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9299B1 -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299B1
KR100729299B1 KR1020050130689A KR20050130689A KR100729299B1 KR 100729299 B1 KR100729299 B1 KR 100729299B1 KR 1020050130689 A KR1020050130689 A KR 1020050130689A KR 20050130689 A KR20050130689 A KR 20050130689A KR 100729299 B1 KR100729299 B1 KR 10072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h
securities
user
foreign curr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경
Original Assignee
코어뱅킹서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어뱅킹서비스(주) filed Critical 코어뱅킹서비스(주)
Priority to KR102005013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29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53Recognition of characters printed with magnetic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단으로 가이드 하는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소정의 메뉴를 조작하는 입력부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와, 현금, 외화, 유가증권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에서 투입된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금액을 확인하는 인식부와, 상기 현금 입출금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드 인식부에서 식별한 사용자의 정보와 투입구로 투입된 현금, 외화, 유가증권정보를 전문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작성된 전문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전문을 수신받아 상기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거래를 서비스하는 각 서비스제공사로 분류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전문을 체크 한 후의 승인결과를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승인결과를 상기 통신부로 발신하는 중계 서버와, 상기 서비스제공사에서 처리된 승인 결과에 따라 현금을 외부로 방출하는 현금 지급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 출금 결과인 거래내역을 인쇄하여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An multi-func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110: 화면부 120: 입력부
130: 카드 인식부 140: 투입구
150: 인식부 152: 위조 감별부
160: 현금 지급부 162: 지폐 계수부
164: 동전 계수부 170: 영수증 출력부
180: 중앙 처리부 190: 통신부
200: 단말기부 300: 인터넷
400: 중계 서버 500: 서비스 제공사
510: 은행 서버 520: 유가증권사 서버
본 발명은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단말기로 현금입출, 외화의 환전 및 유가증권의 현금교환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단말기, 중계 서버, 은행 서버 및 유가증권사 서버가 인터넷 회선 및 서버전용선으로 연동 되고 상기 단말기에서 현금인출 및 외화환전의 업무를 수행할 때는 중계 서버와 연동 되는 은행 서버로, 유가증권을 환전할 때는 상기 중계 서버와 연동되는 해당 유가증권사와 전문교환을 하여 현금 입출금, 외화환전 및 유가증권환전 업무를 수행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ATM(Automatic Teller Machine)와 CD(Cash Dispenser)로 통상적으로 불리는 현금자동지급기를 해당설치기관(금융사)의 지점 및 편의점 그리고 기타 공공장소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ATM과 CD기는 은행고객이 은행창구에 가지 않고도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현금자동지급기'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금자동지급기는 은행 지점이나 자동화 코너 및 기타 공공장소 등 여러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사람들은 상기 현금자동지급기를 통해 현금 입출금거래, 계좌이체거래, 잔액조회거래, 현금서비스거래 등과 같은 금융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현금자동지급기는 현금 입출금거래, 계좌이체거래, 잔액조회 거래, 현금서비스거래 등과 같은 은행업무 중에서도 한정된 업무만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다양하고 질 높은 금융서비스를 고객들은 원하고 있고, 또한 각종 금융회사(은행, 증권회사 기타등등) 역시도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통해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사람들이 외화를 환전해야 할 경우에는 외화환전을 취급하는 은행이나 환전상을 방문해야 하고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해야 할 경우에는 유가증권을 취급하는 해당 유가증권사로 방문해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외화의 환전이나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은행업무시간이나 해당 유가증권사의 업무시간을 이용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원하는 금융서비스를 받는 것이 어려웠고, 또한 이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해당 은행이나 유가증권사로 몰리게 될 경우 창구 업무의 증가로 인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부담을 금융회사(은행, 증권회사 기타등등)들이 갖게 된다.
