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7067B1 -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067B1
KR100727067B1 KR1020050101699A KR20050101699A KR100727067B1 KR 100727067 B1 KR100727067 B1 KR 100727067B1 KR 1020050101699 A KR1020050101699 A KR 1020050101699A KR 20050101699 A KR20050101699 A KR 20050101699A KR 100727067 B1 KR100727067 B1 KR 10072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call
sip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426A (ko
Inventor
박상만
이장원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10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0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IP 프록시 서버 및 타망과 결합된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에 있어서, SIP 프록시 서버가 발신 단말의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이 타망에 위치한 경우, 게이트웨이 서버가 호 요청 메시지 내의 레이어(Layer)3,4 및 레이어7의 발신 단말의 사설 아이피(IP) 및 포트(Port)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SIP 프록시 서버가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동하여 변경된 호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NAT를 별도로 이용하지 않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타망과의 SIP 기반의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패킷, VoIP, SIP, 공용망, NAT, 타망

Description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connecting with other network in wireless packet switching network system based on SIP and the system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SIP 기반 서비스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NAT을 이용한 SIP 시그널링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STUN 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자망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S망의 SPS, SDS, SRS 및 SGS의 각 기능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 타망에 위치한 착신 단말과의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9, 330 : NAT
10 : WCDMA망
30 : CDMA망
100 : 패킷 교환망
110 : SIP 프록시 서버(SPS : SIP Proxy Server)
130 : 데이터베이스 서버(SDS : SIP DB Server)
150 : 릴레이 서버(SRS : SIP Relay Server)
170 : 게이트웨이 서버(SGS : SIP Gateway server)
400 : 자망
410 : 기지국
440 : 타망
본 발명은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회선 교환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존부터 사용 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패킷망과 같은 무선 패킷 교환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라 지칭되는 무선 패킷 교환망을 이용한 음성/영상 통신 기술은 케이블을 통하여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고 확장성도 뛰어나며 기존 전화에 비하여 요금도 훨씬 저렴한 장점으로 인해 현재 개발 및 연구가 활성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VoIP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H.323과 SIPㆍGCPㆍMEGACO가 있다.
패킷 교환망은 단말의 아이피(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많은 통신사업자들이 인터넷이란 공공망과 연결되는 자신의 사설망을 침입자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자망의 안정성 확보 및 부족한 공용 아이피 주소의 절약 등을 위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통해 사설 아이피를 사용한다. 무선 이동통신에서도 위와 같은 이유로 단말에게 사설 아이피를 할당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단말이 타망(예를 들어, 공용망(Public Network))을 사용할 경우에는 NAT에서 초기 할당한 사설 아이피에 공인 아이피를 할당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서비스는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시그널링 트래픽(Signaling Traffic)과 실제 통화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인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의 분리에 따른 NAT를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SIP 기반 서비스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NAT을 이용한 SIP 시그널링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을 요청한 발신 단말(1)로부터 시작된 점선의 화살표와 같이 발신 단말(1)과 착신 단말(2) 간에 서비스를 주고 받기 위한 세션(session) 제공을 위한 SIP 셋업(setup) 과정이 수행된다. 발신 단말(1)은 프록시 서버(Proxy Server)(5)와 DNS(Domain Name Service) 서버(8)를 이용해 상대편의 프록시 서버2(6)를 거쳐 상대편 단말(착신 단말)(2)의 아이피를 찾아 SIP 메시지를 라우팅(Routing)하며, 착신 단말(2)과 실제 미디어 트래픽(Media Traffic)을 주고 받기 위한 아이피, 포트(Port)를 설정한다. 이후 설정된 아이피와 포트를 이용하여 각 단말(10, 11)은 실제 미디어 트래픽을 주고 받음(예를 들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하여 전송)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SIP 기반의 서비스에서 NAT(9)을 사용할 경우의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 단말(1)이 프록시 서버1(5)과 DNS 서버(8)를 이용해 상대편 단말(2)의 아이피를 찾아 SIP 메시지(60,61,62,63,64)를 라우팅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P 메시지(60,61,62,63,64)는 상대편 단말(2)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프록시 서버(5,6)를 거치게 되며 SIP 요청(Request)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요청과 동일한 경로로 가져가기 위해 프록시 서버를 거칠 때 마다 해당 프록시 서버의 주소를 특정 필드(예를 들어, Via field)에 기록하게 된다. NAT(9)를 경유할 경우 NAT(9)의 기본적인 성격상 레이어(Layer)3, 4의 사설 아이피 및 포트는 NAT(9)에서 할당하는 공인 아이피 및 포트로 대체하여 변경하나(도면의 1.2.3.4 80 : 10.20.30.40 81) 레이어7에 기록된 아이피까지는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프록시 서버2(6)에 보내는 메시지는 프록시 서버1(5)의 사설 아이피가 기록되게 되며, 이는 응답을 전송할 때 공인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 프록시 서 버1(5)의 사설 아이피로 전송하므로 프록시 서버1(5)이 응답을 받을 수 없어 SIP 셋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둘째, 각 단말(10,11)간에 실제 미디어 트래픽을 주고받기 위한 아이피, 포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P 메시지(60,61,62,63,64)는 착신 단말과 미디어 송수신을 위한 아이피 및 포트 정보를 동봉하여 협상하게 된다(c=IN IP4 1.2.3.4, m=audio 49170 RTP/AVP 0). 