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1에 있어서,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는, 스퍼터링에 의해 상면(3)이 코팅된 유리판(2)을 가공하는 유리판 가공부(4)와, 가공될 유리판(2)을그 하면(5)에 유리판(2)의 상면(3) 및 하면(5)과 평행한 X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유리판 가공부(4)에 반입하고, 가공후 유리판 가공부(4)로부터 반출하는 반송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유리판 가공부(4)는, 유리판(2)에 절단선(7)을 형성하는 절단 가공부(8)와, 절단선(7)이 형성된 유리판(2)을 그 절단선(7)을 따라 쪼개는 분할 가공부(9)와, 쪼개어진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연삭 가공부(1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리판 가공부(4)는 분할 가공부(9)로부터 반출된 유리판(2)을 일단 지지하는 지지수단(2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리판 가공부(4)의 지지수단(26)을 마련하지 않고, 반송수단(6)에 의해 분할 가공부(9)로부터 반출된 유리판(2)을 직접 연삭 가공부(11)로 반입하도록 유리판 가공장치(l)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절단 가공부(8)는, 유리판(2)에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을 형성하는 절단수단(14)과, 유리판(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7)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수 단(27)은 X방향과 직교하고 유리판(2)의 상면(3) 및 하면(5)과 평행한 Y방향에서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15, 15a)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수단(14)은, 절단 헤드(16)와, 절단 헤드(16)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동장치(17)와, 절단 헤드(16)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이동장치(18)와, 절단 헤드(16)를 X방향 및 Y방향과 직교하는 Z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9)을 구비하고 있다.
절단 헤드(16)는, 커터 휠(20)과, 커터 휠(20)을 상승, 하강시키도록 커터 휠(20)이 장착된 피스톤 로드(21) 및 실린더(22)로 이루어지는 공압실린더 장치(23)와, 실린더(22)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커터 휠(2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위치 미세조정기구(24)와, 후술하는 샤프트(66)의 하단에 장착된 그립퍼(25)를 구비하고 있다.
공압실린더장치(23)는 피스톤 로드(21)를 Z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터 휠(20)을 상승, 하강시키고,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의 형성시에는, 커터 휠(20)을 하강시켜 유리판(2)에 절단압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 미세조정기구(24)는, X방향 슬라이드(30)와, Y방향 슬라이드(31)로 이루어지며, X방향 슬라이드(30)는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그립퍼(25)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Y방향 슬라이드(31)는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X방향 슬라이드(30)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Y방향 슬라이드(31)에는 실린더(22)가 고정되어 있다. X방향 슬라이드(30)는 조절 나사(32)를 돌림으로써 그립퍼(25)에 대 하여 X방향으로 이동 조절된다. Y방향 슬라이드(31)는 조절 나사(33)를 돌림으로써 X방향 슬라이드(3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 조절된다.
위치 미세조정기구(24)는, 각각의 조절 나사(32, 33)를 돌려 X방향 슬라이드(30) 및 Y방향 슬라이드(31)를 이동 조절함으로써 커터 휠(20)의 위치를 절단 헤드(16)가 회동하는 회동축심(A)에 맞출 수 있고, 또한, 회동축심(A)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단 궤적의 미세조정이 가능해진다. 즉, 절단 궤적은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유리판(2)에 주절단선(12) 또는 에지 절단선(1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터 휠(20)이 회동축심(A)을 지나도록 커터 휠(20)의 위치를 이동 조절한다.