즉, 외화환전과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할 경우 고객들에게 간편하고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존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현금 자동지급기 와 같은 현금 입출금 업무와 외화의 환전 업무 및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는 업무를 동시에 24시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의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금의 입출금, 외화의 환전 및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는 것을 동시에 하나의 단말기에서 수행하여 고객들에게 빠르고 간편함은 물론 복합적인 금융서비스를 24시간 제공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단으로 가이드 하는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소정의 메뉴를 조작하는 입력부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와, 현금, 외화, 유가증권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에서 투입된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금액을 확인하는 인식부와, 상기 현금 입출금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드 인식부에서 식별한 사용자의 정보와 투입구로 투입된 현금, 외화, 유가증권정보를 전문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작성된 전문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전문을 수신받아 상기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거래를 서비스하는 각 서비스 제공사로 분류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전문을 체크 한 후의 승인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승인결과를 상기 통신부로 발신하는 중계 서버와, 상기 서비스 제공사에서 처리된 승인 결과에 따라 현금을 외부로 방출하는 현금 지급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 출금 결과인 거래내역을 인쇄하여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드 인식부는, 마그네틱, 스마트카드, RF-ID, IRDA 중 어느 하나의 카드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현금, 외화, 유가증권등의 위조방지 요소를 레이저광, 가시광, 자외선등을 투과시켜 반사 정도를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 위조감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사는, 현금거래와 외화거래를 수행하는 은행 서버와 유가증권의 거래를 수행하는 유가증권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는, 상기 중계 서버는 분류된 전문을 송신하되 현금거래, 외화거래 전문은 은행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유가증권거래 전문은 유가증권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는, 상기 중계 서버에서 분류되어 송신된 전문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문을 체크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중계 서버로 송신하는 은행 서버와 유가증권사 서버를 포함하다.
또한, 상기 현금 지급부는, 상기 중앙처리부로 수신된 승인 결과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는 출금할 현금의 액수를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금액의 정보를 제공받아 지폐를 계수하는 지폐 계수부와 동전을 계수하는 동전 계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금 지급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출금 승인 결과에 따라 상기 지폐 계수부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수표 또는 지폐를 우선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동전 계수부는 500원, 100원, 10원을 잔액의 금액에 맞게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하 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자동입출금기(100)는, 단말기부(200), 인터넷통신망(300), 중계 서버(400) 및 서비스 제공사(5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부(200)는 화면부(110), 입력부(120), 카드 인식부(130), 투입구(140), 인식부(150), 현급 지급부(160), 영수증 출력부(170), 중앙 처리부(180) 및 통신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부(11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단으로 가이드 하도록 통상적으로 주지된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입력부(120)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입력한 내용 및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100)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의 선택 또는 비밀번호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와, 확인, 취소, 종료와 같은 다수의 기능 키를 포함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의 기능 키로 희망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인식부(130)는 마그네틱, 스마트카드, RF-ID, IRD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드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소정의 카드를 상기 카드 인식부(13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카드 인식부(130)는 상기 소정의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화면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금융서비스를 받도록 가이드 하는 소정의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투입구(140)는 사용자가 상기 화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메뉴화면을 보고 희망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현금, 외화 및 유가증권 중 선택하여 투입할 때 상기 투입된 상기 현금, 외화 및 유가증권을 후술할 인식부(150)로 가이드 한다.
이때, 상기 인식부(150)는 상기 투입구(140)에서 투입된 현금, 외화 및 유가증권의 금액을 인식하여 권종별로 분류하되, 상기 투입된 현금, 외화 및 유가증권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도록 위조 감별부(152)를 더 포함한다.
이때, 위조 감별부(152)는 현금, 외화 및 유가증권등의 위조방지 요소를 레이저광, 가시광, 자외선등을 투과시켜 반사 정도를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조 감별부(152)는, 예를 들어 한화(₩), 달러($), 엔화(¥), 유로화(Euro), 위엔화(元) 등의 각 지폐는 자성패턴이나, 형광패턴, 지질 등과 같이 다양한 특성이 있는데, 각 지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위조 감별부(1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금, 외화 및 유가증권에 레이저광, 가시광, 자외선등을 투과시켜 반사 정도 를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하되 감별 수단은 통상적으로 주지된 위조지폐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현금, 외화 및 유가증권의 특성을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상기 단말기부(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데이타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메모리(미도시)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상기 카드 인식부(130)에서 식별한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투입구(140)로 투입한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정보를 금융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표준화된 전문으로 작성하여 상기 작성된 전문을 후술할 통신부(19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190)는 상기 중앙 처리부(180)에서 작성된 전문을 후술할 중계 서버(400)로 수신하되,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은 통상적으로 주지된 유선 인터넷통신(300) 또는 무선 인터넷(300)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계 서버(400)는 상기 통신부(190)에서 전송된 전문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금융 서비스인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거래를 수행하는 후술할 각 서비스 제공사(500)로 분류하여 전송하고, 후술할 서비스 제공사(500)는 전송된 전문을 체크 한 후의 승인결과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사(500)는 은행 서버(510)와 유가증권사 서버(5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계 서버(400)에서 분류된 전문중 현금 또는 외화거래의 전문은 상기 은행 서버(510)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 서버(400)에서 분류된 전문중 유가증권의 거래 전문은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로 전송한다.