이 경우에 있어서도 NAT(9)에서 레이어3,4의 아이피, 포트만을 NAT(9)에서 할당하는 공인 아이피, 포트로 대체하여 변경하므로 미디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아이피, 포트는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상대편 6789 단말(2)과 SIP 셋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상대편 단말(2)은 1234 단말(1)의 사설 아이피로 미디어 트래픽을 전송하므로 1234 단말(1)은 이를 수신할 수 없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단말에 STUN 클라이언트(Client)를 올리고 STUN 서버를 NAT(9)뒤에 설치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STUN(Simple Traversal of UDP through NATs)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STUN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STUN 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TUN 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STUN이 탑재된 단말(300), NAT(330) 및 STUN 서버(35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STUN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300)에 탑재된 STUN 클라이언트가 SIP 메시지를 외부의 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전에 STUN 클라이언트를 구동하여 특정 메시지를 사설망으로 전송하면, NAT(330) 밖에 있는 STUN 서버(350)가 NAT(330)을 통과한 특정 메시지를 통해 NAT(330)가 단말(300)에 할당하게 될 아이피 및 포트에 대한 정보를 알아낸다. 이후 STUN 서버(350)는 알아낸 아이피 및 포트에 대한 정보를 단말(300)에 전송하고, 단말(300)은 해당 아이피 및 포트를 이용하여 SIP 메시지를 생성해 외부의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전술한 NAT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말의 변경이 필요하며 단말에 탑재되는 별도의 장치 및/또는 프로그램(STUN 클라이언트)에 따라 단말을 무겁게 만들며, 별도의 STUN 서버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착신 단말이 타망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항상 STUN 클라이언트를 구동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SIP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NAT를 사용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SIP 기반 무선 패킷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 및 통신망에 별도의 장치 추가 없이 SIP 기반 패킷 교환망의 특정 노드를 이용하여 NAT을 이용한 타망 연동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및 그 시 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SIP 프록시 서버 및 타망과 결합된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발신 단말의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이 상기 타망에 위치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호 요청 메시지 내의 레이어(Layer)3,4 및 레이어7의 상기 발신 단말의 사설 아이피(IP) 및 포트(Port)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변경된 호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과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의 아이피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타망에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호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아이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단말의 아이피 정보는 상기 무선 패킷 교환 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은 릴레이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릴레이 서버가 상기 SIP 프록시 서버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 트래픽(Media Traffic)의 전송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과의 호를 설정(시그널링)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세션(session)을 제어하는 SIP 프록시 서버; 가입된 단말의 정보 및 상기 가입된 단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시그널링을 위해 요청한 착신 단말 정보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호를 설정한 SIP 프록시 서버로부터의 채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세션이 생성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할당하는 릴레이 서버; 및 상기 착신 단말이 타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타망과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상기 타망의 착신 단말과 호를 설정할 시에 SIP 메시지 내의 레이어(Layer)3,4 및 레이어7의 상기 발신 단말의 사설 아이피(IP) 및 포트(Port)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SIP 프록시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타망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IP 프록시 서버는, 상기 호를 설정, 변경 및 해제하고, 상기 릴레이 서버로 상기 채널 요청을 수행하는 호 처리부; 및 상기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세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가입된 단말의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가입된 단말이 로그인한 상태인지 로그아웃한 상태인지에 대한 상기 가입된 단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호 설정시 요청한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 서버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에게 상기 채널을 할당하는 미디어 세션 제어부; 상기 착신 단말이 복수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신에 따른 미디어를 분석, 복사, 분배하는 미디어 제어부;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신에 따른 과금 CDR을 생성하는 과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이 회선 교환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회선 교환망과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회선 교환망에 존재하는 착신 단말간의 시그널링 및 베어러를 변환하는 시그널링/베어러 변환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회선 교환망에 존재하는 착신 단말간의 통신 시 미디어 포맷의 실시간 변환을 수행하는 미디어 변환부; 상기 호 설정에 따른 라우팅(routing) 및 호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ISUP 기능부; 및 상기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환하는 아이피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단말(1)과, 기지국(410), 패킷 교환망(100)을 포함하는 자망(400)과 공용 아이피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공용망 또는 자망(400)과 공용망을 경유하는 위치의 타 사설망 등의 타망(440)을 포함한다.
