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1773B1 -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 Google Patents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773B1
KR100731773B1 KR1020060089442A KR20060089442A KR100731773B1 KR 100731773 B1 KR100731773 B1 KR 100731773B1 KR 1020060089442 A KR1020060089442 A KR 1020060089442A KR 20060089442 A KR20060089442 A KR 20060089442A KR 100731773 B1 KR100731773 B1 KR 10073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orage tank
storage
wall
storage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식
조청휘
정경진
김옥수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7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는, 우수를 일시 저장하는 우수 저류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저류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판부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저류조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가 각 블록으로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양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과; 상기 저류블록과 저류블록 사이 및 저류블록과 외벽체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공간의 저류조를 형성하는 상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일실시예의 외벽체블록은 저류블록과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되,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 전방(前方) 단면부 및 양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각기 대응되도록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은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블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의 외벽체블록은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엔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블록체와,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상판 및 폐쇄블록판넬을 설치하기 위한 "ㄱ"자 형태의 거치돌기가 돌출된 사각형태의 블록체가 상호 혼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형태로 형성된 종래 육면체 구조의 저류블록에 비해 블록 자체의 단면적 감소를 이뤄 이에 따른 전체 중량을 감량시킴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을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 구조로 형성함에 따른 원자재비의 절감과 함께 상기한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제작 및 상기 블록을 통한 우수 저류조의 시공이 매우 용이해지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우수 저류조, 감량구조, 외벽체블록, 저류블록, 상판, 폐쇄블록판넬

Description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The water-storage tank worthy an undercurrent a block of loss in weigh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저류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외벽체블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대한 시공작업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외벽체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벽체블록을 통해 우수 저류조를 구성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우수 저류조 10. 저류블록
12, 22. 개구부 14, 24, 44. 걸림턱
20,20a,20b. 외벽체블록 25. 거치돌기
28. 폐쇄블록판넬 30. 상판
40. 저판부 42. 기초 저판부
46. 저류조 저판부
본 발명은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필요시 방출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 시공하는 우수 저류조에 있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대응되어 상판이 설치되는 저류블록을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 사이에 상판을 설치하여 밀폐형태의 우수 저류조를 구성함으로써,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형태로 형성된 종래 육면체 구조의 저류블록에 비해 블록 자체의 단면적 감소를 이뤄 이에 따른 전체 중량을 감량시킴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을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 구조로 형성함에 따른 원자재비의 절감과 함께 상기한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제작 및 상기 블록을 통한 우수 저류조의 시공이 매우 용이하도록 한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서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는 현상이 우기시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우수의 유입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도로의 침수나 가옥 및 건물의 침수로 이어지는 홍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우수의 하천 유입량이 적어지면 하천의 수질이 악화되는 단점과 아울러 지하수 역시 고갈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우수를 지하에 임시로 저장하여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정하는 저류조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저류조의 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우수 저류조(특허 등록번호 제485742호)의 경우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 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 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는 슬래브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또 다른 우수 저류조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우수 저류조(특허 등록번호 제582121호)의 경우 육면체의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면판과 저면판의 각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되고, 각 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판에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저류블록과; 사각형의 판형상을 갖고 끝단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 단차부에 안착되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상면 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저류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면 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의 저류블록들 사이에 결합되어 저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우수 저류조에 있어, 특허 등록 제485742호의 우수 저류조의 본체부용 블록과 특허 등록 제582121호의 우수 저류조의 저류블록의 형상이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태의 육면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등 상기한 구조를 통해 1개당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의 자체 크기 및 부피가 커지면서 이와 대응적으로 블록 자체의 중량이 매우 무거워지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을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태의 육면체 구조로 형성할 경우 상기 블록의 콘크리트 성형을 