이때, 은행 서버(510)와 유가증권사 서버(520)는 상기 중계 서버(400)에서 분류되어 송신된 전문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문을 체크 한 후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승인결과를 다시 상기 중계 서버(4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은행 서버(510)와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는 상기 전송된 전문과 상기 전문의 승인결과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은행 서버(510)와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는 통상적으로 주지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상기 은행 서버(510)와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에서 처리된 승인결과를 상기 중계 서버(400)를 거쳐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통신부(190)에 전송된 상기 은행 서버(510)와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에서 처리된 승인 결과는 상기 통신부(190)를 거쳐 상기 중앙 처리부(18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전송된 승인결과에 따라 금액을 산정하고 산정된 소정의 금액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도록 상기 현금 지급부(160)를 제어한다.
이때, 현금 지급부(160)는 지폐 계수부(162)와 동전 계수부(164)를 포함한 다.
상기 현금 지급부(160)는 상기 중앙 처리부(180)에서 산정한 액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현금을 외부로 방출하되 상기 사용자의 입출금 승인 결과에 따라 현금을 계수한다.
이때, 상기 지폐 계수부(162)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금액에 맞게 지폐를 우선 계수하되 상기 지폐는 10000원, 5000원 및 1000원권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우선 제공하고, 상기 동전 계수부(164)는 500원, 100원, 10원권으로 분류하여 잔액의 금액에 맞게 계수하고 상기 산정된 금액에 맞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외화의 환전 및 유가증권의 현금교환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외화의 환율과 유가증권의 금전적인 가치에 따라 잔액이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의 현금지급기에서는 제공하지 못하였던 소정의 잔액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기 금융 서비스의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거래내역을 종이등으로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를 이용하여 현금 출금, 현금입금, 외화의 환전 및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는 업무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 며 하기에서 차례대로 설명하겠다.
상기 현금의 출금은, 우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화면부(110)에서 표시되는 소정의 현금 출금 메뉴를 선택한다(단계S110).
그 다음, 사용자는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소정의 금융회사의 카드를 상기 카드 인식부(130)에 리딩 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S111).
그 다음, 사용자가 리딩한 카드에 이상이 없거나 소정의 비밀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상기 화면부(110)로 소정의 메뉴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소정의 메뉴화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이 출금하고자 하는 금액을 상기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입력한다(단계S112).
그 다음, 카드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비밀번호 및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하는 금액의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부(180)에서 조합하여 작성하여 상기 전문은 통신부(190)를 거쳐 중계 서버(400)로 전송된다(단계S121).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전송된 전문을 상기 각 서비스 제공사(500) 중 해당되는 은행 서버(510)로 전송한다(단계S122)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상기 중계 서버(400)에서 전송한 전문을 수신한다(단계S123).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수신된 전문을 체크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124).
그 다음, 상기 단계S124에서 판단된 전문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승인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송신한다(단계S125).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은행 서버(510)에서 전송된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한다(단계S126).
