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65B1 -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quipment - Google Patents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2165B1 KR100732165B1 KR1020050074149A KR20050074149A KR100732165B1 KR 100732165 B1 KR100732165 B1 KR 100732165B1 KR 1020050074149 A KR1020050074149 A KR 1020050074149A KR 20050074149 A KR20050074149 A KR 20050074149A KR 100732165 B1 KR100732165 B1 KR 1007321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mode
- dcr
- dvr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선된 영상 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마이컴, 신호 처리 회로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DVR(Digital Video Recorder) 모드 및 DCR(Digital Cable Ready) 모드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DVR 모드 및 DCR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모드들에 상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되고, 상기 DCR 모드에 상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컴의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을 공급되고, 그리고 상기 DVR 모드에 상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회로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을 공급된다. 따라서, DCR 및 DVR 기능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최소화된다.A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an imaging apparatus is provided. In a video device having a microcomputer, a signal processing circuit part, and a display part, signals of a DVR (Digital Video Recorder) mode and a DCR (Digital Cable Ready) mode are generated by a user's selection. In response to the DVR mode and the DCR mode signal,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unit is cut off and a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des is generated, and together with the power of the microcomputer in response to the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CR mode. At least one DCR power is supplied, and at least one DVR power is supplied together with at least one signal processing circuit power in response to a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VR mode. Therefor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according to DCR and DVR functions.
액티브 준비(active stand-by)상태 모드, PFC(Power Factor Correction) Active Stand-by State Mode, Power Factor Correc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모드가 대기 (stand-by) 모드인 경우의 전원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when a power management mode of a video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standby mode.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모드가 정상(normal) 모드인 경우의 전원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when the power management mode of a video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normal mode.
도 3은 또 다른 종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conventional power management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a vide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31: 교류 전원 입력부 32, 34a, 34b, 36, 40, 42: 스위치31: AC
33: 대기 전원 공급부 35: 마이컴 33: standby power supply unit 35: microcomputer
36: 디스플레이부 37: 전력 효율 보정부36: display unit 37: power efficiency correction unit
38: 다중 전원 공급부 39: 신호 처리 회로부38: multiple power supply 39: signal processing circuit
41: 디스플레이 전원부 43: 모드 신호 제공부41: display power supply unit 43: mode signal providing unit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aging apparatus.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ower management mode of a video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종래 DCR(Digital Cable Ready) 기능이 적용된 영상기기에 있어서, 전원 관리 모드는 준비(stand-by) 모드와, 정상(normal) 모드로 구분된다.In a conventional video device to which a DCR (Digital Cable Ready) function is applied, the power management mode is divided into a stand-by mode and a normal mode.
여기서, 상기 준비(stand-by) 상태라 함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정도의 전원만 상기 영상기기에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정상 (normal)상태라 함은, 정상적으로 사용자가 영상기기를 사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모든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Here, the stand-by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only power enough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video apparatus. In addition, the normal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ll power is supplied so that a user can use and control a video device.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전원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1 and 2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a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ure 1,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power management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모드가 대기 (stand-by) 모드인 경우의 전원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when a power management mode of a video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standby mode.
상기 영상기기(1)가 대기 모드인 경우, 교류 입력부(2)로 AC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이 경우, 스위치(SW1)가 개방되지 않아서 (OFF 되어서) 마이컴 전원 공급부(4)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정류부(3)로만, 상기 교류(AC) 전원이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정류부(3)에서는 상기 전송된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DC) 전원은 상기 마이컴 전원 공급부(4)로 공급된다.When the video device 1 is in the standby mode, AC power is applied to the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모드가 정상(normal) 모드인 경우의 전원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when the power management mode of a video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normal mode.