X방향 이동장치(17)는 베이스(50)의 X방향에서의 일단측의 프레임(52), 베이스(50)의 X방향에서의 타단측의 프레임(52a) 및 프레임들(52, 52a) 사이에 위치하는프레임(60)을 통해 베이스(50)에 장착되어 있는 X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프레임(35)과, 상부 프레임(35)에 장착된 전동 모터(36)와, 양단에 베어링(37)을 통해 상부 프레임(3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일단이 전동 모터(36)의 출력 회전축에 풀리(39), 벨트(40) 및 풀리(41)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X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42)과, 상부 프레임(35)에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43)과,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레일(43)에 끼워져 결합되고 나사축(42)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44)를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더(44)에는 후술하는 베어링(65)을 통해 샤프트(66)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36)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39), 벨트(40) 및 풀리(41)를 통해 나사축(42)을 회전시키고, 나사축(42)의 회전이 나사축(42)과 나사결합된 너트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44)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샤프트(66)에 장착된 절단 헤드(16)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Y방향 이동장치(18)는 프레임(52)에 장착된 전동 모터(53)와, 전동 모터(53)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고 양단에 베어링(54, 55)을 통해 프레임(5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56)과, 프레임(52)에 장착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레일(57)과, 레일(57)과 끼워져 결합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58)와, 나사축(56)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상기 너트 및 슬라이더(58)을 고정장착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대(59)와, 프레임(52a)에 장착된 전동 모터(53a)와, 전동 모터(53a)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고, 양단에 베어링(54a, 55a)을 통해 프레임(52a)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56a)과, 프레임(52a)에 장착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레일(57a)과, 레일(57a)과 끼워져 결합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58a)와, 나사축(56a)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상기 너트 및 슬라이더(58a)를 고정장착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대(59a)를 구비하고 있고, 가동대(59)는 상부 프레임(35)의 일단측에 장착되어 있고, 가동대(59a)는 상부 프레임(35)의 타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즉, 가동대(59, 59a)는, 상부 프레임(35)을 잇는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 전동 모터(53, 53a)의 동기(同期)적인 작동에 의해, 출력 회전축들의 회전이 나사축(56, 56a)을 회전시키고, 나사축(56, 56a)의 회전이 각각의 너트와 슬라이더(58, 58a)를 고정장착한 가동대(59, 59a)를 Y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가동대(59, 59a)에 장착된 상부 프레임(35)을 통해 절단 헤드(16)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회동수단(19)은 X방향 이동장치(17)의 슬라이더(44)에 고정된 베어링(65)과, 베어링(65)에 유지된 Z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66)와, 샤프트(66)의 상단에 장착된 베벨 기어(67)와, 베벨 기어(67)와 맞물림 결합된 베벨 기어(68)와, 베벨 기어(68)가 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더(4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X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샤프트(69)와, 라인 샤프트(69)에 풀리, 벨트 등(70)을 통해 연결되고 슬라이더(44)에 고정된 전동 모터(7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샤프트(66)의 하단에는 절단 헤드(16)의 그립퍼(25)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헤드(16)가 매달린 형태로 유지되어 있다. 전동 모터(73)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 벨트 등(70)을 통해 라인 샤프트(69)를 회전시키고, 라인 샤프트(69)의 회전이 베벨 기어(67, 68)를 통해 샤프트(66)를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샤프트(66)에 장착된 절단 헤드(16)를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본 예의 지지장치(15, 15a)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장치(15)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장치(15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동일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지지장치(l5)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지장치(15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장치(15)는 베이스(50)에 브라켓(75) 및 지지기둥(78)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지지판(79)과, 지지판(79)의 X방향에서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드럼(83)과, 지지판(79)의 X방향에서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드럼(84)과, 드럼(83, 84)에 감아걸린 가요성의 무단 벨트(85)를 구비하고 있고, 무단 벨트(85)상에는 유리판(2)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분할 가공부(9)는 절단 가공부(8)에서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이 형성된 유리판(2)을 그 주절단선(12)을 따라 쪼개어 분할하는 분할수단(90, 90a)과, 유리판(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89)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수단(89)은 Y방향에서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91, 91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의 분할수단(90, 90a)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장치(91) 및 지지장치(91a)도 역시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수단(90)은 유리판(2)에 대하여 절반의 영역에 있어서 분할을 실행하는 한편, 분할수단(90a)은 유리판(2)에 대하여 나머지 절반의 영역에 있어서 동일하게 분할을 실행하고, 지지장치(91)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장치(91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동일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분할수단(90) 및 지지장치(91)에 대하여 설명하고, 분할수단(90a) 및 지지장치(91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분할수단(90)은, 분할 헤드(92)와, 분할 헤드(92)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동기구(93)와, 분할 헤드(92)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이동기구(94) 를 구비하고 있다.
분할 헤드(92)는, 누름 봉(100)과, 누름 봉(100)을 상승, 하강시키는 공압실린더장치(101)을 구비하고 있고, 공압실린더장치(101)는 일단에 누름 봉(100)이 장착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102) 및 실린더(103)로 이루어지고, 실린더(103)는 후술하는 슬라이더(109)에 장착되어 있다. 분할 헤드(92)는 공압실린더장치(101)의 작동에 의해 누름 봉(100)을 하강시키고, 상기 누름 봉(100)으로 지지수단(89)에 지지된 유리판(2)을 그 상면(3)으로부터 눌러서 쪼개도록 되어 있다.