그 다음,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된 승인결과는 상기 중앙 처리부(18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전송된 승인결과에 따라 금액을 산정하여 상기 산정된 소정의 금액을 현금 지급부(160)를 통해 방출하되, 상기 산정된 금액에 맞게 상기 지폐를 10000원, 5000원 및 1000원권의 순서대로 우선 계수하고, 500원, 100원 및 10원권은 잔액에 맞게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출금한다(단계S127).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한편, 상기 단계S124에서 전문에 이상이 있을 경우 해당 은행 서버(510)는 거부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단계S128).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은행 서버(510)에서 송신된 거부결과를 수신하여 통신부(190)로 송신한다(단계S129).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상기 외화의 환전은, 우선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화면부(110)에서 표시되는 외화 환전 메뉴를 선택한다(단계S113).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140)에 달러($), 엔화(¥), 유로화(Euro), 위엔화(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화를 투입한다(단계S115).
그 다음,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된 외화는 상기 인식부(150)의 위조 감별부(152)를 통해 외화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위조 감별부(152)는 상기 투입된 외화에 레이져광, 가시광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과시켜 반사 정도를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한다(단계S116).
한편, 상기 단계S116에서 위조 감별부(152)로 투입된 외화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여 상기 위조 여부 발견시에는 상기 외화가 투입된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한다(단계S130).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이어서, 상기 단계S116에서 상기 위조 감별부(152)에서 감별한 외화의 위조여부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상기 사용자가 투입한 외화의 금액과 종류를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표준화된 전문으로 작성하여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190)는 상기 전문을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단계S121).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전송된 전문을 상기 각 서비스 제공사(500) 중 상기 해당되는 은행 서버(510)로 전송한다(단계S122)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상기 중계 서버(400)에서 전송한 전문을 수신한다(단계S123).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수신된 전문을 체크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124).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수신된 전문이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승인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송신한다(단계S125).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은행 서버(510)에서 전송된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한다(단계S126).
그 다음,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된 승인결과는 상기 중앙 처리부(18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전송된 승인결과에 따라 금액을 산정하여 상기 산정된 소정의 금액을 현금 지급부(160)를 통해 방출하되 상기 산정된 금액에 맞게 상기 지폐를 10000원, 5000원 및 1000원권의 순서대로 우선 계수하고, 500원, 100원 및 10원권은 잔액에 맞게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출금한다(단계S127).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한편, 상기 단계S124에서 전문에 이상이 있을 경우 해당 은행 서버(510)는 거부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단계S128).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은행 서버(510)에서 송신된 거부결과를 수신하여 통신부(190)로 송신한다(단계S129).
그 다음, 상기 사용자가 투입한 외화는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한다(단계S130).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상기 유가증권의 현금교환은, 우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화면부(110)에서 표시되는 유가증권교환의 메뉴를 선택한다(단계S114).
그 다음, 사용자는 각 유가증권회사에서 발행한 소정의 유가증권을 상기 투입구(140)로 투입한다(단계S115).
그 다음,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된 유가증권은 상기 인식부(150)의 위조 감별부(152) 를 통해 유가증권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위조 감별부(152)는 상기 투입된 유가증권에 레이져광, 가시광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과시켜 반사 정도를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한다(단계S116).
한편, 상기 단계S116에서 위조 감별부(152)로 투입된 유가증권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여 상기 위조 여부 발견시에는 상기 유가증권이 투입된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한다(단계S130).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이어서, 상기 단계S116에서 위조 감별부(152)에서 감별한 유가증권의 위조 여부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상기 사용자가 투입한 유가증권의 종류를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표준화된 전문으로 작성하여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190)는 상기 작성된 전문을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단계S121).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전송된 전문을 상기 각 서비스 제공사(500) 중 상기 해당되는 유가증권사 서버(520)로 전송한다(단계S122)
그 다음,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는 상기 중계 서버에서 전송한 전문을 수신한다(단계S123).
그 다음,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는 수신된 전문을 체크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124).
그 다음,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는 수신된 전문이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승인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송신한다(단계S125).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에서 전송된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한다(단계S126).
그 다음,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된 승인결과는 상기 중앙 처리부(18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전송된 승인결과에 따라 금액을 산정하여 상기 산정된 소정의 금액을 현금 지급부(160)를 통해 방출하되 상기 산정된 금액에 맞게 상기 지폐를 10000원, 5000원 및 1000원권의 순서대로 우선 계수하고, 500원, 100원 및 10원권은 잔액에 맞게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출금한다(단계S127).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한편, 상기 단계S124에서 전문에 이상이 있을 경우 해당 유가증권사 서버(520)는 거부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단계S128).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유가증권사 서버(520)에서 송신된 거부결과를 수신하여 통신부(190)로 송신한다(단계S129).
