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125B1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Google Patents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7125B1 KR100727125B1 KR1020050074085A KR20050074085A KR100727125B1 KR 100727125 B1 KR100727125 B1 KR 100727125B1 KR 1020050074085 A KR1020050074085 A KR 1020050074085A KR 20050074085 A KR20050074085 A KR 20050074085A KR 100727125 B1 KR100727125 B1 KR 100727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storage
- indoor
- heat
- refrigeran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4522 Pentaglottis sempervir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25B2400/053—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between the storage receiver and another part of the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4—Storage receiver he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축열교환기와 다수의 실내열교환기가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ive air conditioner which is selectively operat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and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외열교환기(120)와, 냉매를 압축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기(110)가 구비되는 실외유니트(100)와; 열교환이 일어나는 다수의 실내열교환기(420)와, 상기 다수의 실내열교환기(420)로 유입되는 냉매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실내팽창장치(430)가 구비되는 다수의 실내유니트(400)와;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430)를 각각 제어하여 개폐하는 실내제어수단(460)과; 열교환이 일어나는 다수의 축열교환기(320)와,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320)로 유입되는 냉매를 각각 제어하는 축열팽창장치(330,332)가 구비되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열유니트(300)와; 상기 다수의 축열팽창장치(330,332)를 제어하여 각각 개폐하는 축열제어수단(470)과;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유니트(2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regenera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unit (100) hav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120) through which heat exchange occurs, and at least one compressor (110)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plurality of indoor units (4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420) in which heat exchange occurs, and a plurality of indoor expansion devices (430) for controlling refrigerants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420); Indoor control means (4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indoor expansion devices (43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320) in which heat exchange occurs, and a heat storage expansion device (330, 332) for controlling refrigerants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320), respectively, and a heat storage unit (300) for storing energy; Heat storage control means (4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expansion devices (330, 332); It consists of one or more functiona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ergy is reduced.
공기조화, 축열, 축열조, 제어수단, 팽창장치 Air conditioning, heat storage, heat storage tank, control means, expansion devic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 공기조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건물 조감도.Figure 2 is a building bird's ey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at storage air-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축열 공기조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가 '축열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의 냉매 흐름을 보인 구성도.Figure 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frigerant flow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heat storage mode'.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가 '축열냉방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의 냉매 흐름을 보인 구성도.Figure 4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frigerant flow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heat storage cooling mode'.
도 4c는 본 발명 실시예가 '직접냉방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의 냉매 흐름을 보인 구성도.Figure 4c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frigerant flow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direct cooling mode'.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축열유니트와 실내유니트의 연결 상태를 보인 구성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heat storage unit and the indoor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축열유니트와 실내유니트의 다른 연결 상태를 보인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nection state of the heat storage unit and the indoor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외유니트 110. 압축기100.
120. 실외열교환기 130. 어큐뮬레이터120.
140. 사방밸브 150. 실외팽창장치140. Four-
200. 기능유니트 210. 보조유로200.
212. 보조열교환기 214. 보조펌프212.
216. 제1밸브 218. 제2밸브216.
220. 기능저압연결부 222. 기능고압연결부220. Functional
240. 액유로 244. 드라이어240.
246. 액펌프 248. 리시버246.Pump 248. Receiver
250. 고압축열연결부 252. 제5밸브250. High pressure
300. 축열유니트 310. 축열조300.
320. 축열교환기 322. 제1축열교환기320.
324. 제2축열교환기 330. 제1축열팽창장치324. Second
332. 제2축열팽창장치 400. 실내유니트332. Second heat
410. 실내고압유로 412. 실내저압유로410. Indoor
420. 실내열교환기 430. 실내팽창장치420.
450. 분배헤드 460. 실내제어수단450.
470. 축열제어수단 480. 중앙제어수단470. Heat storage control means 480. Central control means
본 발명은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축열교환기와 다수의 실내열교환기가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selectively operat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and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장치로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공기조화 장치는 압축기-응축기-팽창장치-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cools a room by a repetitive action of inhaling hot air in a room, exchanging heat with a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n discharging it into the room. Mainly used, this air conditioner consists of a compressor-condenser-expansion-evaporator to form a series of cycles.
그리고 근래에는 전기료 절감 등을 위하여, 야간(전력 사용이 적을 때)에 제빙한 얼음을 주간(전력 사용이 많을 때)에 응축열원으로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Recently, a regenerative air conditioner is used to cool the room by using ice iced at night (when power is low) as a condensation heat source during the daytime (when power is used) to reduce electricity costs.
