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811B1 - Conveyor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conveyed material - Google Patents
Conveyor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conveyed materi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8811B1 KR100728811B1 KR1020060024214A KR20060024214A KR100728811B1 KR 100728811 B1 KR100728811 B1 KR 100728811B1 KR 1020060024214 A KR1020060024214 A KR 1020060024214A KR 20060024214 A KR20060024214 A KR 20060024214A KR 100728811 B1 KR100728811 B1 KR 1007288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sprocket
- frame
- guide frame
- retu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을 목적지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경사면 또는 회전시에도 목적물이 기울어지거나 떨어짐이 없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목적지로 이송되게 한 이송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nveyed material to be safely transported to the destination without ever tilting or falling off the object even when the object is inclined or rot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in the conveyed object to the destination The configuration is
상/하부의 양측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며 상호 나란하게 가이드프레임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프레임의 중앙부에 상/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이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며 그 경사프레임의 상단에는 수평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경사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는 체인을 내장시켜 된 컨베이어장치본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어 하부 일측단은 체인과 연결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체인의 이동방향에 따라 진행하도록 설치된 이송팔레트; 상기 체인이 내장된 가이드프레임의 일측단에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연결 설치된 체인스프라켓이 설치되고 그 체인스프라켓의 전방에는 체인은 연결되지 않고 이송팔레트만 안내하는 보조스프라켓이 체인선상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하여 된 체인구동수단; 상기 체인이 내장된 가이드프레임의 타측단에는 체인을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라켓이 설치되고 그 리턴스프라켓의 전방에는 체인은 연결되지 않고 이송팔레트를 안내하는 리턴보조스프라켓이 체인선상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하여 된 체인리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The guide frame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maintains a certain width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respective inclined frames ar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frame to maintain a certain interval. A conveyor device body having a chain installed in the guide frame, the inclined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 transport pallet provided between the guide frames, the lower one sid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in, and the upper part positioned on the guide frame to mov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in; One side end of the guide frame in which the chain is embedded is provided with a chain sprocket installed with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chain, and in front of the chain sprocket, an auxiliary sprocket for guiding only the transport pallet without connecting the chain is installed away from the chain line. Chain drive means; A return sprocket for returning the chain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frame in which the chain is embedded, and in front of the return sprocket, the return auxiliary sprocket for guiding the transport pallet is connected to the chain return means without the chain returning means. It becomes the structure containing;
Description
도1은 종래 일반적인 컨베이어장치를 측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conveyor apparatus in a side view,
도2는 종래 다른실시예의 컨베이어장치를 측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n the side;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를 평면상에서 나타낸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plane;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를 측면상에서 나타낸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의 이송팔레트 발췌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pallet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이송팔레트가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veying pallet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frame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체인구동수단으로 이송팔레트가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7a to 7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ance pallet proceeds to the chain drive means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체인리턴수단으로 이송팔레트가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s 8a to 8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ance pallet proceeds to the chain return means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a 내지 도9e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경사부이송수단으로 이송팔레트가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Figures 9a to 9e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ance pallet proceeds to the inclined portion conveying means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Code explanation about main part of drawing ※
210 : 컨베이어장치본체 211,211a,211b,211c : 가이드프레임210:
212,212a,213,213a : 경사프레임 214 : 수평프레임212,212a, 213,213a: Slant frame 214: Horizontal frame
215 : 체인 220 : 이송팔레트215: chain 220: transport pallet
221 : 연결구 222 : 휠221: connector 222: wheel
223 : 휠축 224 : 가이드223: wheel shaft 224: guide
230 : 체인구동수단 231 : 구동체인230: chain drive means 231: drive chain
232 : 체인스프라켓 233 : 보조스프라켓232: chain sprocket 233: auxiliary sprocket
234,235 : 중심축 236,237 : 동력전달스프라켓234,235: Central axis 236,237: Power transmission sprocket
240 : 체인리턴수단 241 : 리턴스프라켓240: chain return means 241: return sprocket
242 : 리턴보조스프라켓 243,244 : 중심축242: return auxiliary sprocket 243,244: central axis
245,246 : 동력전달스프라켓 247 : 체인 245,246: Power transmission sprocket 247: Chain
본 발명은 이송물을 목적지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경사면 또는 회전시에도 목적물이 기울어지거나 떨어짐이 없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목적지로 이송되게 한 이송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yor apparatus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the conveyed material to be safely transported to the destination without ever tilting or falling the object even when the object is inclined or rot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in transferring the conveyed object to the destination. It is about.
