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4106B1 - 광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106B1
KR100734106B1 KR1019990055944A KR19990055944A KR100734106B1 KR 100734106 B1 KR100734106 B1 KR 100734106B1 KR 1019990055944 A KR1019990055944 A KR 1019990055944A KR 19990055944 A KR19990055944 A KR 19990055944A KR 100734106 B1 KR100734106 B1 KR 10073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beams
light
lens
photodet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942A (ko
Inventor
김영식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1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광검출기를 이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빔들을 발생하는 광원 발생부와, 광빔들의 광경로를 일치시키는 광경로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 내에 하나의 광검출기만이 설치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광픽업 장치{Optical Pickup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검출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검출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광경로일치광학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광경로일치광학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광경로일치광학계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광경로일치광학계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광경로일치광학계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광경로일치광학계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광경로일치광학계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a,1b : 광빔 2,32 : 이파장 광원
2a,2b,32a,32b : LD 칩 4,34 : 시준렌즈
6,8,36 : 빔스프리터 10,38 : 45°반사경
12,40 : 대물렌즈 14,18,42 : 센서렌즈
16,20,44 : 광검출기 22 : 광디스크
22a,22b : 광디스크의 기록면 24 : 광검출모듈
48 : 평판 또는 웨지 플레이트 50 : 삼각 프리즘
52 : 이중분산렌즈 54 : 그레이팅 플레이트
58,60,62 : 볼록렌즈 64 : 오목렌즈
66 : 복굴절 플레이트 70 : 오블레이트 플레이트
본 발명은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광검출기를 이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는 상용화된 CD(Compact Disc)에 이어 기록용량이 향상된 DVD(Digital Versatile Disc)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는 고밀도화될수록 기록마크와 트랙피치가 작아지고 있다. 또한, 광디스크는 고밀도화될수록 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 정보기록면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고 있다. 실제 로, DVD 계열의 광디스크는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정보 기록면까지의 거리가 0.6 mm인 반면에 CD 계열의 광디스크는 1.2 mm 이다. 또한, DVD 계열 광디스크와 CD 계열의 광디스크를 억세스하기 위한 광빔의 파장(λ)과 빔 사이즈(BS) 그리고 대물렌즈의 개구수(NA)는 서로 다르게 된다. 예를 들면, CD 계열의 광디스크를 억세스하기 위한 광픽업 장치에 사용되는 광빔의 파장(λC)과 빔사이즈(BSC)는 각각 780 nm와 1.4 μm 를 갖어야 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NAC)는 0.35∼0.45를 유지하여야 한다. 반면에, DVD 계열의 광디스크를 억세스하기 위한 광픽업 장치에 사용되는 광빔의 파장(λD)과 빔사이즈(BSD)는 각각 635∼650 nm와 0.9 μm 를 가져야 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NAD)는 0.6 을 유지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광디스크를 모두 억세스할 수 있는 광픽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나아가,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는 광학계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광픽업 장치 전체의 크기를 박형화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파장의 광빔을 발생하는 광원들이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모듈(module)화 되는 추세에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는 제1 및 제2 레이저 다이오드 칩(Laser Diode Chip : 이하 "LD 칩"이라 함)이 내장된 이파장 광원(2)과, 이파장 광원(2)으로부터 발생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을 광디스크(22)의 제1 기록면(22a)과 제2 기록면(22b) 각각에 집광시키기 위한 대물렌즈(12)와, 이파장 광원(2)과 대물렌즈(12)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 빔스프리터(6), 제2 빔스프리터(8) 및 45°반사경(10)을 구비한다. 이파장 광원(2) 내에 내장된 제1 및 제2 LD 칩(2a,2b) 각각은 서로 다른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파장의 광빔을 발생한다. 예컨데, 제1 LD 칩(2a)은 DVD 계열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635∼650 nm 파장의 제1 광빔(1a)을 발생하고, 제2 LD 칩(2b)은 CD 계열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780nm 파장의 제2 광빔(1b)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이파장 광원(2)으로부터 발생된 발산빔 형태의 제1 및 제2 광빔(1a,1b)은 시준렌즈(4)에 의해 평행광빔으로 변한 후, 제1 및 제2 빔스프리터(6,8)를 투과하여 45°반사경(10)에 입사된다. 45°반사경(10)으로 입사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은 대물렌즈(12) 쪽으로 반사된다. 대물렌즈(12)는 45°반사경(10)을 경유하여 입사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을 광디스크(22)의 기록면(22a,22b)에 스폿 형태로 집광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광빔(1a)은 제1 기록면(22a)에 집광되며, 제2 광빔(1b)은 제2 기록면(22b)에 집광된다.