단말(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폰, PCS,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무선 랜(LAN) 단말기, 블루투스(Bluetooth) 단말기, 휴대인터넷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이외에도 상술한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단말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자명하게 될 것이다.
자망(400)은 특정 업체 또는 개인이 운영하며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사용 할 수 있는 통신망을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1)은 자망(400)을 통해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NAT(미도시)와 같은 장치에 의해 공유 아이피 및 포트를 할당받아 패킷 교환망(100)을 통해 공용망(예를 들어 인터넷망) 또는 공용망을 경유한 타 사설망 등의 타망(440)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자망(400)은 패킷 교환망 뿐만 아니라 WCDMA망, CDMA망 등과 같은 회선 교환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망(400)은 KTF, SKT, LGT와 같은 이동통신사들이 운영하는 WCDMA망, CDMA망 등과 같은 회선 교환망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10)은 단말(1)과의 무선통신 및 자망(400) 내의 특정 장치(예를 들어,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S(상세한 설명의 후술하기로 함))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망과 단말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지국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면에는 기지국과 SPS가 곧바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교환기, PDSN 등)가 사이에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패킷 교환망(100)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제공하며 SIP 기반의 통신망 시스템으로서, SIP 프록시 서버(SPS : SIP Proxy Server)(110), 데이터베이스 서버(SDS : SIP DB Server)(130), 릴레이 서버(SRS : SIP Relay Server)(150) 및 게이트웨이 서버(SGS : SIP Gateway server)(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교환망은 단말(1)의 통신 요청에 따라 SIP 셋업(setup)을 수행하며, 단말 간의 통신에 따른 미디어 트래픽(Medio Traffic)의 송수신을 위한 세션(session)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타망(440)과의 연동을 수행하는 패킷 교환망(100)의 게이트웨이 서버(170)는 자망(400)에 위치한 단말(1)로부터 타망(440)에 위치한 착신 단말로의 호 요청에 따라 자망(400)의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단말(1)에게 공용 아이피를 할당하는 NAT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서버(170)는 SIP 메시지의 레이어3,4의 아이피 및 포트뿐만 아니라 레이어7의 아이피 및 포트도 동일한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타망(440)에 위치한 상대측 단말이 SIP 셋업에 따른 응답(Response) 및 미디어 트래픽을 발신 단말(1)에게 전송하지 못하는 일반 NAT에 사용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패킷 교환망(100)의 각 구성부의 기능 및 구성은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패킷 교환망(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자망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따르면, 회선 교환(CS, circuit switching)망인 WCDMA망(10)과 CDMA망(30)(이하, 통합하여 'CS망'이라 칭하기로 함) 및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ing)망(100)(이하, 'PS망'이라 칭하기로 함)의 세 개의 통신망이 자망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PS망(100)은 SIP 기반의 무선 패킷망으로, 본 발명에 따른 PS망(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SIP 프록시 서버(110), 데이터베이스 서버(130), 릴레이 서버(150) 및 게이트웨이 서버(170)를 포함한다.