한편, 상기 영상 기기가 정상 모드인 경우, 교류(AC) 입력부(8)로 교류(AC)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이 경우, 스위치(SW2)가 폐로되어서 (온 되어서) 마이컴 전원 공급부(10)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정류부(9) 뿐만 아니라, 신호 처리 전원 공급부(13) 및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부(14) 같은 다른 전원 공급부들과 연결되어 있는 제 2 정류부(11)로도 상기 교류(AC) 전원이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정류부(9)에서는 상기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바꾸고, 상기 직류(DC) 전원을 상기 마이컴 전원 공급부(10)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 2 정류부(11)에서는 상기 전송된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바꾸고, 상기 직류(DC) 전원은 전력 효율 보정부(PFC: Power Factor Correction)(12)를 거쳐, 상기 신호 처리 전원 공급부(13) 및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부(14) 등 모든 전원 공급부들로 상기 직류 전원들을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ideo device is in the normal mode, AC power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PFC)(12)는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원 관리 장치에 부가된 일종의 절전 회로를 의미한다.Here, the power efficiency correction unit (PFC) 12 means a kind of power saving circuit added to the power management device to improve power efficiency.
도 3은 또 다른 종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conventional power management device.
도 3의 전원 관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하는 교류 전원 입력부(21),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21)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9), 대기 모드에서 상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신호 보드 마이컴으로 5V의 마이컴 전원을 공급하는 대기 전원 공급부(22), 액티브 대기 모드 및 정상 모드에서 턴온되어 전력을 효율적으로 보정하는 전력 효율 보정부(23), 상기 액티브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23)을 거친 상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3.4V, 19V, 12V, 및 6V의 DCR 전원, DVR(Digital Video Recorde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들을 공급하고 상기 정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로 5V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공급하는 다중 전원 공급부(24), 상기 정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로 Vs, Va의 디스플레이 전원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부(25) 그리고 스위치들(26, 27, 2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6)은 상기 액티브 대기 모드 및 정상 모드에서 턴온되어 폐로되고(closed) 상기 스위치들(27, 28)은 상기 정상 모드에서만 턴온되어 폐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상기 DVR/DCR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대기 모드와 달리 PDP 모듈로 공급되는 디스플레이 전원을 차단하고 신호 보드로 공급되는 전원들만을 유지한다. 이러한 모드를 액티브 대기 모드로 부르며 이러한 액티브 모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컴은 PSU내 다중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DCR, DVR 및 회로 전원을 함께 공급한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액티브 대기 모드 시, 즉 DCR/DVR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PDP 모듈 즉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들을 차단하고 신호 보드로 공급되는 저압의 출력 전원들만 공급하는 모드시,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 전체가 함께 온 오프되므로 상기 DVR 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불필요하게 DVR 전원이 공급된다. The power management device of FIG. 3 includes an AC
상술한 종래의 영상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The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imag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영상 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는 준비 모드와 정상 모드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영상 기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동작시키지 않고 영상 기기를 제어하려고 할 때도, 항상 정상 모드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동작시키고자 하지 않을 때도 디스플레이 모듈로 디스플레이 전원이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video device includes only the preparation mode and the normal mode, even when the user tries to control the video device without operating the display module of the video device, the user always has to select the normal mo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display power is unnecessarily supplied to the display module even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operate the display module.
둘째, 대기 모드 및 액티브 대기 모드와 같은 저압 전원들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전력 효율 보정부(PFC)를 경유하므로 오히려 전력 효율성 측면에서 오히려 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even when low-voltage power supplies such as a standby mode and an active standby mode are unnecessary, the power efficiency correction unit (PFC) is unnecessary, so there is a rather inefficient problem in terms of power efficiency.
