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824B1 -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제어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제어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1824B1 KR100731824B1 KR1020067000951A KR20067000951A KR100731824B1 KR 100731824 B1 KR100731824 B1 KR 100731824B1 KR 1020067000951 A KR1020067000951 A KR 1020067000951A KR 20067000951 A KR20067000951 A KR 20067000951A KR 100731824 B1 KR100731824 B1 KR 1007318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modulation
- communication
- performance measure
- transcei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방사 패턴들(264, 266)은 코드에 의해, 형태 및 방향과 같은 공간 특성들에 의해, 및/또는 주파수 및 편극과 같은 전자기 특성들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수신 통신 자원 유닛(282)은 상기 수신 제어 유닛(290)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 자원 제어 정보(288)에 따라 제어되는 수신 통신 자원들을 포함한다.
DSTTD 코딩에서, 2개의 공간-시간 전송 다이버시티(STTD) 코드들이 변조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4개의 전송 안테나 요소들(260, 262)로부터 전송된다:
상기에 나타난 성능 측정치는 예시일 뿐이다. 상기 성능 측정치는 서로 다른 변조 대안들로 변경할 뿐 아니라,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βk 및/또는 λk와 같이 상기 식으로부터의 선택된 함수 아규먼트(argument)들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βk 및 λk 파라미터들은 주어진 수신기 필터 매트릭스 L을 이용할 때, 상기 k 스트림들의 각각에 대해 신호-대-잡음비 추정치들을 반영한다. 또한, 병렬 통신 채널들의 전송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을 때, 통신 채널 특정 성능 측정치들의 이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성능 측정치는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에서 측정된 간섭 전력 또는 상관 매트릭스에서의 오프-대각 항들의 전력들에서 나타나는 자기-간섭 전력에 의존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상기 오프-대각 항들은 상기 성능 측정치를 계산할 때 0과 1 사이의 인수만큼 더 곱해질 수 있다. 그와 같은 인수는 (스트림간) 간섭을 억제하는 수신기 성능을 모델링할 수 있다. 선형 수신기는 0.5의 인수를 가질 수 있는 한편, 최대 가능성 수신기는 0.1의 인수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간섭의 평균 90%가 억제되는 경우를 모델링한다. 이들 측정들 중 임의의 측정이 예를 들어, 간섭 전력 측정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관 매트릭스 및 신호 알파벳들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 (다중-사용자 검출 문헌에서 점근 효율로 알려진) 2개의 신호 상태들 사이의 최소 거리 또는 고유값들에 관한 측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솔루션은 성능을 추정할 때 구조 확장 코드 매트릭스를 고려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자원들은 성능 측정치를 이용하여 링크 레벨 또는 시스템 레벨 요구들과 같은 순시 요구들에 적응된다. 상기 적응은 적응형 변조 방식들, 적응형 스케줄링, 적응형 빔 형성 및 적응형 전력 제어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및/또는 수신의 조합이 또한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성능 측정치는 상기 서로 다른 대안들의 각각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장 채널 매트릭스는 2가지 실행가능한 빔 형성 솔루션에 대해 계산될 수 있으며, 더 우수한 성능을 산출하는 솔루션이 선택될 수 있다. 당연하게, 상기 확장 채널 매트릭스가 계산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응형 전송 방법이 평가될 수 있다. 대안적인 확장 채널 모델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다른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감소된 모델 세트에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심볼 매트릭스를 선택하는 동안 전송 빔들의 수 또는 심볼률은 상기 물리적 채널 모델 H만을 이용함으로써 대강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빔 계수들 또는 전력들이 상기 확장 채널 모델을 이용하는 상기 개선된 성능 측정치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송 모델의 일부분은 선형 또는 비선형 프로그래밍과 같은 더 효율적인 최적화 기술들로 계속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모델은 서로 다른 수의 병렬 빔들 또는 서로 다른 심볼률의 매트릭스들 또는 둘다에 대해 평가될 수 있으며, 주어진 성능 측정치를 최대화한, 예를 들어 스루풋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성능 측정치 추정기(208, 292)는 상기 제 1 송수신기(200)와 상기 제 2 송수신기(272) 사이의 복수의 통신 채널들에 대한 성능 측정치들을 결정한다. 상기 무선 채널 정보, 즉 채널 매트릭스 H는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할 때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거나 그렇지 않거나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들은 서로 다른 전송 및/또는 수신 방법들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특정 전송 및/또는 수신 방법이 사용되면 상기 시스템의 성능을 특성화하는 서로 다른 성능 측정치들을 발생시킨다. 