PS망(100)의 SIP 프록시 서버(SPS)(110)(이하, 'SPS'라 칭하기로 함)는 에스아이피(SIP :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IETF RFC3261에 정의된 규격으로서 3GPP 또는 3GPP2에서 사용되는 호 제어 프로토콜) 프록시(Proxy)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로 발신 단말의 호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과의 호 처리 기능(호의 설정, 변경, 해제)을 수행한다. 또한, SPS(110)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호가 설정된 이후의 데이터 통신에 따른 세션(session)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PS(110)는 SDS(130)와 연동하여 가입자를 SDS(130)에 등록하고, 가입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PS(110)는 가입된 단말 및 시스템을 대상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미도시)가 결합되어 연동될 수 있다. SPS(110)는 착신 단말이 로그아웃 상태(미리 설정된 특정 통신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 등의 PS망(100)을 통해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착신이 가능하도록 SMSC를 통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SDS)(130)(이하, 'SDS'라 칭하기로 함)는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 가입자의 인증, 가입자 상태(로그인(Log-in) 상태 또는 로그아웃(Log-out) 상태)관리, 부가서비스 제공, 과금 CDR(Call detail Record) 수집 및 과금 CDR 파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SDS(130)는 발신 단말의 호 설정 요청에 따른 착신 단말이 PS망(100)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WCDMA망(10) 또는 CDMA망(30)의 위치 등록기(HLR 또는 VLR,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HLR로 통일, 그리고 WCDMA망(10)의 위치 등록기는 W-HLR, CDMA망(30)의 위치 등록기는 C-HLR로 지칭하기로 함)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이 WCDMA망(10) 또는 CDMA망(30)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번호 이동성 시스템(NPS : Number Portability System)과 연동하여 착신 단말이 타사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SDS(130)가 CS망으로 착신 단말 정보를 요청하는 순서는 W-HLR, C-HLR 순으로 설정되고, 각 CS망에도 착신 단말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NPS에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SDS(130)는 W-HLR과만 연동하여 WCDMA망(10)에 착신 단말이 존재하는지 만을 판단하고, WCDMA망(10)에 착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자사의 CDMA망(30) 또는 타사의 통신망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NPS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이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만일 착신 단말이 CDMA망(30)에 위치할 경우에는, PS망(100)을 이용하지 않고 CDMA망(30) 만을 통해 다시 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CDMA망(30)을 통해 음성 호를 설정하여 음성 통화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SDS(130)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해 SPS(110)로 PS망(100) 뿐만 아니라 CS망(타사의 망도 포함)에 존재하는 착신 단말에 대한 정보(현재 속해있는 망 정보 포함)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SDS(130)는 CDMA 데이터망 관점(또는 1xEV-DO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위치 및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인 IPLS(IP Location Server)(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릴레이 서버(SRS)(150)(이하, 'SRS'라 칭하기로 함)는 단말간의 데이터 통신에 따른 미디어(media) 세션을 제어하고, 영상회의 통화와 같은 1:n 통화 시 미디어의 분석, 복사, 분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RS(150)는 영상회의 통화 서비스, 영상회의 통화 기반 기술 제공, 영상회의 통화 미디어 제어, 지능망 선불 과금처리, 과금정보 전송, PTT(Push-To-Talk) 기능 수행시의 발언권 제어기능, 안내방송, 링백톤(Ring-back-tone) 기능 등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기능과 관련된 특정 데이터는 SDS에 저장된다. 여기서, SPS(110)와 SRS(150) 사이에는 단말과의 PPP(Point-to-Point Protocol)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능망 서비스 중 데이터(data) 서비스에 대한 처리를 총괄하는 서비스 로직인 DSCP(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서버(SGS)(170)(이하, 'SGS'라 칭하기로 함)는 CDMA망 및 WCDMA망과 같은 CS망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PS 단말(PS망 가용 단말)과 CS 단말(CS망만이 사용 가능한 단말)간의 시그널링(signaling)(PS망의 SIP와 CS망의 H.324M 간의 연동)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SGS(170)는 CDMA망(30)의 2세대 교환기(2G-MSC)(31)와 WCDMA망(10)의 3세대 교환기(3G-MSC)(13)와 결합되어 PS 단말과 CS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여기서, CDMA망(30) 및 WCDMA망(10)의 STP(13,33)는 No.7 시그널링(signaling)에 대한 백본(backbone)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SGS(170)는 베어러(bearer)(게이트웨이와 단말을 연결하는 통신망 또는 전송 방식) 변환, 미디어 변환, DTMF 디지트 수집/처리, 과금정보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PS망(100)은 회선 교환망인 WCDMA망(10) 및/또는 CDMA망(30)과 SGS(170)를 통해 연동하여 PS 단말과 CS 단말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GS(170)는 NAT의 기능 및 ALG(Application Layer Gateway)의 기능을 수행한다. ALG는 SIP 메시지의 레이어7의 아이피 및 포트의 변경을 수행하지 못하는 NAT의 문제점을 개선한 장치이다. 즉, SGS(170)는 자망(400)에 위치한 단말(1)로부터 타망(440)에 위치한 착신 단말로의 호 요청에 따라 자망(400)의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단말(1)에게 공용 아이피를 할당하는 NAT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SGS(170)는 SIP 메시지의 레이어7의 아이피 및 포트도 공용 아이피로 변경하여 일반 NAT와는 다른 ALG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PS망의 각 노드(SPS, SDS, SRS 및 SGS)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노드간의 상호 연동 기능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S망의 SPS, SDS, SRS 및 SGS의 각 기능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PS(110)는 호 처리부(111), 세션 제어부(113) 및 가입자 등록부(115)를 포함한다.
