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639B1 -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3639B1 KR100723639B1 KR1020060007053A KR20060007053A KR100723639B1 KR 100723639 B1 KR100723639 B1 KR 100723639B1 KR 1020060007053 A KR1020060007053 A KR 1020060007053A KR 20060007053 A KR20060007053 A KR 20060007053A KR 100723639 B1 KR100723639 B1 KR 100723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laimed land
- water
- power generation
- aberration
- reclaim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8—Indexing equipment having means for clamp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together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10—Rotary indexing
- B23Q16/102—Rotary indexing with a continuous dr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23Q5/56—Preventing backlas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조력발전시스템은, 밀물시에 개방되어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썰물시작시 폐쇄되어 유입된 물을 저장되도록 하는 제 1 수문(취수갑문)이 구비된 제 1 간척지; 상기 제 1 간척지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썰물시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되도록 하는 제 2 수문(배수갑문)이 구비된 제 2 간척지; 상기 제 1 간척지와 상기 제 2 간척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간척지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며 흡입된 물에 의해 회전되는 안내날개와, 상기 안내날개와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물을 상기 제 2 간척지로 배출시키는 낙수관이 구비된 수차; 상기 수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claimed land provided with a first water gate (water intake lock) which is opened at high tide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inside and to be stored at low tide to store the inflowed water; A second reclaimed land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provided with a second water gate (drainage lock door) to drai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t low tide; A suction pip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the second reclaimed land and suck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reclaimed land, a guide wing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nd rotated by the sucked water, and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guide wing; Aberration having a downfall pipe for discharging wa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to the second reclaimed l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aberration to generate electricity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은 밀물과 썰물때 외에 조력발전을 하지 못했던 공백시간에도 발전설비를 계속 가동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어 전력수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력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조력발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stably generate power by continuously operat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during the empty time in which tidal power generation is not possible except during high tide and low tide, and smoothly supply and demand of power.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and generation time can be adjusted to have an effective tidal power generation.
또한, 지역사정을 고려하여 간척지(제 1 간척지, 제 2 간척지)의 역할을 서로 변경하여 어류, 염전과 같은 수산자원 또는 갯벌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패류 획득에도 일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ole of reclaimed land (first reclaimed land, second reclaimed land) can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local circumstances so that fish and fishery resources such as salt and salt or tidal flats can be efficiently us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cquisition of fish and shellfish. .
Description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의 평면도.1a and 1b are a plan view of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의 제 1 간척지에 물이 유입, 배수시를 각각 나타낸 제 1 수문의 작동상태도.Figure 3a and Figure 3b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water gate showing the time when the water flows in and out of the first reclaimed land of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4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ber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제 1 간척지와 제 2 간척지의 역할이 바뀐 상태에서 수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berration in the role of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the second reclaimed land is chang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제 1 간척지 11 : 제 1 수문10: first reclaimed land 11: first sluice
11a : 취수갑문 11b : 배수갑문11a: Intake Lock 11b: Drainage Lock
20 : 제 2 간척지 21 : 제 2 수문20: the second reclaimed land 21: the second floodgate
21a : 취수갑문 21b : 배수갑문21a: Intake Lock 21b: Drainage Lock
30: 수차 31: 흡입관30: aberration 31: suction pipe
32: 낙수관 33: 제 1 우회로32: Drainpipe 33: First Detour
34: 제 2 우회로 35: 제 1 밸브34: 2nd bypass 35: 1st valve
36: 제 2 밸브 40 : 발전기36: second valve 40: generator
본 발명은 조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석간만의 차이 및 해수의 흐름인 조류를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이 높은 발전을 할 수 있는 조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stable and high efficiency using tidal currents and tidal currents.
일반적인 조력발전은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곳에 댐을 건설하여 밀물때 수문을 닫아두었다가 수문을 열면 물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발전기 터빈을 돌려 발전하게 되며, 썰물때는 터빈의 날개가 반대방향으로 돌면서 발전하게 된다. In general tidal power generation, the dam is built in the tidal-tide bay, and the water gate is closed at high tide, and when the water gate is opened, the water flows in and rotates the generator turbine, and at low tide, the turbine blades turn in the opposite direction.
조력발전은 청정에너지로 조석간만의 차이를 예측 가능하여 발전용량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 지역은 큰 조석간만의 차이를 갖고 있어 조력발전에 적합하다.Tidal power is a clean energy that can predict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tides and thus can predict power generation capacity. Especially, the west coast of Korea has a big tidal difference, so it is suitable for tidal power.