도 1에는 종래의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와,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되어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을 일으키는 실외열교환기(2) 등이 구비되는 실외유니트(3)가 일측에 구비된다.As shown therein, an
그리고 상기 실외유니트(3)의 일측에는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축열유니트(10)가 구비된다. 상기 축열유니트(10)는 축열물질이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조(11)와, 상기 축열조(11)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물펌프(12), 그리고 상기 물과 냉매의 열교환이 일어나는 열교환기(13) 및 액냉매의 유동을 강제하는 냉매액펌프(14)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축열조(11) 내부에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축열교환기(11')가 더 구비된다.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축열유니트(1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실내유니트(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실내유니트(20)에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21)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1)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팽창장치(22)가 구비된다.Meanwhile, at least on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는, 야간에는 상기 축열유니트(10)의 축열조(11) 내부에 얼음이 얼도록 한 다음, 전력 소모가 많은 주간(예로, 13:00 ~ 16:00시)에 상기 축열조(11)에 제빙된 얼음을 이용하여 실내 냉방을 수행한다.In the conventional heat storage type air condition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ce is frozen inside the
이때에는 상기 압축기(1)는 정지하고, 상기 냉매액펌프(14)를 이용하여 냉매를 순환시킨다. 따라서 이때의 냉동사이클은, 상기 냉매액펌프(14)에 의해 냉매가 공급되어, 상기 실내팽창장치(22)를 거쳐 증발기 역할을 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1)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1)에서는 실내공간의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실내는 냉방이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실내열교환기(21)에서 열을 흡수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3)로 유동하여, 상기 축열조(11) 내부에 결빙된 얼음과 열교환을 하여 다시 차거운 냉매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차가운 냉매가 상기 냉매액펌프(14)로 이동되어 사이클을 완성하게 된다.The refrigerant absorbing heat from the
한편, 상기 열교환기(13)에는 상기 축열조(1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열교환기(13)에는 상기 물펌프(12)에 의해 상기 축열조(11) 내부의 냉수가 공급되어 순환된다.Meanwhile, one end of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서는, 상기 축열유니트(10)는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축열유니트(10)는 상기 다수의 실내유니트(20)에 가해지는 부하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대용량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동되는 실내유니트(20)의 수량에 관계없이 상기 축열유니트(10)가 작동되므로, 전력의 낭비가 초래된다.In the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즉, 상기 다수의 실내열교환기(21) 중 일부만이 가동되는 경우에도 대용량의 상기 축열유니트(10)가 작동되므로,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That is, even when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축열교환기와 다수의 실내열교환기가 각각 구비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regenerative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and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축열교환기가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필요한 축열교환기가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generative air conditioner in which a plurality of regenerative heat exchangers ar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rated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기가 구비되는 실외유니트와; 열교환이 일어나는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다수의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실내팽창장치가 구비되는 다수의 실내유니트와;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를 각각 제어하여 개폐하는 실내제어수단과; 열교환이 일어나는 다수의 축열교환기와,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각각 제어하는 축열팽창장치가 구비되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열유니트와; 상기 다수의 축열팽창장치를 제어하여 각각 개폐하는 축열제어수단과;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genera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outdoor unit hav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in which heat exchange occurs, and at least one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plurality of indoor units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in which heat exchange takes place, and a plurality of indoor expansion devices respectively controlling refrigerants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Indoo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indoor expansion device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and a heat storage expansion device for respectively controlling refrigerants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the heat storage unit storing energy; Heat stora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expansion devices to open and clos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t least one functiona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conditions.
