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8781B1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781B1
KR100728781B1 KR1020050068599A KR20050068599A KR100728781B1 KR 100728781 B1 KR100728781 B1 KR 100728781B1 KR 1020050068599 A KR1020050068599 A KR 1020050068599A KR 20050068599 A KR20050068599 A KR 20050068599A KR 100728781 B1 KR100728781 B1 KR 100728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910A (ko
Inventor
김희탁
권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781B1/ko
Priority to US11/493,578 priority patent/US20070026291A1/en
Publication of KR2007001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01M8/1006Corrugated, curved or wave-shaped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perforated or wave-sha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01M8/109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thermal other than drying, e.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01M8/1093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mechanical, e.g. pressing, pun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는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는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의 촉매층 사이의 계면을 증가시켜, 고출력 및 고성능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요철,고분자전해질막,연료전지,고출력,계면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요철이 형성된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에서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의 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평면 SEM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단면 SEM 사 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평면 SEM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단면 SEM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단면 SEM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 내지 6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성능 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기체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단위 전지의 적층에 의한 스택 구성으로 다양한 범위의 출력을 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소형 리튬 전지에 비하여 4-10배의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소형 및 이동용 휴대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료 전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ell),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Direct Oxidation Fuel Cell)를 들 수 있다. 상기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에서 연료로 메탄올을 사용하는 경우는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라 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크고, 출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수소 가스의 취급에 주의를 요하고 연료가스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메탄이나 메탄올 및 천연 가스 등을 개질하기 위한 연료 개질 장치 등의 부대 설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는 반응속도가 느려서 기체형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고, 출력이 낮으며, 많은 양의 전극 촉매를 사용하여야 하나, 액체 상태인 연료의 취급이 용이하고 운전 온도가 낮으며 특히 연료 개질 장치를 필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스택은 막-전극 어셈브리(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와 세퍼레이터(Separator)(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로 이루어진 단위 셀이 수 개 내지 수 십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일명, "연료극" 또는 "산화 전 극"이라 한다)과 캐소드 전극(일명 "공기극" 또는 "환원 전극"이라고 한다)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연료 전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는 연료가 연료극인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되어 애노드 전극의 촉매에 흡착되고, 산화 반응에 의하여 연료가 이온화되고또한 전자가 발생하며, 이때 발생된 전자는 외부 회로에 따라 산화극인 캐소드 전극에 도달하며, 수소 이온은 고분자 전해질 막을 통과하여 캐소드 전극으로 전달된다. 캐소드 전극으로 산화제가 공급되고, 이 산화제, 수소 이온 및 전자가 캐소드 전극의 촉매 상에서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 계면 면적이 증가되어, 고성능 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고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 발생부, 연료 공급부 및 산화제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발생부는 연료와 산화제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료 공급부 는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산화제 공급부는 산화제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막-전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에서 막-전극 어셈블리는 고분자 전해질 막과 이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으로 구성되며, 이 막-전극 어셈블리에서, 연료 및 산화제에 의한 산화 및 환원 반응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막-전극 어셈블리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과의 계면 접착이 우수해야 잘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계면에서의 전극과의 접촉 면적이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의 막-전극 어셈블리에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요철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의 촉매층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의 촉매층의 계면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고분자 전해질 막과 바로 접촉하고 있는 촉매 양이 늘어나므로, 촉매 활용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고성능의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요철은 실제 면적(real area)/겉보기 면적(geometric area, apparent area)의 비가 1.3 내지 200의 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20의 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제 면적이란 요철이 형성된 부분의 모든, 즉 들어가고 나온 부분의 전체 표면적을 말하며, 상기 겉보기 면적이란 고분자 전해질 막을 위에서 내려다봤을때 가로 X 세로 길이 값으로 얻어지는 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실제 면적/겉보기 면적의 비율이 1.3보다 낮을 경우, 계면 면적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200을 초과하게 형성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워 실제 적용하기 불가능하다.