또한,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는 광디스크(22)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광검출기(16,20)을 구비한다. 광디스크(22)의 기록면(22a,22b)에 집광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은 반사되어 광로를 역행하게 된다. 제1 광빔(1a)은 45°반사경(10)에 의해 반사된 후, 제2 빔스프리터(8)의 반사면에 의해 제1 센서렌즈(14) 쪽으로 입사된다. 이러한 반사광빔은 제1 센서렌즈(14)에 의해 제1 광검출기(16)에 집광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제2 광빔(1b)은 45°반사경(10)에 의해 반사된 후, 제2 빔스프리터(8)를 경유하여 제1 빔스프리터(6)에 입사되고 제1 빔스프리터(6)의 반사면에 의해 제2 센 서렌즈(18) 쪽으로 입사된다. 이러한 반사광빔은 제2 센서렌즈(18)에 의해 제1 광검출기(20)에 집광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반사광빔 각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검출기들(16,20)이 필요하고 반사광빔의 파장에 따라 광빔의 반사경로를 분리하기 위한 빔스프리터들(6,8)이 필요하기 때문에 광학부품들이 그 만큼 많아지게 되고 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된 광검출모듈(24)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광빔들을 모두 광전변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광검출모듈(24)은 도 3과 같이 4분할 또는 2분할된 포토다이오드칩들(이하 "PD 칩"이라 함)(24a,24b)이 좌우로 분리되도록 기판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된 광검출모듈(24)에서는 각각의 PD칩들(24a,24b)에 서로 다른 파장의 반사광빔이 집광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반사광빔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PD 칩(24a 또는 24b)을 얼라인하게 되면 다른 반사광빔에 대한 PD칩 얼라인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얼라인 후에도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부품들 특히, PD칩들(24a,24b)이 외부환경(온도, 진동 등)에 의해 위치가 변하게 되면 광학적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광검출기를 이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광픽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빔들을 발생하는 광원 발생부와, 광빔들의 광경로를 일치시키는 광경로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LD 칩들(32a,32b)이 내장된 이파장 광원(32)과, 이파장 광원(32)으로부터 발생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을 광디스크(22)의 제1 기록면(22a)과 제2 기록면(22b) 각각에 집광시키기 위한 대물렌즈(40)와, 이파장 광원(32)과 대물렌즈(40) 사이에 나란히 설치된 광경로일치광학계(46), 시준렌즈(34), 빔스프리터(36) 및 45°반사경(38)과, 광디스크(22)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검출기(44)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파장 광원(32) 내에 내장된 제1 및 제2 LD 칩(32a,32b) 각각은 서로 다른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파장의 광빔을 발생한다. 예컨데, 제1 LD 칩(32a)은 DVD 계열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635∼650 nm 파장의 제1 광빔(1a)을 발생하고, 제2 LD 칩(32b)은 CD 계열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780nm 파장의 제2 광빔(1b)을 발생하게 된다.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이파장 광원(32)으로부터 발생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의 광경로를 일치시키게 된다. 