Y방향 이동기구(94)는, Y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106)에 고정된 전동 모터(105)와, 전동 모터(105)의 출력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106)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미도시)과, 프레임(106)에 장착된 Y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108)과, 한 쌍의 레일(108)에 끼워져 결합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09)를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더(109)에는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가 고정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더(109)에는 실린더(103)가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105)의 작동에 의해 전동 모터(105)의 출력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나사축이 회전하고, 이러한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너트가 고정장착된 슬라이더(109)가 Y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09)에 장착된 분할 헤드(92)가 Y방향으로 이동된다.
X방향 이동기구(93)는 X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111)에 고정된 전동 모터(110)와, 전동 모터(110)의 출력 회전축에 풀리, 벨트 등(107)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X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112)과, 나사축(112)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프레임(111)에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113)과, 한 쌍의 레일(113)에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된 슬라이더(114)를 구비하고 있고, 프레임(111)은 지지기둥(78)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114)에는 나사축(112)에 나사결합된 너트가 고정장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114)에는 프레임(106)이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전동 모터(110)의 출력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나사축(112)이 회전하고, 나사축(1l2)에 나사결합된 너트가 고정장착된 슬라이더(114)가 X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14)에 장착된 프레임(106)이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106)을 통해 분할 헤드(92)가 X방향으로 이동한다.
지지장치(91)는, 절단 가공부(8)의 지지장치(15)의 지지판(79), 드럼(83), 드럼(84) 및 무단 벨트(85)를 공유하고 있고, 지지장치(91)는 무단 벨트(85)를 X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주행수단(86)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수단(86)은 베이스(50)에 브라켓(75, 76)을 통해 장착된 전동 모터(77)을 구비하고 있고, 전동 모터(77)의 출력 회전축은 풀리, 벨트 등(80)을 통해 드럼(83)에 연결되어 있다. 무단 벨트(85)의 하류단에는 무단 벨트(85) 상에서 쪼개어진 유리판(2)의 유리 부스러기(미도시)를 수용하는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장치(91)는 분할수단(90)에 의해 무단 벨트(85) 상에서 쪼개어진 유리판(2)의 유리 부스러기(미도시)를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하도록 전동 모터(77)의 작동에 의해 일단이 전동 모터(77)의 출력 회전축에 풀리, 벨트 등(80)을 통해 연결된 드럼(83)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83)의 회전으로 무단 벨트(85)를 X방향으로 주행시키며, 상기 무단 벨트(85)의 주행에 의해 상기 유리 부스러기를 무단 벨트(85)의 하류단으로 이동시켜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장치(15, 91)는 지지판(79), 드럼(83), 드럼(84) 및 무단 벨트(85)를 공유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을 공유하지 않고 지지장치(15, 91)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지지장치(91)는 지지판(79), 드럼(83), 드럼(84) 및 무단 벨트(85)와 상기 주행수단(86)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지지장치(15)는, Y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베이스(50)에 브라켓을 통해 배치된 테이블(미도시)과, 테이블상에 각각 설치된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진공흡인장치는 각각 배관밸브를 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수단(26)은 Y방향에서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대(175, 175a)를 가지고 있다.
본 예의 지지대(175, 175a)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175)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대(175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지지대(175)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지대(175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장치(175)는 베이스(50)에 브라켓(176)을 통해 배치된 테이블(177)과, 테이블(177)상에 장착된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복수의 진동흡인장치(178)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진공흡인장치(l78)는 각각 배관밸브를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연삭 가공부(11)는 분할 가공부(9)에서 쪼개어진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연삭수단(121)과, 유리판(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1l9)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수단(119)은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122, 122a)를 구비하고 있다.
연삭수단(121)은, 연삭 헤드(125)와, 연삭 헤드(125)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동장치(126)와, 연삭 헤드(125)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이동장치(l27)와, 연삭 헤드(125)를 Z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심(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28)을 구비하고 있다.
연삭 헤드(125)는 전동 모터(130)와, 전동 모터(130)의 출력 회전축을 Z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심(Q)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된 연삭 휠(131)과, 연삭 휠(131)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132)과, 전동 모터(13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연삭 휠(131)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위치 미세조정기구(133)와, 후술하는 샤프트(16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그립퍼(135)를 구비하고 있다.