호 처리부(111)는 호를 요청한 발신 단말의 메시지를 통하여 해당 착신 단말을 확인하고, SDS(130)로부터 통화가 요청된 착신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착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해당 착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은 복수가 될 수도 있다. 즉, 호 처리부(111)는 1:1 통화뿐만 아니라, 1:n 통화에 대한 호를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호 처리부(111)는 설정된 호에 대해 통화 세션의 생성을 위해 미디어 자원(채널) 할당을 SRS(150)로 요청하여 미디어 자원을 할당 받는다. 따라서,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들)과 생성된 통화 세션을 이용하여 통화(음성 또는 영상)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호 처리부(111)는 통화 세션에 참여한 가입자가 특정 멤버를 통화에 추가로 초대할 경우, 해당 멤버를 세션에 추가하고 통화 세션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호 처리부(111)는 통화 세션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들에게 통화 세션에 참여한 멤버들의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IP 주소 등)를 통보할 수 있다.
또한, 호 처리부(111)는 통화 요청된 착신 단말의 상태가 로그아웃 상태인 경우에는 SMS 등의 메시지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전화 연결 알림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로 통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로그아웃 상태인 착신 단말 사용자도 자신에게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 수 있고, 착신 단말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통화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호 처리부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동안 착신 단말의 응답을 기다리고, 일정 시간 안에 응답을 수신할 시에는 호를 설정하고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호의 연결을 중지하거나 CS 망을 통해 연결한다.
세션 제어부(113)는 각 통화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가입자들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세션 제어부(113)는 특정 가입자를 이미 생성된 통화 세션에 추가로 참여시키거나 통화 세션이 유지된 상태에서 탈퇴시킬 수 있다.
가입자 등록부(115)는 로그아웃된 단말의 등록 또는 로그인된 단말의 등록 해제를 시도한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SDS와 연동하여 등록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입자 등록부(115)는 가입자 등록 시, 가입자의 인증을 통하여 서비스 인증을 수행한다. 가입자의 인증은 HTTP Digest 인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등록부(115)는 불법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1xEV-DO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및 상태를 관리하는 IPLS(IP Location Server)와 SDS(130)를 경유하여 연동한다.
도 7을 참조하면, SDS(130)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131), 가입자 인증부(132), 가입자 상태 관리부(133), 부가서비스 제공부(134) 및 과금 정보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가입자 정보 관리부(131)는 단말이 이동통신사에 최초 등록될 시,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이동통신사의 특정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입자 정보 관리부(131)는 가입자의 속성(예를 들어, 일반/지능망 구분, WCDMA/CDMA 구분 등)을 관리하며, 가입자의 요청 시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정보 관리부(131)는 로그인 된 가입자의 IP주소 정보를 관리하여, 호 설정시 SPS(110)로(또는 타 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SGS(170)로) 해당 착신 단말의 IP주소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가입자 정보 관리부(131)는 착신 단말이 WCDMA망(10) 또는 CDMA망(30)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W-HLR 또는 C-HLR과 연동하고, 착신 단말이 자사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NPS와 연동한다.