광경로일치광학계(46)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시준렌즈(34)는 광경로일치광학계(46)로부터 입사되는 발산빔 형태의 광빔을 평행광빔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시준렌즈(34)에 의해 평행광빔으로 변환된 광빔은 빔스프리터(36)를 투과한 후, 45°반사경(38)에 의해 반사되어 대물렌즈(40)에 입사된다. 대물렌즈(40)에 입사된 광빔은 파장과 개구수에 따라 광디스크(22)의 서로 다른 기록면(22a,22b)에 스폿 형태로 집광된다. 광디스크(22)의 기록면(22a,22b)에 집광된 광빔은 광로를 역행하여, 45°반사경(40)과 빔스프리터(36)의 반사면을 경유하여 센서렌즈(42) 쪽으로 입사된다. 센서렌즈(42)에 입사된 반사 광빔은 광검출기(44)에 집광된다. 광검출기(44)는 도 5와 같이 4분할된 단일 PD칩(44a)으로 구성되어 반사광빔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경로일치광학계(46)에 의해 제1 및 제2 광빔(1a,1b)의 광경로가 일치되면 반사광빔이 광검출기(44) 상의 동일한 지점에 집광될 수 있게 된다.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도 6과 같은 평판 또는 웨지 플레이트(48), 도 7과 같은 삼각 프리즘(50), 도 8과 같은 이중분산렌즈(52), 도 9와 같은 그레이팅 플레이트(54), 도 10과 같은 볼록렌즈들(58,60)의 조합, 도 11과 같은 볼록렌즈(62)와 오목렌즈(64)의 조합, 도 12와 같은 복굴절 플레이트(6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다른 파장의 광빔들(1a,1b)의 광경로를 일치시키게 된다.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두 개의 면을 갖는 평판 또는 웨지 플레이트(48)를 구비한다. 평판 또는 웨지 플레이트(48)에 제1 및 제2 광빔(1a,1b)이 입사되면 제1 광빔(1a)은 평판 또는 웨지 플레이트(46)의 제1 면(48a) 상에서 반사되고 제2 광빔(1b)은 제1 면(48a)에서 제2 면(48b) 쪽으로 굴절된 후 반사되어 제1 광빔(1a)과 같은 광경로로 시준렌즈(34)에 입사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광경로로 평판 또는 웨지 플레이트(48)에 입사되는 광빔들(1a,1b)은 동일한 광경로로 대물렌즈(40) 쪽으로 진행한 후, 반사되어 광검출기(44)의 PD칩(44a)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광빔들(1a,1b)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면 제1 면(48a)과 제2 면(48b)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광빔들(1a,1b)의 광경로를 동일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삼각 프리즘(50)을 구비한다. 삼각 프리즘(50)에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및 제2 광빔(1a,1b)이 삼각 프리즘(50)의 제1 면(50a)에 입사되면 제2 면(50b) 상에서 한 점으로 일치되어 시준렌즈(34)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제1 및 제2 광빔(1a,1b)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면 제1 면(50a)과 제2 면(50b)이 이루는 각도(θ)를 조정함으로써 광빔들(1a,1b)의 광경로를 동일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두 개의 삼각 프리즘(52a,52b)이 접합된 이중분산렌즈(52)를 구비한다. 이중분산렌즈(52)에는 꼭지각(θ1,θ2)과 분산계수(υ1,υ2)가 다른 삼각 프리즘(52a,52b)이 접합된다. 제1 삼각 프리즘(52a)의 꼭지각(θ1)은 제2 삼각 프리즘(52b)의 꼭지각(θ2)보다 작게 설정되며, 분산계수(υ1)는 제2 삼각 프리즘(52b)의 분산계수(υ2)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이중분산렌즈(52)에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및 제2 광빔(1a,1b)이 입사되면 제2 삼각 프리즘(52b)의 출사면에서 제1 및 제2 광빔(1a,1b)의 광경로가 일치된다.
도 9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제 4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표면상에 삼각면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그레이팅 플레이트(5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광빔(1a,1b)은 볼록렌즈(52)에 의해 그레이팅 플레이트(54)의 경사면에 집광된 후, 반사되어 광경로가 일치된다.
