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5928B1 -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928B1
KR100725928B1 KR1020040103777A KR20040103777A KR100725928B1 KR 100725928 B1 KR100725928 B1 KR 100725928B1 KR 1020040103777 A KR1020040103777 A KR 1020040103777A KR 20040103777 A KR20040103777 A KR 20040103777A KR 100725928 B1 KR100725928 B1 KR 100725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decoding
ensemble
information
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060A (ko
Inventor
정원식
김규헌
임영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넷앤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넷앤티비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928B1/ko
Priority to CNA2005800479509A priority patent/CN101116333A/zh
Priority to PCT/KR2005/004195 priority patent/WO2006062360A1/en
Priority to EP05820696A priority patent/EP1820339A4/en
Publication of KR2006006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3Wired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scene graphs, e.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의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놓음으로써,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튜닝 수단; 상기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앙상블을 획득하기 위한 채널디코딩 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채널의 방송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복호정보로서, 서브채널 식별정보(ID),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의 PID(Packet Identifier),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 스트림/미디어 스트림의 PID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된 서브채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로부터 전송스트림을 획득한 후, 상기 저장된 PMT의 PID,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 스트림/미디어 스트림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초기객체기술자(IOD) 및 기본스트림(ES)을 추출하기 위한 앙상블 및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싱 수단; 상기 기본스트림과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콘텐츠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면구성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DMB 수신 장치 등에 이용됨.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DMB, 채널 정보, 복호 정보, PID, PMT

Description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DMB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speed decoding of broadcasting contents}
도 1 은 종래의 지상파 DMB 수신 단말 장치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지상파 DMB에서 앙상블의 전송을 위한 전송 프레임의 구성도,
도 3 은 종래의 지상파 DMB 수신 단말 장치에서의 DMB 방송 수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튜너 402: 채널 디코더
403: 앙상블 디멀티플렉서 404: 저장부
405: MPEG-2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서 406: IOD 디코더
407: ES 디코더 408: 장면 구성부
본 발명은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의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놓음으로써,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지상파 DMB 수신 단말 장치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지상파 DMB에서 앙상블의 전송을 위한 전송 프레임의 구성도이며, 도 3 은 종래의 지상파 DMB 수신 단말 장치에서의 DMB 방송 수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도 2의 종래의 방송 수신 단말 장치에서의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지상파 DMB 수신 단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101), 채널 디코더(102), 앙상블 디멀티플렉서(103), MPEG-2 TS 디멀티플렉서(104), 초기객체기술자(IOD: Initial Object Descriptor) 디코더(105), 기본스트림 (ES: Elementary stream) 디코더들(106), 및 장면 구성부(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ES 디코더들(106)은 복수개의 ES 디코더로 구성되며, 각각의 ES 디코더들은 MPEG-4 시스템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객체 기술자(OD: Object descriptor) 스트림, 이진형태화면정보(BIFS: BInary Format for Scene)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및 전술한 ES들 이외의 정지영상 스트림 등의 ES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구성된 일반적인 지상파 DMB 수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를 통하여 RF 방송신호를 입력받으면(301), 튜너(101)는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 주파수에 따라 튜닝을 함으로써 입력된 RF 방송신호로부터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수(IF)의 방송신호로 출력하고(302), 채널 디코더(102)는 튜닝의 결과로 나오는 채널 부호화된 IF 신호를 채널 복호화한 뒤, 그 결과인 앙상블을 앙상블 디멀티플렉서(103)로 넘겨준다(303).
여기서, 앙상블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로 구성되고, 서비스는 다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구성되며, 이들 서비스 및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 역시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다.