가입자 인증부(132)는 불법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IPLS와 연동하고, 가입자 등록 시 해당 가입자의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증에 실패한 가입자의 리스트를 관리하여, 인증에 실패한 가입자에 대해서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입자 상태 관리부(133)는 가입자의 단말이 로그인(특정 통신 프로그램을 실행) 상태인지 로그아웃(특정 통신 프로그램을 종료) 상태인지에 대한 가입자 상태 정보를 관리한다. 가입자 상태 관리부(133)는 단말이 특정 통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그에 따라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없이 단말로부터 단말의 상태 정보(로그인 상태)가 자동으로 전송되어 SPS(110)를 통해 수신하거나, 단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등록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로그아웃에 대한 상태 정보도 동일한 방식으로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상태 정보는 가입자의 로그인/로그아웃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가입자별 및 서비스별로 통화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134)는 영상사서함 서비스,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영상 투링(2-Ring)서비스, H.450에 기술된 부가서비스(CT(Call Transfer), CD(Call Diversion), CH(Call Hold), CP(Call Park), CW(Call Waiting), CC(Call Completion), CO(Call Offering), CI(Call Intrusion) 등)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134)는 각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베이스 및 음원 서버와 연동한다.
과금 정보 처리부(135)는 단말간 호에 대해 매 통화 종료시점마다 SRS(150)(PS 단말간의 통화 시) 또는 SGS(170)(PS 단말과 CS 단말간의 통화 시)로부터 과금 CDR을 수집하고, 저장 및 관리된다. 여기서, 수집된 과금 CDR은 디스크(disk)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금 정보 처리부(135)는 수집된 과금 CDR을 일정한 조건(CDR 건수, 파일 사이즈, 시간주기)에 따라서 파일로 만들어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과금 처리 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면, SRS(150)는 미디어 세션 제어부(151), 미디어 제어부(153), 과금 정보 생성부(155) 및 어플리케이션부(157)를 포함한다.
미디어 세션 제어부(151)는 통화 세션의 생성 과정에서 SPS(110)가 자원 할당을 요청 시, 이를 수용하고 그에 맞는 자원을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초기 통화 세션에 할당된 자원은 필요에 따라 확장,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세션 제어부(151)는 통화 세션에 참여한 멤버 중, 특정 멤버의 추가 또는 탈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미디어 세션 업그레이드(upgrade)를 수행한다.
미디어 제어부(153)는 SRS(150)에 들어온 미디어(음성, 데이터, 동화상 등의 정보로써, 일반적으로 "베어러 트래픽"(bearer traffic)이라 함)을 그 속성에 따라 구분 및 분석한다. 즉, 실시간으로 미디어를 분석, 복사,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베어러 트래픽 전송을 위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사용한다. SRS(150)에 들어온 RTP 패킷은 송화자를 제외한 통화 세션에 참여한 사용자만큼 복사되어 각 사용자의 목적지 IP로 분배된다. 미디 어 제어부(153)는 세션 참가자의 서로 다른 음성/영상 코덱(codec)간 실시간 변환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코덱을 사용하는 단말간에도 음성/영상 통화가 가능하다.
과금 정보 생성부(155)는 PS 단말 간 호에 대해 과금 CDR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금 정보 생성부(155)는 통화 종료 즉시 과금 CDR을 생성하고, 생성된 CDR은 SDS(130)로 전송된다. CDR 내용에는 과금정책(패킷, 시간, 건), 발신 및 착신 식별자(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Subscriber Identity), MDN(Mobile Directory Number : 전화번호) 등), 통화량(패킷량 및 통화시간 등), 서비스 정보, 네트웍 정보 등 과금에 필요한 정보뿐만 아니라 민원 처리용으로 필요한 정보 및 네트웍관련 분석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SRS(150)를 이용하여 통화 세션에 송수신되는 모든 패킷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57)는 링백톤, DTMF 톤 디텍션, PTT, 채팅 서비스(IM), 영상 회의 통화 서비스 등에 따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따른 PS망(100)은 SRS(150)의 어플리케이션부(157) 및 SDS(130)의 부가 서비스 제공부(134)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SRS(150)의 어플리케이션부(157) 및 SDS(130)의 부가 서비스 제공부(134)에 서비스 로직 추가 및 변경만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별도의 서버 증설 없이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SGS(170)는 시그널링/베어러 변환부(171), 미디어 변환부(173) 및 ISUP 기능부(175) 및 아이피 변환부(177)를 포함한다.