연삭 휠(131)은, 그 외주면(136)에 의해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하이동수단(132)은, 전동 모터(130)의 출력 회전축이 Z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전동 모터(130)가 배치된 Z방향 슬라이드(14O)와, Z방향 슬라이드(140)에 베어링(141)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Z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142)과, 나사축(142)에 풀리, 벨트 등(143)를 통해 연결된 전동 모터(144)를 구비하고 있고, Z방향 슬라이드(140)는 후술하는 Y방향 슬라이드(151)에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나사축(142)은 Y방향 슬라이드(15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하이동수단(132)은 전동 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풀리, 벨트 등(143)을 통해 나사축(142)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나사축(142)에 나사결합된 Y방향 슬라이드(151)에 대하여 Z방향 슬라이드(140) 및 전동모터(130)를 통해 연삭 휠(131)을 Z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치 미세조정기구(133)는, X방향 슬라이드(150)와 Y방향 슬라이드(151)로 이루어지고, X방향 슬라이드(150)는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그립퍼(135)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Y방향 슬라이드(151)는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X방향 슬라이드(150)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Y방향 슬라이드(151)는 Z방향 슬라이드(140)에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X방향 슬라이드(150)는 조절 나사(152)를 돌림으로써 그립퍼(135)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조절된다. Y방향 슬라이드(151)는 조절 나사(153)를 돌림으로써 X방향 슬라이드(15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조절된다.
위치 미세조정기구(133)는 각각의 조절 나사(152, 153)을 돌려 X방향 슬라이드(150) 및 Y방향 슬라이드(l51)를 이동조절함으로써 연삭 휠(131)의 외주면(136) 이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연삭점(미도시)을 연삭 헤드(125)가 회동하는 회동축심(B)에 맞출 수 있고, 또한, 연삭점을 회동축심(B)으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궤적의 미세조정이 가능해진다. 즉, 이동 궤적은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경우에는, 연삭점이 회동축심(B)을 지나도록 연삭 휠(131)을 이동 조절한다.
X방향 이동장치(126)는, X방향 이동장치(17)의 전동 모터(36)와, 나사축(42)과, 슬라이더(44)를 공유하고 있고, 슬라이더(44)에는 후술하는 베어링(160)을 통해 샤프트(161)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36)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39), 벨트(40) 및 풀리(41)를 통해 나사축(42)을 회전시키고, 나사축(42)의 회전이 나사축(42)과 나사결합된 너트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44)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44)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샤프트(161)에 장착된 연삭 헤드(125)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Y방향 이동장치(127)은 Y방향 이동장치(18)의 전동 모터(53, 53a)와, 나사축(56, 56a)과, 슬라이더(58, 58a) 및 가동대(59, 59a)를 공유하고 있고, 전동 모터(53, 53a)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이러한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나사축(56, 56a)을 회전시키고, 나사축(56, 56a)의 회전이 각각의 너트와 슬라이더(58, 58a)를고정장착한 가동대(59, 59a)를 Y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가동대(59, 59a)에 장착된 상부 프레임(35)을 통해 연삭 헤드(125)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회동수단(128)은, 회동수단(19)의 라인 샤프트(69)와 전동 모터(73)를 공유 하고 있고, X방향 이동장치(126)의 슬라이더(44)에 고정된 베어링(160)과, 베어링(160)에 유지된 Z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161)와, 샤프트(161)의 상단에 장착된 베벨 기어(162)와, 베벨 기어(162)와 맞물려 결합된 베벨 기어(163)를 구비하고 있고, 베벨 기어(163)는 라인 샤프트(69)에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161)의 하단에는 연삭 헤드(125)의 그립퍼(135)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연삭 헤드(125)가 매달린 형태로 유지되어 있다. 전동 모터(73)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 벨트 등(70)을 통해 라인 샤프트(69)를 회전시키고, 라인 샤프트(69)의 회전이 베벨 기어(162, 163)를 통해 샤프트(161)를 회동축심(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샤프트(161)에 장착된 연삭 헤드(125)를 회동축심(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본 예의 지지장치(122, 122a)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장치(122)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장치(122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동일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지지장치(122)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지장치(122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장치(l22)는, 베이스(50)에 브라켓(165)을 통해 배치된 테이블(166)과, 테이블(l66) 상에 장착된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67)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67)는 각각 배관밸브를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수단(26, 27, 89, 119)은 X방향으로 직렬 배치되어 있고, X방향에서의 지지수단(27)의 절단 가공 영역 및 지지수단(89)의 분할 가공 영역 사이와, X방향에서의 지지수단(89)의 분할 가공 영역 및 지지수단(26) 사이, 및 X방향에서의 지지수단(26) 및 지지수단(1l9) 사이는 각각 동일 간격을 가지고 있다.