일반적인 컨베이어장치(100)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단에 구동모터(110)와 연결 설치되는 구동 휠(120)이 설치되고 타측단에는 리턴 휠(130)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 휠(120)과 리턴 휠(130)간에는 컨베이어벨트(140)가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컨베이어장치(100)를 이용하여 이송물(160)을 목적지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출발지점 즉 구동 휠(120)이 설치된 컨베이어벨트(140)상에 이송물(160)을 올려놓고 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 휠(120)이 회전하면서 컨베이어벨트(140)를 이동시키게 되어 목적지인 리턴 휠(130)측으로 낙하시키게 된다.In order to transfer the conveyed
상기와 같은 방식의 컨베이어장치(100)는 이송물(160)을 컨베이어벨트(140)가 진행하는 수평상태로만 이송되고 상 방향 및 하 방향이나 상기 구동 휠(120) 및 리턴 휠(130)이 설치된 회전부분에서는 상기 이송물(160)을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또,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40)의 중간에 다수의 보조 휠(150)을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을 유지하게 설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140)의 진행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유도할 수는 있으나 이는 컨베이어벨트(140)의 진행방향 만 상/하 방향으로 유도할 뿐 그 컨베이어벨트(140)상에 이송물(160)을 올려놓게 되면 그 올려놓은 이송물이 상기 보조 휠(150)이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컨베이어장치(100)는 작업 인원이 이송물(160)을 컨 베이어벨트(140)상에 올려놓는 구동 측의 1인과 리턴 측에서 이송물(160)을 받는 1인이 각각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노동력의 증가로 원기상승의 원인이 됨은 물론, 노동력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I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이송물을 목적지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경사면 또는 구동 측과 리턴 측의 회전시에도 이송물이 기울어지거나 떨어짐이 없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목적지로 이송되게 한 이송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있고, 둘째, 상기 목적달성에 의해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송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is problem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in the case of conveying a conveyed object to a destination, even w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ide and the return side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yor apparatus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a conveyance that is always kept horizontally without inclination or dropping and is safely transported to a destination. Seco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a conveyance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workers by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ossible. In providing a conveyor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상/하부의 양측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며 상호 나란하게 가이드프레임(211,211a,211b,211c)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프레임의 중앙부에 상/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213,213a)이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며 그 경사프레임의 상단에는 수평프레임(2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경사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는 체인(215)을 내장시켜 된 컨베이어장치본체(210);Characterist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guide frame (211, 211a, 211b, 211c) is installed side by sid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dth on both sides of the upper / lower and the upper / Downwardly each inclined frame (212,212a, 213,213a) is installed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nd the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어 하부 일측단은 체인과 연결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체인의 이동방향에 따라 진행하도록 설치된 이송팔레트(220);A
상기 체인이 내장된 가이드프레임의 일측단에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1)가 연결 설치된 체인스프라켓(232)이 설치되고 그 체인스프라켓의 전방에는 체인은 연결되지 않고 이송팔레트만 안내하는 보조스프라켓(233)이 체인선상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하여 된 체인구동수단(230);A
상기 체인이 내장된 가이드프레임의 타측단에는 체인을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라켓(241)이 설치되고 그 리턴스프라켓의 전방에는 체인은 연결되지 않고 이송팔레트를 안내하는 리턴보조스프라켓(242)이 체인선상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하여 된 체인리턴수단(2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컨베이어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veyor apparatus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as follows.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를 평면상에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를 측면상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의 이송팔레트 발췌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이송팔레트가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이며,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체인구동수단으로 이송팔레트가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체인리턴수단으로 이송팔레트가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9a 내지 도9e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경사부이송수 단으로 이송팔레트가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plane,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side view,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pallet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veyance pallet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frame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to 7C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conveyance pallet proceeds to the chain driving means in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sid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yance pallet proceeds to a chain return means in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to 9E are inclined portion transfer water in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conveyance pallet is in progress.
