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417B1 - Clamshell terminal - Google Patents
Clamshell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4417B1 KR100724417B1 KR1020050073904A KR20050073904A KR100724417B1 KR 100724417 B1 KR100724417 B1 KR 100724417B1 KR 1020050073904 A KR1020050073904 A KR 1020050073904A KR 20050073904 A KR20050073904 A KR 20050073904A KR 100724417 B1 KR100724417 B1 KR 100724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bushing
- main body
- folder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폴더부의 결합시 각종 부품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힌지부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게 폴더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와 상기 폴더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부싱의 일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싱수용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와 상기 폴더힌지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힌지부싱이 통과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힌지부싱의 타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2부싱수용부와; 상기 힌지부싱의 양단이 상기 각 부싱수용부에 수용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힌지부싱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which can prevent deformation and damage of various components when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unit are coupled, and to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that can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A folder portion in which a folder hinge portion is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main body hinge portion so that the main body hinge portion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hinge portion; A first bushing accommodating part which is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hinge bushing is accommodated in one of the main body hinge part and the folder hinge part; A second bushing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hrough the rotation axis to allow the hinge bushing to pass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hinge portion and the folder hinge portion and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other end of the hinge bushing; It provides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flow of the hinge bushing along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in the state that both ends of the hinge bushing is coupled to each of the bushing receiving portion.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본체부, 폴더부, 힌지부싱, 통과, 고정부 Folding portable terminal, main body, folder, hinge bushing, through, fixed par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oldable portable terminal.
도 2는 종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oldable portabl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or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힌지부싱 및 그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inge bushing and its coupling structure as a folding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본체부 111 : 프론트케이스110: main body 111: front case
112 : 리어케이스 113 : 키패드112: rear case 113: keypad
114 : 송화부 115 : 배터리114: transmitter 115: battery
116 : 본체힌지부 116a : 제1부싱수용부116: main
116b : 제1힌지수용부 120 : 폴더부116b: first hinge receiving portion 120: folder portion
121 : 내부케이스 122 : 외부케이스121: inner case 122: outer case
123 : 엘씨디패널 124 : 보호창123: LCD panel 124: protective window
125 : 폴더힌지부 125a : 제2부싱수용부125:
125b : 제2힌지수용부 126 : 고정부125b: second hinge accommodation portion 126: fixed portion
140 : 힌지부싱 150 : 힌지조립체140: hinge bushing 150: hinge assembly
151 : 제1바디 152 : 제2바디151: the first body 152: the second body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폴더부의 결합시 각종 부품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which can prevent deformation and damage of various components when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unit are coupled, and can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
첨부한 도 1은 종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oldable portable terminal,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oldable portable terminal.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절첩되며 본체부(10)의 내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foldable portable terminal is folded into the
이를 위해 상기 폴더부(20)의 하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폴더힌지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10)의 상단부에는 각 폴더힌지부(21)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힌지부(11)가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 pair of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피씨비(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갖는 키패 드(12)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3)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배터리(1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 PCB (not shown) for accommodating various controls is accommodated inside the
상기 폴더부(20)의 내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패널(22)이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부(20)의 내면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23)가 구비되어 있다.An
그리고, 상기 폴더힌지부(21)의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본체힌지부(11)의 내부에는 그 각각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싱(40)의 각 일단부가 수용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폴더힌지부(21)의 다른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본체힌지부(11)의 내부에는 두 부분이 서로 탄성적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조립체(50)의 각 일부분이 수용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hinge hinge (4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lder hinge portion (21) and inside of the main body hinge portion (11) corresponding thereto so as to support each of them in a relative rotational manner. The other side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힌지부싱(40) 및 힌지조립체(50)를 개재하여 폴더부(20) 및 본체부(10)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먼저 폴더힌지부(21)의 폴더부(20)측 부싱수용부(도시하지 않음)에 힌지부싱(40)의 일단이 수용 결합되도록 한 후, 힌지부싱(40)의 타단이 본체힌지부(11)의 본체부(10)측 부싱수용부(11a)에 삽입 결합되도록 폴더힌지부(21)의 일측을 기울여 결합한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다음, 폴더힌지부(21)의 폴더부(20)측 힌지수용부(도시하지 않음)에 일부분이 수용 결합된 힌지조립체(50)의 다른 일부분을 그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힌지조립체(150)의 다른 일부분이 본체힌지부(11)의 본체부(10)측 힌지수용부(11b)에 수용 결합되도록 하거나, 각 폴더힌지부(21)의 사이폭이 증가되도록 각 폴더힌지부(21)를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힌지조립체(50)의 다 른 일부분이 본체부(10)측 힌지수용부(11b)에 수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폴더부 및 본체부를 결합할 시 힌지조립체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결합하거나 각 폴더힌지부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결합시 상당한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결합공정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폴더지지부 및 각종 부품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when combining the folde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by pressing a portion of the hinge assembly or by pressing each of the folder hinge to the outside, a considerable force is required for the coupling and the coupling process is eas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there was a fear that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folder support and various par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폴더부의 결합시 각종 부품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various parts when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unit is combined, and to provide a folding portable terminal that can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힌지부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게 폴더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와 상기 폴더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부싱의 일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싱수용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와 상기 폴더힌지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힌지부싱이 통과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힌지부싱의 타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2부싱수용부와; 상기 힌지부싱의 양단이 상기 각 부싱수용부에 수용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힌 지부싱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A folder portion in which a folder hinge portion is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main body hinge portion so that the main body hinge portion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hinge portion; A first bushing accommodating part which is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hinge bushing is accommodated in one of the main body hinge part and the folder hinge part; A second bushing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hrough the rotation axis to allow the hinge bushing to pass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hinge portion and the folder hinge portion and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other end of the hinge bushing; And a fixing part for restraining the flow of the hinge bushing along the rotation axis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hinge bushing are accommodated and coupled to each of the bushing accommodation parts.
