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198B1 -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1198B1 KR100731198B1 KR1020060024489A KR20060024489A KR100731198B1 KR 100731198 B1 KR100731198 B1 KR 100731198B1 KR 1020060024489 A KR1020060024489 A KR 1020060024489A KR 20060024489 A KR20060024489 A KR 20060024489A KR 100731198 B1 KR100731198 B1 KR 1007311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ergency braking
- elevator
- plate
- moving
- side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반적인 구조가 단순함과 더불어 비상 제동시 로우프를 견고하게 제동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having a new structure capable of firmly braking the rope during an emergency braking with a simple overall structur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그 내부를 따라 로우프가 경유하는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측면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로우프를 사이에 두고 각 측면패널 사이에서 상기 고정판과 대향 설치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함께 상기 로우프를 제동하는 이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측면패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측면패널의 저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공; 상기 각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면서 상기 각 가이드공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이동축; 그리고, 조속기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동축의 하강 이동을 구속하되, 비상 제동시에는 상기 이동축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 어셈블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가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rame having a first side panel and a second side panel via the rope through the inside, a fixing plate provided between each side panel of the base frame, and each of the rope between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the side panels and installed in a state opposite to the fixed plate and comprises a moving plate for braking the rope together with the fixed plate, each formed on each side panel, toward the bottom of each side panel A guide hole inclined toward the fixing plate; A moving shaft which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through the guide holes and is moved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e holes; In addition,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is provided, wherein the restraining assembly is configured to restrai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moving shaft while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governo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4 and 5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6 and 7 are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8 and 9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12 and 13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베이스 프레임 110. 제1측면패널100.
120. 제2측면패널 130. 베이스120.
140. 배면 플레이트 200. 고정판140.Back plate 200.Retaining plate
210. 압축 스프링 220. 브레이크 라이닝210.
300. 이동판 320. 브레이크 라이닝300. Moving
411,412. 가이드공 421,422. 이동축411,412. Guide ball 421,422. Moving shaft
500. 구속 어셈블리 510. 제1연결링크500. Restraint
511. 관통공 520. 구속턱511. Through
530. 구속돌기 540. 연결부재530. Restraint
550. 복귀부 551. 제1결합 브라켓550. Returning
552. 제2결합 브라켓 553. 복귀부재552.
560. 지지관 600. 탄력부재560.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시 로우프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그 동작은 최대한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configured to allow the rope to be more stably fixed during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and the operation can be made as simply as possib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 등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승객을 이송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passengers while lift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high-rise building.
상기한 엘리베이터는 모터로 견인되는 다수의 로우프에 연결되어 승,하강 된다.The elevato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opes to be pulled by a motor, ascend, descend.
특히,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비상 사고(예컨대, 미끄러짐이나 규정 속도를 초과한 하강 발생시 혹은, 규정 속도를 초과한 상승 발생시)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 제동장치가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elevator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coping with an emergency accident (for example, when slipping or falling above a specified speed or rising above a prescribed speed) that may occur while lif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196205호 및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21960호에서는 전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0196205 and Korean Patent No. 10-0221960 disclos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즉,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라이닝이 로우프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향해 동작되면서 상기 로우프를 서로 가압하여 엘리베이터가 비상 정지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is configured to press the ropes together while the pair of brake linings are op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opes so that the elevator can be emergencyly stopped.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라이닝으로 상기 로우프를 제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매우 큰 가압력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forementioned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very large pressing force is required for the pair of brake linings in order to brake the rope with the pair of brake linings.