본 발명의 컨베이어장치본체(210)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의 양측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며 상호 나란하게 각각의 가이드프레임(211,211a,211b,211c)이 설치되고 그 각 가이드프레임(211,211a,211b,211c)중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211,211a)의 중앙부에는 도9a 내지 도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213,213a)이 상호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며 그 경사프레임(212,212a,213,213a)의 상단에는 수평프레임(2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경사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는 체인(215)을 내장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의 양측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며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프레임(211,211a,211b,211c)의 중간 중간에는 보조프레임을 상호 연결되게 설치하여 가이드프레임의 견고성을 부여하였고, 또, 하부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211b,211c)에는 지지프레임을 등 간격으로 설치하여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프레임(211b,211c)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하였다.A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dth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frame (211,211a, 211b, 211c)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frame is connected to give the rigidity of the guide frame, and The
또한 상기 상부의 양측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며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프레임(211,211a)의 중앙부에는 상향하는 경사프레임(212,212a)이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고, 그 경사프레임(212,212a)의 전방에는 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3,213a)이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상/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213,213a) 사이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이송팔레트(2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213,213a) 상단에는 수평프레임(214)이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213,213a)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팔레트(220)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데 그 다수 개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eanwhile, a plurality of
상기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211,211a) 및 그 가이드프레임(211,211a)의 중앙부에 설치된 상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과 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3,213a) 그리고 상기 경사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14)은 내측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그 ㄷ"자형 프레임의 내부에는 체인(215)이 상호 연이어지게 내장된다.The
또한 상기 상향하는 경사프레임(212,212a)에서 앞쪽에 위치한 경사프레임(212)과 그 후방에 위치한 경사프레임(212a)과의 간격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이송팔레트(220)의 하부 일측단(후단)에 설치된 연결구(221)와 그 연결구(221)의 전방 이송팔레트(2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224)간의 간격과 동일하고, 상기 하향하는 경사프레임(213,213a)에서 앞쪽에 위치한 경사프레임(213)과 그 후방에 위치한 경사프레임(213a)과의 간격도 하기에서 설명되는 이송팔레트(220)의 하부 일측단(후단)에 설치된 연결구(221)와 그 연결구(221)의 전방 이송팔레트(2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224)간의 간격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본 발명의 이송팔레트(220)는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어 하부 일측단(후단)은 체인(215)과 연결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체인(215)의 이동방향에 따라 진행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구조는 하부 후단에는 체인(215)과 연결 설치되는 연결구(221)가 설치되고, 그 연결구(221)의 전방 이송팔레트(220)의 하부에는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에 의지하며 이송팔레트(220)의 수평을 유지해주는 가이드(224)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상부 선단에는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단부에 위치하여 진행되는 휠(222)이 휠축(223)을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단부에 위치하도록 휠축(223)을 매개로 설치되는 휠(222)의 양 끝단부 위치는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내측 단부와 접촉되지 않고 매우 근접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휠(222)의 양 끝단부 위치와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내측 단부와 접촉되지 않고 매우 근접되게 위치시키는 이유는 이동팔레트(220)의 유동을 제어하여 이송팔레트(220)에 실려 이송되는 이송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휠(222)의 양 끝단부 위치와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내측 단부와 접촉되지 않고 매우 근접되게 위치시켜 이송팔레트(220)의 유동을 제어하는 원리는 이송팔레트(22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휠(222)의 양 끝단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단부간에 접촉이 발생하면서 이송팔레트(220)의 유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하부 후단에 설치된 연결구(221)는 체인(215)과 연결 설치되어 체인(215)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송팔레트(220)가 이송되게 하는 것이고. 이송팔레트(2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224)는 "ㄷ"자형 가이프레임(211,211a,211b,211c)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송팔레트(220)의 수평상태를 유지해주는 것이며,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상부 선단에 휠축(223)을 매개로 설치된 휠(222)은 가이드프레임 상부 내측 단부에 위치하여 이송팔레트(220)가 도9a 내지 도9e에 나타낸 경사프레임을 따라 승/하강할 때에 유동 없이 안정하고 원활하게 해주며,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The
