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358B1 - Interface device of digital set-top box - Google Patents
Interface device of digital set-top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4358B1 KR100724358B1 KR1020010034163A KR20010034163A KR100724358B1 KR 100724358 B1 KR100724358 B1 KR 100724358B1 KR 1020010034163 A KR1020010034163 A KR 1020010034163A KR 20010034163 A KR20010034163 A KR 20010034163A KR 100724358 B1 KR100724358 B1 KR 100724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box
- digital set
- module
- power
- microcompu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디피 모듈과 디지털 셋톱박스간에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축하여, 그 중 어느 한 기기로 입력되는 리모콘신호에 의해 두 기기가 모두 제어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I2C 버스(130)를 통해 피디피 모듈(120)과 접속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링크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체 시스템의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함과 아울러 파워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리모콘신호에 상응되는 제어정보를 피디피 모듈(120)과 인터페이싱하여 해당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셋톱박스(DSTB)(110)와; 상기 I2C 버스(13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접속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링크 제어가 가능하도록 파워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리모콘신호에 상응되는 제어정보를 인터페이싱하여 해당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디피 모듈(PDP)(120)과;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간의 링크 제어를 위한 I2C 버스(130)에 의해 구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n interface device between a PD module and a digital set-top box, so that both devices are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to any on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at the PDP module 120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through the I2C bus 130, sets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to enable link control accordingly, and controls power on / off operation and inputs. A digital set-top box (DSTB) 110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control function by interfac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with the PD module 120; By checking that the digital set-top box 110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through the I2C bus 130, the power on / off operation is controlled to enable link control according to the interface, and the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remote control signal is interfaced. PD module 120 for performing the control function; It is implemented by the I2C bus 130 for link control between the digital set-top box 110 and PD module 120.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셋톱박스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face device of a digital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2b는 도 1에서 디지털 셋톱박스 및 피디피 모듈의 접속핀 구조도.Figure 2a, 2b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nection pin structure of the digital set-top box and PD module in FIG.
도 3은 디지털 셋톱박스와 피디피 모듈간의 제어신호 흐름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trol signal flow between a digital set-top box and a PD module.
도 4a 내지 도 4f는 디지털 셋톱박스와 피디피 모듈간의 파워 매니지먼트 설명도.4A to 4F are explanatory diagrams of power management between a digital set-top box and a PD module.
도 4g,4h는 링크라인의 접속/단절에 따른 디지털 셋톱박스의 모드 결정과정의 설명도.4G and 4H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mode determination process of a digital set-top box according to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link lines.
도 5a 내지 도 5d는 링크라인의 접속/단절에 따른 처리과정의 설명도.5A to 5D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a link li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디지털 셋톱박스 111 : 디지털 보드110: digital set-top box 111: digital board
111A : 중앙처리장치 111B : 디지털 오디오/비디오부111A:
111C : VSB 111D,120A : I2C 익스텐더111C: VSB 111D, 120A: I2C Extender
112 : 아날로그 보드 112A,121 : 마이크로컴퓨터112:
113,122 : 리모콘 수신부 114,123 : 파워 스위치113,122: remote control receiver 114,123: power switch
120 : 피디피 모듈120: PD module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어느 한 기기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두 대의 기기가 마치 하나의 기기처럼 제어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디피 모듈(PDP Module)과 디지털 셋톱박스간에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축하여 그 중 어느 한 기기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두 기기가 모두 제어되게 한 디지털 셋톱박스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two devices to be controlled as if they are a single device by a control signal input to any device from the outside, and in particular, by building an interface device between a PDP module and a digital set-top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device of a digital set-top box in which both devices ar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input to any one device.