셋째, DVR 기능을 이용하지 않을 때에도 불필요하게 다중 전원 공급부를 통해 DVR 전원들을 공급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DVR 전원이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even when the DVR function is not used, the DVR power is unnecessarily supplied through the multiple power supply uni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VR power is unnecessarily suppli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관리 모드를 보다 다양하게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video device that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varying power management mod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압 출력 전원이 공급되는 액티브 대기 모드의 경우에도, 전력 효율 보정부(PFC)를 경유하는 것을 세분화하여 전원들을 공급하므로서, 전력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an imaging apparatus that improves power efficiency by supplying power by subdividing via a power efficiency correction unit (PFC) even in an active standby mode to which low voltage output power is supplied; To provide a wa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액티브 대기 모드인 DCR 모드와 DVR 모드를 구분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액티브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ag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power consumption in the active standby mode by controlling power supply by dividing the active standby mode from the DCR mode and the DVR mod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액티브 대기 모드를 DCR 모드와 DVR 모드로 구분하고 상기 DCR 모드에서는 신호 보드 마이컴을 통하여 대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DVR 모드에서는 다중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을 공급하여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줄인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active standby mode into a DCR mode and a DVR mode. In the DCR mode, at least one DCR power is supplied by controlling a standby power supply through a signal board microcomputer. By controlling the multiple power supplies, supply at least one DVR power source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는 신호 처리 회로부, 디스플레이부, 선택에 따라 DVR 모드 및 DCR 모드 신호를 제공하는 모드 신호 제공부,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부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모드 들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 보드 마이컴,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DCR 모드에 상응 할 때 상기 마이컴의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을 공급하는 대기 전원 공급부,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DVR 모드에 상응할 때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회로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을 공급하는 다중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a video apparatus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circuit unit, a display unit, a mode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DVR mode and DCR mode signals according to a selection, and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A signal board micom which cuts off power and provides a power control signal for the modes, a standby power supply unit which supplies at least one DCR power together with the power of the microcomputer when the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s to the DCR mode, and the power supply It includes a multiple power supply for supplying at least one DVR power with at least one signal processing circuit power when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s to the DVR mode.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관리 모드들은 마이컴의 전원만 공급되는 대기(stand-by) 모드, 마이컴의 전원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이 공급되는 제 1 액티브 대기 (active stand-by) 모드, 마이컴의 전원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이 공급되는 제 2 액티브 대기 (active stand-by) 모드, 그리고 모든 전원들이 공급되는 정상(normal) 모드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power management modes include a standby mode in which only the microcomputer's power is supplied, a first active stand-by mode in which at least one DCR power is supplied, including the microcomputer's power, A second active stand-by mode in which at least one DVR power is supplied, including power, and a normal mode in which all powers are supplied.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기기는 DCR (Digital Cable Ready) 기능 및 DVR 기능 이 적용된 텔레비젼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video device includes a television to which a DCR (Digital Cable Ready) function and a DVR function are applied.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액티브 대기(active stand-by) 모드에서는 마이컴의 전원과 신호 처리 전원이 공급된다.Preferably,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signal processing power are supplied in the second active stand-by mode.
바람직하게, 상기 액티브 대기(active stand-by) 모드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드들을 포함한다.Advantageously, said active stand-by mode comprises at least two modes.
바람직하게, 상기 액티브 대기(active stand-by) 모드는 마이컴의 전원과 DCR 전원만이 공급되는 경우, 전력 효율 보정부(PFC: Power Factor Correction)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해당 전원들을 공급한다.Preferably, in the active stand-by mode, when only the microcomputer power supply and the DCR power are supplied,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ies are directly supplied without using a power factor correction unit (PFC).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은 마이컴, 신호 처리 회로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DVR 모드 및 DCR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 상기 DVR 모드 및 DCR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모드들에 상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DCR 모드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의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을 공급하는 스텝,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DVR 모드에 상응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회로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을 공급하는 스텝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video device, comprising: generating a DVR mode and a DCR mode signal by a user's selection in a video device having a microcomputer, a signal processing circuit part, and a display part; Interrupting power supply to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mode signal and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des; when the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s to the DCR mode, at least one DCR together with the power of the microcomputer; Supplying power, and supplying at least one DVR power supply with at least one signal processing circuit power when the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s to the DVR mode.
바람직하게, 상기 대기 모드 및 제 1 액티브 대기(active stand-by) 모드인 경우,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를 경유하지 않고, 마이컴의 전원 및 DCR 전원이 공급된다.Preferably, in the standby mode and the first active stand-by mode, the microcomputer power supply and the DCR power are suppli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FC (Power Factor Correction) uni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관리 모드를 보다 다양하게 설정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저압 전원이 공급되는 제 1 액티브 대기 모드의 경우에는, 전력 효율 보정부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전원들을 공급시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setting the power management mode in more various ways,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active standby mode to which low-voltage power is supplied,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ower efficiency correction unit By supplying power sources, power is efficiently used.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4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전원 관리 모드가 2 가지로 제한된 종래 기술들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기(stand-by) 모드, 제 1 액티브 대기 (active stand-by) 모드, 제 2 액티브 대기 모드 그리고 정상 (normal) 모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제 2 액티브 대기 모드가 추가된 것이다.Compared to the prior art in which the power management mode is limited to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tandby mode, a first active stand-by mode, a second active standby mode, and a normal mode. And the like.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unlike the prior art, the second active standby mode is added.