Both end positions of the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the
Th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체인구동수단(230)은 도7a 내지 도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인(215)이 내장된 가이드프레임의 일측단에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1)가 연결 설치된 체인스프라켓(232)이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고 그 체인스프라켓(232)의 전방에는 체인(215)은 연결되지 않고 이송팔레트(220)만 안내하는 보조스프라켓(233)이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며, 그 보조스프라켓(233)은 체인(215)선상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된다.(도3 참조) Chain drive means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a to 7c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체인구동수단(230)을 이용하여 이송팔레트(220)를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회전시키는 원리는 먼저 도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15)에 연결된 일측단의 연결구(221)가 체인스프라켓(232)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면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224)는 보조스프라켓(233)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여 보조스프라켓(233)의 산과 산 사이 홈(H)에 안착되게 된다. The principle of rotating the
이는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일측단(후단)에 설치된 연결구(221)와 그 연결구(221)의 전방 이송팔레트(2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224)간의 거리와, 체인스프라켓(232)의 중심축과 보조스프라켓(233)의 중심축간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때 상기 체인스프라켓(232)과 보조스프라켓(233)은 동일한 크기일 때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인(215)이 연결된 체인스프라켓(232)이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224)가 안착된 보조스프라켓(233)도 같이 회전되면서 이송팔레트(22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며 도7b 및 도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팔레트(220)상에 이송물이 올려놓아져도 그 올려놓아진 이송물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짐 또는 떨어짐이 없이 안전하게 회전되며 이송되는 것이다.This is the distance between the
When the
삭제delete
상기 체인스프라켓(232)과 보조스프라켓(233)에는 각각의 중심축(234,235)이 설치되고, 그 각 중심축(234,235)에는 동력전달스프라켓(236,237))을 설치하여 이에 체인(238)이 연결 설치됨으로 상기 체인스프라켓(232)이 회전되게 되면 보조스프라켓(233)도 동일한 속도로 같이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인스프라켓(232)에는 구동모터(231)가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231)의 작동과 함께 체인스프라켓(232)이 회전된다.
한편 상기의 방법으로 체인구동수단(230)을 이용하여 이송팔레트(220)를 수평상태가 되게 회전시킬 때에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상부 선단에 설치된 휠(222)은 가이드프레임과 접촉되지 않고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 임으로 이송팔레트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체인리턴수단(240)은 도8a 내지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인(215)이 내장된 가이드프레임의 타측단에 체인(215)을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라켓(241)이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고 그 리턴스프라켓(241)의 전방에는 체인(215)은 연결되지 않고 이송팔레트(220)를 안내하는 리턴보조스프라켓(242)을 상호 마주보게 설치하되 그 리턴보조스프라켓(242)은 체인(215)선상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된다.Each of the
On the other hand, when the
8A to 8C, the chain return means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uch that the
삭제delet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체인리턴수단(240)을 이용하여 이송팔레트(220)를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회전시키는 원리는 먼저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15)에 연결된 일측단(후단)의 연결구(221)가 리턴스프라켓(241)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면 상기 연결구(221)의 전방 이송팔레트(22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224)는 리턴보조스프라켓(242)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그 리턴보조스프라켓(242)의 산과 산 사이 홈(H')에 안착되게 된다.The principle of rotating the
