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4066B1 - 좌변기용 비데기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비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66B1
KR100734066B1 KR1020060126476A KR20060126476A KR100734066B1 KR 100734066 B1 KR100734066 B1 KR 100734066B1 KR 1020060126476 A KR1020060126476 A KR 1020060126476A KR 20060126476 A KR20060126476 A KR 20060126476A KR 100734066 B1 KR100734066 B1 KR 10073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water
cylinder
toilet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291A (ko
Inventor
오영국
Original Assignee
오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국 filed Critical 오영국
Priority to KR102006012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0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6Enemata; Irrigators combined with bid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esthe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에 설치되어 항문 세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장 또는 질 내부에 대한 내부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좌변기의 측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8)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18)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9)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100)(105)와, 상기 내부비데(100) (105)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변기, 정수, 내부비데, 항균실리콘, 진동, 내부세정, 실린더, 출수

Description

좌변기용 비데기{Bidet for Toilet Pa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정수부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정수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출수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출수조절부의 다른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실린더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메인비데 및 전방비데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4: 출수조절부
15: 메인비데 18: 돌출부
19: 고정부재 C: 컨트롤부
20: 정수부 30,30',40: 내부비데
50,60: 위치조절부재 80,90: 회전수단
110: 위치조절부재 120: 손잡이부
130: 위치조절부재 140: 역수방지부
본 발명은 좌변기에 설치되어 항문 세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좌변기용 비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비데를 이용하여 장 또는 질 내부에 대한 내부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용 비데기는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항문 세정 도는 비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청결을 중요시하는 근래에 이르러 여성 사용자는 물론 남성 사용자도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좌변기의 후방에서 물을 세게 분사하거나 천천히 분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겉으로 드러난 부분만 세정할 수 있고, 실제적인 청결이 요구되는 장 또는 질 내부에 대한 내부 세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 또는 질 내부로 향균 실리콘 호스를 삽입하여 내부 세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정수를 통하여 더욱 깨끗한 물로 내부 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 또는 질 내부의 세정을 위한 내부비데의 위치 및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좌변기의 측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의 중앙 돌출부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와, 상기 내부비데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좌변기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돌출부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는 한쌍의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물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본체의 돌출부 후방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 톤에 외삽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피스톤을 후퇴시켜 상기 가이드 블록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의 후방측에 나사 결합되는 실린더 캡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캡은 도수관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수관이 연결되지 않은 입수구 및 출수구에는 역수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역수방지부는, 상기 실린더 캡의 입수구 및 출수구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구멍이 구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외경이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끝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의 가이드 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차단판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비데가 좌변기의 상단에 비해 일정 정도 하측에 위치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 부분에 소정 길이의 직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메인비데를 중심으로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비데와 제2비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도수로 역시 2중으로 이루어져 하나는 제1비데에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제2비데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비데와 제2비데 사이에 메인비데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도수로가 3중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비데와 제1비데 및 제2비데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좌변기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전방비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비데 및 상기 전방비데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과, 내측에 가이드 홈이 구비된 실린더와, 상기 노즐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정수부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정수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출수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출수조절부의 다른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기는,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30)(40)와, 상기 메인비데(15) 또는 내부비데(30)(4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부(20)와, 상기 컨트롤부(C)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비데(15) 혹은 내부비데(30)(4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출수조절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부(20)는 상기 컨트롤부(C)의 온도조절부(12)와 수압조절부(13)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온도조절부(12)로부터 유입된 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필터(21a) 및 상기 필터(21a)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필터링된 물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 필터(21b)로 이루어진 필터부(21)와, 상기 필터부(21)의 상측에 설치되고 살균기(22')가 구비되어 살균후 상기 수압조절부(13)로 물을 유출시키는 살균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출수조절부(14)는 내부가 복수의 권역으로 구분되고 각 권역마다 별도의 출수구(14j)가 구비된 바디(14a)와, 상기 바디(14a)의 상측에서 패킹(14e)을 개재하여 상기 바디(14a)에 결합되고 각 권역에 대응되는 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분배판(14d)과, 상기 분배판(14d)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분배판(14d)의 구멍에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회전판(14g)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14a)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14b)과, 상기 뚜껑(14b)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은 조작노브(14c)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판(14g)에 결합되는 연결구(14f)와, 상기 연결구(14f)의 하측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14g)을 상기 분배판(14d)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4h)과, 상기 연결구(14f)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4h)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14i)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출수조절부(14)의 출수구(14j)에 연통되는 출수관(16)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출수구(14j) 및 출수관(16)의 수는 실제 비데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고, 사용되지 않는 출수관(16)은 출수관 캡(17)에 의해 닫혀 있도록 한다. 즉, 도 4와 같이 바디(14a)의 내부를 4개의 권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바디(14a)의 내부를 5개의 권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30)(40)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절부재(50)(60)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는 상기 내부비데(30)(40)를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감추거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비데(30)(40)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30)(40)는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좌변기용 비데는정수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메인비데 및 내부비데를 통해 분사하여 비데 기능 및 내부 세정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온도조절부(12)에서 온도가 조절된 후 정수부(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즉, 필터(21a)와 활성탄 필터(21b)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물이 살균기(22')에 의해 살균되므로, 정화가 완료된 물이 수압조절부(13)에서 수압이 조절된 후 출수조절부(14)를 통과하면서 출수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출수조절부(14)는 조작노브(14c)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14g)이 회전되어 분배판(14d)의 구멍과 회전판(14g)의 구멍이 일치되었을 때 하나의 출수구(14j)를 통해 물이 배출된다.