그 다음, 상기 유가증권이 투입된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한다(단계S130).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상기 현금의 입금은, 우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화면부(110)에서 표시되는 현금 입금 메뉴를 선택한다(단계S117).
그 다음, 사용자는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금융회사의 카드를 상기 카드 인식부(130)에 리딩 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S118).
그 다음, 사용자는 입금하고자 하는 금액을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금액에 맞게 현금을 상기 투입구(140)로 투입한다(단계S119).
그 다음,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된 현금은 상기 인식부(150)의 위조 감별부(152) 를 통해 현금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위조 감별부(152)는 상기 투입된 현금에 레이져광, 가시광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과시켜 반사 정도를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한다(단계S120).
한편, 상기 단계S120에서 위조 감별부(152)로 투입된 현금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여 상기 위조 여부 발견시에는 상기 현금이 투입된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한다(단계S130).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이어서, 상기 S120단계에서 현금의 위조 여부를 발견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카드 인식부(13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투입한 금액의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부(180)에서 조합하여 전문으로 작성하여 상기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단계S121).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전송된 전문을 상기 각 서비스 제공사(500) 중 상기 해당되는 은행 서버(510)로 전송한다(단계S122)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상기 중계 서버(400)에서 전송한 전문을 수신한다(단계S123).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수신된 전문을 체크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124).
그 다음, 상기 은행 서버(510)는 수신된 전문이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승인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송신한다(단계S125).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은행 서버(510)에서 전송된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한다(단계S126).
그 다음, 상기 통신부(190)로 전송된 승인결과는 상기 중앙 처리부(18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 처리부(180)는 전송된 승인결과에 따라 금액을 산정하여 상기 산정된 소정의 금액을 현금 지급부(160)를 통해 방출하되 상기 산정된 금액에 맞게 상기 지폐를 10000원, 5000원 및 1000원권의 순서대로 우선 계수하고, 500원, 100원 및 10원권은 잔액에 맞게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출금한다(단계S127).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한편, 상기 단계S124에서 수신된 전문에 이상이 있을 경우 해당 은행 서버(510)는 거부결과를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단계S128).
그 다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은행 서버(510)에서 송신된 거부결과를 수신하여 통신부(190)로 송신한다(단계S129).
한편, 상기 외화가 투입된 상기 투입구(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한다(단계S130).
그 다음, 상기 사용자는 처리결과인 거래내역을 상기 영수증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단계S131).
따라서, 현금의 입출금, 외화의 환전 및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는 것을 동시에 하나의 단말기에서 수행하여 고객들에게 빠르고 간편함은 물론 복합적인 금융서비스를 24시간 제공하는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현금의 입출금, 외화의 환전 및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는 것을 동시에 하나의 단말기에서 수행하여 고객들에게 빠르고 간편함은 물론 복합적인 금융서비스를 24시간 제공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화의 환전이나 유가증권의 현금교환을 하기 위해 은행이나 유가증권사로 몰리게 될 경우 창구 업무의 증가로 인하여 고객에게 제공 하는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부담을 덜어주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금의 입출금, 외화의 환전 및 유가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는 금융 서비스받을 때 10000원권 이하의 잔액도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사용자가 희망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단으로 가이드 하는 화면부;
    상기 화면부의 소정의 메뉴를 조작하는 입력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
    현금, 외화, 유가증권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서 투입된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금액을 확인하는 인식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드 인식부에서 식별한 사용자의 정보와 투입구로 투입된 현금, 외화, 유가증권정보를 전문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작성된 전문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전문을 수신받아 상기 현금, 외화, 유가증권의 거래를 서비스하는 각 서비스 제공사로 분류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전문을 체크 한 후의 승인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승인결과를 상기 통신부로 발신하는 중계 서버;