이는 상기 체인구동수단(2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팔레트(220)의 일측단(후단)에 설치된 연결구(221)와 그 연결구(221)의 전방에 설치된 가이드(224)간의 거리와, 리턴스프라켓(241)의 중심축과 리턴보조스프라켓(242)의 중심축간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때 상기 리턴스프라켓(241)과 리턴보조스프라켓(242)은 동일한 크기일 때 가능하다.As described in the chain driving means 230, the distance betwe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인(215)이 연결된 리턴스프라켓(241)이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224)가 안착된 리턴보조스프라켓(242)도 같이 회전되면서 이송팔레트(22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며 도8b 및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팔레트(220)상에 이송물이 올려놓아져도 그 올려놓아진 이송물이 쓰러지거나 기울러짐 또는 떨어짐이 없이 안전하게 회전되며 이송되는 것이다.When the
상기 리턴스프라켓(241)과 리턴보조스프라켓(242)에는 각각의 중심축(243,244)이 설치되고, 그 각각의 중심축(243,244)에는 동력전달스프라켓(245,246))을 설치하여 이에 체인(247)이 연결 설치됨으로 상기 리턴스프라켓(241)이 회전되게 되면 리턴보조스프라켓(242)도 동일한 속도로 같이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체인리턴수단(240)을 이용하여 이송팔레트(220)를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회전시킬 때에 상기 이송팔레트(220)의 상부 선단에 설치된 휠(222)은 가이드프레임과 접촉되지 않고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 임으로 이송팔레트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The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 중앙부에 형성된 상/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213,213a)을 따라 이송팔레트(220)가 수평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은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15)에 연결된 일측단(후단)의 연결구(221)가 전방에 위치한 상향하는 경사프레임(212)의 입구에 도달하면 가이드(224)는 후방에 위치한 상향하는 경사프레임(212a)의 입구에 도달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인(215)이 전방에 위치한 상향하는 경사프레임(212)을 따라 진행하게 되면 이송팔레트(220)도 그 체인(215)과 함께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된다.The process of moving the
그리고 이송팔레트(220)가 도9b의 위치에서 체인(215)의 진행에 따라 수평프레임(214)으로 계속 진행하면 상기 이송팔레트(220)가 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수평프레임(214)을 따라 계속 진행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송팔레트(220)의 일측단(후단)에 설치된 연결구(221)가 전방에 위치한 하향하는 경사프레임(213)의 입구에 도달하면 가이드(224)는 후방에 위치한 하향하는 경사프레임(213a)의 입구에 도달하게 되다.(도9d참조)And if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인(215)이 전방에 위치한 하향하는 경사프레임(213)을 따라 진행하게 되면 이송팔레트(220)도 그 체인(215)과 함께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체인(215)이 진행하게 되면 그 체인(215)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팔레트(220)가 도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이송되게 된다.In this state, if the
이상과 같이 되어 이송팔레트(220)가 하향하는 경사프레임(213,213a)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그 다음에는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프레임(211,211a)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체인리턴수단(240)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인리턴수단(240)에서 이송팔레트(220)가 수평이동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상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2,212a)과 하향하는 각각의 경사프레임(213,213a)의 상/하단 각 코너 부분에는 체인(215)의 원활한 방향전환을 위하여 가이드 휠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each of the inclined frame (212,212a) and the down each of the inclined frame (213,213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guide wheel to smoothly chang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송팔레트(220)상에 이송물을 올려놓고 구동모터(231)를 작동시키게 되면 체인스프라켓(232)이 회전하면서 그와 동시에 체인(215)이 진행하게 되고 그 체인(215)의 진행은 곳 이송물이 올려놓아진 이송팔레트(220)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물이 올려놓아진 이송팔레트(220)는 구동부 및 상/하향하는 경사부 그리고 리턴부를 기울러짐이나 쓰러짐 및 떨어짐이 없이 수평상태로 안전하게 이송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컨베이어장치는 이송물을 회전부나 상/하향하는 경사부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 컨베이어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veyor apparatus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conveyed object to be always transported in a horizontal state irrespective of the rotating part or the up / down inclined part, thereby solving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veyor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214A KR100728811B1 (en) | 2006-03-16 | 2006-03-16 | Conveyor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conveyed materi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214A KR100728811B1 (en) | 2006-03-16 | 2006-03-16 | Conveyor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conveyed materi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8811B1 true KR100728811B1 (en) | 2007-06-15 |