통상의 디지털 셋톱박스의 출력 영상신호는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모듈 등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지털 셋톱박스는 독립된 제품으로서 각기 해당 키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The output video signal of a conventional digital set-top box is displayed through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module, and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gital set-top box are independent products and are controlled through respective key input devices. Controlled by signal.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셋톱박스와 피디피 모듈은 독립된 제품으로서 반드시 해당 키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되므로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et-top box and PD modu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independent products, so they are only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key input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디피 모듈과 디지털 셋톱박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어느 한 기기에 구축하여 하나의 리모콘으로 두 기기의 파워 온오프, 영상 및 음성을 각기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셋톱박스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n interface device for a PD module and a digital set-top box in any one device to control the power on, off, video and audio of the two devices with one remote control, respectively, the interface of the digital set-top box In providing a device.
본 발명의 제1특징은 디지털 셋톱박스와 피디피 모듈간의 링크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갖으며, 파워 온오프를 위한 파워 매니지먼트(Management)를 갖는 것이다.A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n interface device for linking between the digital set-top box and PD module, and to have power management for power on and off.
본 발명의 제2특징은 피디피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디지털 셋톱박스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지털 셋톱박스와 피디피 모듈간 접속 상태를 체크하여 전체 시스템의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을 맞추어 주는 컨넥션 체크 시퀀스를 갖는 것이다. A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input through the PD remote control receiv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et-top box, and checks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igital set-top box and the PD module to match the configuration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connection) sequence To ha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셋톱박스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I2C 버스(130)를 통해 피디피 모듈(120)과 접속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링크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체 시스템의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함과 아울러 파워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리모콘신호에 상응되는 제어정보를 피디피 모듈(120)과 인터페이싱하여 해당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셋톱박스(DSTB)(110)와; 상기 I2C 버스(13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접속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링크 제어가 가능하도록 파워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리모콘신호에 상응되는 제어정보를 인터페이싱하여 해당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디피 모듈(PDP)(120)과;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간의 링크 제어를 위한 I2C 버스(13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n interface device of a digital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t is confirmed that the
피디피 모듈(120)에 설치된 컨넥터(133)의 25핀 중 9핀이 I2C버스(130)를 통해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9핀 컨넥터(DSUB PDP I/F Connector)(131)에 접속되며,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중앙처리장치(111A)가 그 I2C버스(130)의 버스 마스터가 된다. 또한, 상기 I2C버스(130) 상의 각종 신호(CC_PDP),(CC_DSTB),(PWR_IND), (PWR_IND_DSTB)는 도 3과 같이 전달된다.9 pins of the 25 pins of the
즉,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상기 I2C버스(130)를 통해 접속되면, 피디피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피디피접속신호(CC_PDP)가 아날로그 보드(112)의 마이크로컴퓨터(112A)에 입력되므로 그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현재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디지털 셋톱박스(110)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셋톱박스접속신호(CC_DSTB)가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에 입력되므로 그 마이크로컴퓨터(121)는 현재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121)는 서로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되는 파워신호(PWR_IND), (PWR_IND_DSTB)를 체크하여 상대방의 파워 온오프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digital set-
또한,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는 피디피 모듈(120)과 접속될 때 그 접속상태를 인지하여 피디피 연결모드로 전환하여 자체적인 리모콘 수신동작을 중지하는 대신 피디피 모듈(120)의 리모콘 수신부(122)를 통하여 리모콘신호(적외선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는 링크 라인을 폴링(Polling)하여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 온오프 상태를 체크하고, 그 피디피 모듈(120) 및 링크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한다. In addition, when the digital set-
이렇게 하여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는 채널, 음성 모드, 시간 설정 등 디지털 셋톱박스(110)가 제공하는 사용자 메뉴를 비롯하여 콘트라스트, 휘도(Brightness), 등의 영상 설정 및 볼륨 조정, 피디피 모듈(120) 접속 시 제공되는 추가 메뉴 등을 하나의 리모콘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In this way, the digital set-