상기 축열제어수단은, 상기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다수의 축열팽창장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storage control means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expansion devic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appli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상기 실내제어수단과 축열제어수단은 중앙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와 축열팽창장치를 각각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control means and the heat storage control means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entral control means,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indoor expansion device and the heat storage expansion device, respectively.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 의하면, 에너지의 낭비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heat storag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ste of energy is prevent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가 조감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 bird's eye view of a schematic state in which a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측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실외유니트(100) 및 기능유니트(200) 그리고 축열유니트(300)가 각각 별개로 설치되며, 이러한 각각의 유니트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유니트(400)와 연결된 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하나 또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실내의 각 공간마다 다양한 형태의 실내유니트(400)가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또는 일체로 작동한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실내유니트(400)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헤드(450)가 내장되기도 한다.The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유니트(10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냉매와 주위 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120) 등이 구비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압축기(1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즉, 하나의 압축기(110)가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외에, 정속운전을 하는 정속압축기와 가변속 열펌프(Variable Speed Heat Pump)인 인버터압축기가 쌍으로 설치되어 부하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치되기도 한다.The
상기 압축기(110)의 일측에는 어큐뮬레이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30)는 상기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냉매 중 액체 냉매를 축적하여 기체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110)로 유입되도록 한다.A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30) 내부로 유입된 냉매 중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는 기상의 냉매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130)의 하부에 저장되고, 상부의 기체상태 냉매만 상기 압축기(110)로 유입된다. In more detail, the refrigerant remaining in the liquid phase without being evaporated amo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이와 같이, 상기 어큐뮬레이터(130)에 의해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이유는, 냉매 중 기체로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10)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면,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 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10)에 부하가 증가되어 압축기(110)의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As such, the reason for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by the
상기 실외유니트(100)에는 사방밸브(140)가 구비된다. 상기 사방밸브(140)에는 다수의 배관이 연통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사방밸브(140)는 냉,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주도록 배설되는 것으로, 각각의 포트는 압축기(110)의 출구, 어큐뮬레이터(130)의 입구, 실외열교환기(120) 그리고 기능유니트(200) 또는 실내유니트(400)에 각각 연결 설치된다.The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의 출구측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를 통과한 냉매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실외팽창장치(150)가 더 구비된다.An
그리고 상기 실외유니트(100)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사방밸브(140)와 연결되는 배관에는 실외저압연결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팽창장치(150)의 일측에는 실외고압연결부(162)가 형성된다. The
물론 상기 실외유니트(100)가 상기 실내유니트(400)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실외저압연결부(160)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저압유로(412)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고압연결부(162)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고압유로(41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상기 기능유니트(200)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The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냉매를 안내하는 보조유로(210)가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유로(210)에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보조열교환기(212)와, 상기 보조열교환기(212)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강제하는 보조펌프(214)가 구비된다. An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와 같이 냉매와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축열유니트(300)가 사용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즉, 상기 축열유니트(300)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실내유니트(400)의 용량 또는 요구온도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된다.The
상기 보조펌프(214)는 상기 보조유로(210) 및 보조열교환기(212)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냉매의 흐름을 강제하고, 냉매를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열교환기(212)와 보조펌프(214) 사이에는 제1사방밸브(215)가 설치된다.The
상기 보조유로(210)의 양단에는 제1밸브(216)와 제2밸브(218)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유로(210)를 개폐한다.First and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일단은 상기 실외유니트(100)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기능저압연결부(220)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의 실외저압연결부(160)와 연결되고,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기능고압연결부(222)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의 실외고압연결부(162)와 각각 연결된다.One end of the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 사이에는 액유로(240)가 분지되어 형성된다. 즉 , 상기 액유로(240)의 양단에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가 각각 구비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3밸브(224)는 상기 기능고압연결부(222)에 연결 설치된다.The