위한 박스형태의 육면체 구조로 거푸집을 제작해야 함과 아울러 상기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성형 후 응고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등 상기한 구조로의 블록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특히 상기 박스형태의 육면체 구조로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을 제작해야 함에 따른 원자재비 역시 크게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종래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이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태의 육면체 구조를 이룸으로써 블록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질 경우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의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데 특히 상기 중량(重量)의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을 시공위치에 정확히 배치하지 않을 경우 크레인을 통해 상기한 육면체 구조인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들의 잦은 위치 수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상기한 본체부용 블록과 인접한 본체부용 블록간 볼트 조립작업 및 저류블록과 인접한 저류블록간 볼트 조립작업을 제대로 시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우수 저류조 시공에 사용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태의 육면체 구조를 이룸에 따른 1개당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의 자체 크기 및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이를 매설 시공 현장에 운반하기 위한 차량 1대당 운송물량이 매우 적어 시공공사에 소요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저류블록 전체를 운반하는데 대한 운반시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많은 차량이 소요됨에 따른 운반비용 역시 크게 증가되면서 우수 저류조 시공에 따른 경제성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필요시 방출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 시공하는 우수 저류조에 있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대응되어 상판이 설치되는 저류블록을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 사이에 상판을 설치하여 밀폐형태의 우수 저류조를 구성함으로써,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종래 육면체 구조의 저류블록에 비해 블록 자체의 단면적 감소를 이뤄 이에 따른 전체 중량을 감량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있어, 상기와 같이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을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하판이 폐쇄된 종래 육면체 구조의 저류블록에 비해 원자재비의 절감과 함께 상기한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제작 및 상기 블록을 통한 우수 저류조의 시공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운반시 상호 내측으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하여 운반함에 따라 상,하판이 폐쇄되어 박스형태를 이루는 종래 육면체형태의 저류블록들에 비해 이를 운반하기 위한 차량 1대당 운송물량이 많아지면서 이로 인한 부재 전체의 운반시간 단축과 아울러 운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는, 우수를 일시 저장하는 우수 저류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저류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판부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저류조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가 각 블록으로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양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과;
상기 저류블록과 저류블록 사이 및 저류블록과 외벽체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공간의 저류조를 형성하는 상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저류블록의 양측면 상단에는 저류블록간 사이 또는 저류블록과 외벽체블록 사이에 상판을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삼각형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일실시예의 외벽체블록은 저류블록과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되, 저류블록 전방(前方) 단면부 및 양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각기 대응되도록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은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블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저류블록의 개구부 측과 대응되는 외벽체블록 중 개구부가 형성된 타측면 상단에는 저류블록과 외벽체블록 사이에 상판을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삼각형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의 외벽체블록은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엔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블록체와,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ㄱ"자 형태의 거치돌기가 돌출된 사각형태의 블록체가 상호 혼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외벽체블록과 외벽체블록 사이에는 "ㄱ"자 형태의 거치돌기에 대응되어 상기 거치돌기의 수평면엔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거치돌기의 수직면엔 사각판상의 폐쇄블록판넬이 설치되어 밀폐공간의 저류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판부는 저류조 시공을 위해 기초터파기 후 기초콘크리트를 1 차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 바닥면을 형성하는 기초 저판부와, 상기 기초 저판부에 설치된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하단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외벽체블록 및 저류블록을 고정하면서 저류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류조 저판부로 구성되되, 상기 기초 저판부의 테두리부에는 외벽체블록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되는 외벽체블록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이하, 우수 저류조라 함)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저류블록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외벽체블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저류조(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판부(40)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저류조(1)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20)과; 상기 외벽체블록(20)과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가 각 블록으로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양측면에 개구부(12)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10)과; 상기 저류블록(10)과 저류블록(10) 사이 및 저류블록(10)과 외벽체블록(20)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공간의 저류조(1)를 형성하는 상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 중 상기 저류블록(10)의 경우 우수 저류조(1)를 형성하는 주 부재로서, 상기한 저류조(1) 시공을 위해 기초터파 기 후 1차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의 바닥면 즉, 기초 저판부(42)에 일직선상으로 저류블록(10)을 배열 설치한 다음 상기 저류블록(10)의 하단에 2차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저류조(1)의 바닥면인 저류조 저판부(46)을 