상기 성능 측정치 추정기(208, 292)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및/또는 수신 방법들에 대한 비트-에러율 또는 그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으며, 획득된 비트-에러율 추정치들이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자원들은 예를 들어, 상기 성능 측정치들이 결정된 방법들의 그룹으로부터 전송 및/또는 수신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전송 전력을 갖는 상기 최소 비트-에러율을 산출하는 전송 및/또는 수신 방법이 상기 실제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전송 안테나들 Nt의 수 및 심볼률 Rs가 고정된다. 상기 DABBA(2배 ABBA) 변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 2 송수신기(272)는 상기 수신 안테나 구성들의 서로 다른 선형 조합들에 대한 성능 측정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수신 안테나 요소들의 서로 다른 선형 조합들은 서로 다른 빔들(264, 266)을 발생시켜 서로 다른 확장 채널 매트릭스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성능 측정치들이 비교되고 가장 바람직한 수신 안테나 중량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송수신기(272)는 MIMO 변조의 선택형 다이버시티를 획득하고 수신 프로세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또한 상기 제 2 송수신기(272)에서 더 작은 수의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싱 구성요소들이 이용되게 한다. 상기 최소의 아날로그 무선 주파수 구성요소들은 수신 안테나들(274, 276)의 수보다는, 상기 선택된 서브세트의 수신 안테나들의 수와 동일하다.
Claims (46)
-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제 1 송수신기와 제 2 송수신기 사이의 통신 채널의 성능을 특성화하는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402)와, 여기서 상기 통신 채널은 변조를 포함하고, 변조 심볼들이 적어도 2개의 방사 패턴들을 이용하여 분배되고, 상기 성능 측정치는 상기 변조에 민감하며; 그리고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단계(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송수신기와 상기 제 2 송수신기 사이의 복수의 통신 채널들에 대한 복수의 성능 측정치들을 결정하는 단계(502, 506)와; 그리고상기 성능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단계(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송수신기와 제 3 송수신기 사이의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제 2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508)와; 그리고상기 결정된 성능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단계 (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송수신기와 상기 제 2 송수신기 사이의 통신 채널을 특성화하는 채널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502, 506, 5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변조 매트릭스의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확장 채널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502, 504, 5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매트릭스는 적어도 2개의 심볼 시간 간격들 내에서 적어도 2개의 안테나 자원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매트릭스는 벡터 변조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행, 매트릭스 변조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행들, 1보다 큰 심볼률, 채널 매트릭스의 차원보다 큰 차원을 갖는 행, 채널 매트릭스의 차원보다 큰 차원을 갖는 열, 확 산의 영향, 캐리어의 영향, 파형의 영향 및 채널화 코드들의 영향을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과 관련된 무선 채널 상의 채널 정보, 상기 통신 채널과 관련된 안테나 중량들 및 상기 통신 채널 상의 변조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502, 504, 5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치는 프레임-에러율, 비트-에러율, 신호-대-잡음비, 신호-대-간섭비, 점근 효율, 스루풋, 간섭 전력 및 잡음 전력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4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타겟 값과 상기 성능 측정치 사이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 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단계(404, 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순시 요구들에 적응시키는 단계(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채널은 인터리빙, 확산, 캐리어 파형, 서브캐리어 파형, 채널 인코딩, 매트릭스 변조, 벡터 변조, MIMO 변조, 공간-시간 코딩, 공간-주파수 코딩, 공간-코드 코딩, 빔 형성, 멀티-빔 형성, 무선 채널, 채널 디코딩, 검출, 등화, RAKE 수신 및 수신 신호의 필터링을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자원들은 시간 전송 통신 자원, 스펙트럼 전송 통신 자원, 인코딩 자원, 공간 전송 통신 자원 및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송 통신 자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자원들은 수신 통신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방법.