상기 액유로(240)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를 이용하여 공기조화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축열유니트(30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액유로(240)의 입구와 출구측은 제2사방밸브(242)에 의해 유로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액유로(240)에는 드라이어(244)가 설치된다. 상기 드라이어(244)는 상기 액유로(240)를 유동하는 냉매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드라이어(244)의 일측에는 액펌프(246)가 설치된다. 상기 액펌프(246)는 상기 액유로(240)를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을 강제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축열유니트(300)에 의해 공기조화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에 냉매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A
상기 액펌프(246)의 일측에는 리시버(248)가 설치된다. 상기 리시버(248)는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것이다.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시버(248)는 상기 실외유니트(100)로부터 유동되어 오는 냉매 중 잉여냉매를 저장함과 동시에 액체 냉매만이 유동되도록 한다. 즉 '축열모드'시에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액체 냉매만이 전달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제4밸브(226)의 일측에는 고압축열연결부(2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축열연결부(250)에는 상기 축열유니트(300)의 배관 일단이 연결 설치된 다.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제5밸브(252)가 더 설치되며, 이러한 제5밸브(252)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유니트(400)의 실내고압유로(410)가 분지되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기능유니트(200)는 상기 실내유니트(400)와도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유니트(200)의 일단에는 실내저압연결부(260)와 실내고압연결부(262)가 각각 형성된다. The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는 냉방운전시 상대적으로 저압 냉매가 유동되는 실내유니트(400)의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상기 실내고압연결부(262)는 냉방운전시 상대적으로 고압 냉매가 유동되는 실내유니트(400)의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이다.The indoor low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유니트(400)와 상기 기능유니트(2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폐밸브(270)가 더 설치된다.One side of the indoor low
그리고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데, 이러한 축열유니트(30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제2밸브(218)와 연결되어 있는 저압축열연결부(272)를 통해 기능유니트(200)로 유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olant flows into the
상기 축열유니트(300)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축열유니트(300)와 기능유니트(200) 사이의 냉매 흐름은 상기 제2밸브(218)와 상기 제4밸브(226)에 의해 제어된다.The
상기 축열유니트(300)에는 내부에 축열물질이 저장되는 축열조(3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물질이 가열되거나 냉각되어 열량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물질은 (열)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으로, 비중이 높은 물(H2O)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축열조(310)에는 축열교환기(320)가 설치된다.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2개가 구비되며,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부의 축열물질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한다. 즉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축열교환기(320) 내부의 냉매 온도에 따라 상기 축열조(310)에 저장된 축열물질이 데워지거나 차가워지게 된다.The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의 일측에는 제1축열팽창장치(330)가 설치되고, 상기 제2축열교환기(324) 일측에는 제2축열팽창장치(33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고, 냉매가 팽창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되도록 한다.A first heat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로는 엘이브이(LEV:linear expansion valve)라고도 불리는 전자팽창밸브나 솔레노이드밸브 등 다양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first
따라서 이러한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축열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단열적으로 팽창하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떨어뜨리거나, 부하에 알맞은 냉매량을 축열교환기(320)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heat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밸브의 개도를 조정하여 감압된 냉매 토출량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first heat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실내고압연결부(262)는 실내유니트(400)의 실내고압유로(410)와 연결되고,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실내저압연결부(260)는 실내유니트(400)의 실내저압유로(412)와 연결된다.The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420)와, 냉매를 팽창시키고 냉매량을 조절하는 실내팽창장치(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와 같이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는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와 같이 전자팽창장치(LEV)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하나 또는 2이상이 구비되며, 각각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에 적합한 용량을 가진다.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유니트(400)가 도 3과 같이 4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실내유니트(402), 제2실내유니트(404), 제3실내유니트(406) 그리고 제4실내유니트(408)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when four
따라서 상기 제1실내유니트(402) 내부에는 제1실내팽창장치(432)와 제1실내열교환기(422)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실내유니트(404) 내부에는 제2실내팽창장치(434)와 제2실내열교환기(424)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실내유니트 (406) 내부에는 제3실내팽창장치(436)와 제3실내열교환기(426)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4실내유니트(408) 내부에는 제4실내팽창장치(438)와 제4실내열교환기(428)가 각각 구비된다. Accordingly, a first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는 '직접냉방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단열적으로 팽창하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떨어뜨리며, 부하에 알맞은 냉매량을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작용을 냉방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 storage type air conditio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in which cooling is performed.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가 '축열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First, referring to FIG. 4A, a case in which the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heat storage mode' will be described.