상기 요철에서 요부와 철부의 높이(골의 깊이)의 차이는 1 내지 50㎛이 바람직하고, 2 내지 20㎛이 더욱 바람직하다. 골의 깊이가 1 ㎛ 미만인 경우에는 계면면적은 증가되나, 고분자 전해질 막과의 계면과 수소 이온이 효과적으로 전달가능한 촉매층의 부피증가률이 매우 낮아 성능향상 효과가 낮다. 또한 골의 깊이가 5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막-전극 어셈블리 제조공정 중 압착공정시 요철을 유지시키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접촉하는 전극의 촉매양이 많아져 고출력의 전지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은 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이 불규칙한 경우, 국부적으로 면적이 증가한 부분이 발생하여 불균일한 전류의 생성이 야기되며, 이는 성능 감소의 원인이 된다.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1)의 양면에 촉매층(3)이 형성된 막-전극 어셈블리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에서, 고분자 전해질 막(1)과 촉매층(3)이 접하는 계면(interface, 3a)을 보면, 도 2와 같이 편평한 고분자 전해질 막(2)과 촉매층(4)이 접하는 계면(2a)에 비하여,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막과 촉 매층이 접하는 계면이 현저하게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이 형성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는 일 실시 형태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먼저, 패턴화된 기재(10, 13)를 편평한 고분자 전해질 막(15)의 양면에 위치시킨 후(S1), 압연을 실시하면(S2), 양면에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20)이 형성된다(S3). 상기 압연 공정은 열 및 압력을 가하는 열간 압연, 또는 열은 가하지 않는 냉간 압연 등 어떠한 공정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패턴화된 기재로는 스테인레스 스틸,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구리 등 열변형이 없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며, 또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플론)과 같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등 열변형이 낮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열간 압연 공정은 10 내지 1000kgf/cm2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500kgf/cm2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간 압연 공정의 압력이 10kgf/cm2 보다 낮으면, 고분자 전해질 막에 패턴이 명확하게 생성되지 않으며, 1000kgf/cm2 보다 높으면, 고분자 전해질 막에 핀홀(pinhole)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간 압연 공정은 고분자 전해질 막의 열변형 온도를 기준으로 상하 50℃의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퍼플로오로설폰산(Nafion)의 경우, 60 내지 160℃ 사이에서 열간 압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간 압연 공정은 10 내지 1000kgf/cm2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500kgf/cm2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재(34)의 양면에 고분자 전해질 막(30, 32)을 위치시키고, 압연하면 한면에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30a, 32a)이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재(44)의 한 면에는 고분자 전해질 막(40)을, 다른 일면에는 경질의 기재(42)를 위치시킨 후, 압연하면 요철이 형성된 하나의 고분자 전해질 막(40a)이 형성된다. 상기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재로는 메쉬, 요철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 금속롤 또는 금속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쉬로는 스테인레스 스틸 메쉬와 같이 열 및 압연에 견디면서, 고분자 전해질 막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볼을 멤브레인의 표면에 뿌린 후, 압연하여 멤브레인에 요철을 형성시킨 뒤, 금속볼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애노드 전극의 촉매층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의 촉매층으로 이동시키는 이온 교환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수소 이온 전도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측쇄에 설폰산기, 카르복실산기, 인산기, 포스포닌산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양이온 교환기를 갖고 있는 고분자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는 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분자 막은 10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막-전극 어셈블리에서,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은 전극 기재와 이 전극 기재에 형성된 촉매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에서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M 합금(M은 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직접 산화 연료 전지에서는 애노드 전극 반응 중에서 발생되는 CO에 의한 촉매 피독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금-루테늄 합금 촉매가 애 노드 전극 촉매로는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금속 촉매는 금속 촉매 자체(black)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담체에 담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담체로는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 활성 탄소, 케첸 블랙, 흑연과 같은 탄소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물 미립자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탄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극 기재는 전극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촉매층으로 연료 및 산화제를 확산시켜 촉매층으로 연료 및 산화제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 기재로는 도전성 기재를 사용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 천(carbon cloth), 탄소 펠트(carbon felt) 또는 금속천(섬유 상태의 금속천으로 구성된 다공성의 필름 또는 고분자 섬유로 형성된 천의 표면에 금속 필름이 형성된 것(metalized polymer fiber)을 말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극 기재에서의 기체 확산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미세 기공층(microporous layer)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미세 기공층은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은 도전성 분말, 예를 들어 탄소 분말,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활성 탄소, 카본 파이버, 플러렌(fullerene) 또는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기공층은 도전성 분말,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기체 확산층에 코팅하여 제조된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등이 바람직하 게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과 같은 알콜, 물,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롤리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조성물의 점성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코팅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은 본 발명의 막-전극 어셈블리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 발생부, 연료 공급부 및 산화제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발생부는 연료의 산화 반응과 산화제의 환원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연료 공급부는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산화제 공급부는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산화제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연료의 대표적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 가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이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나타낸 구조는 연료 및 산화제를 펌프를 사용하여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확산 방식, 예를 들어 삼투압 방식을 이용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구조에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연료와 산화제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19)를 갖는 스택(7)과, 상기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와, 산화제를 전기 