상기 출수구(14j)를 통해 배출된 물은 출수구(14j)에 연결된 메인비데(15) 또는 내부비데(30)(40)를 통해 분출되며, 본체(10)의 출수관(16)을 통해 샤워기(S) 등의 외부장치로 공급되기도 한다. 상기 메인비데(15)는 사용자의 후방 아래쪽에서 물을 분사하여 항문 등을 씻어 내게 되며, 상기 내부비데(30)(40)는 사용자의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이용하여 내부 세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하기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이때, 상기 내부비데(30)(40)는 평상시에는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사용시에만 좌변기의 중앙측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에 설치된 위치조절부재(50)(60)는 내부비데(30)(40)를 회전시키거나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10)는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바, 상기 내부비데(30)(4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실린더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메인비데 및 전방비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좌변기의 측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8)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돌출 부(18)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18)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9)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100)와, 상기 내부비데(100)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130)는, 좌변기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131)와, 상기 돌출부(18)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132)을 따라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131)가 관통되는 한쌍의 가이드 블록(133)과, 물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후방에 설치되는 실린더(134)와, 상기 실린더(134)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133)에 결합되는 피스톤(135)과, 상기 피스톤(135)에 외삽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피스톤(135)을 후퇴시켜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36)과, 상기 실린더(134)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134)의 후방측에 나사 결합되는 실린더 캡(13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 캡(137)은 도수관(138)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수관(138)이 연결되지 않은 입수구 및 출수구에는 역수 방지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역수방지부(140)는, 상기 실린더 캡(137)의 입수구 및 출수구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구멍이 구비된 지지부재(141)와,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구멍을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외경이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차단판(142)과, 상기 차단판(142)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가이드 홀(141')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1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끝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의 가이드 바(144)와, 상기 지지부재(141)와 상기 차단판(142)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1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31)는, 상기 내부비데(100)가 좌변기의 상단에 비해 일정 정도 하측에 위치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 부분에 소정 길이의 직선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내부비데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동시에 내부비데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손잡이(131)를 잡고 가이드 블록(133)을 전후 이동시키게 되면 내부비데(100)를 본체(10)의 하부 또는 좌변기의 중앙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131)를 회전시켜 내부비데(1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31)를 잡아 빼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내부비데(1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비데(100)의 좌우 이동량은 상기 손잡이(131)의 직선부 길이 및 가이드 블록(133)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31)를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31)을 전후 이동시키는 대신에 실린더부재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31)을 이동시킴으로써 내부비데(100)의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실린더(134)의 내부로 유입된 물에 의하여 피스톤(135)이 전진되어 가이드 블록(133)을 전진시킬 수 있으며,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스프링(136)에 의해 피스톤(135)이 후퇴하게 되므로 가이드 블록(133) 역시 후퇴되어 내부비데(100)가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134) 내부의 물은 스프링(136)의 탄성력에 의해 천천히 빠져 나가게 되며, 역수 방지부(140)로 인해 출수조절부(14) 등으로 역류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출수관(16)은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출수관 캡(17)에 의해 단혀 있게 되고, 샤워기(S) 등의 외부장치로 물을 공급하기도 한다. 이는 본 실시예 뿐만 아니라 모든 실시예에 동시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일 실시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내부비데(100)(105)는 상기 메인비데(15)를 중심으로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131)에 형성되는 도수로 역시 2중으로 이루어져 하나는 제1비데(100)에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제2비데(105)에 연통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비데의 숫자가 증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하지만, 메인비데가 본체에 설치되는 대신 손잡이에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 사이에 메인비데(106)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31)에는 도수로가 3중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비데(106)와 제1비 데(100) 및 제2비데(105)에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좌변기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재(107)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호스(108)를 통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전방비데(10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비데(106) 및 상기 전방비데(106')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106a)과, 내측에 가이드 홈이 구비된 실린더(106b)와, 상기 노즐(106a)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06b)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106f)가 구비된 피스톤(106c)과, 상기 피스톤(106c)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106c)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06d)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06b)에 결합되는 실린더 캡(106e)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일 실시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메인비데(106)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전방비데(106')를 이용하여 여성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비데(106) 또는 전방비데(106') 측으로 물이 공급되면, 손잡이(131) 또는 좌변기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106b) 내부의 피스톤(106c)이 전진하여 노즐(106a)을 좌변기의 아래 방향으로 밀어 내게 된다. 