도 10은 제 5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제 5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두 개의 볼록렌즈(58,60)를 구비한다. 두 개의 볼록렌즈(58,60)는 제1 볼록렌즈(58)에 의해 집광되는 제1 및 제2 광빔(1a,1b)의 결상면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광축 상에서 나란히 배치된다. 제1 광빔(1a)은 제1 볼록렌즈(58)와 제2 볼록렌즈(60) 사이의 결상면에 초점이 맺힌 후, 제2 볼록렌즈(60)에 입사되며, 제2 광빔(1b)은 제2 볼록렌즈(60) 상의 결상면에 초점이 맺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볼록렌즈(60)에 입사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은 제1 및 제2 볼록렌즈(58,60)를 투과하면서 제1 및 제2 광빔(1a,1b)의 광경로는 일치된다.
도 11은 제 6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제 6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볼록렌즈(62)와 오목렌즈(64)를 구비한다. 볼록렌즈(62)와 오목레즈(64)는 볼록렌즈(62)에 의해 집광되는 제1 및 제2 광빔(1a,1b)은 오목렌즈(64)의 입사면 상에 초점이 맺히도록 광축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광빔(1a,1b)은 볼록렌즈(62)에 의해 오목렌즈(64)에 집광된 후, 오목렌즈(64)에 의해 평행빔으로 변환되면서 광경로가 일치하게 된다.
도 12는 제 7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제 7실시 예에 따른 광경로일치광학계(46)는 광빔들이 입사하는 방향과 수직되는 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굴절율의 차이가 나는 볼굴절플레이트(66)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굴절플레이트(66)에 e 방향과 같은 편광방향의 제1 광빔(1a)이 입사되면 굴절되지 않고 투과되는 반면 o 방향과 같은 편광방향의 제2 광빔(1b)이 입사되면 굴절된다. 이와 같은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제1 및 제2 광빔(1a,1b)의 광경로는 일치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제1 및 제2 LD 칩들(32a,32b)이 내장된 이파장 광원(32)과, 이파장 광원(32)으로부터 발생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을 광디스크(22)의 제1 기록면(22a)과 제2 기록면(22b) 각각에 집광시키기 위한 대물렌즈(40)와, 이파장 광원(32)과 대물렌즈(40) 사이에 나란히 설치된 시준렌즈(34), 빔스프리터(36) 및 45°반사경(38)과, 광디스크(22)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검출기(44)와, 광검출기(44) 쪽으로 진행하는 서로 다른 파장의 반사 광빔의 초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오블레이트(Oblate) 플레이트(70)를 구비한다. 이파장 광원(32)으로부터 발생된 제1 및 제2 광빔(1a,1b)은 시준렌즈(34)에 의해 평행광으로 변환되고, 빔스프리터(36)와 45°반사경(38)을 경유하여 대물렌즈(40)에 의해 광디스크(22)의 기록면(22a,22b) 상에 집광된다. 광디스크(22)의 기록면(22a,22b) 상에 집광된 광빔은 광로를 역행하여, 45°반사경(38)과 빔스프리터(36)의 반사면을 경유하여 센서렌즈(42) 쪽으로 입사된다. 센서렌즈(42)에 입사된 반사 광빔은 오블레이트 플레이트(70)의 오블레이트면(70)에 집광된다. 오블레이트 플레이트(70)의 입사면 즉, 오블레이트면(70)은 럭비공의 표면과 같은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 오블레이트 플레이트(70)는 광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오블레이트 플레이트(70)에 입사되는 다른 파장을 가지는 반사 광빔은 오블레이트면(70a)에 의해 집속되면서 광검출기(44)에 형성된 도 5와 같은 PD칩(44a)에 초점 맺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오블레이트 플레이트(70)는 하나의 PD칩(44a) 상에 서로 다른 파장의 반사광빔들이 집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오블레이트 플레이트(70)에 의해 광검출기(44)는 하나의 PD칩(44a)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이파장 광원과 시준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이파장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빔의 광경로를 일치시키거나 센서렌즈와 광검출기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반사 광빔을 광검출기 상의 동일 초점에 집속시키는 광경로일치광학계에 의하여 이종 광디스크 억세스용 광픽업 장치 내에 하나의 광검출기만이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하나의 기판 상에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빔들을 발생하는 광원 발생부와;
    상기 광빔들의 광경로를 일치시키는 광경로 조절수단과;
    상기 광빔들을 광디스크 상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반사광빔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검출기와;
    상기 광빔들을 대물렌즈 쪽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광빔을 상기 광검 출기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쪽으로 진행하는 광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시준렌즈와;