    상기 서비스제공사에서 처리된 승인 결과에 따라 현금을 외부로 방출하는 현금 지급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 출금 결과인 거래내역을 인쇄하여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현금, 외화, 유가증권등의 위조방지 요소를 레이저광, 가시광, 자외선등을 투과시켜 반사 정도를 분석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 위조 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금 지급부는, 상기 중앙처리부로 수신된 승인 결과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는 출금할 현금의 액수를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금액의 정보를 제공받아 지폐를 계수하는 지폐계수부와 동전을 계수하는 동전 계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금 지급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출금 승인 결과에 따라 상기 지폐 계수부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수표 또는 지폐를 우선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동전 계수부는 500원, 100원, 10원을 잔액의 금액에 맞게 계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식부는,
    마그네틱, 스마트카드, RF-ID, IRDA 중 어느 하나의 카드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사는,
    현금거래와 외화거래를 수행하는 은행 서버와 유가증권의 거래를 수행하는 유가증권사 서버를 포함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분류된 전문을 송신하되 현금거래, 외화거래 전문은 은행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유가증권거래 전문은 유가증권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에서 분류되어 송신된 전문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문을 체크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중계 서버로 송신하는 은행 서버와 유가증권사 서버를 포함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7. 삭제
  8. 삭제
KR1020050130689A 2005-12-27 2005-12-27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2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89A KR100729299B1 (ko) 2005-12-27 2005-12-27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89A KR100729299B1 (ko) 2005-12-27 2005-12-27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526U Division KR200411489Y1 (ko) 2005-12-27 2005-12-27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299B1 true KR100729299B1 (ko) 2007-06-19

Family

ID=3837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6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9299B1 (ko) 2005-12-27 2005-12-27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70664B (zh) * 2009-01-06 2014-08-20 冲电气工业株式会社 券类处理装置
CN104167063A (zh) * 2014-04-30 2014-11-26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现金交易装置以及现金交易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815A (ko) * 2001-05-12 2002-11-20 문규 비밀번호 각 문자 사이의 입력시간 정보를 이용한 현금자동 인출기 비밀번호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8037A (ko) * 2001-05-16 2002-11-25 주식회사 씨앤하이 통합형 정보단말기
KR20050025705A (ko) * 2003-09-08 2005-03-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무인 현금자동지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815A (ko) * 2001-05-12 2002-11-20 문규 비밀번호 각 문자 사이의 입력시간 정보를 이용한 현금자동 인출기 비밀번호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8037A (ko) * 2001-05-16 2002-11-25 주식회사 씨앤하이 통합형 정보단말기
KR20050025705A (ko) * 2003-09-08 2005-03-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무인 현금자동지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70664B (zh) * 2009-01-06 2014-08-20 冲电气工业株式会社 券类处理装置
CN104167063A (zh) * 2014-04-30 2014-11-26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现金交易装置以及现金交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2325B (zh) 现金自动交易装置
USRE44252E1 (en) Coin redemption system
US7537153B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lectronically managing payment media
US20050096986A1 (en) Method of electronically managing payment media
US20060146839A1 (en) Payment and media management
US9214049B2 (en) Valuable-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valuable-medium processing method
US20100280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conciling, balancing, and forecasting financial media in self-service devices
WO2004023257A9 (en) Payment and media management
KR100729299B1 (ko)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KR200411489Y1 (ko)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KR200422769Y1 (ko) 상품권이 교환되는 다기능 현금 입출금 시스템
KR20180134438A (ko) 금융기기 및 자동정산 서비스 시스템
JP2011059835A (ja) 自動取引装置
JP2011059835A5 (ko)
JP5023817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7608388B2 (ja) 自動取引装置、貨幣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398570A1 (en) Method for perfroming currency exchange operations and a system for implementation thereof
KR100534090B1 (ko) 동전 및 지폐 입금 단말기의 입금 방법
JP2011197906A (ja) 貨幣処理装置
JP2018142195A (ja) 現金処理装置
KR101594250B1 (ko) 금융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카지노 관리 시스템
KR101854210B1 (ko) 카지노 관리 시스템
JP2023056960A (ja) 現金払出機能付の自動販売機
JP2021117604A (ja) 自動取引装置、払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03067B1 (ko) 카지노 정산용 금융기기 및 카지노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