또한, 상기 제2부싱수용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 중 어느 하나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부싱수용부는 상기 각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각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in which the second bushing accommodation portion is forme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the second bushing accommodation portion may include It is formed in any one of each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other one of each cas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부싱의 타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outer case,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hinge bushing.
또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폴더부의 회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에는 두 부분이 서로 탄성적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조립체의 각 일부분이 수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part of the hinge assembl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elastically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older portion can be made elastically. It is do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xed portion as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로서, 힌지부싱 및 그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hinge bushing and its coupling structure as a folding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힌지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힌지부(116)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힌지부(116)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게 폴더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는 폴더부(120)와, 상기 본체힌지부(116)와 폴더힌지부(125) 중 어느 하나에 힌지부싱(140)의 일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싱수용부(116a)와, 상기 본체힌지부(116)와 폴더힌지부(125) 중 다른 하나에 힌지부싱(140)이 통과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힌지부싱(140)의 타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2부싱수용부(125a)와, 상기 힌지부싱(140)의 양단이 각 부싱수용부(116a,125a)에 수용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축선 방향을 따른 힌지부싱(140)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foldabl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본체부(1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111)와, 리어케이스(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각 케이스(111,112)의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피씨비(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11)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갖는 키패드(113)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케이스(112)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부 중앙영역에는 그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본체힌지부(116)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main
상기 폴더부(12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케이 스(121)와, 외부케이스(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각 케이스(121,122)의 내부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표시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엘씨디패널(123)이 수용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케이스(121,122)에는 엘씨디패널(123)의 각 표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창(12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케이스(121)의 내면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The
아울러 상기 폴더부(120)의 하단부에는 본체힌지부(116)가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며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폴더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folders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main
또한, 상기 폴더힌지부(125)의 일측과 본체힌지부(116)의 내부에는 각 힌지부(125,116)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싱(140)의 각 일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부싱수용부(116a,125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체힌지부(116)에 제1부싱수용부(116a)가 형성되고, 폴더힌지부(125)에 제2부싱수용부(125a)가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즉, 상기 본체힌지부(116)의 일단부에는 힌지부싱(140)의 일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부싱수용부(1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더힌지부(125)의 일측에는 힌지부싱(140)이 통과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힌지부싱(140)의 타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제2부싱수용부(125a)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 first bushing
아울러 상기 힌지부싱(140)의 양단이 각 부싱수용부(116a,125a)에 수용 결합 된 상태에서 힌지부싱(140)은 고정부(126)에 의해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유동이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2부싱수용부(125a)는 폴더부(120)의 내부케이스(121)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26)는 폴더부(120)의 외부케이스(122)에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부(126)는 힌지부싱(140)의 타단면(힌지부싱(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부싱수용부(125a)측 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외부케이스(122)의 내면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Here, the second
한편, 상기 본체부(110)에 대한 폴더부(120)의 회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부(110)와 폴더부(120)에는 두 부분이 서로 탄성적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조립체(150)의 각 일부분이 수용 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portion that the two parts are elas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elastically relative to the
상기 힌지조립체(150)로서는,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높이 차를 가지는 캠프로파일이 구비되어 있는 제1바디(151)와, 상기 제1바디(151)의 대응되게 캠프로파일을 구비하여 제1바디(151)의 캠프로파일과 접촉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152) 및 상기 제1바디(151)와 제2바디(152)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힌지조립체(150)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본체힌지부(116)의 다른 일단에는 힌지조립체(150)의 제1바디(151)가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힌지수용부(1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더힌지부(125)의 다른 일측에는 힌지조립체(150)의 제2바디(152)가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제2힌지수용부(125b)가 형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힌지조립체(150) 및 힌지부싱(140)을 개재하여 폴더 부(120) 및 본체부(110)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먼저 도 5의 (a)같이 폴더부(120) 내부케이스(121)의 제2힌지수용부(125b)에 힌지조립체(150)의 제2바디(152)가 수용 결합되도록 한 후, 내부케이스(121)의 제2부싱수용부(125a)에 힌지부싱(140)이 수용되도록 결합한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다음, 도 5의 (b)와 같이 제2부싱수용부(125a)에 수용된 힌지부싱(140)이 각 폴더힌지부(125)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지 않도록 힌지부싱(140)을 후방으로 밀어 넣은 후, 힌지조립체(150)의 제1바디(151)가 본체힌지부(116)의 제1힌지수용부(116b)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본체힌지부(116)가 각 폴더힌지부(125)의 사이에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게 개재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125)의 일측을 기울여 결합한다.Next, as shown in (b) of FIG. 5, the