발생부(19)로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9)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 발생부(19)는 연료와 산화제를 산화-환원 반응시키는 막-전극 어셈블리(21)와 이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측에 연료와 산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퍼레이터(23,25)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속 섬유의 직경이 30㎛, 섬유와 섬유 사이의 거리가 87㎛인 스테인레스 스틸 메쉬의 한쪽 면에 상업용 Nafion 115(퍼플루오로설폰산) 막을 위치시킨 후, 135℃의 열 및 300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한쪽 면에 요철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실제 면적/겉보기 면적의 비가 2.1이고, 요부와 철부의 높이 차이는 20㎛이었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평면 및 단면 SEM 사진을 도 7 및 도 8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패턴화된 기재로 금속 섬유의 직경이 11.5㎛, 섬유와 섬유 사이의 거리가 52.5㎛인 스테인레스 스틸 메쉬의 한쪽 면에 상업용 Nafion 115(퍼플루오로설폰산) 막을 위치시킨 후, 135℃의 열 및 300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한쪽 면에 요철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실제 면적/겉보기 면적의 비가 2.4이고, 요부와 철부의 높이 차이는 10㎛이었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평면 및 단면 SEM 사진을 도 9 및 도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패턴화된 기재로 금속 섬유의 직경이 30㎛, 섬유와 섬유 사이의 거리가 87㎛인 스테인레스 스틸 메쉬 두 장 사이에 상업용 Nafion 115(퍼플루오로설폰산) 막을 위치시킨 후, 135℃의 열 및 300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양면에 요철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단면 사진을 도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패턴화된 기재로 금속 섬유의 직경이 11.5㎛이고, 섬유와 섬유 사이의 거리가 52.5㎛인 스테인레스 스틸 메쉬 두 장의 사이에 상업용 Nafion 115(퍼플루오로설폰산) 막을 위치시킨 후, 135℃의 열 및 300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양면에 요철 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일면에 Pt 블랙과 Nafion(퍼플루오로설폰산)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1:0.12:9의 무게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시킨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휘발시켜 캐소드 촉매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다른 한쪽 면에는 Pt-Ru 블랙, Nafion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1:0.12:9의 무게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스프레이 코팅시킨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휘발시켜 애노드 촉매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촉매층이 코팅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양면에 탄소지 전극 기재를 물리적으로 압착시켜 단위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하였으며, 1M 메탄올 용액을 애노드 연료로 사용하고, 캐소드에 공기를 주입하여 70도에서 전압-전류특성을 관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막-전극 어셈블리에 대한 전압 전류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Nafion 115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막-전극 어셈블리에 대한 전압 전류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용한 실시예 5 및 6의 연료 전지는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용한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출력밀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분자 전해질 막과 촉매층의 계면증가로 인한 반응에 참여하는 활성화된 촉매의 양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는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의 촉매층 사이의 계면을 증가시켜, 고출력 및 고성능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접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로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실제 표면적(real area)/겉보기 면적(apparent area)의 비가 1.3 내지 200인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실제 표면적/겉보기 면적의 비가 2 내지 20인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철부의 높이 차이가 1 내지 50㎛인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철부의 높이 차이가 2 내지 20㎛인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 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은
    패턴화된 기재를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위치시키고,
    압연하여 제조되는 것인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9. 고분자 전해질 막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연료와 산화제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요철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실제 면적/겉보기 면적의 비가 1.3 내지 200이며,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접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인
    연료 전지 시스템.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실제 면적/겉보기 면적의 비가 2 내지 20인 연료 전지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철부의 높이 차이가 1 내지 50㎛인 연료 전지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철부의 높이 차이가 2 내지 20㎛인 연료 전지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연료 전지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연료 전지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 막은
    패턴화된 기재를 고분자 전해질 막 양면에 위치시키고,
    압연하여 제조되는 것인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050068599A 2005-07-27 2005-07-27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10072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599A KR100728781B1 (ko) 2005-07-27 2005-07-27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US11/493,578 US20070026291A1 (en) 2005-07-27 2006-07-27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599A KR100728781B1 (ko) 2005-07-27 2005-07-27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10A KR20070013910A (ko) 2007-01-31
KR100728781B1 true KR100728781B1 (ko) 2007-06-19

Family

ID=3769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599A KR100728781B1 (ko) 2005-07-27 2005-07-27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26291A1 (ko)
KR (1) KR100728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69B1 (ko) 2010-10-04 2012-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름 패턴된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541B2 (ja) * 2006-06-26 2012-0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および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US9056449B2 (en) * 2007-10-01 2015-06-16 Intelligent Energy Limited Methods of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cells
RU2012132260A (ru) 2009-12-28 2014-02-10 Сосьете Бик Топливные элементы и компоненты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имеющие асимметричную архитектуру,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12036007A1 (ja) * 2010-09-13 2012-03-22 凸版印刷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
EP2647075A1 (en) * 2010-12-03 2013-10-09 Solvay Specialty Polymers Italy S.p.A. Fuel cell modules
JP6110700B2 (ja) * 2012-03-29 2017-04-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作製方法
