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7040B1 -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040B1
KR100727040B1 KR1020050084289A KR20050084289A KR100727040B1 KR 100727040 B1 KR100727040 B1 KR 100727040B1 KR 1020050084289 A KR1020050084289 A KR 1020050084289A KR 20050084289 A KR20050084289 A KR 20050084289A KR 100727040 B1 KR100727040 B1 KR 10072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ube
lamp
glass
seal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466A (ko
Inventor
이종찬
강상진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0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01J61/361Seals between parts of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5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6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이 폐쇄되고 일측에는 각각 공기공급관이 연결된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 각각의 양단부 측벽부위를 용융수단으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관과 상기 제2 유리관 각각에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부풀어 나오는 상기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의 가열된 측벽부위를 대향하는 자세로 위치시켜 서로 접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축공기를 계속 공급하여 상기 가열된 측벽부위가 파열되어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의 양단부 일측이 연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리관을 밴딩, 몰딩, 실링하는 복잡한 공정 없이 간단한 브리징을 통해 두 유리관을 연통시켜 램프 밀봉체를 제작하며, 무겁고 두꺼운 석영유리를 사용하지 않고 연질의 소다라임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전극 형광 램프, 듀얼 브리지, 램프 밀봉체

Description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Lamp envelope manufacturing method for Dual Bridg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도 1은 종래의 무전극 형광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작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형광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도 4의 형광램프에 코어와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전극 형광 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쌍의 유리관의 양단이 각각 브리지된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 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램프에는 열음극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이하 HCFL이라 함)과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이라 함), 그리고 무전극 형광램프(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등이 있다.
HCFL과 CCFL은 유리관 내부의 방전 공간 양단부에 전극을 설치하고 전극에 고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에 의한 형광 발광으로 빛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내부 전극형 형광램프는 램프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한편 무전극 형광램프는 유리관을 봉합한 후 유리관의 외부에 외부전극을 설치하고 외부전극에 의해 유리관 내 전기장을 형성하고 기체 방전에 의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HCFL이나 CCFL보다 램프의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무전극 형광램프는 콘덴서에 고주파 전계를 가하여 무전극 방전을 시키는 전계 결합형과, 램프에 감겨진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무전극 방전을 시키는 자계 결합형(유도결합형 이라고도 함) 방전램프가 있다. 무전극 형광램프는 전형적인 희가스인 알곤, 크립톤 등과 수은이 혼합된 혼합기체를 방전시켜 수은에서 방사되어지는 자외선을 유리관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를 통하여 가시광선을 방광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유도결합형 무전극 형광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결합형 무전극 형광램프는, E26규격의 꼭지쇠(11)와, 고주파 점등용 발진기가 내장된 발진부(12), 내측에 형광체(16)가 도포되고 발진부(12)와 연결되는 구 형상의 발광관(15), 발광관(15)의 중심부에는 발진부(12)와 연결되는 페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코어(19)가 일정 길이로 고정되며, 코어(19)의 외측에는 고주파 자계를 발생하는 코일(18)이 감겨진다. 코일(18)의 외측에는 내관(17)이 있어 발광관(15)과 코어가 분리된다. 발광관(15) 내부에는 수은 증기압을 적정한 범위로 제어하는 주아말감(13)과 보조아말감(14)이 설치된다. 발진부는 발광관 내에서 약 2A 또는 그 이상의 방전 전류를 가지는 방전을 형성하도록 충분한 무선 주파수 에너지를 수은 증기와 완충 가스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무전극 형광 램프는 발광관 즉, 램프 밀봉체가 필요하다. 램프 밀봉체는 중공형 폐루프를 형성하지만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타원형 램프 밀봉체(US 3,987,334) 다양한 형태의 무전극 램프 밀봉체 JP7-94152가 게시된다.