다음, 도 5의 (c)와 같이 힌지부싱(140)을 본체힌지부(116) 측으로 가압하여 전방의 제1부싱수용부(116a)로 밀어줌으로써 힌지부싱(140)의 양단부가 각 부싱힌지부(116a,125a)의 내부에 각각 수용 결합되며 각 힌지부(116,125)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하고, 마지막으로 내부케이스(121)의 상부에 외부케이스(122)를 결합함으로써 외부케이스(122)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126)를 통해 회동 축선 방향을 따른 힌지부싱(140)의 유동(힌지부싱(140)이 제1부싱수용부(116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c) of FIG. 5,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부(120) 및 본체부(110)를 결합할 시 종래와 같이 힌지조립체(150)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결합하거나 각 폴더힌지부(125)를 외측으로 가압할 필요없이 힌지부싱(140)이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폴더부(120)와 본체부(110)가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본체부(110)와 폴더부(120)의 결합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본체부(110)와 폴더부(120)의 결합시 각종 부품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us, whe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본체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힌지부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게 폴더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와 상기 폴더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부싱의 일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부싱수용부와; 상기 본체힌지부와 상기 폴더힌지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힌지부싱이 통과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힌지부싱의 타단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2부싱수용부와; 상기 힌지부싱의 양단이 상기 각 부싱수용부에 수용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힌지부싱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체부와 폴더부의 결합시 각종 부품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부와 폴더부 결합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음은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een above, according to the foldabl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main body hinge portion; A folder portion in which a folder hinge portion is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main body hinge portion so that the main body hinge portion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hinge portion; A first bushing accommodating part which is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hinge bushing is accommodated in one of the main body hinge part and the folder hinge part; A second bushing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hrough the rotation axis to allow the hinge bushing to pass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hinge portion and the folder hinge portion and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other end of the hinge bushing; And a fixing part for restraining the flow of the hinge bushing along the rotational axis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hinge bushing are accommodated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bushing receiving parts. Deformation and damage can be prevented, and the convenience of combin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uni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and the effect can be improved productivit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904A KR100724417B1 (en) | 2005-08-11 | 2005-08-11 | Clamshell terminal |
CNA2006101034903A CN1913539A (en) | 2005-08-11 | 2006-07-25 | Flip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904A KR100724417B1 (en) | 2005-08-11 | 2005-08-11 | Clamshell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189A KR20070019189A (en) | 2007-02-15 |
KR100724417B1 true KR100724417B1 (en) | 2007-06-04 |
Family
ID=3772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39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4417B1 (en) | 2005-08-11 | 2005-08-11 | Clamshell termina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4417B1 (en) |
CN (1) | CN1913539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6597A (en) * | 2003-12-26 | 2005-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camera apparatus |
-
2005
- 2005-08-11 KR KR1020050073904A patent/KR1007244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7-25 CN CNA2006101034903A patent/CN1913539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6597A (en) * | 2003-12-26 | 2005-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camera apparatu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200500665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189A (en) | 2007-02-15 |
CN1913539A (en) | 2007-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65185B2 (en) | Three-axial rot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EP1783984B1 (en) | Mobile terminal with a sliding cradle and the sliding cradle thereof | |
KR100539527B1 (en) | Portable Telephone with Camera | |
US7232313B1 (en) | Folding electric apparatus | |
EP1760996B1 (en) |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 |
JP5574680B2 (en) | Portable display device | |
KR100662869B1 (en) | terminal | |
KR20070036802A (en) | Mobile devices | |
EP1950937A2 (en) | Portable apparatus | |
US7912523B2 (en) | Crescent hinge | |
EP1424837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ata input expandability | |
JP4909827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0724417B1 (en) | Clamshell terminal | |
KR101487341B1 (en) | Slid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 |
KR100664222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integrated piezo speaker | |
KR100849319B1 (en) | PD and handheld terminal | |
JP4495077B2 (en) |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 |
JP5073431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0747458B1 (en) | Mobile terminal with folder and slide | |
KR20060122583A (en)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
KR101257865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70071462A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100664225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integrated dummy hinge bracket | |
JP4846691B2 (en) | Mobile device | |
JP4926913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