'축열모드'는 야간에, 즉 전력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미리 상기 축열유니트(300)에 에너지를 저장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열유니트(300)의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물질을 상변화(축열물질이 물인 경우에는 제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The 'heat storage mode' is to store energy in the
이때에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와 기능유니트(200) 및 축열유니트(300)가 작동된다. 즉 이때에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와 상기 축열유니트(300)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실내유니트(400)로는 냉매의 유동이 차단된다.At this time,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폐밸브(270)와 상기 제5밸브(252)에 의해 냉매의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실내유니트(400)와 상기 기능유니트(200) 사이에는 냉매 유동이 중단된다.In more detail,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blocked by the shielding
따라서 상기 압축기(110)의 작용에 의해 냉매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로 유입된다. Therefore, by the action of the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는 일반적으로 실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실외열교환기(12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건물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일으킨다. Since the
이때에는 '축열모드'이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120) 내부의 냉매는 외부로 열을 빼앗기게 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는 응축기로 작용하므로, 냉매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어 액냉매(물론, 완전한 액냉매는 아님)가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heat storage mode, the refrigerant inside the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외팽창장치(150)를 통과하여,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다시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에 의해 상기 액유로(240)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고압축열연결부(250)를 통해 바로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흘러가게 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 냉매는 2갈래로 나뉘어져,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를 통과한다.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를 통과하는 냉매는 팽창에 의해 상대적으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냉매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가 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를 거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여,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축열물질의 온도를 낮추게 되어 결국,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이 상변화(제빙)된다. 즉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은 온도가 저하되어 축열교환기(320) 주변부터 점차 상변화(결빙)된다.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상기 축열교환기(320)를 통과하면서 열을 빼앗긴 냉매는 증발에 의해 기체상태가 되고, 이러한 냉매는 상기 저압축열연결부(272)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밸브(218)는 상기 보조유로(210)로 냉매가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한다.The refrigerant deprived of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기능저압연결부(220)와 실외저압연결부(160)를 통해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어큐뮬레이터(130)로 안내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상기 어큐뮬레이터(130)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걸러진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10)로는 기체 상태의 냉매만이 유입된다. In the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축열모드'의 사이클이 완성되며, 이러한 '축열모드'에 의해 상기 축열유니트(300) 내부의 축열조(310)에는 상변화가 진행된다(축열물질이 물인 경우에는 얼음이 얼게 된다).The cycle of the 'heat storage mode' is completed by this process, and the phase change proceeds to the
도 4b에는 '축열냉방모드'일 때의 냉매 유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축열모드'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4B illustrates a refrigerant flow state in the 'heat storage cooling mode'. That is, the process of cooling the room using the energy stored by the 'heat storage mode' as described above is shown.
'축열냉방모드'는 주간, 즉 전력사용량이 많은 낮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야간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냉방을 실시하는 것이다.The 'regenerative cooling mode' is mainly used during the daytime, that is, during the daytime when the power usage is high, and the cool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stored energy at night.
이때 상기 기능유니트(200)와 축열유니트(300) 및 실내유니트(400)를 통해서는 냉매가 유동하게 되며, 상기 실외유니트(100)에서의 냉매 유동은 정지된다. 즉 상기 제1밸브(216)와 제3밸브(224)에 의해 상기 실외유니트(100)로의 냉매 유동은 차단된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먼저, 상기 고압축열연결부(25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되는 냉매부터 살펴본다.First,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이때,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에 의해 상기 액유로(240)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축열유니트(300)로부터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액유로(240)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액유로(24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액펌프(246)에 의해 흐름이 강제된다. 따라서 상기 액유로(240)를 흐르는 냉매는 상기 리시버(248)와 액펌프(246)를 통과하면서 수분과 기체 냉매가 제거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리시버(248)에서는 기체 냉매가 걸러지고, 상기 드라이어(244)에서는 냉매속의 수분이 제거된다.In more detail, the gas coolant is filtered in the
따라서, 상기 액유로(240)를 통과한 액체 냉매는 상기 제2사방밸브(242)와 제3밸브(224) 그리고 제5밸브(252)를 차례로 거친 다음, 상기 실내고압연결부(262)를 통해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다.Accordingly, the liquid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유니트(200) 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각각의 실내유니트(400)로 분배된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실내유니트(400)는 모두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일부만 사용될 수도 있다.Since the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하는 냉매는 저압으로 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로 유입되며, 이러한 실내열교환기(42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2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실내공간의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는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게 된다.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이와 같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를 통과하면서 냉매는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되고, 실내공간은 열을 빼앗겨 냉방된다.As such,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실내열교환기(4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내저압유로(4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차폐밸브(270)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밸브(216)는 냉매가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보조유로(210)를 통해 유동된다. 상기 보조유로(210)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보조펌프(214)에 의해 흐름이 강제되고,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로 유입된다.Therefore,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는 소형의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응축기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기 보조열교환기(212)에 의해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The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저압축열연결부(272)를 통해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다.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축열교환기(320)를 통과한다.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상기 축열교환기(32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축열교환기(320) 내부의 냉매와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얼음)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얼음)은 상기 축열교환기(320) 내부의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녹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상기 축열교환기(320) 내부를 통과한 냉매는 저온이 된다.Heat exchange occurs in the heat storage exchanger (320). That is,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refrigerant in the
이때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3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부 또는 일부만이 운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다음으로, 상기 축열교환기(3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고압축열연결부(25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Next,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축열 냉방모드'의 사이클이 완료되며,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진다.By the above process, the cycle of the 'heat storage cooling mode' is completed, and the room is cooled.