다만, 여기서, 상기 제 2 액티브 대기 모드 등 그 명칭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 받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상기 모드들에 대한 개념을 포함하는 영상기기의 모드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ame of the second active standby mode and the like, and all modes of the video device including the concept of the modes to be described later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2 액티브 대기 모드는 상기 제 1 액티브 대기 모드와 정상 모드의 중간형 모드이다. 즉 상기 대기 모드는 리모콘 등을 통해 영상 기기의 전원을 킬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즉, 마이컴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정상 모드는 상기 영상기기의 모든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반면에, 상기 제1 액티브 대기 모드는 상기 마이컴 전원과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만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 2 액티브 대기 모드는 상기 마이컴 전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 및 신호 처리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제 2 액티브 대기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The second active standby mode is an intermediate mode between the first active standby mode and the normal mode. That is, the standby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a minimum power enough to power the video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In other words, this mode is to supply power only to the microcomputer. The normal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all the power of the video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ctive standby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only the microcomputer power and at least one DCR power. The second active standby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the microcomputer power, the at least one DVR power, and the signal processing power. In addition, the second active standby mode may supply at least one display power.
상기 액티브 대기 모드의 종류의 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로서, DCR/DVR 기능이 적용되는 영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외하고, 신호 처리부와 마이컴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높은 전원을 요구하는 반면, 사용자는 영상 기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녹화 등 다른 기능만을 수행하길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number of types of the active standby mode. For example, in the video device to which the DCR / DVR function is applied, the active standby mode may be set to supply power to the signal processor and the microcomputer, except for the display module. This is because, while the display module requires a high power, a user often does not display a screen of a video device and wants to perform only other functions such as recording.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공급부는 예를 들어, PDP(Plasma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패널 전원 공급부가 될 수 있으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인버터(inverter) 전원 공급부가 될 수 있으며, 그리고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편향 처리부의 전원 공급부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for example, a panel power supply in the case of a plasma display panel (PDP) display device, and an inverter power supply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isplay device. And, in the case of a CRT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 it may be a power supply of the deflection processing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기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a vide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중요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영상 기기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 요소들은 도식을 생략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본적 구성요소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어도, 당업자라면 이러한 생략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하게 전원 공급을 관리하는 영상 기기를 도 4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4 illustrates importan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component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broadcast signals from the video apparatus are omitted. However, even if the illust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sic components are omitt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e video device to manage the power supply in various way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spite of this omission.
도 4의 전원 공급 장치는 신호 처리 회로부(39), 디스플레이부(36)(이하에서 PDP 모듈), 선택에 따라 DVR 모드 및 DCR 모드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모드 신호 제공부(43),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PDP 모듈(36)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모드 들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 보드 마이컴(signal board micom)(35), 상기 DCR 모드용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컴(35)의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을 공급하는 대기 전원 공급부(33), 그리고 상기 DVR 모드용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 처리 회로부(39)용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을 공급하는 다중 전원 공급부(multi power)(38)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device of FIG. 4 includes a signal
도 4의 전원 공급 장치는 추가로 교류(AC) 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 입력부(AC input)(31),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전환하는 정류부(32), 상기 PDP 모듈(36)로 디스플레이용 전원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부(Vs/Va power)(41), 전력 효율 보정부 (PFC:Power Factor Correction)(37),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31)와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37)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절시키는 제 1 스위치(36), 상기 DVR 모드 및 DCR 모드 시 상기 정류부(32)와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부(41)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제 2 스위치(40), 그리고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35)으로부터의 상기 DCR 모드용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을 제공 또는 차단하는 두개의 제 3 스위치(34a,34b)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of FIG. 4 further includes an