-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제 1 송수신기(200)와 제 2 송수신기(272) 사이의 통신 채널의 성능을 특성화하는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수단(208, 292)과, 상기 통신 채널은 변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변조 심볼들이 적어도 2개의 방사 패턴들(264, 266)을 이용하여 분배되고, 상기 성능 측정치는 상기 변조에 민감하며; 그리고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수단(210, 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송수신기(200)와 상기 제 2 송수신기(272) 사이의 복수의 통신 채널들에 대한 복수의 성능 측정치들을 결정하는 수단(208, 292)과; 그리고상기 성능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수단(210, 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송수신기(200)와 제 3 송수신기(272) 사이의 제 2 통신 채널에 대 한 제 2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수단(208, 292)과; 그리고상기 결정된 성능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수단(210, 2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송수신기(200)와 상기 제 2 송수신기(272) 사이의 통신 채널을 특성화하는 채널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수단(208, 29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변조 매트릭스의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확장 채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수단(208, 29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변조 매트릭스는 적어도 2개의 심볼 시간 간격들 내에서 적어도 2개의 안테나 자원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변조 매트릭스는 벡터 변조를 형성하는 하나의 행, 매트릭스 변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행들, 1보다 큰 심볼률, 채널 매트릭스의 차원보다 큰 차원을 갖는 행, 채널 매트릭스의 차원보다 큰 차원을 갖는 열, 확산의 영향, 캐리어의 영향, 파형의 영향 및 채널화 코드들의 영향을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상기 수단(208, 292)은 상기 통신 채널과 관련된 무선 채널 상의 채널 정보, 상기 통신 채널과 관련된 안테나 중량들 및 상기 통신 채널 상의 변조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상기 수단(208, 292)은 상기 통신 채널의 프레임-에러율, 비트-에러율, 신호-대-잡음비, 신호-대-간섭비, 점근 효율, 스루풋, 간섭 전력 및 잡음 전력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특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수단(210, 2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수단(210, 290)은 타겟 값과 상기 성능 측정치의 비교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순시 요구들에 적응시키는 수단(210, 2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채널은 인터리빙, 확산, 캐리어 파형, 서브캐리어 파형, 채널 인코딩, 매트릭스 변조, 벡터 변조, MIMO 변조, 공간-시간 코딩, 공간-주파수 코딩, 공간-코드 코딩, 빔 형성, 멀티-빔 형성, 무선 채널, 채널 디코딩, 검출, 등화, RAKE 수신 및 수신 신호의 필터링을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자원들은 시간 전송 통신 자원, 스펙트럼 전송 통신 자원, 인코딩 자원, 공간 전송 통신 자원 및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송 통신 자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자원들은 수신 통신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장치.
-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에 있어서,제 1 송수신기(200)와 제 2 송수신기(272) 사이의 통신 채널의 성능을 특성화하는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성능 측정치 추정기(208, 292)와, 상기 통신 채널은 변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변조 심볼들이 적어도 2개의 방사 패턴들(264, 266)을 이용하여 분배되고, 상기 성능 측정치는 상기 변조에 민감하며; 그리고상기 성능 측정치 유닛에 접속되며, 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10, 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 추정기(208, 292)는 상기 제 1 송수신기(200)와 상기 제 2 송수신기(272) 사이의 복수의 통신 채널들에 대한 복수의 성능 측정치들을 결정하도록 되며;상기 제어 유닛(210, 290)은 상기 성능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 추정기(208, 292)는 상기 제 1 송수신기(200)와 제 3 송수신기(300)에 대한 제 2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되며; 그리고상기 제어 유닛(210, 290)은 상기 결정된 성능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 추정기(208, 292)는 상기 통신 채널을 특성화하는 채널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 추정기는 변조 매트릭스의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 하는 확장 채널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5 항에 있어서,상기 변조 매트릭스는 적어도 2개의 심볼 시간 간격들 내에서 적어도 2개의 안테나 자원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5 항에 있어서,상기 변조 매트릭스는 벡터 변조를 형성하는 하나의 행, 매트릭스 변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행들, 하나보다 큰 심볼률, 채널 매트릭스의 차원보다 큰 차원을 갖는 행, 상기 채널 매트릭스의 차원보다 큰 차원을 갖는 열, 확산의 영향, 캐리어의 영향, 파형의 영향 및 채널화 코드들의 영향을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 추정기(208, 292)는,상기 통신 채널과 관련된 무선 채널 상의 채널 정보와;상기 통신 채널과 관련된 안테나 중량들과; 그리고상기 통신 채널 상의 변조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이 용하여 상기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성능 측정치는 상기 통신 채널의 프레임-에러율, 비트-에러율, 신호-대-잡음비 및 신호-대-간섭비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특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유닛(210, 290)은 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전송 방법을 선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유닛(210, 290)은 타겟 값과 상기 성능 측정치 사이의 비교에 기초하여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유닛(210, 290)은 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순시 요구들에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적응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인터리빙, 확산, 캐리어 파형, 서브캐리어 파형, 채널 인코딩, 매트릭스 변조, 벡터 변조, MIMO 변조, 공간-시간 코딩, 공간-주파수 코딩, 공간-코드 코딩, 빔 형성, 멀티-빔 형성, 무선 채널, 채널 디코딩, 검출, 등화, RAKE 수신 및 수신 신호의 필터링을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자원들은 시간 전송 통신 자원, 스펙트럼 전송 통신 자원, 인코딩 자원, 공간 전송 통신 자원 및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송 통신 자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자원들은 수신 통신 자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제어기.