즉, 상기 두 브레이크 라이닝에 상기 로우프의 제동을 위한 충분한 가압력이 제공되지 못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무게로 인해 상기 로우프가 상기 두 브레이크 라이닝 사이로부터 미끌어져 안전 사고의 발생 원인이 된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two brake linings a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 pressing force for braking the ropes, the ropes are slid from the two brake linings due to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using a safety accident.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전체적인 동작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어려워 생산성 저하가 야기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assembly oper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overall operating structure is complicat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반적인 구조가 단순함과 더불어 비상 제동시 로우프를 견고하게 제동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firmly braking the rope during emergency braking as well as the overall structure is simple.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그 내부를 따라 로우프가 경유하는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측면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로우프를 사이에 두고 각 측면패널 사이에서 상기 고정판과 대향 설치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함께 상기 로우프를 제동하는 이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측면패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측면패널의 저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공; 상기 각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면서 상기 각 가이드공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이동축; 그리고, 조속기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동축의 하강 이동을 구속하되, 비상 제동시에는 상기 이동축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 어셈블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frame having a first side panel and a second side panel via the rope through the inside, and each side panel of the base frame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the side panels with the rop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ixed to the fixed plate, and configured to brake the rope together with the fixed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each side panel. Guide hole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ixing plate toward the bottom of each side panel; A moving shaft which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through the guide holes and is moved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e holes; The restraint assembly which restrain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moving shaft while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governor, further comprises a restraint assembly f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moving shaft during emergency braking.
여기서, 상기 구속 어셈블리는 일단이 제1측면패널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축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상기 제1연결링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구속턱과, 상기 구속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돌기에 연결되면서 비상 제동시 상기 조속기로부터 인장 하중을 제공받아 상기 구속돌기가 상기 구속턱으로부터 이탈하도록 동작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straint assembly is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anel, the other end is a first connection link connected to the moving shaft, a restraining jaw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And a restraining protrusion selectively caught by the restraining jaw,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restraining protrusion and receiving a tensile load from the governor during emergency braking so that the restrain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restraining jaw.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구속돌기의 각 부위 중 상기 구속턱에 맞물리는 부위와는 반대측 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속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of each of the restraint projections engaging the restraining jaw,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또한, 상기 구속 어셈블리에는 상기 연결부재로 제공되는 인장 하중의 해제시 상기 연결부재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복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straint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turn configured to return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initial position upon release of the tensile load provided to the connecting member.
이때, 상기 복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을 감싸면서 상기 제1측면패널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 브라켓과, 상기 구속돌기의 이동을 지지하며, 상기 구속돌기를 감싸면서 상기 제1측면패널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결합 브라켓과, 상기 구속돌기와 상기 제1결합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조속기로부터 상기 연결부재로 제공되는 인장 하중의 해제시 상기 구속돌기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복원되는 탄력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return unit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surrounds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o support the first coupling bracke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anel, the movement of the restraining protrusion, the restraining protrusion A second coupling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anel and surrounding the first side panel, and installed between the restraint protrusion and the first coupling bracket to release the restraining protrusion when the tension load provided from the governor to the connecting memb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ilient member to be restored to return.
또한, 상기 제1연결링크에는 상기 이동축의 끝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이동축이 하향 이동되면서 고정판을 향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연결링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link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moving shaft is penetrated, and the through hole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to allow movement toward the fixed plate while the moving shaft is moved downwar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이동축은 상기 이동판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이동축과 상기 이동판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이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측면패널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은 상기 제1이동축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가이드공과 상기 제2이동축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2가이드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shaft may include a first moving shaf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moving plate and a second moving shaft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moving plate, and guide holes formed on each side panel may have both ends of the first moving shaft. And a pair of second guide ball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guide balls and both ends of the second moving shaft.
또한, 고정판과 이동판의 대향면에는 로우프와의 마찰력 증진을 위한 브레이크 라이닝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lining for further improving the friction force with the rope is installed.
또한, 비상 제동시 상기 이동판의 하강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auxiliary brak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aid for assisting the moving down of the moving plate.
