과 커브길을 통과하는 위치, 즉 도 6에서의 제 1 및 2감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3및 제 4감지 센서(13,14)가 매설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맞은 편 차량(200)이 제 3감지 센서(13)를 통과하는 경우 안내부(30)의 제 2광원(32)이 점등되고 자동차 형상의 제 2표시부(38)를 투광하여 진행 차량(100)에게 맞은 편에서 차량(200)이 진입하고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광원(32)이 수개인 경우(표시부가 수개인 경우) 광원(32)은 맞은 편 차량(200)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점멸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안내부(30)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맞은 편 차량(200)이 제 4감지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 안내부(30)의 제 2광원(32)은 소등되고, 본 발명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커브길에서 진행 중인 차량(100)의 운전자는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11,12)에 의해 커브길에서 진행 방향을 알 수 있고, 제 3및 제 4감지 센서(13,14)에 의해 맞은 편에서의 차량(200)의 진입 여부를 알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30a,30b)는 양 방향에서 진행하는 차량(100a,100b)에 대해 커브길에서의 진행 방향과 서로 맞은 편 차량의 진입 여부를 동시에 알 수 있도록, 도로의 곡률에 따라 적당한 각을 이루면서 일체 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제 1 및 제 2감지 센서(11,12)는 일 측 안내부(30a)의 제 1광원(도4의 31참조) 및 맞은 편 안내부(30b)의 제 2광원(도4의 32참조)과 연결되고, 제 3 및 제 4감지 센서(13,14)는 맞은 편 안내부(30b)의 제 1광원(도4의 31참조) 및 일 측 안내부(30a)의 제 2광원(도4의 32참조)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로의 일 측에서 진행 중인 차량(100a)은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11,12)에 의해 커브길에서의 진행 방향을, 제 3 및 제 4감지 센서(13,14)에 의해 맞은 편에서의 차량(100b) 진입 여부를 알 수 있으며, 맞은 편에서 진행 중인 차량(100b)은 제 3 및 제 4감지 센서(13,14)에 의해 커브길에서의 진행 방향을, 제 1 및 제 2감지 센서(11,12)에 의해 일 측에서의 차량(100a) 진입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안내부(30a,30b))는 양 차량(100a,100b)에 대해 운전자의 인지가 용이하도록 진행방향의 도로 가장자리에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되는 차량 통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는 도로의 바닥에 매설되는 루프 센서(11 내지 14)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광센서(15 내지 18)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루프 센서와 광센서를 동시에 구비하여 도로 보수 공사 등의 경우에는 광센서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의 결빙을 방지 하기 위한 히팅 코일을 더 구비하는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겨울철 도로의 결빙으로 인하여 많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커브길에서 사고의 위험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를 위해 커브길의 결빙 구간에서는 겨울철 결빙이 잦은 구간임을 도로 안내판에 의해 표시하는 정도로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으나, 커브길이나 경사길에서 도로가 결빙되는 경우 운전자가 아무리 조심하여 운전을 하더라도 사고 발생을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서는 히팅 코일(19)이 도로의 바닥에 매설되어 있다. 히팅 코일(19)에 공급되는 전원으로는 태양전지를 이용하게 되고, 이 경우 효율적인 전력 소비를 위해 히팅 코일(19)은 저전력 소비용 히팅 코일을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않아 전원공급이 어려운 도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광원으로 LED나 EL 시트를 이용하여 야간 주행중인 운전자에 대해 도로 안전 표시 장치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바닥에 차량 주행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에만 도로 안전 표시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커브길에서 진행 방향과 맞은편 도로에서의 차량 진입 여부를 동시에 알 수 있으므로 방어 운전으로 커브길에서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히팅 코일을 도로의 바닥에 매설하여 겨울철 도로의 결빙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산간 지역의 커브길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안내하는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통행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감지 센서와 맞은 편에서의 차량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 3 및 제 4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
    솔라셀과 축전지를 구비한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부와 별도로 설치되거나 안내부의 일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 1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점등되고, 제 2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되는 경우 소등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에만 점등되는 제 1광원과, 상기 제 3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 되는 경우 점등되고, 제 4감지 센서에 차량 통행이 감지 되는 경우 소등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에만 점등되는 제 2광원과, 상기 차량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광원을 점멸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2광원과 축전지 및 제어부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어 케이스 내부를 보호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이 표시된 제 1표시부 및 제 2표시부로 상기 제 1광원 및 제 2광원의 빛이 각각 투광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표시판과,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케이스와 표시판을 