반송수단(6)은,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유지하는 유지수단(201)과, 유지수단(201)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하이동수단(202)과, 상하이동수단(202)을 통해 유지수단(201)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3)을 구비하고 있고, 반송수단(6)은 가공될 유리판(2)을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 가공부(11)에 반입하고, 그 반입과 동기하여, 가공된 유리판(2)을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가공부(l1)로부터 반출하도록 되어 있다.
반송수단(6)은 또한, 절단 가공될 무단 벨트(85, 85a)상에 올려진 유리판(2)을 무단 벨트(85, 85a)의 영역에서 그 하면(5)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200)와, 절단 가공부(8)에 반입될 유리판(2)을 올려 놓는 올림대(204)와, 연삭가공부(11)로부터 반출된 유리판(2)을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로부터 반출하는 반출장치(205)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수단(201)은, 올림대(204)에 올려진 유리판(2)의 하면(5)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0)과, 절단수단(14)에 의해 절단가공된 무단 벨트(85)상의 유리판(2)의 하면(5)를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1)과, 분할수단(90)에 의해 분할 가공된 무단 벨트(85)상의 유리판(2)의 하면(5)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2)과, 지지대(175)에 올려진 유리판(2)의 하면(5)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3)과, 연삭수단(121)에 의해 연삭가공되고 지지장치(122)에 지지된 유리판(2)의 하면(5)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4)을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0, 211, 212, 213, 214)은 각각 동일 간격을 가지고 X방향으로 직렬하여 상하이동수단(202)을 사이에 두고 이동수단(203)에 배치되어 있다.
진공흡인수단(210)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15, 216)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1)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17, 218)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2)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19, 220)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3)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21, 222)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4)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23, 224)를 구비하고 있다.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는 각각 배관밸브를 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상하이동수단(202)은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피스톤 로드의 각각의 외부 선단에는 각각 진공흡인장치(215, 2l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가 장착되어 있으며,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의 각각의 실린더는 후술하는 슬라이더(257)에 장착되어 있다.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의 공기압이 증가됨으로써 이들 피스톤 로드가 각각 Z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피스톤 로드들의 외부 선단에 각각 장착 된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가 상승하며,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O)의 공기압이 감소됨으로써 이 피스톤 로드들이 각각 Z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피스톤 로드들의 외부 선단에 장착된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가 하강한다. 또한,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15, 216)의 각각의 상면은, 유리판(2)을 지지하고 있는 후술하는 복수의 무단 벨트(26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17, 218, 219, 220)의 각각의 상면은 유리판(2)을 지지하고 있는 무단 벨트(85)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하강한 상태의 진공 흡인장치(221, 222)의 각각의 상면은 지지대(26)의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78)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23, 224)의 각각의 상면은 지지장치(122)의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67)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동수단(203)은 베이스(50)에 브라켓(249)을 통해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250)과, 프레임(250)의 일단측(251)에 장착된 전동 모터(252)와, 양단에 베어링(253)을 통해 프레임(25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X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255)과, 나사축(255)과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프레임(250)에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256)과, 한 쌍의 레일(256)에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너트를 고정장착한 X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더(257)를 구비하고 있으며, 프레임(250)은, 지지장치들(15, 15a) 사이, 지지장치들(91 , 91a) 사이, 지지대들(175, 175a) 사이 및 지지장치들(122, 122a) 사 이에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더(257)에는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의 각각의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나사축(255)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이 나사축(255)과 나사결합된 너트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257)에 장착된 공압실린더장치(234, 235, 236, 237, 238, 239, 240)를 통해 복수의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및 224)를 동기하여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지지대(200)는 진공흡인장치(2l5, 216, 217, 218)가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둘러싸며 슬라이더(257)에 장착되어 있고, 지지대(200)의 상면은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17, 218)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올림대(204)는, 유리판(2)를 반입하는 반입측에 배치되어 있고, 올림대(204)의 상면에는 유리판(2)의 위치를 결정하는 롤러(미도시)와, 유리판(2)이 올려지는 복수의 무단 벨트(262)가 배치되어 있다.