시그널링/베어러 변환부(171)는 PS 단말과 CS단말간의 시그널링 및 베어러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S망(100)에서 CS망으로의 시그널링 변환은 SIP에서 ISUP No.7으로, 베어러 변환은 RTP에서 TDM(Time Division Multiplexer)으로 변환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미디어 변환부(173)는 PS망(100)과 CS망 간의 통신 시 PS망(100)과 CS망에 적합한 미디어 포맷으로 실시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SUP(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종합정보 통신망) User Part) 기능부(175)는 전화번호 번역기능을 수행한다. 즉, ITU-T E.164/E.165 형태의 단말의 전화번호(단말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정보)를 PS망(100)에서 사용되는 IPv4(또는 IPv6) 형태의 IP주소로 변환한다. 또한, ISUP 기능부(175)는 라우팅(routing) 및 호 분배 기능을 수행한다.
아이피 변환부(177)는 NAT의 기능 및 ALG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망(400) 내의 단말로부터의 호 요청에 따른 착신 단말이 타망(440)에 위치한 경우 타망과의 연동을 통해 착신 단말로의 호를 설정함에 있어서, 타망으로 전송되는 SIP 메시지의 레이어3,4뿐만 아니라 레이어7의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아이피 변환부(177)는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자망(400)의 단말과 공용 아이피를 사용하는 타망(440)의 단말간의 호를 설정할 수 있다.
SGS(170)는 CS망과 PS망(100)의 연동을 중계하는데 필요한 이외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S망(100)에서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사용하는 자망(400)의 발신 단말로부터의 호 요청에 따른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 타망에 위치한 착신 단말과의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PS망(100)의 SPS(110)는 발신 단말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성 통화 등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발신 단말로부터 SIP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920에서 SPS(110)는 착신 단말이 자망(동일한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사용하는 망)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SPS(110)는 SDS(130)로부터 착신 단말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착신 단말 정보에 포함된 착신 단말의 아이피 주소가 자망내에서 사용되는 사설 아이피인지 공용망 또는 공용망을 경유하는 타 사설망 등의 타망(440)에서 사용되는 아이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착신 단말의 아이피가 동일한 자망(400) 내의 아이피가 아닌 경우, 단계 930에서 SPS(110)는 착신 단말의 아이피 정보를 포함하는 SIP 메시지를 SGS(170)로 전달하여, SGS(170)는 SIP 메시지 내의 레이어3,4 및 레이어7의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경한다.
단계 940에서 SGS(170)는 아이피 및 포트가 변경된 SIP 메시지를 이용하여 타망(440)의 착신 단말과의 호를 설정하고, 단계 950에서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SRS(150)는 SPS(110)의 요청에 따라 채널을 할당하여 영상 및/또는 음성 통화 등과 같은 통신을 위한 세션을 생성한다.
단계 960 내지 단계 970에서 SPS(110)는 통화가 종료됐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된 경우 호 및 세션을 해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NAT를 별도로 이용하지 않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타망과의 SIP 기반의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선 교환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SIP 기반 패킷 교환망의 게이트웨이 서버에 공용 아이피 및 포트할당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추가 없이 타망과 연동할 수 있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릴레이 서버, SIP 프록시 서버 및 타망과 결합된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발신 단말의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이 상기 타망에 위치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호 요청 메시지 내의 레이어(Layer)3,4 및 레이어7의 상기 발신 단말의 사설 아이피(IP) 및 포트(Port)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변경된 호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과 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릴레이 서버가 상기 SIP 프록시 서버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 트래픽(Media Traffic)의 전송을 위한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의 아이피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타망에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호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아이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의 아이피 정보는 상기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 방법.