연결하여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로 구성되는 안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안전 표시 장치에는 도로 결빙을 방지 하기 위한 히팅 코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도로면의 바닥에 코일 형태로 매설되는 루프 센서나 도로의 가장자리 설치되는 광센서로 구성되어 차량의 통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의 표시부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전계발광소자(E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도로의 양 방향에서 각각 관측이 가능하도록 도로의 곡률에 따라 적당한 각도를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은 폴리카보네이트(PC)나 아크릴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KR1020050062592A 2005-07-12 2005-07-12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73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92A KR100734476B1 (ko) 2005-07-12 2005-07-12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92A KR100734476B1 (ko) 2005-07-12 2005-07-12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95A KR20070008795A (ko) 2007-01-18
KR100734476B1 true KR100734476B1 (ko) 2007-07-03

Family

ID=3801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592A Expired - Lifetime KR100734476B1 (ko) 2005-07-12 2005-07-12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4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98B1 (ko) 2008-10-09 2009-04-30 (주)티디엔지니어링 도로용 차선등
KR101085423B1 (ko) * 2010-12-31 2011-11-24 최광철 샌드위치 공법을 이용한 절전형 면발광 도로표지판
KR101228191B1 (ko) * 2012-04-04 2013-01-30 주식회사 이디더블유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KR101771642B1 (ko) * 2016-12-30 2017-08-25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커브길 도로 안전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89B1 (ko) * 2012-01-20 2014-02-2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시스템
KR101154443B1 (ko) * 2012-02-15 2012-06-15 주식회사 해원 태양전지를 이용한 가드레일 부착형 표시장치
KR101476885B1 (ko) * 2012-06-29 2014-12-2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도로 경고 시스템
KR102167441B1 (ko) * 2014-03-25 2020-10-2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용 방호책
CN107964882A (zh) * 2017-10-18 2018-04-27 金碧波 农村公路交叉路口的安全警示装置
KR102384954B1 (ko) * 2018-11-21 2022-04-11 이인영 순차적 점멸이 가능한 led가 구비된 도로용 갈매기 유도등
KR102336634B1 (ko) * 2021-06-18 2021-12-08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스마트 발광 표지판
CN114960496B (zh) * 2022-06-14 2024-05-17 合肥天互光电科技有限公司 车辆行进用太阳能环保蓄电型弯道视野盲区声光提醒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444U (ko) * 1998-07-07 2000-02-07 김영진 커브길 교통사고 방지장치
JP2000265425A (ja) * 1999-03-15 2000-09-26 Kictec Inc 発光式誘導警告装置
KR20020006241A (ko) * 2000-07-12 2002-01-19 염병대 노면 결빙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444U (ko) * 1998-07-07 2000-02-07 김영진 커브길 교통사고 방지장치
JP2000265425A (ja) * 1999-03-15 2000-09-26 Kictec Inc 発光式誘導警告装置
KR20020006241A (ko) * 2000-07-12 2002-01-19 염병대 노면 결빙 방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98B1 (ko) 2008-10-09 2009-04-30 (주)티디엔지니어링 도로용 차선등
KR101085423B1 (ko) * 2010-12-31 2011-11-24 최광철 샌드위치 공법을 이용한 절전형 면발광 도로표지판
KR101228191B1 (ko) * 2012-04-04 2013-01-30 주식회사 이디더블유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KR101771642B1 (ko) * 2016-12-30 2017-08-25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커브길 도로 안전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95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8888B2 (en)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attery charge level indicator
KR100734476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KR101857254B1 (ko) 주간 및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한 교통표지판.
KR100998741B1 (ko) 교통표지판
KR100694289B1 (ko)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JP3485402B2 (ja) 対向車両警告装置
US20080286043A1 (en) Light Emitting Road Boundary Stone Using Solar Cell
JP5890158B2 (ja) 自発光式交通標識板
KR101906380B1 (ko) 내구성·시인성·유지관리성이 향상된 광섬유 표지판
KR20090117060A (ko) 노면표시 시스템
WO2012074201A2 (ko) 도로 표지병
KR20140029964A (ko) 도로의 원점거리 표시장치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899492B1 (ko) 도로 표지병의 제어 장치
JP2011012391A (ja) 道路或いは橋の凍結危険警告標示装置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JP5603312B2 (ja) 停電時対応型自発光標識
JP2011013946A (ja) 逆走防止装置
JP3872582B2 (ja) 交通標識器
JP2002201618A (ja) 視線誘導装置
KR10103119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표지판
KR200389207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선 표시구
KR101066652B1 (ko) 도로표지판
KR200353283Y1 (ko) 안전표지판
JP2008290569A (ja) 発光式鉄道用看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