상기 DCR 모드용 제어 신호는 상기 마이컴(35)으로부터의 POD(Point of Deployment) 삽입에 해당하는 스위칭 온 신호와 상기 POD 제거에 해당하는 스위칭 오프 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용 전원은 5 V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DCR 모드용 전원은 5V와 3.3V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DVR 모드용 전원 및 상기 신호 처리 회로용 전원은 19V, 12V 및 6V를 포함한다.The control signal for the DCR mode includes a switching 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of a point of deployment (POD) from the
한편,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는 제 4 스위치(42)를 통해 상기 PDP 모듈(36)로 5V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기기는 DCR(Digital Cable Ready)/DVR 기능이 채용된 텔레비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기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장치일 수 있다. In the normal mode, the multiple
이하에서,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정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의 플로우 챠트는 상기 신호 보드 마이컴(signal board micom)(35)에서의 동작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인 PDP 모듈(36)에 해당하는 PDP 전원 보드(PDP power board)에서의 동작으로 구분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garden supply apparatus of the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divided into an operation in the
교류 전원 입력부(31)는 외부로부터 교류(AC) 전원을 입력한다. 상기 정류부(32)는 상기 입력된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한다.The AC
상기 모드 신호 제공부(4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모드 신호를 제공한다. 이 모드 신호 제공부(43)는 또한 DCR 기능 선택에 해당하는 POD 유무 신호 및/또는 DVR 기능 선택에 해당하는 모드 신호를 제공한다.The mode
상기 마이컴(35)는 상기 모드 신호 제공부(43)에 의해 제공된 모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34, 36, 40, 42)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34, 36, 40, 42)는 상기 마이컴(35)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공된 모드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전원들이 공급되도록 온 오프 동작한다.The
한편,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PFC:Power Factor Correction)(37)는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교류 입력부(31)와 상기 전원 공급부들(33, 38, 41) 사이에 부가된 절전 회로를 의미한다.Meanwhile, the power factor correction unit (PFC) 37 refers to a power saving circuit added between the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34, 36, 40, 42)의 동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모드 신호 제공부(43)를 통해 제공된 모드 신호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드 신호는 대기 모드, 제 1 액티브 대기 모드, 제 2 액티브 대기 모드 그리고 정상 모드 중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모드 신호 제공부(43)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리모콘이나 상기 영상 기기에 부착된 로컬(local)키 등이 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먼저, 상기 전원 공급 모드가 대기(stand-by) 모드인 경우, 상기 마이컴(35)는 상기 스위치들(34, 36, 40, 42)을 개방시켜(open) 상기 마이컴(35)에만 상기 직류(DC)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First, when the power supply mode is a stand-by mode, the
상기 전원 공급 모드가 상기 제 1 액티브 대기(active stand-by) 모드인 경우는 상기 DCR 기능만이 선택된 경우이다. 이때, 상기 마이컴(35)는 상기 스위치(34)를 턴온시켜 폐로(close)시킴으로서 상기 마이컴(35)과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이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로부터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스위치들(36, 40, 42)은 개방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PDP 모듈(36)로 고 전력량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아직까지는 적은 전력량이 공급되므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37)로도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즉, 공급되는 전력량이 크지 않다면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PFC)(37)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DCR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전력 효율화를 위해 바람직하다.When the power supply mode is the first active stand-by mode, only the DCR function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상기 전원 공급 모드가 상기 제 2 액티브 대기(active stand-by) 모드인 경우는 상기 DVR 기능이 선택된 경우이다. 이때, 상기 마이컴(35)는 상기 스위치(36)를 턴온시켜 폐로(close)시킴으로서 상기 마이컴(35)으로 마이컴 전원이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로부터 상기 신호 회로부(39)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머지 다른 3개의 스위치들(34, 40, 42)은 개방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 및 상기 PDP 모듈(36)로 고 전력량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는, 비교적 큰 전력량이 공급되므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턴온된 스위치(36)를 통해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37)로도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39)에 인가되는 전원들은 예를 들어 메모리, 사운드 IC, HDD 등으로 인가될 수 있다.When the power supply mode is the second active stand-by mode, the DVR function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이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모드가 정상(normal) 모드인 경우, 상기 모드 신호 제공부(43)를 통해 상기 정상 모드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마이컴(35)는 상기 스위치들(34, 36, 40, 42)을 모두 턴온시켜 접점들을 폐로화 시킴으로서 상기 마이컴(35)과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이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로부터 상기 신호 회로부(39)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PDP 모듈(36)로 고 전력량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는, 큰 전력량이 공급되므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턴온된 스위치(36)를 통해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37)로도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모든 전원들이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37)를 경유하여 공급된다. 이때, 상기 신호 회로부(39)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는 상기 스위치(42)를 통해 상기 PDP 모듈(36)에도 5V의 전원을 공급한다.Subsequently, when the power supply mode of the power supply device is a normal mode, when the normal mode signal is provided through the mo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플로우 챠트는 신호 보드 마이컴(35)의 동작과 이에 연계된 디스플레이 (여기서, PDP) 전원 보드의 동작으로 구분되어진다.5 is a flowchart (flow chart)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flowchart of FIG. 5 is divided into an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특징은 상기 DCR 기능 및 상기 DVR 기능에 따른 전원 관리를 별도로 하자는데 큰 특징이 있다. 