형성하면서 하단이 고정되는 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저류조(1) 내부로 유입된 우수의 유동이 상호 이웃한 각 블록 간 즉, 저류블록(10) 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후 개방된 저류블록(10)의 좌우 양측면에 개구부(12)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류블록(10)의 양측면 상단 즉, 상기 개구부(12)가 관통 형성된 양측면 상단에는 저류블록(10)과 저류블록(10) 사이 또는 상기 저류블록(10)과 외벽체블록(20) 사이에 상판(30)을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턱(14)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걸림턱(14)의 경우 상판(30)이 안착 고정되도록 저류블록(10)의 상면과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삼각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있는 등 이는 상판(30)을 지지하기 위한 매우 안정된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 중 상기 외벽체블록(20)의 경우 기초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형성된 기초 저판부(42)의 테두리부에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저류블록(10)과 마찬가지로 2차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하단이 고정되어 저류조(1)의 외벽을 형성하는 블록체로서, 상기한 저류블록(10)의 재질과 동일한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블록체인 저류블록(10)과 동일 구조로 형성되되, 각 저류블록(10)으로부터 이동된 우수의 누설 방 지와 함께 유동을 원활히 하면서 저류조(1)의 외벽을 이룰 수 있도록 도 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개방된 외벽체블록(20)의 좌우 양측면 중 일측면은 폐쇄되고 상기 외벽체블록(20)의 타측면은 저류블록(10)의 개구부(12) 및 전후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10) 전방(前方) 단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저류블록(10)의 개구부(12)와 동일형태 및 동일크기의 개구부(22)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등 일측폐쇄 저류블록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한 외벽체블록(20)의 구조 중 상기 외벽체블록(20)의 타측면 즉, 상기 개구부(22)가 관통 형성된 타측면 상단에는 도 3의 (a)와 같이 저류블록(10)과 외벽체블록(20) 사이에 상판(30)을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턱(24)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걸림턱(24)의 경우 역시 전술한 저류블록(10)의 양측면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4)과 동일한 삼각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한 외벽체블록(20)의 구조 중 도 3의 (b)와 같이 전후 개방된 "ㄷ"자 형태의 좌우 양측면 중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은 개구부(22)만 형성된 외벽체블록(2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10) 전방(前方) 단면과 외벽체블록(20)의 개구부(22)가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저류블록(10)의 전방(前方) 단면에 개구부(22)가 형성된 외벽체블록(20)의 타측면이 면착되게 설치됨에 따라 도 3의 (a) 구조와 같이 상판(30)을 설치하기 위한 걸림턱(24)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 중 상기 상판(30)의 경우 저류블록(10) 및 외벽체블록(20)과 동일한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저류블록(10)과 저류블록(10) 사이 또는 상기 저류블록(10)과 외벽체블록(20) 사이에 안착 설치되어 상기 저류조(1)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20)과 함께 밀폐형태의 우수 저류조(1)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 중 상기 저판부(40)의 경우 저류조(1) 시공을 위해 기초터파기 후 기초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 바닥면을 형성하는 기초 저판부(42)와, 상기 기초 저판부(42)에 설치된 외벽체블록(20)과 저류블록(10)의 하단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외벽체블록(20) 및 저류블록(10)을 고정하면서 저류조(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류조 저판부(4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초 저판부(42)의 테두리부에는 외벽체블록(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되는 외벽체블록(2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44)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저류블록(10), 외벽체블록(20) 및 상판(30)을 이용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 시공과정을 도 4a 내지 도 4f와 대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대한 시공작업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우수 저류조(1)의 시공을 위하여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터파기(S100)를 실행한 다음 상기 기초터파기(S100)된 바닥면에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를 타설(S110)하여 우수 저류조(1)의 기초 바닥면인 기초 저판부(4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초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해 우수 저류조(1)의 기초 바닥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저판부(42)의 테두리에 외벽체블록(20)을 상호 연접되게 일직선상으로 배열 설치하되, 저류블록(10)의 개구부(12)와 대응되는 기초 저판부(42)의 일측 테두리 변(邊)에는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외벽체블록(20) 중 폐쇄된 일측면은 외벽을 위한 외측방향으로 걸림턱(24)과 함께 개구부(22)가 형성된 타측면은 내측방향으로 각각 향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저류블록(10)의 "ㄷ"자 형태 전방(前方) 단면과 대응되는 기초 저판부(42)의 타측 테두리 변(邊)에는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외벽체블록(20) 중 폐쇄된 일측면은 외벽을 위한 외측방향으로 걸림턱은 전무하고 개구부(22)만 형성된 타측면은 내측방향으로 각각 향하도록 설치(S120)하여 하나의 사각 구조체 즉, 우수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우수 저장부(P)를 형성하는데, 이 때 상기 기초 저판부(42)의 타측 테두리 변(邊)에 설치되는 외벽체블록(20)의 경우 도 3의 (b)구조인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은 개구부(22)만 형성된 외벽체블록(2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도 3의 (b)구조를 저류블록(10)의 "ㄷ"자 형태 전방(前方) 단면 측에만 대응 설치하고 상판(30)이 설치되는 외벽체블록(20)과 저류블록(10) 및 상기 저류블록(10)과 저류블록(10) 사이에는 도 3의 (a)구조인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은 개구부(22)와 함께 걸림턱(24)이 형성된 외벽체블록(20)을 혼용(도 4c 참조)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와 같이 상기 기초 저판부(42)의 테두리부에 외벽체블록(20)을 설치하여 우수 저장부(P)가 형성되도록 사각 구조체를 이룬 상태에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체블록(20)과 상호 대응되어 상판(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우수 저장부(P)에 저류블록(10)을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상기 우수 저장부(P) 측으로 향해 설치된 외벽체블록(20)의 타측면 개구부(22)와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저류블록(10) 양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2) 또는 상기 외벽체블록(20)의 타측면 개구부(22)와 저류블록(10)의 "ㄷ"자 형태 전방(前方) 단면과 상호 대응되어 각 저류블록(10)과 저류블록(10) 사이 및 각 저류블록(10)으로부터 외벽체블록(20)의 개구부(22)가 형성된 타측면 측으로 우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S130)한다.