이때, 상기 이동 보조부는 일단은 상기 제1측면패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판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연결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판이 하향 이동되도록 동작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moving aid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ane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k so that when the restraint of the moving plate is released, the moving plate moves downward by rotating the first connection li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ilient member that is operated.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첨부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00)과, 고정판(200)과, 이동판(300)과, 가이드공(411,412)과, 이동축(421,422) 및 구속 어셈블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통상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The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설치 위치는 비상 상황에 따라 달리 이루 어진다. 예컨대, 엘리베이터(1)의 급속한 하강에 따른 비상 제동을 위해 적용될 경우에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기계실 중 엘리베이터(1)와 풀리(2) 사이의 로우프(3)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의 급속한 상승에 따른 비상 제동을 위해 적용될 경우에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기계실 중 풀리(2)와 무게추(4) 사이의 로우프(3)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비상 제동장치가 엘리베이터(1)의 급속한 하강에 따른 비상 제동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상기 엘리베이터(1)의 상부에 위치됨을 예로 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양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110) 및 제2측면패널(120)과, 상기 각 측면패널(110,120)의 저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130) 및 배면을 이루는 배면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각 측면패널(110,120) 사이로는 로우프(3)가 경유하도록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다음으로, 상기 고정판(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fixing
상기 고정판(200)은 후술되는 이동판(300)과 함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경유하는 로우프(3)를 강제 제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각 측면패널(110,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 측면패널(110,120)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The fixing
특히, 상기 고정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스프링(210)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21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 플레이트(140)와 상기 고정판(200)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200)과 상기 이동판(300) 사이에 로우프(3)가 제동되었을 경우 상기 로우프(3)의 제동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fixing
즉, 상기 압축스프링(210)은 상기 로우프(3)의 제동에 의해 고정판(200)이 배면 플레이트(140)를 향해 후퇴되더라도 상기 고정판(200)이 상기 이동판(300)을 향해 전진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로우프(3)가 상기 고정판(200)과 이동판(300) 사이에서 견고히 제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물론, 상기 고정판(200)은 한 쌍의 측면패널(110,120) 사이에 그 유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fixing
다음으로, 상기 이동판(3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moving
상기 이동판(300)은 상기 고정판(200)과 함께 상호 간의 사이를 경유하는 로우프(3)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moving
상기한 이동판(300)은 상기 로우프(3)를 사이에 두고 각 측면패널(110,120) 사이에서 상기 고정판(200)과 대향 설치된 상태로 승강 이동되면서 전후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이동판(300)은 단순히 전후 이동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하강 동작이 진행될 경우 상기 고정판(200)을 향해 근접하면서 상기 로우프(3)를 제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ving
이때, 상기 이동판(300)이 하강 도중 고정판(200)을 향해 근접되는 동작은 후술되는 가이드공(411,412) 및 이동축(421,422)에 의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moving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고정판(200) 및 이동판(300) 간의 대향면에 브레이크 라이닝(220,320)이 더 설치됨을 제시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이때,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20,320)은 상기 고정판(200) 및 이동판(300)과 상기 로우프(3) 간의 마찰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판(300)의 하강 이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프(3)가 상기 고정판(200) 및 이동판(300) 사이에서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brake lining (220,320) by the friction between the fixing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공(411,412) 및 이동축(421,422)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guide holes 411 and 412 and the moving
상기 가이드공(411,412) 및 이동축(421,422)은 상기 이동판(3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판(300)이 하강 이동될 경우 상기 이동판(300)이 상기 고정판(200)을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guide holes 411 and 412 and the moving
이때 상기 가이드공(411,412)은 상기 각 측면패널(110,120) 중 상기 이동판(300)의 이동 방향(도면상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구멍이며, 저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판(20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guide holes 411 and 412 are holes form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이동축(421,422)은 그 일부가 상기 각 측면패널(110,120)의 외부를 향해 노출된 상태로 상기 각 가이드공(411,412)을 관통하여 이동판(3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ving
이에 따라, 상기 이동축(421,422)이 하강될 경우 상기 각 가이드공(411,412) 의 안내를 받아 고정판(200)이 위치된 방향(이하, “후방”이라 함)을 향하도록 이동됨으로써 이동판(300)은 예컨대, 쐐기 형태로 상기 고정판(200)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로우프(3)를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moving