예컨대, 마이컴, 신호 처리 회로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DVR 모드 및 DCR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고 나서, 상기 DVR 모드 및 DCR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모드들에 상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DCR 모드에 상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컴의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CR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DVR 모드에 상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회로 전원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을 공급한다.The feature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separate pow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CR function and the DVR function. For example, in a video device having a microcomputer, a signal processing circuit part and a display part, the DVR mode and DCR mode signals are generated by a user's selection, and then the display power supply is cut off in response to the DVR mode and DCR mode signals. Generate a power supply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des. Supply at least one DCR power supply with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computer in response to a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CR mode, and at least one power supply with at least one signal processing circuit power in response to the pow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VR mode. To supply DVR power.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영상기기가 파워 온 되어 교류(AC)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정류부(32)에서 우선 상기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전환한다.In more detail, first, when the video device is powered on and AC power is input, the
그리고, 이 상태는 전원 대기 모드로서 기본적으로 상기 신호 보드 마이컴(35)로 5V의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모드 신호 제공부(43)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 관리 모드가 어느 전원 모드인지를 판단한다.This state is a power standby mode, and 5 V power is supplied to th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원 관리 모드가 제 1 액티브 준비 모드인 경우, 즉, DCR 전원 공급 모드인 경우,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스위치들(34a, 34b)을 폐로시켜 5V와 3.3V의 DCR 전원들이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로부터 공급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DCR 전원들은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PFC)(37)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공급되도록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스위치(36)을 개방시킨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power management mode is the first active preparation mode, that is, when the DCR power supply mode is used, th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원 관리 모드가 제 2 액티브 준비 모드인 경우, 즉, DV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 공급 모드인 경우,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스위치들(34a, 34b)을 개방시켜 5V와 3.3V의 DCR 전원들이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로부터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스위치(36)를 폐로시켜 상기 19V,12V,6V의 DV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들이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PFC)(37)을 경유하여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로부터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35)는 상기 스위치들(40,42)을 개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들(Vs,Va)이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부(41)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즉 PDP 모듈(36)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power management mode is the second active ready mode, that is, when the DVR power and signal circuit power supply modes are provided, the
상기 판단 결과, 정상 전원 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기기의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모든 전원 공급부들(33, 38, 41)에 상기 DC 전원을 인가한다(S507). 즉,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스위치들(34a, 34b)을 폐로시켜 5V와 3.3V의 DCR 전원들이 상기 5V의 마이컴 전원과 함께 상기 대기 전원 공급부(33)로부터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스위치(36)를 폐로시켜 상기 19V,12V,6V의 DV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들이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PFC)(37)을 경유하여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로부터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35)은 상기 스위치들(40,42)을 폐로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들(Vs,Va)이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공급부(41)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즉 PDP 모듈(36)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6)로 5V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정상 전원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영상 기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normal power mode, the
도 5를 요약하면, 상기 영상기기가 파워 온되면 기본적으로 상기 5V의 마이컴 전원이 상기 마이컴(35)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 1 액티브 전원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신호 보드 마이컴(35)로의 상기 POD 카드의 삽입 유무에 따라 상기 PDP 파워 보드로 상기 DCR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신호 보드 마이컴(35) 상에서 상기 제 2 액티브 전원 모드가 선택되면, 즉 상기 DVR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스위치(36)가 폐로되고 상기 PDP 전력 보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DVR 전원 및 신호 회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력 효율 보정부(37)가 동작한다. 한편, 상 기 정상 전원 모드가 상기 신호 보드 마이컴(35) 상에서 선택되면, 상기 신호 보드 마이컴(35)는 상기 스위치들(40,42)을 폐로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용 전원들(Vs, 5V, Va)이 각각 상기 다중 전원 공급부(38) 및 상기 디스프레이 전원 공급부(41)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인 상기 PDP 모듈(36)로 제공된다. 5, when the video device is powered on, the 5V microcomputer power is basically supplied to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모드 및 그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ower management mode of the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s of the apparatus are as follows.