결국,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는 피디피 모듈(120)과 접속되어 마치 하나의 제품처럼 동작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파워 온오프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 가지 경우의 파워 온 처리과정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s a result, the digital set-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모두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파워 온 키신호에 의해 그들이 파워 온되는 과정을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 state where both the digital set-
사용자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 스위치(123)를 누르거나 리모콘의 파워 키를 누르면, 그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는 입력된 키 값을 디코딩하여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를 온시키고, 그 파워 온 사실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에 알리기 위해 파워신호(PWR_IND)를 출력한다(S1-S3).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상기 파워신호(PWR_IND)를 입력받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온시키고, 중앙처리장치(111A)와 파워 온 시퀀스를 실행한다(S4,S5).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와 마이크로컴퓨터(121)간 파워 온 시퀀스를 실행한다(S6). When the user presses the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모두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포론트 파워키(114)를 누르는 것에 의해 그들이 파워 온되는 과정을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ith both the digital
사용자가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포론트 파워키(114)를 누르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가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에 파워 온 키신호의 입력을 알리기 위해 파워신호(PWR_IND_DSTB)를 출력한다(S1,S2). 이에 따라, 상기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온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 온 사실을 인식한 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온시키게 된다(S3,S4).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와 중앙처리장치(111A)가 파워 온 시퀀스를 실행하고, 이어서 그 중앙처리장치(111A)와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가 파워 온 시퀀스를 실행한다(S5,S6). When the user presses the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모두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온 타이머(ON-Timer)에 의해 그들이 파워 온되는 과정을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state where both the digital set-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온 타이머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파워 온 시간에 도달될 때, 그 사실을 피디피 모듈(120)에 알리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121)에 파워신호(PWR_IND_DSTB)를 출력한다(S1). 이에 따라, 상기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온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 온 사실을 인식한 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온시키게 된다(S2,S3).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와 중앙처리장치(111A)가 파워 온 시퀀스를 실행하고, 이어서 그 중앙처리장치(111A)와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가 파워 온 시퀀스를 실행한다(S4,S5). 따라서,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는 피디피 모듈(120) 접속모듈로 동작하게 된다.
When the
한편, 세 가지 경우의 파워 오프 처리과정을 도 4d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모두 파워 온된 상태에서, 파워 오프 키신호에 의해 그들이 파워 오프되는 과정을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off process of the three cas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4d to 4f. First, a process in which the digital set-
사용자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 스위치(123)를 누르거나 리모콘의 파워 키를 누르면, 그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는 입력된 키 값을 디코딩하여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를 오프시킨 후 이 파워 오프 사실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에 알리기 위해 파워신호(PWR_IND)를 출력한다(S1-S3). When the user presses the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에 파워 오프 키신호의 입력 사실을 알리고, 그 중앙처리장치(111A)와 마이크로컴퓨터(121)간 파워 오프 시퀀스를 실행한다(S4,S5).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로부터 파워 오프 인지신호를 통보 받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6,S7).Accordingly, the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모두 파워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포론트 파워키(114)를 누르는 것에 의해 그들이 파워 오프되는 과정을 도 4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ith both the digital
사용자가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포론트 파워키(114)를 누르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가 그 파워 오프 키신호를 인식하여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오프시킨 후 그 파워 오프 사실을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에 알리기 위해 파워신호(PWR_IND_DSTB)를 출력한다(S1-S3). 이에 따라, 상기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오프된다(S4).When the user presses the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모두 파워 온된 상태에서, 오프 타이머(OFF-Timer)에 의해 그들이 파워 오프되는 과정을 도 4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state where both the digital set-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오프 타이머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파워 오프 시간에 도달될 때, 그 사실을 중앙처리장치(111A) 및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에 통보한다(S1-S3). 이에 따라, 상기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오프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와 마이크로컴퓨터(121)가 파워 오프 시퀀스를 실행한다(S4,S5).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로부터 파워 오프 인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피디피 모듈(120)이 파워 오프된 사실을 인식한 후 디지털 셋톱박스(12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6,S7). When the