    상기 반사광빔을 상기 광검출기 상에 집광하기 위한 센서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경로 조절수단은, 상기 센서렌즈와 상기 광검출기 사이에 설치되어 광검출기로 입사되는 광빔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조절수단은 입사면이 오블레이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19990055944A 1999-12-08 1999-12-08 광픽업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34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944A KR100734106B1 (ko) 1999-12-08 1999-12-08 광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944A KR100734106B1 (ko) 1999-12-08 1999-12-08 광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942A KR20010054942A (ko) 2001-07-02
KR100734106B1 true KR100734106B1 (ko) 2007-06-29

Family

ID=1962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9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4106B1 (ko) 1999-12-08 1999-12-08 광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7965A (zh) * 2022-03-25 2022-06-03 陕西周源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液相色谱仪的光电检测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91A (ja) * 1991-05-10 1994-01-28 Hitachi Ltd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259804A (ja) * 1993-03-10 199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0134462B1 (ko) * 1994-10-26 1998-04-20 배순훈 한쪽면에 복수개의 기록층을 형성한 광디스크용 광 픽업 시스템
KR19980076057A (ko) * 1997-04-04 1998-11-16 구자홍 이파장 광원모듈과 그를 이용한 이종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KR20000000655A (ko) * 1998-06-02 2000-01-15 윤종용 호환형 광픽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91A (ja) * 1991-05-10 1994-01-28 Hitachi Ltd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259804A (ja) * 1993-03-10 199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0134462B1 (ko) * 1994-10-26 1998-04-20 배순훈 한쪽면에 복수개의 기록층을 형성한 광디스크용 광 픽업 시스템
KR19980076057A (ko) * 1997-04-04 1998-11-16 구자홍 이파장 광원모듈과 그를 이용한 이종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KR20000000655A (ko) * 1998-06-02 2000-01-15 윤종용 호환형 광픽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942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3453B2 (ja) データキャリヤ上のデータの記録及び読取りの少なくとも一方の為の光学ヘッド
US6845077B2 (en) Optical pick-up device with convergent light diffraction for recording/reading information on optical recording medium
US5708644A (en) Optical head for optical disk drive
KR20060050000A (ko) 광 픽업 장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JP2001110081A (ja) 非点収差防止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1296893A (ja) 光ピックアップ
US7218598B2 (en) Optical pickup using two-wavelength light source module
CN100538838C (zh) 光学头装置以及光信息处理装置
KR100734106B1 (ko) 광픽업 장치
KR100230227B1 (ko) 광픽업
US20020009040A1 (en) Optical head device
US6396638B1 (en) Optical pickup device capable of stable tracking
JPH06168462A (ja) 光学ヘッド
KR100575633B1 (ko) 이종 광디스크 겸용 광픽업 조정방법과 그에 적합한광픽업 장치
JP2506972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067906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9171633A (ja) 集積光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2825873B2 (ja) 光導波路
KR100260528B1 (ko) 이종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KR100460306B1 (ko) 비구면 고체 침지 렌즈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JPH07169090A (ja) 光情報並列記録再生装置
KR100403596B1 (ko) 직각삼각형 모양의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와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US20030147331A1 (en) Optical pickup diffracting one of two laser beams to a single detector
KR19980059971A (ko) 이종 광 디스크용 광 픽업장치.
KR100236017B1 (ko) 두 개의 광원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