첫 째, 본 발명은 전원 모드를 보다 다양하게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making the power supply mode more diversified.
둘 째, 본 발명은 저압 출력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PFC부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전원 공급부에 전원을 공급시켜, 전력 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Second, when the low voltage output power is supplied, the pow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FC unit,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wer consump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149A KR100732165B1 (en) | 2005-08-12 | 2005-08-12 |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quipment |
EP06252657A EP1734759A3 (en) | 2005-06-13 | 2006-05-22 | A device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a display device |
CN2008101779205A CN101448115B (en) | 2005-06-13 | 2006-06-06 |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for display device |
CN200610093571XA CN1897432B (en) | 2005-06-13 | 2006-06-06 | Device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a display device |
US11/450,301 US7558977B2 (en) | 2005-06-13 | 2006-06-12 | Device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a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149A KR100732165B1 (en) | 2005-08-12 | 2005-08-12 |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314A KR20070019314A (en) | 2007-02-15 |
KR100732165B1 true KR100732165B1 (en) | 2007-06-27 |
Family
ID=4163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41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2165B1 (en) | 2005-06-13 | 2005-08-12 |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216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509B1 (en) | 2007-08-09 | 2014-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eaning devic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1888A (en) * | 1995-11-29 | 1997-06-26 | 배순훈 | Power control method of video equipment |
KR20040077150A (en) * | 2003-02-28 | 2004-09-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in power in a television set |
KR20050046389A (en) * | 2003-11-14 | 2005-05-1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Frequency divider system in dvd/vcr |
-
2005
- 2005-08-12 KR KR1020050074149A patent/KR1007321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1888A (en) * | 1995-11-29 | 1997-06-26 | 배순훈 | Power control method of video equipment |
KR20040077150A (en) * | 2003-02-28 | 2004-09-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in power in a television set |
KR20050046389A (en) * | 2003-11-14 | 2005-05-1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Frequency divider system in dvd/vc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509B1 (en) | 2007-08-09 | 2014-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eaning devic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314A (en) | 200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58977B2 (en) | Device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a display device | |
CN100483329C (en) | Method for controlling video-frequency displaying equipment with multiple signal source | |
US7050049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7478254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with power on from standby sequence that includes reconnecting dummy resistor to large load power supply line | |
US8612784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9980014710A (en) | A display device having a power saving circuit | |
US6115033A (en) |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 |
US20060285024A1 (en) | Audio/video playback control system of 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 | |
KR100732165B1 (en) |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quipment | |
KR101026397B1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897432B (en) | Device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a display device | |
KR101773489B1 (en) |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20100299543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thereof | |
KR10048001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in display | |
KR100489823B1 (en) | Power control system in display device with television receiving module | |
JP5094382B2 (en) |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 |
KR100981197B1 (en) | Display power control | |
KR100488521B1 (en) | Power control system for Display apparatus | |
KR100744508B1 (en) | A video device having a power saving mod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0200454Y1 (en) | Power interrupter of display device | |
KR100786077B1 (en) | Imag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the power saving mode (dPM mode)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240160888A (en) |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 |
CN115119059A (en) | Switching set-top box method, device, set-top box and storage medium | |
JP2000232615A (en) | Electronic device | |
KR20070058200A (en) | Television system for standby power red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