도 4c는 일반적인 냉방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축열유니트(300)가 사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공기조화 장치에 의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는 '직접냉방모드'가 도시되어 있다.4c shows a general cooling mode. That is, the 'direct cooling mode' is shown in which the cooling of the room is performed by a general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상기 압축기(110)의 작동에 의해 고압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실외의 공기에 열을 빼앗겨 냉매는 저온의 액냉매가 된다.The high pressur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실외팽창장치(150)를 거쳐,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바로 흘러가게 된다. 즉, 상기 제3밸브(224)와 제5밸브(252)에 의해 상기 축열유니트(300)로의 냉매 유입을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5밸브(252)를 거쳐 상기 실내고압연결부(262)를 통해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각각의 실내유니트(400)로 분배된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한다.Since the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하는 냉매는 저압으로 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로 유입되며, 이러한 실내열교환기(42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2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실내공간의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는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게 된다.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이와 같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를 통과하면서 냉매는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되고, 실내공간은 열을 빼앗겨 냉방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축열냉방모드'시의 실내유니트(400)에서의 작용과 동일하다.As such,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실내열교환기(4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내저압유로(4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이때 상기 차폐밸브(270)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밸브(216)는 냉매가 상기 보조유로(210)로 흘러가지 않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기능저압연결부(220)와 실외저압연결부(160)를 통해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다.In this case, the shielding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어큐뮬레이터(130)로 안내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30)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걸러진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10)로는 기체 상태의 냉매만이 유입된다.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직접냉방모드'의 사이클이 완성된다.By this process, the cycle of 'direct cooling mode' is completed.
한편,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상기 축열교환기(320)와 실내열교환기(420)는 각각 개별적으로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자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도 5에는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320)와 실내열교환기(42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연결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430)는 실내제어수단(460)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축열팽창장치(330,332)는 상기 축열제어수단(470)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상기 실내제어수단(460)에는 상기 제1실내팽창장치(432)와 제2실내팽창장치(434), 제3실내팽창장치(436) 및 제4실내팽창장치(438)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실내팽창장치(432)와 제2실내팽창장치(434), 제3실내팽창장치(436) 및 제4실내팽창장치(438)는 상기 실내제어수단(46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된다.The indoor control means 460 is connected to the first
상기 축열제어수단(470)에는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가 각각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상기 축열제어수단(47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된다. The first heat
그리고, 상기 축열제어수단(470)은, 상기 다수의 실내열교환기(420)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다수의 축열팽창장치(330,3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제어수단(460)과 축열제어수단(470)은 중앙제어수단(48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The heat storage control means 47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plurality of heat
상기 중앙제어수단(480)은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마이컴(MICOM)으로, 가동되는 상기 실내유니트(400)의 수량을 파악하여 전체 부하를 계산하고, 이러한 부하량에 따라 상기 축열제어수단(470)에 제어명령을 내리게 된다. 즉 상기 다수의 실내열교환기(420)가 모두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320)도 모두 가동되도록 하며, 상기 다수의 실내열교환기(420) 중 일부만이 가동되는 경우에는 부하량을 계산하여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320) 가동 수량을 결정하여 상기 다수의 축열팽창장치(330,3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The central control means 480 is a central microcomputer (MICOM) for overall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heat storage air-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total load by grasping the quantity of the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도 4b와 같이 '축열냉방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니트(400)에 부가되는 부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320) 중 일부만이 가동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heat storage cooling mo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4b, when the load amount added to the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실내유니트(402), 제2실내유니트(404), 제3실내유니트(406) 그리고 제4실내유니트(408)가 모두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축열제어수단(4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상기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모두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가 모두 운전된다.For example, in detail, when the first
반면, 상기 다수의 실내유니트(400) 중 제1실내유니트(402)와 제2실내유니트(404)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부하 발생량이 적으므로, 상기 중앙제어수단(480)은 이러한 실내유니트(400)의 작동 상태를 축열제어수단(470)에 전달하고, 상기 축열제어수단(470)은 이러한 정보에 따라 상기 축열팽창장치(330,332) 중 제1축열팽창장치(330)만을 개방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only the first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축열교환기(324) 내부로는 냉매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에서만 열교환이 일어난다.In this case, since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into the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 공기조화 장치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냉방을 위한 경우 외에 난방을 위해서도 사용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ooling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can be used for heating in addition to the case for such cooling.