앙상블을 전송 규격 측면에서 살펴보면, 앙상블의 전송을 위한 전송 프레임(transmission frame)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201), 고속 정보 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202), 메인 서비스 채널(MSC: Main Service Channel)(20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201)은 전송 신호의 동기화를 위한 것이고, 고속 정보 채널(FIC)(202)은 다중화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각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기타 FIC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메인 서비스 채널(MSC)(203)은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실제 서비스를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및 기타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고, 메인 서비스 채널(MSC)은 다수개의 서브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앙상블 디멀티플렉서(103)에서의 디멀티플렉싱 과정(304, 305 내지 307)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앙상블 디멀티플렉서(103)에서는 앙상블을 역다중화하여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들 중에서 시청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때, 시청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시청자가 선택한 서비스의 식별정보(ID), 서비스에 포함된 콤포넌트의 개수, 각 콤포넌트가 저장되어 있는 서브채널의 식별정보(ID) 등이 필요하며, 앙상블 디멀티플렉서(103)는 이러한 정보들을 고속 정보 채널(FIC)의 해석을 통하여 얻어낸다. 지상파 DMB 방송에서 앙상블을 디먹싱하면, 그 결과로 MPEG-2 TS 스트림이 얻어진다.
MPEG-2 TS 디멀티플렉서(104)는 MPEG-2 TS 스트림을 분석하여 TS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ES(Elementary Stream) 및 IOD(Initial Object Descriptor)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MPEG-2 TS에 포함되어 있는 ES에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면 구성 정보를 담고 있는 BIFS(BInary Format for Scene) 스트림,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어 스트림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OD(Object Descriptor) 스트림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지영상 스트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OD 디코더(105)에서는 IOD를 분석하여 단말을 초기화하고, ES 디코더들(106)은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개의 ES들을 디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디코딩된 정보들은 장면 구성부(107)에서 종합되어 화면 및 음향이 출력된다.
MPEG-2 TS 디멀티플렉서(104)에서 화면 및 음향 출력까지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PEG-2 TS에서 PID(Packet Identifier)가 '0'인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를 찾는다(309). PAT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Program Map Table)의 PID를 찾고(310), 그 찾은 PID를 이용하여 해당 PID를 가지는 TS 패킷으로부터 PMT를 얻어낸다(311). PMT에는 IOD가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TS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어 스트림들의 스트림 타입 및 해당 미디어 스트림의 PID가 저장되어 있다.
PMT에서 IOD를 찾고, IOD에 포함되어 있는 BIFS 스트림과 OD 스트림의 기본스트림 기술자(ES_Descriptor)로부터 BIFS 스트림의 ES_ID 및 OD 스트림의 ES_ID를 구한다.
그리고 나서, BIFS 스트림의 ES_ID와 PMT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BIFS 스트림의 PID를 구한 뒤(312), 이 PID를 이용하여 TS 스트림으로부터 BIFS 스트림을 찾아내어(313) 디코딩하여(314) 장면을 구성한다(315).
또한, OD 스트림의 ES_ID와 PMT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OD 스트림의 PID를 구한 뒤(312), 이 PID를 이용하여 OD 스트림을 찾아내어(313) 디코딩한다(314). 디코딩된 OD 스트림으로부터 TS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어 스트림들의 기본스트림 기술자(ES Descriptor)들을 찾아내어, 이들 정보와 PMT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미디어 스트림의 PID들을 찾아낸다.
미디어 스트림들의 PID들을 이용하여 TS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스트림을 찾아내어(313) 디코딩한 뒤(314), 장면 구성을 완성하여(15) 화면 및 음향을 출력한다(316).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MB 수신 단말 장치에서, 시청자(사용자)가 수신 단말 장치를 최초로 켰을 때나 채널을 변경했을 때, 지상파 DMB 콘텐츠를 수신하여 화면과 음향을 정상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걸리는 지연 시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의 주파수로 튜닝한 뒤, FIC 정보를 찾아야 한다. 이때, FIC 정보의 전송 주기는 응용 서비스에 따라 달라지며, 각 응용 서비스에 따른 FIC 전송 주기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필요하다.