이후, 상기 저류조(1)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20)과 저류블록(10) 간에 상호 일체화를 이루기 위하여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된 외벽체블록(20) 및 저류블록(10)의 하단에 2차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저류조(1)의 바닥면인 저류조 저판부(46)를 형성하면서 상기 외벽체블록(20) 및 저류블록(10)을 고정(S140)한 다음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체블록(20)의 걸림턱(24)과 이와 대응되는 저류블록(10)의 걸림턱(14) 사이에 우수 유입구(32)가 형성된 상판(30)을 안착시키고, 또한 상기 저류블록(10)의 걸림턱(14)과 이웃한 저류블록(10)의 걸림턱(14) 사이에 역시 상판(30)을 안착(S150)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 시공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우수 유입구(32)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30)에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지하에 매설되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에 따라 외벽인 외벽체블록(20)의 상단에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에 임시 저 장된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우수 배수구(34)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우수 저류조(1)의 바닥면 즉, 저류조 저판부(46) 보다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벽체블록(20) 상에 형성된 우수 유입구(32)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가 지하에 매설 시공된 상태에서 비가 올 경우 지면까지 돌출된 우수 저류조(1)의 우수 유입구(32)를 통해 우수 저류조(1)의 내부인 우수 저장부(P)로 유입 저장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우수 저장부(P)에 저장되는 우수는 우수 배수구(34)를 통해 지하에 매설된 배수관로 측으로 배수되어 많은 양의 우수에 의해 도로 침수나 가옥 및 건물의 침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적용된 외벽체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벽체블록을 통해 우수 저류조를 구성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에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의 외벽체블록(20,20a,20b)은, 도 3의 (a)에 도시된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은 개구부(22)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블록체(20)와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사각형태의 블록체로 형성되면서 그 일측단 또는 양측단엔 "ㄱ"자 형태의 거치돌기(25)가 돌출 형성된 구조의 블록체(20a,20b)가 상호 혼용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한 도 3의 (a) 구조인 외벽체블록(20)은 저류블록(10)의 개구부(12)와 상호 대응되도록 기초 저판부(42)의 일측 테두리 변(邊)상에 설치되고, 상기한 도 5의 외벽체블록(20a,20b)은 저류블록(10)의 단면 즉, 전후 개방된 "ㄷ"자의 전방(前方) 단면과 상호 대응 면착되도록 기초 저판부(42)의 타측 테두리 변(邊)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벽체블록(20a,20b)과 외벽체블록(20a,20b) 사이에는 "ㄱ"자 형태의 거치돌기(25)에 대응되어 상기 거치돌기(25)의 수평면과 수직면에 상판(30)과 폐쇄블록판넬(28)을 각각 설치 구성함으로써 도 6과 같은 밀폐공간의 저류조(1)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외벽체블록(20,20a,20b)과 저류블록(10)간 연결은 전술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1) 시공과정 중 도 4e와 같이 2차 콘크리트의 타설로 저류조(1)의 바닥면인 저류조 저판부(46)를 형성하면서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은 개구부(22)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외벽체블록(20)과 양측면이 개구부(12)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4f와 같이 외벽체블록(20)의 걸림턱(24)과 이와 대응되는 저류블록(10)의 걸림턱(14) 사이에 상판(30)을 안착시키는 방식과, 상기한 외벽체블록(20a,20b)을 전후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10) 전방(前方) 단면과 면착시킨 후 2차 콘크리트의 타설로 저류조(1)의 바닥면인 저류조 저판부(46)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외벽체블록(20a,20b) 및 저류블록(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호 면착된 부위에 방수를 위한 방수제를 도포하는 방식을 혼용함으로써 상기한 외벽체블록(20,20a,20b), 저류블록(10) 및 상판(30)을 통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밀폐형태의 우수 저류조(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시공과정은 전술한 도 4a 내지 도 4f의 시공과정과 동일 함에 따라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는,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필요시 방출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 시공하는 우수 저류조에 있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대응되어 상판이 설치되는 저류블록을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 사이에 상판을 설치하여 밀폐형태의 우수 저류조를 구성함으로써, 상판과 하판이 기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종래 육면체 구조의 저류블록에 비해 블록 자체의 단면적 감소를 이뤄 이에 따른 전체 중량을 감량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조에 있어, 상기와 같이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을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하판이 폐쇄된 종래 육면체 구조의 저류블록에 비해 원자재비의 절감과 함께 상기한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제작 및 상기 블록을 통한 우수 저류조의 시공이 매우 용이한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운반시 상호 내측으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하여 운반함에 따라 상,하판이 폐쇄되어 박스형태를 이루는 종래 육면체형태의 저류블록들에 비해 이를 운반하기 위한 차량 1대당 운송물량이 많아지면서 이로 인한 부재 전체의 운반시간 단축과 아울러 운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우수를 일시 저장하는 우수 저류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저류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판부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저류조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가 각 블록으로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양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저류블록; 및