US20140141286A1 (en) * 2012-08-16 2014-05-22 J. Craig Venter Institute Pleated cathode electrode: high surface area, light-weight, modified packed-bed electrode for oxygen reduction
KR101359704B1 (ko) 2012-11-28 2014-02-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US10553854B2 (en) * 2013-09-26 2020-02-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condary battery
JP6971534B2 (ja) 2015-08-20 2021-11-24 株式会社東芝 膜電極複合体および電気化学セル
JP6952543B2 (ja) * 2017-03-22 2021-10-20 株式会社東芝 膜電極接合体、電気化学セル、スタック、燃料電池及び車両
KR102440588B1 (ko) * 2017-05-10 2022-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및 방법
US20180337391A1 (en) * 2017-05-18 2018-1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ssing process of creating a patterned surface on battery electrodes
KR20210132342A (ko) * 2020-04-27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막-전극 접합체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799491B (zh) * 2020-07-29 2021-06-22 江苏大学 一种基于凹凸复合微结构燃料电池质子交换膜
US11909052B2 (en) * 2021-06-30 2024-02-20 Xerox Corporation Fabrication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filament extension atomizer spr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338A (ko) * 2001-02-24 2002-08-30 (주)퓨얼셀 파워 막전극 접합체와 그 제조 방법
JP2005174565A (ja) 2003-12-08 2005-06-30 Hitachi Ltd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と膜・電極接合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5293923A (ja) 2004-03-31 2005-10-20 Seiko Epson Corp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燃料電池および機器
KR20060020018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택 및 세퍼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2353A (en) * 1980-02-29 1981-06-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catalytic electrodes and electrodes made thereby
US5498278A (en) * 1990-08-10 1996-03-12 Bend Research, Inc. Composite hydrogen separation element and module
US5635039A (en) * 1993-07-13 1997-06-03 Lynntech, Inc. Membrane with internal passages to permit fluid flow and an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US6136412A (en) * 1997-10-10 2000-10-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textured catalyst transfer substrate
US5958616A (en) * 1998-02-06 1999-09-28 Lynntech, Inc. Membrane and electrode structure for methanol fuel cell
EP1113518B1 (en) * 1999-12-27 2013-07-10 Corning Incorporated Solid oxide electrolyte, fuel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US6835488B2 (en) * 2000-05-08 2004-12-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cell with patterned electrolyte/electrode interface
US7067208B2 (en) * 2002-02-20 2006-06-27 Ion America Corporation Load matche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solid oxide fuel cell and a heat pump and an optional turbine
JP2003317748A (ja) * 2002-04-23 2003-11-07 Araco Corp 固体電解質膜
US20030235737A1 (en) * 2002-06-19 2003-12-25 Yoocharn Jeon Metal-coated polymer electroly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6835479B2 (en) * 2002-06-26 2004-12-28 Utc Fuel Ce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shutting down a fuel cell power plant
US7067215B2 (en) * 2002-10-31 2006-06-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ing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US7303833B2 (en) * 2004-12-17 2007-12-04 Corning Incorporated Electrolyte sheet with a corrugation pattern
US7901829B2 (en) * 2005-09-13 2011-03-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hanced catalyst interface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338A (ko) * 2001-02-24 2002-08-30 (주)퓨얼셀 파워 막전극 접합체와 그 제조 방법
JP2005174565A (ja) 2003-12-08 2005-06-30 Hitachi Ltd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と膜・電極接合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5293923A (ja) 2004-03-31 2005-10-20 Seiko Epson Corp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燃料電池および機器
KR20060020018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택 및 세퍼레이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69338
17174565
1729392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69B1 (ko) 2010-10-04 2012-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름 패턴된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26291A1 (en) 2007-02-01
KR20070013910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774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0728781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100658688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101201816B1 (ko) 막-전극 어셈블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17790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20070098136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JP4846371B2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019300A (ja) 燃料電池用電極,燃料電池,燃料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100612233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KR20090055304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59436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45461A (ko)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073014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0717747B1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스택의 회복 방법
KR100599811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080044495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KR101247774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JP2004063409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KR20090039423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KR20090030104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70035712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709193B1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직접산화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60001630A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0696672B1 (ko) 혼합 주입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주입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45457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528

Appeal identifier: 2007101003164

Request date: 20070322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1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3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