- 원격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수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프로세서에서 컴퓨터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코딩 명령들을 구비하며,상기 컴퓨터 프로세스는:제 1 송수신기와 제 2 송수신기 사이의 통신 채널의 성능을 특성화하는 성능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402)와, 여기서 상기 통신 채널은 변조를 포함하고, 변조 심볼들이 적어도 2개의 방사 패턴들을 이용하여 분배되고, 상기 성능 측정치는 상기 변조에 민감하며; 그리고상기 성능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는 단계(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031079 | 2003-07-16 | ||
FI20031079A FI20031079A0 (fi) | 2003-07-16 | 2003-07-16 | Menetelmä tiedonsiirtoresurssien kontrolloimiseksi, sekä kontrolleri |
US10/689,850 US7613233B2 (en) | 2003-07-16 | 2003-10-22 | Method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esources |
US10/689,850 | 2003-10-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7358A KR20060037358A (ko) | 2006-05-03 |
KR100731824B1 true KR100731824B1 (ko) | 2007-06-25 |
Family
ID=3408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0951A KR100731824B1 (ko) | 2003-07-16 | 2004-07-13 |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제어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1645063B1 (ko) |
JP (1) | JP2007529164A (ko) |
KR (1) | KR100731824B1 (ko) |
BR (1) | BRPI0412570A (ko) |
NO (1) | NO20056179L (ko) |
WO (1) | WO200500894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Y143899A (en) * | 2004-08-12 | 2011-07-29 | Interdigital Tech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pace frequency block coding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JP4940296B2 (ja) * | 2006-04-25 | 2012-05-30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ハイブリッド自動再転送要求動作で資源を用いてデータを転送する方法 |
KR101321403B1 (ko) * | 2007-03-19 | 2013-10-25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공간 분할 다중 접속 멀티 유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위한 방법 |
US8345803B2 (en) * | 2008-10-02 | 2013-01-01 | Qualcomm Incorporated | Optimized finger assignment for improved multicarrier throughput |
DE102009043439A1 (de) * | 2009-09-29 | 2011-03-31 | Rohde & Schwarz Gmbh & Co. K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essung der Kanalqualitäts-Rückmeldungen von Mobilstationen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704449A (ko) * | 1989-10-20 | 1992-12-19 | 원본미기재 | 양방향 통신 시스템 |
JPH101992A (ja) * | 1996-06-18 | 1998-01-06 | Sekisui Chem Co Ltd | シンクの排水口構造 |
JPH101999A (ja) * | 1996-06-17 | 1998-01-06 | Kyowa Plast Sangyo Kk | 便器用接続フランジおよび同フランジと便器との連結構造 |
JPH102005A (ja) * | 1996-06-18 | 1998-01-06 | Daiko Kagaku Kogyo Kk | メッシュ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取付具 |
JPH102001A (ja) * | 1996-06-15 | 1998-01-06 | Okajima Kogyo Kk | グレーチング |
KR19990021868A (ko) * | 1995-05-24 | 1999-03-25 | 에르링 블롬메, 타게 뢰브그렌 |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
US6167031A (en) * | 1997-08-29 | 2000-12-2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for selecting a combination of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schemes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
KR20010108132A (ko) * | 1999-01-26 | 2001-12-07 | 추후제출 | 절전 수면 모드 및 신속한 기상 능력을 갖춘 다중캐리어전송 시스템 |
US20030048856A1 (en) * | 2001-05-17 | 2003-03-13 | Ketchum John W.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for transmiss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ing selective channel inversion |
US20030095508A1 (en) * | 2001-11-21 | 2003-05-22 | Tamer Kadous | Rate selection for an OFDM system |
KR20050019699A (ko) * | 2003-08-21 | 2005-03-03 |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 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조정 스트로크 장치가 형성된 무선점소등 승하강 제어조명타워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85258B1 (en) | 1997-09-16 | 2001-02-06 | At&T Wireless Services Inc. | Transmitter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
-
2004
- 2004-07-13 WO PCT/FI2004/000449 patent/WO200500894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7-13 KR KR1020067000951A patent/KR1007318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7-13 JP JP2006519943A patent/JP2007529164A/ja active Pending