Family
ID=3835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4214A Active KR100728811B1 (en) | 2006-03-16 | 2006-03-16 | Conveyor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conveyed materi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881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9651B1 (en) | 2015-04-30 | 2015-11-17 | 김기삼 | Horizontal motion conveyor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70205A (en) * | 1979-11-14 | 1981-06-12 | Fujisawa Seisakusho:Kk | Chain conveyer |
JPS61166416A (en) * | 1985-01-17 | 1986-07-28 | ワイマール エヌ.フアー | Platform type conveyor |
JPS61243713A (en) * | 1985-04-19 | 1986-10-30 | Daiichi Kogyo Kk | Rack type vertical transporting device with possibility of horizontal transport in intermediate part |
JPH01133812A (en) * | 1987-11-16 | 1989-05-25 | Nakagawa Tekkosho:Kk | Horizontally maintaining device for tray in tray conveyer |
JPH03147611A (en) * | 1989-11-02 | 1991-06-24 | Maekawa Seisakusho Riyuutsuu Gijutsu Kk | Multi-stage circulating slat conveyor |
JPH06293422A (en) * | 1992-10-22 | 1994-10-21 | Showa Kikai Shoji Kk | Continuous carrying device |
JP2002285512A (en) * | 2001-03-22 | 2002-10-03 | Niigata Eng Co Ltd | Conveying device for granular silos |
JP2003193414A (en) * | 2001-12-27 | 2003-07-09 | Nikko Co Ltd | Granular material transport device |
-
2006
- 2006-03-16 KR KR1020060024214A patent/KR1007288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70205A (en) * | 1979-11-14 | 1981-06-12 | Fujisawa Seisakusho:Kk | Chain conveyer |
JPS61166416A (en) * | 1985-01-17 | 1986-07-28 | ワイマール エヌ.フアー | Platform type conveyor |
JPS61243713A (en) * | 1985-04-19 | 1986-10-30 | Daiichi Kogyo Kk | Rack type vertical transporting device with possibility of horizontal transport in intermediate part |
JPH01133812A (en) * | 1987-11-16 | 1989-05-25 | Nakagawa Tekkosho:Kk | Horizontally maintaining device for tray in tray conveyer |
JPH03147611A (en) * | 1989-11-02 | 1991-06-24 | Maekawa Seisakusho Riyuutsuu Gijutsu Kk | Multi-stage circulating slat conveyor |
JPH06293422A (en) * | 1992-10-22 | 1994-10-21 | Showa Kikai Shoji Kk | Continuous carrying device |
JP2002285512A (en) * | 2001-03-22 | 2002-10-03 | Niigata Eng Co Ltd | Conveying device for granular silos |
JP2003193414A (en) * | 2001-12-27 | 2003-07-09 | Nikko Co Ltd | Granular material transport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9651B1 (en) | 2015-04-30 | 2015-11-17 | 김기삼 | Horizontal motion convey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8220B1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US9643792B2 (en) | Positioning table | |
JP2007153614A (en) | Work carrying device and work carrying method | |
JPH0229567B2 (en) | ||
CN107000942B (en) | Carrier type conveying apparatus | |
CN112474371B (en) | Flap sorter, flap sorting system, sorting method of flap sorter and supporting guide rail | |
AU2004285709A1 (en) | Turning device for conveyor | |
US3826351A (en) | Tray conveyor | |
KR100728811B1 (en) | Conveyor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of conveyed material | |
CN105217287A (en) | A kind of tile load transfer device | |
JP6987431B2 (en) | Wheel type direction changer | |
KR200419872Y1 (en) | Horizontal conveying pallet conveyor | |
JP2005162477A (en) |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goods | |
JP2009091138A (en) | Plastic bottle conveyor | |
KR101298757B1 (en) | Drop ore remov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 |
KR101253848B1 (en) | Conveyer Shuttle System | |
JP5133644B2 (en) | Combiner and container transport method using combiner | |
CN214140699U (en) | Construction is with supplementary shedding mechanism | |
JP2003013467A (en) | Equipment for vertical conveyance of earth | |
JP4052173B2 (en) | Transportation equipment using moving objects | |
US4261458A (en) | Conveying system for roll containers | |
JP2021109718A (en) | Article conveyance facility | |
KR101474693B1 (en) | Tilting apparatus of conveyor for solt loader | |
CN216043708U (en) | Mining system | |
KR100213723B1 (en) | Cabinet feeding device for an art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