따라서, 노즐(106a)은 초기 위치보다 아래쪽에서 물을 분사하여 비데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106c)이 가이드 홈에 삽입된 돌출부(106f)로 인해 직선 이동되므로, 노즐(106a)이 회전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스프링(106d)에 의해 피스톤(106c)이 후퇴하게 되며, 그 결과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메인비데(106) 및 전방비데(106')의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필터 및 살균을 통해 정화된 물을 내부비데(30)(40)를 이용하여 장 또는 질 내부로 분사하여 내부 세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여성의 청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출수조절부(14)를 통해 다수의 비데로 물을 공급하되 사용되지 않는 출수관(16)을 이용하여 외부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 용도가 증가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내부비데(30)(40)의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어 내부 세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진동형 내부비데(30')를 사용할 경우 비정상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는 물이라 하더라도 그 결합이 정상적으로 바뀌게 되어 인체에 더욱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위치조절부재를 이 용하여 내부비데(30)(40)의 위치 및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좌변기의 측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8)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18)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9)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 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100)(105)와, 상기 내부비데(100)(105)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좌변기용 비데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110)는, 좌변기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131)와, 상기 돌출부(18)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132)을 따라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131)가 관통되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130)는, 물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후방에 설치되는 실린더(134)와, 상기 실린더(134)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133)에 결합되는 피스톤(135)과, 상기 피스톤(135) 둘레에 끼워져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피스톤(135)을 후퇴시켜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36)과, 상기 실린더(134)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134) 후방측에 나사 결합되는 실린더 캡(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캡(137)은 도수관(138)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수관(138)이 연결되지 않은 입수구 및 출수구에는 역수 방지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역수방지부(140)는, 상기 실린더 캡(137)의 입수구 및 출수구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구멍이 구비된 지지부재(141)와,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구 멍을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외경이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차단판(142)과, 상기 차단판(142)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가이드 홀(141')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1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끝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의 가이드 바(144)와, 상기 지지부재(141)와 상기 차단판(142)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비데(100)(105)는 좌변기의 중심에 대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 사이에는 메인비데(106)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131)에는 도수로가 3중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비데(106)와 제1비데(100) 및 제2비데(105)에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좌변기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재(107)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호스(108)를 통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전방비데(1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비데(106) 및 상기 전방비데(106')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106a)과, 내측에 가이드 홈이 구비된 실린더(106b)와, 상기 노즐(106a)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06a)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106f)가 구비된 피스톤(106c)과, 상기 피스톤(106c)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106c)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06d)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06b)에 결합되는 실린더 캡(106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KR1020060126476A 2006-12-12 2006-12-12 좌변기용 비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3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476A KR100734066B1 (ko) 2006-12-12 2006-12-12 좌변기용 비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476A KR100734066B1 (ko) 2006-12-12 2006-12-12 좌변기용 비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524A Division KR100734063B1 (ko) 2005-06-30 2005-06-30 좌변기용 비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291A KR20070012291A (ko) 2007-01-25
KR100734066B1 true KR100734066B1 (ko) 2007-07-02

Family

ID=3801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4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4066B1 (ko) 2006-12-12 2006-12-12 좌변기용 비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1805A (zh) * 2012-04-17 2012-09-19 黄永泉 一种洁身器喷嘴角度调节机构
CN108867795B (zh) * 2018-08-24 2023-07-11 中山市美图塑料工业有限公司 一种卫生洁净寿命长的座便器
CN111535413A (zh) * 2020-06-06 2020-08-14 李远东 一种应用于马桶盖的喷洒装置、马桶盖和马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683B1 (ko) * 1993-03-09 1998-10-15 모리시타 요이찌 위생세정장치
KR20050026322A (ko) * 2003-12-31 2005-03-15 류문수 비데용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683B1 (ko) * 1993-03-09 1998-10-15 모리시타 요이찌 위생세정장치
KR20050026322A (ko) * 2003-12-31 2005-03-15 류문수 비데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291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2158A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0217896B1 (ko)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JP3576131B2 (ja) ビデ
KR100734066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1421477B1 (ko) 대장 세척용 의료기
KR200473266Y1 (ko) 수도직결식 관장기
US6918517B2 (en) Nozzle for a sanitary cleansing device
KR100758688B1 (ko) 호스 연결형 비데 장치
KR200399990Y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0734064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0734065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0970874B1 (ko) 비데의 관장용 노즐
EP1877629A2 (en) Bid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758687B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408409Y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473265Y1 (ko) 비데 기능을 갖는 관장기
CN219430933U (zh) 喷洗管组件及智能马桶
KR20200098314A (ko) 직수형 항문부 세정 유닛
KR101501726B1 (ko) 분사압력을 높이는 금속살수판을 적용한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비데
KR200411504Y1 (ko) 좌변기용 비데
KR100680806B1 (ko) 좌욕기
KR200343784Y1 (ko) 치료제 분사 기능을 구비한 비데
KR100705601B1 (ko) 정수 토출형 비데기
KR101535008B1 (ko) 이동 설치 가능한 기계식 비데
KR200349287Y1 (ko) 위생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23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34066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702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6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62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