반출장치(205)는 유리판(2)을 반출하는 반출측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270)에 지지된 전동 모터(271)와, 프레임(27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구동측의 드럼(미도시) 및 종동측의 드럼(미도시)과, 이 드럼들 사이에 긴장상태로 감아 걸린 복수의 무단 벨트(274)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모터(271)의 출력 회전축(미도시)은 풀리, 벨트 등(273)을 통해 구동측의 드럼에 연결되어 있다.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는 또한,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 시)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제어장치는, 전동 모터(36, 53, 53a, 73, 77, 77a, 105, 105a, 110, 110a, 130, 144, 252, 271)와, 진공흡인장치(167, 178, 215, 216, 217, 218, 2l9, 220, 221, 222, 223, 224)의 진공흡인펌프, 및 공압실린더장치(23, 101, 10la,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와 연결되어 있고, 이 출력 회전축들의 회전, 진공흡인력 및 공기 압력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상술 및 후술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전동 모터(130)의 출력회전축의 회전 제어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행하게 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항상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에 의해, 상면(3)이 코팅된 유리판(2)을 가공하는 경우, 먼저, 올림대(204)의 복수의 무단 벨트(262) 상에 가공될 유리판(2)을 올려 놓는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15, 216)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1, 232)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1, 232)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무단 벨트(85, 85a) 상의 절단 가공 영역에 올려 놓는다. 다음, 회동수단(19)에 의해 커터 휠(20)의 칼끝이 항상 주절단선(12)에 대하여 접선방향을 유지하도록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절단 헤드(16)를 회동시키면서 공압실린더장치(23)에 의해 커터 휠(20)을 하강시켜 상기 유리판(2)에 절단압을 가하고, X방향 이동장치(17) 및 Y방향 이동장치(18)에 의해 절단 헤드(16)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주절단선(12)을 형성하며, 회동수단(19)에 의해 커터 휠(20)의 칼끝이 항상 에지 절단선(13)에 대하여 접선 방향을 유지하도록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절단 헤드(16)를 회동시키면서 공압실린더장치(23)에 의해 커터 휠(20)을 하강시켜 상기 유리판(2)에 절단압을 가하고, X방향 이동장치(17) 및 Y방향 이동장치(18)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절단 헤드(16)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에지 절단선(13)을 형성한다. 절단 가공부(8)의 절단수단(14)은, 상기 에지 절단선(13)을 적어도 지지장치들(15, 15a)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판(2)의 영역에 형성한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17, 218)에 의해 상기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이 형성된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3, 234)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3, 234)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무단 벨트(85, 85a)상의 분할 가공 영역에 올려 놓는다. 다음, X방향 이동기구(93) 및 Y방향 이동기구(94)에 의해 누름 봉(100)을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101)에 의해 누름 봉(100)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그 상면(3)으로부터 눌러서 주절단선(5)을 따라 쪼갠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19, 220)에 의해, 상기 쪼개어진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5, 236)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 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5, 236)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지지대(l75, 175a)에 올려 놓는다. 쪼개어진 유리판(2)이 반송수단(6)의 공압실린더장치(235, 236)에 의해 상승되는 동안, 분할수단(90)에 의해 쪼개어진 유리판(2)의 유리 부스러기를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하도록 전동 모터(77)의 작동에 의해 드럼(83, 84)을 통해 무단 벨트(85)를 X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무단 벨트(85)상의 유리 부스러기를 상기 무단 벨트(85)의 하류단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리 부스러기를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한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21, 222)에 의해, 지지대(175, 175a)에 올려진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7, 238)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7 , 238)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지지장치(122, 122a)에 올려 놓는다. 다음, 전동 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연삭 휠(131)을 회전시키고, 회동수단(128)에 의해 연삭 휠(131)이 연삭점에서 유리판(2)의 테두리(10)에 대하여 항상 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연삭 헤드(125)를 회동시키면서, X방향 이동장치(126), Y방향 이동장치(127)에 의해 연삭 헤드(125)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리판(2)의 테두리(l0)를 연삭한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23, 224)에 의해 상기 테두리(10)가 연삭된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 실린더장치(239, 240)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9, 240)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반출장치(205)의 복수의 무단 벨트(274)에 올려 놓는다. 다음, 전동 모터(271)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 벨트 등(274)을 통해 구동측의 드럼 및 종동측의 드럼 사이에 감아걸린 복수의 무단 벨트(274)를 X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이에 따라, 복수의 무단 벨트(274)상의 가공된 유리판(2)을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로부터 반출한다.
한편,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에 의해, 복수의 유리판(2)을 가공할 경우에는, 반송수단(6)에 의해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 가공부(11)에 각각 유리판(2)을 반입하고, 상기 반입과 동기하여 각각 가공된 유리판(2)을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가공부(11)로부터 반출하고, 상기 반입한 각각의 유리판(2)에 절단 가공, 분할 가공 및 연삭가공을 동기적으로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