특히, 상기한 이동축(421,422)은 상기 이동판(30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moving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축(421,422)이 상기 이동판(300)의 상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이동축(421)과 상기 이동판(3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이동축(4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공(411,412)은 상기 각 제1이동축(421)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가이드공(411)과 상기 각 제2이동축(422)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2가이드공(41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According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상술한 구성은 상기 이동판(300)이 이동(승강 및 전후 이동)됨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for supporting the moving
다음으로, 상기 구속 어셈블리(5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상기 구속 어셈블리(500)는 조속기(도 4 및 도 5 참조)(10)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이동판(300)의 하강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되, 비상 제동시에는 상기 각 이동축(421,422) 중 제1이동축(421)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즉, 상기 구속 어셈블리(500)에 의해 상기 이동판(300)의 하강 이동이 이루 어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정전이나 비상 제동시가 아닌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판(300)이 고정판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로우프(3)는 제동되지 않는다.That is, the lowering movement of the
이때, 상기 조속기(10)는 엘리베이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준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운행됨을 확인하고, 이 확인 결과에 따라 비상 제동장치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1)의 비상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At this time, the
상기한 구속 어셈블리(500)는 제1연결링크(510)와, 구속턱(520) 및 구속돌기(530)와, 연결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straining
상기 제1연결링크(510)는 일단이 제1측면패널(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이동축(42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링크(510)에는 상기 제1이동축(421)의 끝단이 관통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11)은 상기 제1연결링크(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한 관통공(511)은 상기 제1이동축(421)이 하강 이동되면서 고정판(200)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제1연결링크(510)가 이루는 회전경로와 제1가이드공(411)의 형상이 서로 다름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One end of the
또한, 상기 구속턱(520)은 상기 제1연결링크(510) 중 제1측면패널(110)에 결합되는 부위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돌기(530)는 상기 구속턱(52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restraining
또한, 상기 연결부재(540)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시 조속기(10)로부터 인장 하중을 제공받아 상기 구속돌기(530)가 상기 구속턱(5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하도록 동작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연결부재(540)는 엘리베이터(1)의 비상 제동시 상기 구속돌기(530)와 구속턱(520)의 상호 맞물림에 의한 이동판(300)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이동판(300)이 그 자중 및 급속하게 유동되는 로우프(3)와의 마찰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로우프(3)를 제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connecting
이때, 상기 연결부재(540)는 그 일단이 상기 구속돌기(530)의 각 부위 중 상기 구속턱(520)에 맞물리는 부위와는 반대측 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속기(10)에 연결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nnecting
이러한 구성은, 상기 구속돌기(530)가 구속턱(520)으로부터 가장 원활히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configuration is to allow the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재(540)는 상기 구속돌기(530)를 상기 제1연결링크(5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속 어셈블리(500)에 복귀부(5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Meanwhil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이때, 상기 복귀부(550)는 조속기(10)로부터 상기 연결부재(540)로 제공되는 인장 하중의 해제시 상기 연결부재(540)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복귀부(550)는 제1결합 브라켓(551)과, 제2결합 브라켓(552) 및 복원부재(55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제1결합 브라켓(551)은 상기 연결부재(540)의 일단을 감싸면서 상기 제1측면패널(1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540)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 브라켓(552)은 상기 구속돌기(530)를 감싸면서 상기 제1측면패널(1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속돌기(530)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이와 함께, 상기 복원부재(553)는 상기 구속돌기(530)와 상기 제1결합 브라켓(55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돌기(53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storing
즉, 상기 복원부재(553)는 조속기(10)로부터 상기 연결부재(540)로 제공되는 인장 하중이 해제될 경우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속돌기(530)가 구속턱(520)에 다시금 걸릴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상의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restoring
이때, 미설명 부호 560은 상기 연결부재(540)의 휨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연결부재(540)가 정확한 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연결부재(540)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관이며, 제1결합 브라켓(551)은 상기 지지관(560)을 제1측면패널(1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부재(540)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In this case,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우선,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도중에는 비상 제동장치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First,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is not operated while the general elevator is running.