도2는 대한민국 특허 10-0459777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퍼레이티드의 관형폐루프램프 밀봉체 및 그 제조방법에 게시된 관형 폐루프 램프 밀봉체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램프 밀봉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 과정은 직선형 유리관(10)의 단부에 돔을 형성하고, 돔을 가열하여 몰드를 이용해 폐쇄된 단부(24)를 가지는 림(22)을 구비한 블리스터(20)를 형성한 후, 폐쇄된 단부를 제거하여 림(22)에 의해 한정된 홀(2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돔 상에 홀(26)의 림(22)이 형성된 2개의 유리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합된다. 몰딩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두께와 직경을 가지는 림(22)을 서로 용융하여 시일링 결합부(40)를 형성한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면 림의 평면이 유리관 축에 평행한 방향이 될 수 있도록 돔에 인접한 유리관을 벤딩해야 하며 2개의 유리관 양쪽 단부 상에서 각각 수행되 어야 한다. 2개의 유리관은 폐루프 밀봉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램프 밀봉체는 유리관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된 폐루프 밀봉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리관(10)의 림(22)은 결합부에서 타 유리관(30)의 림(36)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밀봉체는 폐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브리지(126)에 의해 각각의 단부 또는 근처에 결합되는 유리관을 포함한다.브리지는 유리관 상의 절반 브리지들을 통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유리관의 직선부분들은 서로 평행하고 떨어져 배치된다. 관은 5.0cm의 외부직경을 가지고 브리지는 3.4cm의 외부직경을 가진다
즉, 폐루프 램프 밀봉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리관 절단, 돔을 유리관 제1단부내에 형성, 돔 단부를 관축에 대해 40도 각도로 벤딩, 돔에 제1단부는 블리스터를 형성하도록 블로우 몰딩법을 사용하여 몰딩, 블리스터는 림에 의해 한정된 홀을 형성하도록 개방, 돔을 유리관의 제 2단부에 형성, 유리관의 제2단부를 관축에 대해 45도 각도로 벤딩, 제2단부를 블로우 몰딩하여 블리스터를 형성, 블리스터는 림에 의해 한정된 홀을 형성하도록 개방, 유리관의 내부표면을 인광물질로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2유리관도 같은 단계를 수행한다. 각각의 관은 각각의 단부에 절반 브리지를 가지고, 하나 이상의 배기관은 형성된 유리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2개의 유리관은 결합장치 상에서 정합 림에서 서로 용융되어 폐루프 밀봉체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은 유리관을 밴딩, 몰딩, 실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 므로 연질의 소다라임 유리로는 제조가 불가능하여 두께가 두껍고 무거운 석영 유리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석영 유리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 공정을 거쳐 램프 밀봉체를 제작하면 제작된 무전극 형광램프의 무게가 무겁고,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이 폐쇄된 유리관 양 단부 일측을 각각 융착 연통시켜 램프 밀봉체를 제조함으로써 연질 유리를 사용한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램프 밀봉체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이 폐쇄된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 및 상기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의 양 단부 일측이 각각 서로 융착, 연통하여 형성된 제1 및 제2 방전통로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은증기와 희가스가 봉입되어 있으며 내벽에 형광체 막이 도포되며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램프 밀봉체; 상기 제1 및 제2 유리관의 일단부와 제1 방전통로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알에프 발진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회된 제1 코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리관의 타단부와 제2 방 전통로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알에프 발진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회된 제2 코어;로 구성된 무전극 형광램프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유리관 및 제2 유리관은 소다라임 유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밀봉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은증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아말감 및/또는 보조아말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은, 양단이 폐쇄되고 일측에는 각각 공기공급관이 연결된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 각각의 양단부 측벽부위를 용융수단으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관과 상기 제2 유리관 각각에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부풀어 나오는 상기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의 가열된 측벽부위를 대향하는 자세로 위치시켜 서로 접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축공기를 계속 공급하여 상기 가열된 측벽부위가 파열되어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의 양단부 일측이 연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 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램프 밀봉체의 일 실시예로 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밀봉체(100)는 양단이 폐쇄된 제 1 유리관(110), 제 2 유리관(120), 및 상기 제1 유리관(110)과 제2 유리관(120)의 양 단부의 일측이 각각 서로 융착, 연통하여 형성된 제1 방전통로(130), 제2 방전통로(140)를 포함한다.
제1 유리관(110) 및 제2 유리관(120)은 밴딩, 몰딩, 씰링 등의 공정이 필요없으므로 소다라임과 같은 연질 유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리관(110)과 제2 유리관(120)은 양 끝이 폐쇄된 유리관으로 구성하고, 제조 단계에서는 공기공급관(도면 중 미도시)이 일측에 형성되며, 양 단부 각각을 용융수단으로 가열, 융착, 연통시켜 제1 방전통로(130)와 제2 방전통로(140)를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램프 밀봉체의 제조 방법의 동작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S10 단계에서 소다라임 유리와 같은 연질 유리로 구성되고 양단이 폐쇄되고 일측에 공기공급관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제1 유리관(110)과 제2 유리관(120)을 준비하고, 양단부 측벽부위를 각각을 용융수단으로 가열한다. 용융수단은 일반적으로 유리를 가열하는 토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 단계에서 용융수단으로 램프 밀봉체(100)의 유리관을 가열하여 가열 부위의 열팽창이 진행할때 램프 밀봉체(100)의 공기공급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압축공기는 컴프레셔와 같은 압축공기 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유리관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용융수단에 의해 가열되면서 용융을 시작하던 양 단부의 용융부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유리관 외측으로 부풀게 된다.
S30 단계에서 부풀어나는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 양 단부의 용융부가 대향하도록 위치시켜 용융부가 부풀면서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접근시킨다. 압축공기가 계속하여 공급되면 용융부의 팽창이 한계점에 도달하는 시점부터 각 용융부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S40 단계에서 계속해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용융부는 부풀어지면서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되는데 두께가 줄어들면서 파단 강도가 약하게 되므로 용융부는 일정한 시점에 도달하면 파열되면서 서로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즉 용융부가 서로 파열되면서 방전통로(13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램프 밀봉체(100)가 형광램프에 사용되기 위해서 유리관의 내부표면은 인광물질로 코팅된다.
산화 알미늄 장벽 코팅을 사용하여 유리관의 내부를 코팅할 수 있다. 장벽 코팅의 오븐 건조 후 유리관은 코팅, 건조되며 베이킹된다.