MPEG-2 TS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PAT를 복호화하여야 하며, PAT는 500mS 이하의 전송주기를 가지므로, PAT를 복호화하는데 최대 500mS까지의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PAT의 복호화 후에는, 이를 통하여 얻은 PMT의 PID를 이용하여 PMT를 복호화 하여야 하며, PMT는 500mS 이하의 전송 주기를 가지므로, PMT를 복호화하는데 최대 500mS까지의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PMT 복호화 후에는 OD 스트림 및 BIFS 스트림을 복호화하여야 하며, OD 스트림 및 BIFS 스트림은 각각 500mS 이하의 전송 주기를 가지므로, OD 스트림 및 BIFS 스트림을 복호화하는데 각각 500mS 까지의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요컨대, 시청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채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수신 단말 장치에서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정보를 순차적으로 복호화하여야 하므로, 각 정보의 복호화에 필요한 시간에 의한 많은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의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놓음으로써,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튜닝 수단; 상기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앙상블을 획득하기 위한 채널디코딩 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채널의 방송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복호정보로서, 서브채널 식별정보(ID),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의 PID(Packet Identifier),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 스트림/미디어 스트림의 PID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된 서브채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로부터 전송스트림을 획득한 후, 상기 저장된 PMT의 PID,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 스트림/미디어 스트림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초기객체기술자(IOD) 및 기본스트림(ES)을 추출하기 위한 앙상블 및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싱 수단; 상기 기본스트림과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콘텐츠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면구성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채널의 방송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앙상블을 획득하는 튜닝 및 채널디코딩 단계; 저장 수단에 저장된 서브채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로부터 서브채널을 분리하고, 상기 서브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을 디멀티플렉싱하여 전송 스트림을 획득하는 앙상블 디멀티플렉싱 단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PMT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PMT를 추출한 후 상기 PMT에 포함된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객체기술자(OD)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에 대한 각각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을 추출하는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싱 단계; 상기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과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콘텐츠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디코딩 및 장면구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방송을 수신하는데 있어서,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했을 때나 단말기를 처음 켰을 때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의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놓음으로써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있는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켜 지연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있는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미리 단말에 저장해 놓음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있는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대화형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지상파 DMB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청자가 단말장치를 켰을때나, 시청하고 있는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초기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호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에 필요한 초기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상파 DMB 단말 장치는 수신되는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0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장부(404)는 영구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로 또는 비영구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부(404)가 비영구 메모리인 경우에는 방송망, 유무선 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 정보들을 받아들여 저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오프 라인(off-line)에서 정보를 저장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지상파 DMB 단말 장치의 앙상블 디멀티플렉서(403) 및 MPEG-2 TS 디멀티플렉서(405)는 기존의 단말에서 갖추고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저장부(404)에 저장되어 있는 복호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지연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너(Tuner)(401)는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방송신호(RF 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수(IF)신호로 출력한다.
채널 디코더(Channel Decoder)(402)는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IF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앙상블(Ensemble)을 획득한다.
저장부(404)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채널의 방송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복호정보, 예를 들면, 서브채널 식별정보(ID), PMT의 PID(Packet Identifier), 객체기술자(OD)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의 PID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복호정보는 사용자로부터 복호정보를 직접적으로 저장받거나, 또는 복호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다운로드받아 저장/갱신하게 된다.
앙상블 디멀티플렉서(Ensemble Demux)(403)는 저장부(404)에 저장된 서브채 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앙상블로부터 서브채널을 분리하고, 그 서브 채널을 이용하여 앙상블을 디멀티플렉싱함으로써 전송 스트림을 획득한다.
한편,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서(MPEG-2 TS DEMUX)(405)는 저장부(404)에 저장된 PMT의 PID를 이용하여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PMT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PMT에 포함되어 있는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며, 저장부(404)에 저장된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에 대한 각각의 PID를 이용하여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OD 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를 분리한다.
ES 디코더(407)는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서(405)에서 추출된 OD 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을 디코딩하고, IOD 디코더(406)는 초기객체기술자(IOD)를 디코딩한다.