즉, 첨부된 도 2, 도 6 및 도 8과 같이 이동판(300)은 상기 고정판(20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200)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판(300)과 상기 고정판(200) 사이를 경유하는 로우프(3)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6, and 8, the
또한, 이때에는 구속 어셈블리(500)에 의해 상기 이동판(300)은 하강 이동을 하지 못한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구속 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제1연결링크(510)의 각 부위 중 첨부된 도 2과 같이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이동축(421)에 연결된 부위가 상측에 위치되고, 구속돌기(530)는 상기 제1연결링크(510)에 형성된 구속턱(520)과 맞물린 상태로 제2결합 브라켓(552)에 지지되어 있으며, 연결부재(540)는 조속기(1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 하중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링크(510)는 회전되지 못한다.That is, the part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조속기(10)에 의해 엘리베이터(1)의 급속한 하강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조속기(10)는 상기 연결부재(540)를 당기는 인장 하중을 제공하게 된다.In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such as the rapid descending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40)가 상기 조속기(10)를 향해 당겨지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540)에 연결된 구속돌기(530)는 상기 제1연결링크(510)에 형성된 구속턱(520)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연결링크(510)는 그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상기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이동판(300)은 그 하강 이동을 구속하던 구속력 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판(300)은 그 자중에 의해 로우프(3)와 맞닿을 정도까지 하향 이동된다.By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motions, the restraining force that restrain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이의 경우 상기 이동판은 상기 로우프(3)의 마찰력을 제공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로우프(3)가 급속히 하강 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이동판(300) 역시 상기 로우프(3)와의 마찰에 의해 하강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급격히 움직이는 로우프(3)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movable plate is provided with the frictional force of the
그리고,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이동판(300)에 결합된 각 이동축(421,422)은 각 측면패널(110,120)에 형성된 각 가이드공(411,41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데, 상기 각 가이드공(411,412)은 하부로 갈수록 고정판(200)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이동판(300)은 하강과 동시에 고정판(200)을 향해 이동된다.In the above process, each of the moving
특히, 상기한 과정에서 제1이동축(421)의 하강 이동에 따른 제1연결링크(510)의 회전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제1이동축(421)은 상기 제1연결링크(510)에 형성된 관통공(511)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이동축(421)의 하강 이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제1연결링크(510)의 회전 동작에는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In particular, the
따라서, 상기 고정판(200)과 상기 이동판(300) 사이를 경유하는 로우프(3)는 상기 고정판(200)과 상기 이동판(300) 간의 가압력에 의해 점차 제동되고, 결국 상기 이동판(300)이 쐐기 형태로써 상기 고정판(200)과의 사이에 상기 로우프(3)를 완전히 제동하게 된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3, 도 7 및 도 9와 같다.Therefore, the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엘리베이터(1)는 비상 제동된다.As a result, the
만일,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가 비상 제동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제동을 해제하고자 한다면 조속기(10)로부터 연결부재(540)로 제공되는 인장 하중을 해제한 상태에서 이동판(300)을 상향 이동시키면 된다.If the
이의 경우, 상기 이동판(300)이 상향 이동되면서 제1연결링크(510)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링크(510)의 회동에 의해 구속턱(520)과 구속돌기(530)의 위치가 서로 일치된다.In this case, as the
이때, 상기 구속턱(520)과 구속돌기(530)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면 상기 구속돌기(530)는 복원부재(55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속턱(520)에 맞물리게 되고, 이로 인해 조속기(10)로부터 상기 연결부재(540)를 당기는 별도의 인장 하중이 제공되지 않는 한(비상 제동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한) 상기 제1연결링크의 회동은 방지됨과 더불어 이동판(300)의 하강 이동 역시 방지되면서 로우프(3)의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s of the
한편,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to 13 attached shows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비상 제동시 로우프(3)의 제동이 더욱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이동판(300)의 하강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부가 더 포함됨을 제시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urther suggested that the movement aiding part assist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moving
이는, 비상 상황의 발생시 최대한 빠른 로우프(3)의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s much as possible by allowing braking of the
여기서, 상기 이동 보조부는 탄력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movement ai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이때, 상기 탄력부재(60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측면패널(110)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510)에 연결되어 이동판(300)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연결링크(510)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판(300)이 하향 이동되도록 동작된다.In this case, the
특히, 상기 탄력부재(600)는 상기 제1연결링크(510)의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부측에 설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임을 제시한다.In particular,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로 인해, 구속 어셈블리(500)에 의한 이동판(300)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상기 이동판(300)은 로우프(3)와의 마찰력과 함께 상기 탄력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제1이동축(421)과 연결된 부위가 제1가이드공(411)을 따라 급속하게 하강된다.Due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straint of the
따라서, 엘리베이터(1)의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엘리베이터(1)의 더욱 빨리 제동된다.Therefor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필요에 따라 그 기술적 구성의 추가가 가능함과 더불어 변경이 가능하다.As such,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s well a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can be added as need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as described below.