  4. 삭제
  5.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과의 호를 설정(시그널링)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세션(session)을 제어하는 SIP 프록시 서버;
    가입된 단말의 정보 및 상기 가입된 단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시그널링을 위해 요청한 착신 단말 정보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호를 설정한 SIP 프록시 서버로부터의 채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세션이 생성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할당하는 릴레이 서버; 및
    상기 착신 단말이 타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타망과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상기 타망의 착신 단말과 호를 설정할 시에 SIP 메시지 내의 레이어(Layer)3,4 및 레이어7의 상기 발신 단말의 사설 아이피(IP) 및 포트(Port)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SIP 프록시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타망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SIP 프록시 서버는,
    상기 호를 설정, 변경 및 해제하고, 상기 릴레이 서버로 상기 채널 요청을 수행하는 호 처리부; 및
    상기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세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가입된 단말의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가입된 단말이 로그인한 상태인지 로그아웃한 상태인지에 대한 상기 가입된 단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가 호 설정시 요청한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상기 SIP 프록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서버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에게 상기 채널을 할당하는 미디어 세션 제어부;
    상기 착신 단말이 복수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신 에 따른 미디어를 분석, 복사, 분배하는 미디어 제어부;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신에 따른 과금 CDR을 생성하는 과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이 회선 교환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회선 교환망과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회선 교환망에 존재하는 착신 단말간의 시그널링 및 베어러를 변환하는 시그널링/베어러 변환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회선 교환망에 존재하는 착신 단말간의 통신 시 미디어 포맷의 실시간 변환을 수행하는 미디어 변환부;
    상기 호 설정에 따른 라우팅(routing) 및 호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ISUP 기능부; 및
    상기 사설 아이피 및 포트를 공용 아이피 및 포트로 변환하는 아이피 변환 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망 연동되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KR1020050101699A 2005-10-27 2005-10-27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2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99A KR100727067B1 (ko) 2005-10-27 2005-10-27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99A KR100727067B1 (ko) 2005-10-27 2005-10-27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426A KR20070045426A (ko) 2007-05-02
KR100727067B1 true KR100727067B1 (ko) 2007-06-12

Family

ID=3827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699A KR100727067B1 (ko) 2005-10-27 2005-10-27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16B1 (ko) * 2007-10-08 2009-08-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8699B1 (ko) * 2007-11-21 2009-09-22 주식회사 케이티 Ims에서의 sip 연동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망간 연동방법 및 시스템
CN115277874B (zh) * 2022-07-29 2025-01-14 明阳产业技术研究院(沈阳)有限公司 一种基于SIP协议的IPv4/IPv6协议互通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5414A1 (en) 2001-08-20 2003-02-20 Siemens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mixed mode public and private gatekeeper system
KR20030027556A (ko) * 2001-09-29 2003-04-07 주식회사 케이티 H.323 프로토콜과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폰의호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50002378A1 (en) 2003-07-02 2005-01-06 Watts Ronald F.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telephonic call connection with a virtually-resident telephonic station
KR20050050796A (ko) * 2003-11-26 2005-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p 폰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5414A1 (en) 2001-08-20 2003-02-20 Siemens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mixed mode public and private gatekeeper system
KR20030027556A (ko) * 2001-09-29 2003-04-07 주식회사 케이티 H.323 프로토콜과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폰의호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50002378A1 (en) 2003-07-02 2005-01-06 Watts Ronald F.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telephonic call connection with a virtually-resident telephonic station
KR20050050796A (ko) * 2003-11-26 2005-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p 폰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imple Traversal of UDP Through Network Address Translatros"(IETF, 2005.2.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426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042B2 (en) One-to-one communication
CN101371532B (zh) 处理因特网协议多媒体子系统终端的包括在因特网协议多媒体子系统域内请求由同时具有组合电路交换呼叫和因特网协议多媒体子系统会话能力的终端接收的实时服务的呼叫请求的方法和装置
JP5363461B2 (ja) グループ呼機能の問い合わせ
CN101420432B (zh) 一种ims监听的实现方法、系统及装置
US201503341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le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session service to internet
WO2006108168A2 (en) Interworking qsig and h.323 signaling in a sip-based network
RU2592857C2 (ru) Сервер приложений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с группо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х объектов
US20030231639A1 (en) Megaco protocol with group termination
WO2007025429A1 (fr) Procede evitant la derivation du flux media et dispositif correspondant
KR20200102474A (ko)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인식
JP2004523174A (ja) 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基本的コールファンクションとサービス提供の分離
EP1380182B1 (en) One-to-one communication in a system having different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logical entities
EP1672866A1 (en) Method and system to the instant transfer of multimedia files between mobile radio users within the scope of combinational services
US20040024902A1 (en) Megaco protocol with user termination
WO2011032426A1 (zh) 紧急呼叫跨越业务的实现方法、装置和系统
KR100727069B1 (ko)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US10313400B2 (en) Method of selecting a network resource
KR100895283B1 (ko) 이동 VoIP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호 연결 방법
KR100727067B1 (ko)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57617B1 (ko)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KR100706339B1 (ko)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EP1619838A1 (en) Push to watch dedicated network element and software architecture
KR100680290B1 (ko)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착신 라우팅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0075688A1 (zh) Ims集群会议的创建和加入方法、装置及系统
KR101064758B1 (ko)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음성 패킷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