장면 구성부(Compositor)(408)는 디코더(406, 407)에서 디코딩된 OD 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 및 초기객체기술자(IOD) 등의 디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콘텐츠 장면을 구성하여 화면 및 음향을 출력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되는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미리 방송 수신 단말 장치에 저장해 놓은 뒤, 이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법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상블 디멀티플렉싱에 필요한 서브채널 ID, MPEG-2 TS 디 멀티플렉싱에 필요한 PMT의 PID, OD 스트림의 PID, BIFS 스트림의 PID, 및 미디어 스트림들의 PID들을 방송 수신 단말 장치의 저장부(404)에 미리 저장해 놓은 뒤, 앙상블 디멀티플렉싱 및 TS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할 때 이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저장부(404)에 저장되어 있는 복호 정보들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 및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정보 모두가 저장부에 저장된 후, 복호화에 사용될 필요는 없다.
이하, 도 5의 흐름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수신 단말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는 튜닝 과정을 수행한 후(501, 502), 그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앙상블을 획득한다(503).
다음은 앙상블 디멀티플렉싱(디먹싱) 과정(504)이 수행되는데, 여기서는 저장부(404)에 저장된 서브채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앙상블로부터 서브채널을 분리하고(505), 그 서브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을 디멀티플렉싱하여 전송 스트림을 획득한다.
이후, MPEG-2 TS 디멀티플렉싱(디먹싱) 과정(506)이 수행되는데, 여기서는 저장부(404)에 저장된 PMT의 PID를 이용하여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PMT를 추출하고 (507) 그 추출된 PMT에 포함되어 있는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며, 또한 저장부(404)에 저장된 객체기술자(OD)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스트림/미디어스트 림에 대한 각각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을 추출한다(508).
그 다음으로, 추출된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과 초기객체기술자 (IOD)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과정이 수행된 후(509), 디코딩된 OD스트림/ 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 등을 이용하여 방송콘텐츠 장면을 구성함으로써(510), 화면 및 음향을 출력한다(511).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시청자가 최초 단말기를 켰을 때나 시청 중에 채널을 변경한 경우에,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어 온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지상파 DMB 방송에 대한 EPG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튜닝 수단;
    상기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앙상블을 획득하기 위한 채널디코딩 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채널의 방송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복호정보로서, 서브채널 식별정보(ID),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의 PID(Packet Identifier),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 스트림/미디어 스트림의 PID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된 서브채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로부터 전송스트림을 획득한 후, 상기 저장된 PMT의 PID,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 스트림/미디어 스트림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초기객체기술자(IOD) 및 기본스트림(ES)을 추출하기 위한 앙상블 및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싱 수단;
    상기 기본스트림과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콘텐츠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면구성 수단
    을 포함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DMB 수신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복호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다운로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DMB 수신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복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저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DMB 수신 단말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앙상블 및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싱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서브채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로부터 서브채널을 분리하고, 상기 서브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을 디멀티플렉싱하여 전송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한 앙상블 디멀티플렉싱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PMT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PMT를 추출하고 상기 PMT 내에 포함된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며,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에 대한 각각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OD 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을 분리하기 위한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싱 수단
    을 포함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DMB 수신 단말 장치.
  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채널의 방송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앙상블을 획득하는 튜닝 및 채널디코딩 단계;
    저장 수단에 저장된 서브채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로부터 서브채널을 분리하고, 상기 서브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앙상블을 디멀티플렉싱하여 전송 스트림을 획득하는 앙상블 디멀티플렉싱 단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PMT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PMT를 추출한 후 상기 PMT에 포함된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객체기술자(OD)스트림/이진형태화면정보(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에 대한 각각의 PID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을 추출하는 전송스트림 디멀티플렉싱 단계;
    상기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과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콘텐츠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디코딩 및 장면구성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DMB 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채널의 방송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서브채널 식별정보(ID),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의 PID, OD스트림/BIFS스트림/미디어스트림의 PID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DMB 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복호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저장받거나,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다운로드 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DMB 수신 방법.