첫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비상 제동시 로우프와의 마찰에 의해 이동판이 하강하면서 상기 로우프를 고정판과의 사이에 쐐기 형태로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비상 제동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 다.First,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liability of emergency braking by allowing the rope to be braked in a wedge shape between the fixed plate while the moving plate descends due to friction with the rope during emergency braking. Has the effect.
둘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비상 제동시 이동판을 강제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인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Second,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overall structure can be simplified because it does not need a separate driving device for forcibly moving the moving plate during the emergency braking.
셋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는 이동 보조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비상 제동시 로우프를 최대한 빨리 제동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Third,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raking the rope as quickly as possible by providing a moving ai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489A KR100731198B1 (en) | 2006-03-16 | 2006-03-16 |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CN2007100873578A CN101037179B (en) | 2006-03-16 | 2007-03-14 | Emergency brake device of an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489A KR100731198B1 (en) | 2006-03-16 | 2006-03-16 |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31198B1 true KR100731198B1 (en) | 2007-06-22 |
Family
ID=3837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4489A KR100731198B1 (en) | 2006-03-16 | 2006-03-16 |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1198B1 (en) |
CN (1) | CN101037179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86225A (en) * | 2012-12-11 | 2013-05-08 | 杭州奥立达电梯有限公司 | Anti-slip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07058A (en) * | 2019-08-26 | 2019-11-05 | 巨龙电梯有限公司 | A new type of rope clamp installation device |
CN114148853B (en) * | 2021-12-07 | 2022-08-09 | 深圳市优旭科技有限公司 | Anti-falling elevator structure with talkback function and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34624A1 (en) | 2000-01-11 | 2002-09-26 | Hirotada Sasaki | Elevator emergency stopping device |
JP2003155175A (en) | 2001-11-21 | 2003-05-27 | Hitachi Ltd |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
KR20190000960A (en) * | 2017-06-23 | 2019-01-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Printed decor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85129C (en) * | 1989-12-14 | 1992-03-10 | Kone Oy | catching device |
US5228540A (en) * | 1992-07-24 | 1993-07-20 | Hollister-Whitney Elevator Corp. |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
KR200221450Y1 (en) * | 2000-10-21 | 2001-04-16 | 편준기 | Brake system for rope of a elevator |
CN100556785C (en) * | 2004-05-21 | 2009-11-04 | 上海乐天电梯部件有限公司 | Elevator main cable drg |
-
2006
- 2006-03-16 KR KR1020060024489A patent/KR10073119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7
- 2007-03-14 CN CN2007100873578A patent/CN101037179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34624A1 (en) | 2000-01-11 | 2002-09-26 | Hirotada Sasaki | Elevator emergency stopping device |
JP2003155175A (en) | 2001-11-21 | 2003-05-27 | Hitachi Ltd |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
KR20190000960A (en) * | 2017-06-23 | 2019-01-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Printed decor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86225A (en) * | 2012-12-11 | 2013-05-08 | 杭州奥立达电梯有限公司 | Anti-slip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037179B (en) | 2010-05-26 |
CN101037179A (en) | 2007-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33208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4672656B2 (en) | Elevator safety device | |
WO2004050525A1 (en) | Brake system for elevator | |
KR100731198B1 (en) |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
KR100731196B1 (en) |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
JP5809755B2 (en) |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 |
JP4315839B2 (en) | Elevator maintenance control equipment | |
EP3328772B1 (en) | Safety block for elevator | |
JP2008184271A (en) | Elevator device | |
JP5548524B2 (en) | Lifting device with safety device | |
JPH0825702B2 (en) | Support structure for elevator guide rails | |
JP2003226477A (en) |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 |
KR20210059380A (en) | Elevator auxiliary binding device | |
KR20020060916A (en) | Safety device of lifter for building | |
JP2000264555A (en) | Safety device for lift for construction works | |
JP4680188B2 (en) |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 |
KR20080017504A (en) |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
JP3340395B2 (en) | Guide rails for elevators | |
JP7340025B2 (en) | construction elevator | |
EP3929130B1 (en) | Safety link with a pulley | |
WO2018179182A1 (en) | Elevator device | |
KR100813767B1 (en) | Elevator safety device | |
JP2011121698A (en) | Safety device of elevator | |
KR20070004277A (en) | Emergency brake system for elevator | |
CN106044074A (en) | Quick tensile force relieving device for belt conve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