또한,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각기 온된 상태에서 그들이 상기 I2C버스(130)를 통해 접속되거나, 반대로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의 처리과정을 도 4g 및 도 4h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set-
도 4g에서와 같이,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각기 온된 상태에서 상기 I2C버스(130)를 통한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는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1). 이때,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중앙처리장치(111A)에 접속 해제 사실을 통보하여 그 중앙처리장치(111A)가 파워 오프 준비를 한다(S2,S3).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로부터 파워 오프 인지신호를 통보받은 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4,S5). As shown in FIG. 4G, when the connection state through the
도 4h에서와 같이,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각기 온된 상태에서 상기 I2C버스(130)를 통해 그들이 서로 접속되는 경우,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는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1). 이때,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중앙처리장치(111A)에 접속 사실을 통보하여 그 중앙처리장치(111A)가 파워 오프 준비를 한다(S2,S3).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로부터 파워 오프 인지신호를 통보받은 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4,S5). As shown in FIG. 4H, when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한편,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는 상기 피디피 모듈(120)과의 일련의 동작을 위해 상기의 설명과 같은 파워 매니지먼트 특성 이외에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간 I2C 버스(130)의 접속/단절에 따라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모드 결정 과정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set-
먼저,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I2C 버스(130)를 통해 상호 접속될 때 그에 따른 인식 및 처리하는 과정을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set-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는 피디피접속신호(CC_ PDP)를 근거로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I2C 버스(130)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것을 인식하여 현재의 모드를 피디티모듈 접속모드로 절환한다(S1).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는 자체적인 리모콘신호 수신동작을 중지하고 링크라인을 폴링하여 상기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한다(S2).The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모두 온된 상태에서, 상기 I2C 버스(130)를 통해 상호 접속될 때 그에 따른 인식 및 처리하는 과정을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the digital set-
상기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는 셋톱박스접속신호(CC_DSTB)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이 I2C 버스(130)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것을 인식하여 현재의 모드를 디지털 셋톱박스 접속모드로 절환하고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1). 이후,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스탠드 얼론 모드(Stand-Alone mode)에서 접속모드로 절환하고 자체적인 리모콘 수신동작을 중지한다(S2).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피디피접속신호(CC_PDP)를 체크하여 중앙처리장치(111A)에 통보한 후 그로부터 파워 오프 인지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3-S5). The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I2C 버스(130)를 통해 상호 접속된 상태가 해제될 때 그에 따른 인식 및 처리하는 과정을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of the digital set-
디지털 셋톱박스(12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에서 피디피접속신호(CC_PDP)를 체크하여 I2C 버스(130)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인식되면 스탠드 얼론 모드로 절환한다(S1). 이후에는 자체적인 리모콘 수신동작으로 디지털 셋톱박스(110) 를 제어하게 된다(S2).If it is recognized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상기 디지털 셋톱박스(110)와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가 모두 온된 상태에서, 상기 I2C 버스(130)를 통해 상호 접속된 상태가 해제될 때 그에 따른 인식 및 처리하는 과정을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set-
피디피 모듈(120)의 마이크로컴퓨터(121)는 셋톱박스접속신호(CC_DSTB)를 체크하여 I2C 버스(130)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인식되면 스탠드 얼론 모드로 절환하고 피디피 모듈(120)의 파워를 오프시킨다(S1). 이후,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피디피접속신호(CC_PDP)를 체크하여 I2C 버스(130)의 접속상태가 해제된 것을 인식하여 스탠드 얼론 모드로 절환하고 그 인식 결과를 중앙처리장치(111A)에 통보한다(S2,S3). 이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2A)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A)로부터 파워 오프 인지신호를 통보받은 다음 디지털 셋톱박스(110)의 파워를 오프시키게 된다(S4,S5). When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디피 모듈과 디지털 셋톱박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추가하여 하나의 리모콘으로 두 기기의 파워 온오프, 영상 및 음성 등을 각기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ds an interface device for a PD module and a digital set-top box so that the power on / off, video and audio of two devices can be controlled with one remote controll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It can work.