KR1020040103777A 2004-12-09 2004-12-09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5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77A KR100725928B1 (ko) 2004-12-09 2004-12-09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NA2005800479509A CN101116333A (zh) 2004-12-09 2005-12-08 高速解码数字多媒体广播内容的终端及其方法
PCT/KR2005/004195 WO2006062360A1 (en) 2004-12-09 2005-12-08 Terminal for decoding dmb contents at high speed and method thereof
EP05820696A EP1820339A4 (en) 2004-12-09 2005-12-08 END DEVICE FOR DECODING DMB CONTENT HIGH SPEED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77A KR100725928B1 (ko) 2004-12-09 2004-12-09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060A KR20060065060A (ko) 2006-06-14
KR100725928B1 true KR100725928B1 (ko) 2007-06-11

Family

ID=3657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777A KR100725928B1 (ko) 2004-12-09 2004-12-09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20339A4 (ko)
KR (1) KR100725928B1 (ko)
CN (1) CN101116333A (ko)
WO (1) WO2006062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707B1 (ko) * 2006-09-28 2008-05-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아이에프에스 컨텐츠 처리 장치 및방법
KR100790191B1 (ko) * 2007-01-1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LASeR 컨텐츠를 이용한 방송 화면 제공 방법, 이를위한 DVB―H 시스템 및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875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대화형 방송 단말 시스템
KR20020084929A (ko) * 2001-05-03 200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263A (en) * 1994-05-26 1995-12-1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on demand with fast forward, reverse and channel pause
JP3147682B2 (ja) * 1994-11-11 2001-03-19 株式会社東芝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DE69631393T2 (de) * 1995-03-29 2004-10-21 Hitachi Ltd Dekoder für komprimierte und multiplexierte Bild- und Audiodaten
US5844478A (en) * 1996-05-31 1998-12-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formation for digital data processing
JP4010617B2 (ja) * 1997-12-03 2007-11-21 株式会社東芝 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方法
US6704359B1 (en) * 1999-04-15 2004-03-09 Diva Systems Corp. Efficient encoding algorithms for delivery of server-centric interactive program guide
US6621870B1 (en) * 1999-04-15 2003-09-16 Div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video sequences
US6754271B1 (en) * 1999-04-15 2004-06-22 Diva Systems Corporation Temporal slice persistence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interactive program guide
US20010027468A1 (en) * 2000-03-09 2001-10-04 Sanyo Electric Co., Ltd. Transmission system, reception system,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 scene with high quality
JP2001258023A (ja) * 2000-03-09 2001-09-21 Sanyo Electric Co Ltd マルチメディア受信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
JP4268803B2 (ja) * 2001-02-28 2009-05-27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ビデオ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情報を検索する装置
KR100531378B1 (ko) * 2003-07-25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tv 서비스에서의 정보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875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대화형 방송 단말 시스템
KR20020084929A (ko) * 2001-05-03 200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6333A (zh) 2008-01-30
EP1820339A4 (en) 2011-06-15
KR20060065060A (ko) 2006-06-14
EP1820339A1 (en) 2007-08-22
WO2006062360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1431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100552678B1 (ko) 데이터 패킷의 접근 지연 시간 단축을 위한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10089445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31378B1 (ko) 이동 tv 서비스에서의 정보전송방법
KR20120083747A (ko)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080279272A1 (en) 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US200500282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on digital TV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6011352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EP2228985A1 (en) Combined television data stream, method for displaying television channel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bined television data stream
JP2002077837A (ja) データ放送番組送出方法およびデータ放送受信装置
KR100725928B1 (ko)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10100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changing
KR1004028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20160106069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JP7001639B2 (ja) システム
KR101325802B1 (ko) 디지털 방송 송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그를 이용한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362515B1 (ko) 디지털방송의부가정보다중디스플레이장치
KR100755839B1 (ko) 음성 다중을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3070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9151B1 (ko) 디지털위성방송수신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0710393B1 (ko) 압축 스트림의 복호방법
You et al. Integrated mobil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compliant with the T-DMB, CMMB, and ISDB-T standards
KR10062695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채널 튜닝 방법
JP2018207210A (ja) 放送信号の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