- 2004-07-13 EP EP04742192.0A patent/EP164506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7-13 BR BRPI0412570-3A patent/BRPI0412570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12-23 NO NO20056179A patent/NO20056179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704449A (ko) * | 1989-10-20 | 1992-12-19 | 원본미기재 | 양방향 통신 시스템 |
KR19990021868A (ko) * | 1995-05-24 | 1999-03-25 | 에르링 블롬메, 타게 뢰브그렌 | 다중 케이싱을 사용할 때 오버래핑 셀의 생성 |
JPH102001A (ja) * | 1996-06-15 | 1998-01-06 | Okajima Kogyo Kk | グレーチング |
JPH101999A (ja) * | 1996-06-17 | 1998-01-06 | Kyowa Plast Sangyo Kk | 便器用接続フランジおよび同フランジと便器との連結構造 |
JPH101992A (ja) * | 1996-06-18 | 1998-01-06 | Sekisui Chem Co Ltd | シンクの排水口構造 |
JPH102005A (ja) * | 1996-06-18 | 1998-01-06 | Daiko Kagaku Kogyo Kk | メッシュ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取付具 |
US6167031A (en) * | 1997-08-29 | 2000-12-2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for selecting a combination of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schemes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
KR20010108132A (ko) * | 1999-01-26 | 2001-12-07 | 추후제출 | 절전 수면 모드 및 신속한 기상 능력을 갖춘 다중캐리어전송 시스템 |
US20030048856A1 (en) * | 2001-05-17 | 2003-03-13 | Ketchum John W.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for transmiss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ing selective channel inversion |
US20030095508A1 (en) * | 2001-11-21 | 2003-05-22 | Tamer Kadous | Rate selection for an OFDM system |
KR20050019699A (ko) * | 2003-08-21 | 2005-03-03 | 동국중전기 주식회사 |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 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조정 스트로크 장치가 형성된 무선점소등 승하강 제어조명타워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10-1992-704449 |
10-1999-21868 |
10-2001-108132 |
10-2005-1969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529164A (ja) | 2007-10-18 |
WO2005008944A1 (en) | 2005-01-27 |
BRPI0412570A (pt) | 2006-09-19 |
EP1645063A1 (en) | 2006-04-12 |
NO20056179L (no) | 2006-04-05 |
KR20060037358A (ko) | 2006-05-03 |
EP1645063B1 (en) | 2017-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13233B2 (en) | Method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resources | |
CN101300878B (zh) | 用于通信系统中的数据传输的装置和方法 | |
US10128920B2 (en) | Multi-antenna transmission for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 |
EP1559231B1 (en) | Mimo system with multiple spatial multiplexing modes | |
Sampath et al. | A fourth-generation MIMO-OFDM broadband wireless system: design, performance, and field trial results | |
CA2402152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ilot symbols on a plurality of subbands from a plurality of antennas | |
KR101123596B1 (ko) | 다중 송신 모드를 갖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시스템 | |
JP4908500B2 (ja) | 通信装置およびレート選択方法 | |
US7978649B2 (en) | Unified MIM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
AU200124592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 |
AU2001245921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 |
Giangaspero et al. |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MIMO OFDM systems | |
Bougard et al. | SmartMIMO: an energy-aware adaptive MIMO-OFDM radio link control for next-generati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KR100731824B1 (ko) | 통신 자원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제어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
JP4223474B2 (ja) | データ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 |
AU200723726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 |
Kh Shati | The Application of Spatial Complementary Code Keying in Point-to-Point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
Zhang et al. | Channel estimation error on performance of zero force beamforming based multiuser SDMA in downlink | |
Liu et al. | Performance of SVD based multiuser SDMA in uplink with channel estimation error | |
Taoka et al. | Comparisons between common and dedicated reference signals for MIMO multiplexing using precoding in Evolved UTRA downli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1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