    상기 저류블록과 저류블록 사이 및 저류블록과 외벽체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공간의 저류조를 형성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벽체블록은 일측면은 폐쇄되고 타측면엔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전후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블록체와,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ㄱ"자 형태의 거치돌기가 돌출된 사각형태의 블록체가 상호 혼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블록과 외벽체블록 사이에는 "ㄱ"자 형태의 거치돌기에 대응되어 상기 거치돌기의 수평면엔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거치돌기의 수직면엔 사각판상의 폐쇄블록판넬이 설치되어 밀폐공간의 저류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는 저류조 시공을 위해 기초터파기 후 기초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 바닥면을 형성하는 기초 저판부와, 상기 기초 저판부에 설치된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하단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외벽체블록 및 저류블록을 고정하면서 저류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류조 저판부로 구성되되, 상기 기초 저판부의 테두리부에는 외벽체블록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설치되는 외벽체블록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20060089442A 2006-09-15 2006-09-15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Active KR100731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442A KR100731773B1 (ko) 2006-09-15 2006-09-15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442A KR100731773B1 (ko) 2006-09-15 2006-09-15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773B1 true KR100731773B1 (ko) 2007-06-22

Family

ID=3837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442A Active KR100731773B1 (ko) 2006-09-15 2006-09-15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7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92B1 (ko) 2007-09-14 2008-06-12 우민호 우수처리장치
KR101198719B1 (ko) 2012-06-13 2012-11-12 (주)에코청진 빗물저류조
KR20200137455A (ko) 2019-05-30 2020-12-09 심낙훈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KR102290677B1 (ko) 2020-04-27 2021-08-17 우정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KR102617930B1 (ko) 2022-12-14 2023-12-26 김성중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투수 콘크리트 조성물이 적용된 침투형 빗물받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573B2 (ja) * 1993-02-18 1996-03-13 株式会社日東 雨水貯留槽
KR100485742B1 (ko)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573B2 (ja) * 1993-02-18 1996-03-13 株式会社日東 雨水貯留槽
KR100485742B1 (ko)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92B1 (ko) 2007-09-14 2008-06-12 우민호 우수처리장치
KR101198719B1 (ko) 2012-06-13 2012-11-12 (주)에코청진 빗물저류조
KR20200137455A (ko) 2019-05-30 2020-12-09 심낙훈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KR102290677B1 (ko) 2020-04-27 2021-08-17 우정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KR102617930B1 (ko) 2022-12-14 2023-12-26 김성중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투수 콘크리트 조성물이 적용된 침투형 빗물받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100702860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0731773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1087644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벽체부 구축물 구조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070074512A (ko) 조립식 저류조
CN207739164U (zh) 一种道路涵洞结构
KR20090006315A (ko) L형 우수저류조
KR101020863B1 (ko)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
KR101976073B1 (ko)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KR101770268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를 위한 저류 단위블록, 저류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859056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를 위한 저류 단위 블록, 저류조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88436B1 (ko) 조립식 지중 우수 저류조 시공방법
KR200299545Y1 (ko)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JPH06272291A (ja) 雨水貯留槽
KR101367937B1 (ko) 투수성 포장재의 침투량 증대장치
CN112031002A (zh) 桩承式生态护坡及施工方法
KR102386350B1 (ko) 세로형 수로관
KR102609563B1 (ko) 모듈형 플라스틱 배수 장치
KR102026755B1 (ko) 저류조 벽체 및 저류조 벽체 구축방법
JPH0439336Y2 (ko)
JP271964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宅内貯留槽
JPH0885956A (ja) 法面小段における排水施工方法と排水構造及びその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