램프 밀봉체(100)의 배기 과정은 유리와 인광물질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오븐에서 가열되는 동안 램프 밀봉체(100)는 불활성 가스를 사용한 플러싱과 배기의 반복된 주기를 겪게 된다. 크립톤이 될 수 있는 최종 충진 가스는 바람직하게 0.2torr의 압력에서 유입된다. 소량의 수은과 아말감이 유입되고 공기공급관은 끝을 절단하여 마감처리(tip off)된다.
도 7은 이와 같이 제조되는 램프 밀봉체(100)가 발광하도록 전기에너지를 공 급하는 코일(220)이 권회된 코어(210)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유리관(110,120)의 일단을 나타낸 도면으로 타단 역시 같은 방식으로 코일(220)이 권회된 코어(210)가 결합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전통로(130)가 형성된 제1 유리관(110)과 제2유리관(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코일(220)이 권회된 코어(210)를 설치한다. 제1,2 유리관(110,120) 양단으로부터 코일(220)이 권회된 코어(210)에 의한 자기장이 공급된다.
제1 및 제2 유리관(110,120)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이 권회딘 코어(210)는 양 유리관 표면에 밀착되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아령 모양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이 권회된 코어(210)에 의한 자기장은 약 40cm 정도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램프 밀봉체(100)는 그 길이가 80c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300)에 의해 설치 장소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310은 브라켓(3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리관의 밴딩, 몰딩, 실링 공정이 필요없는 간단한 공정으로 소다라임과 같은 연질 유리로 용이하게 형광램프의 램프밀봉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저렴하고 적은 용량의 무전극 형광램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은 유리관을 밴딩, 몰딩, 실링하는 복잡한 공정 없이, 두 유리관의 양단부 측벽부위를 용융시키고 유리관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간단한 브리징을 통해 유리관을 연통시켜 램프 밀봉체를 제작함으로써, 무겁고 두꺼운 석영유리를 사용하지 않고 연질의 소다라임 유리를 사용하여 공정을 간소화하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원하는 용량의 무전극 형광램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 있어서,
    양단이 폐쇄되고 일측에는 각각 공기공급관이 연결된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 각각의 양단부 측벽부위를 용융수단으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1 유리관과 상기 제2 유리관 각각에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부풀어 나오는 상기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의 가열된 측벽부위를 대향하는 자세로 위치시켜 서로 접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축공기를 계속 공급하여 상기 가열된 측벽부위가 파열되어 제1 유리관과 제2 유리관의 양단부 일측이 연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방법.
KR1020050084289A 2005-09-09 2005-09-09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 KR10072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89A KR100727040B1 (ko) 2005-09-09 2005-09-09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89A KR100727040B1 (ko) 2005-09-09 2005-09-09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466A KR20070029466A (ko) 2007-03-14
KR100727040B1 true KR100727040B1 (ko) 2007-06-12

Family

ID=3810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289A KR100727040B1 (ko) 2005-09-09 2005-09-09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0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960B1 (ko) 1995-09-15 2003-03-03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고휘도의무전극저압력광원및이를작동하는방법
KR100459777B1 (ko) 1996-05-22 2005-02-28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관형폐루프램프밀봉체및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960B1 (ko) 1995-09-15 2003-03-03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고휘도의무전극저압력광원및이를작동하는방법
KR100459777B1 (ko) 1996-05-22 2005-02-28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관형폐루프램프밀봉체및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466A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4488B2 (en) Easily-assembled compact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JP2013508910A (ja) 光源
EP1900003A2 (en) Ceramic lamp having molybdenum-rhenium end cap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with
US5932961A (en) Closed-loop tubular lamp envelop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804234B2 (en) Self-ballasted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0727040B1 (ko) 듀얼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의 램프 밀봉체 제조 방법
KR100684505B1 (ko) 싱글 브리지 무전극 형광램프 및 그 제조 방법
CN102315080A (zh) 辅助汞齐的定位
US6876151B2 (en) Discharge lamp and lamp unit
JP2004087397A (ja) 発光管の製造方法、発光管及び電球形蛍光ランプ
US5309058A (en) Seal construction arrangement for an electrodeless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JP4605095B2 (ja) 無電極放電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照明器具
KR100776042B1 (ko) 무전극 형광램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02298729A (ja) 環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20100102724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eramic body electrodeless lamps
US8247972B2 (en) Ceramic discharge lamp with integral burner and reflector
JPH10321135A (ja) 高圧放電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728216A (zh) 荧光灯、照明设备、以及荧光灯的制造方法
JP3402465B2 (ja) 放電管の製造法
JP2006059819A (ja) 電極放電ランプのための蛍光体被膜構造
JP3950821B2 (ja) 片口放電灯の製造方法
KR20120118510A (ko) 전기 램프
JP2009199771A (ja) 放電灯の製造装置及び放電灯の製造方法
JP2012523066A (ja) 外管付き電気ランプ
JPS6298532A (ja) 低圧金属蒸気放電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08042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