또한, 파워 온오프, 접속체크 시퀀스 등을 통해 상호 제어되게 함으로써, 강력하고 안정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each other through a power on and off, the connection check sequence, et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uild a strong and stable system.
이러한 기술을 레디 티브이(Ready TV), 프로젝션 티브이, 기타 HD/SD급 모니 터를 갖는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표준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By applying this technology to display TVs with ready TVs, projection TVs, and other HD / SD monitors, the product can be standardiz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4163A KR100724358B1 (en) | 2001-06-16 | 2001-06-16 | Interface device of digital set-top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4163A KR100724358B1 (en) | 2001-06-16 | 2001-06-16 | Interface device of digital set-top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5860A KR20020095860A (en) | 2002-12-28 |
KR100724358B1 true KR100724358B1 (en) | 2007-06-04 |
Family
ID=2770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41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4358B1 (en) | 2001-06-16 | 2001-06-16 | Interface device of digital set-top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43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9056A (en) * | 2002-10-30 | 2004-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system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for digital television and the control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0031B1 (en) * | 2002-10-24 | 2005-03-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Key process method for pdp set-top box |
KR101079586B1 (en) | 2006-09-04 | 2011-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ignal Receiv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7278A (en) * | 1994-06-01 | 1995-12-12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Remote control method |
KR19990055275A (en) * | 1997-12-27 | 1999-07-15 | 윤종용 | PC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set top box |
KR100207413B1 (en) * | 1995-12-23 | 1999-07-15 | 전주범 | Remote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between settop unit and interactive catv |
KR19990059532A (en) * | 1997-12-30 | 1999-07-26 | 구자홍 | Home automation devices |
-
2001
- 2001-06-16 KR KR1020010034163A patent/KR1007243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7278A (en) * | 1994-06-01 | 1995-12-12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Remote control method |
KR100207413B1 (en) * | 1995-12-23 | 1999-07-15 | 전주범 | Remote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between settop unit and interactive catv |
KR19990055275A (en) * | 1997-12-27 | 1999-07-15 | 윤종용 | PC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set top box |
KR19990059532A (en) * | 1997-12-30 | 1999-07-26 | 구자홍 | Home automation devic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9056A (en) * | 2002-10-30 | 2004-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system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for digital television and the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5860A (en) | 2002-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827229B (en) | Television receiver | |
JP3896103B2 (en) | TV receiving system using TV receiv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 |
US8756347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monitor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US8370879B2 (en) | Connection interface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with a television | |
JP2000076038A (en) | USB hub circuit and display device | |
CN1157946C (en) | System of apparatus and peripherals | |
KR100724358B1 (en) | Interface device of digital set-top box | |
US20070143821A1 (en) | Control method for integrating a display device with a digital television module | |
JP5548791B2 (en) | MONITOR DEVICE AND VIDEO PROCESSING DEVICE | |
US7420548B2 (en) |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9141940A (en) | Video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and video processing device | |
CN102595072B (en) |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elevision | |
CN201094160Y (en) | Multifunctional video and audio switching system | |
KR20010009579A (en) | Communication interface apparatus for television and computer | |
CN101533631A (en) | A monitor used in video surveillance and a monitoring system consisting of the monitor | |
TWI441155B (en) | Displays the control method that the device can charge for external device when standby | |
JP5205439B2 (en) | Video display device | |
JP2009010801A (en) | Connecting unit of video output device and bathroom television system | |
JP2006080816A (en) | Television receiver | |
JP5176541B2 (en) |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and bathroom TV system | |
JPH09261563A (en) | Panel type video display device | |
KR0146115B1 (en) | Composite TV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302843B1 (en) | Method for adjusting convergence in a projection tv | |
JP2005189364A (en) | Electronic equipment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KR20080064674A (en) | Automatic Power Control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6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