즉 상기의 예에서는 냉방을 위해 야간에 상기 축열유니트(300)의 축열조(310)를 냉방축열조로 사용하여 축열물질을 상변화(제빙)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냉매의 흐름을 반대로 하여 상기 축열조(310)가 난방축열조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above example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phase change (de-icing)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is performed by using the
이렇게 되면,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은 야간에는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되어 열에너지를 축적하고, 주간에는 이러한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실내공간을 난방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heat storage material inside the
또한 상기 축열조(310)를 냉방용과 난방용으로 구분하여 각각 설치한 다음, 냉방시에는 냉방용축열조를 사용하고 난방시에는 난방용출열조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냉방 및 난방 시스템의 작동원리는 일반적인 냉난방 에어콘의 사용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uch,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use of a general air-conditioning air conditioner,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축열교환기(320)가 2개가 구비되고, 실내열교환기(420)는 4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축열교환기(320)와 실내열교환기(420)의 수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wo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축열교환기(320)가 하나의 축열조(31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다수의 축열교환기(320)가 하나의 축열조(310) 내부에 모두 설치되지 아니하고 도 6과 같이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축열조(310)는 제1축열조(310')와 제2축열조(310")로 나누어지고, 이러한 제1축열조(310')와 제2축열조(310") 내부에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서는, 실내열교환 기와 축열교환기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개의 축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는 제어수단에 의해 그 작동이 각각 제어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door heat exchangers and heat storage exchangers are provided. And,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내열교환기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따라 다수의 축열교환기 중 일부만이 가동되도록 자동 제어된다. 이와 같이 되면, 다수의 실내유니트의 가동 수량에 관계없이 대용량의 축열교환기가 작동되는 종래의 공기조화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exchanger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ergy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 which a large capacity heat exchanger is operat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085A KR100727125B1 (en) | 2005-08-12 | 2005-08-12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085A KR100727125B1 (en) | 2005-08-12 | 2005-08-12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284A KR20070019284A (en) | 2007-02-15 |
KR100727125B1 true KR100727125B1 (en) | 2007-06-12 |
Family
ID=4365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40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7125B1 (en) | 2005-08-12 | 2005-08-12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71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7564B1 (en) * | 2007-05-07 | 2008-09-09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Multi Heat Pump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27726A (en) * | 1986-10-31 | 1988-03-01 | Kabushiki Kaisha Toshiba |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JPH06241582A (en) * | 1993-02-19 | 1994-08-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Heat accumulative type cooling device |
JPH0972584A (en) * | 1995-09-05 | 1997-03-18 | Daikin Plant Kk | Thermal storage type cold water device |
JP2002089891A (en) * | 2000-09-12 | 2002-03-27 | Sanyo Electric Co Ltd | Ice storage air conditioner |
-
2005
- 2005-08-12 KR KR1020050074085A patent/KR1007271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27726A (en) * | 1986-10-31 | 1988-03-01 | Kabushiki Kaisha Toshiba |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JPH06241582A (en) * | 1993-02-19 | 1994-08-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Heat accumulative type cooling device |
JPH0972584A (en) * | 1995-09-05 | 1997-03-18 | Daikin Plant Kk | Thermal storage type cold water device |
JP2002089891A (en) * | 2000-09-12 | 2002-03-27 | Sanyo Electric Co Ltd | Ice storage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284A (en) | 200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7841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1864636B1 (en) | Waste heat recovery type hybrid heat pump system | |
CN105299797A (en) | Heat accumulating type air condition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489965A1 (en) | Air-conditioning hot-water supply system | |
CN106123170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70019272A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JP6771302B2 (en) | Air conditioner | |
KR100662123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727125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662115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0727127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1708933B1 (en) |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 |
KR100727124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727126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727142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662126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070019275A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345579B1 (en) | The combined Compact Refrigerative / Regenerative Heat-Pump System | |
KR20030082822A (en) | The Combined Cooling and Heating Ice Regenerative System | |
KR100688653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0662125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
KR101136664B1 (en) | Heat storage type heating, cooling and hot water supply system | |
KR20070022941A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JP2924460B2 (en) | Air conditioner | |
KR100705110B1 (en) | Regenerative Air Condition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