그러나 종래의 조력발전은 연간 조석간만의 수위의 변화가 균일하지 않아 발전량을 균일하게 할 수 없으며, 밀물 및 썰물 외의 시간에는 조력발전을 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시간대에 필요한 전력수급을 원활하게 할 수 없고 발전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idal power gener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uniform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since the change in water level between tidal tides is not uniform, and tidal power generation is not possible at times other than high tide and low tide.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power supply and demand required at a desired time period could not be smoothly generated and power generation could not be arbitrarily adjus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시간대에 필요한 양의 전력수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to be able to stably supply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in the required time peri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지역사정을 고려하여 간조 또는 만조를 이루는 간척지의 역할을 변경할 수 있어 내부어민의 어패류 획득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an change the role of the reclaimed land to form a low tide or high tide in consideration of local circumstances to help fishers and shellfish acquisition of internal fisherme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력발전시스템은 밀물시에 개방되어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썰물시작시 폐쇄되어 유입된 물을 저장되도록 하는 제 1 수문(취수갑문)이 구비된 제 1 간척지; 상기 제 1 간척지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썰물시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되도록 하는 제 2 수문(배수갑문)이 구비된 제 2 간척지; 상기 제 1 간척지와 상기 제 2 간척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간척지로 유입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며 흡입된 물에 의해 회전되는 안내날개와, 상기 안내날개와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물을 상기 제 2 간척지로 배출시키는 낙수관이 구비된 수차; 상기 수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first water gate (intake lock door) to open the water at high tide so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to store the water introduced by closing at low tide 1 reclaimed land; A second reclaimed land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provided with a second water gate (drainage lock door) to drai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t low tide; A suction pip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the second reclaimed land and suck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reclaimed land, a guide wing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nd rotated by the sucked water, and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guide wing; Aberration having a downfall pipe for discharging wa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to the second reclaimed l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aberration to generate electricity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간척지의 제 1 수문과 제 2 간척지의 제 2 수문은 교대적인 개폐조작에 의해 제 1 간척지와 제 2 간척지의 역할이 서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luice of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the second sluice of the second reclaimed land change roles of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the second reclaimed land by alternat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수차는 낙수관으로부터 흡입된 물을 흡입관을 통해 수차로 보내는 제 1 우회로와, 수차를 통과하여 낙수관으로 배출되는 물을 흡입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우회로가 각각 구비되고, 제 1 간척지와 제 2 간척지의 역할이 바뀌었을 때 밸브의 개폐에 의해 제 2 간척지의 물이 제 1 우회로를 거쳐 수차를 통과하고 제 2 우회로를 거쳐 제 1 간척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ber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bypass for sending the water sucked from the downpipe to the aberration through the suction pipe, and a second bypass for allow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aberration to be discharged into the inlet pipe, respectively, When the role of the first reclaimed land and the second reclaimed land is changed, the water of the second reclaimed land passes through the aberration through the first bypass and is drained to the first reclaimed land through the second bypass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의 제 1 간척지에 물이 유입, 배수시를 각각 나타낸 제 1 수문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제 1 간척지와 제 2 간척지의 역할이 바뀐 상태에서 수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A and 1B are plan views of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first views of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ber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tate in which the roles of the first and second reclaimed lands are change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berration.
상기 제 1 간척지(10)는 밀물시에 개방되어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썰물시작시 폐쇄되어 유입된 물을 저장되도록 하는 제 1 수문(11)이 구비된다.The first reclaimed
상기 제 2 간척지(20)는 상기 제 1 간척지(10)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썰물시 유입된 물을 배수되도록 하는 제 2 수문(21)이 구비된다. The second reclaimed
즉, 제 1 간척지(10)는 만조호가 되며, 제 2 간척지(20)는 간조호가 되는 것이다(도 1a 참조).That is, the first reclaimed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 1 간척지(10)가 간조호가 되고 상기 제 2 간척지(20)가 만조호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간척지(20)는 밀물시 유입된 물을 저장되도 록 하며 상기 제 1 간척지(10)는 썰물시 유입된 물을 배수되도록 한다(도 1b 참조).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reclai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조 또는 만조되는 간척지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전력량이 많은 시간대와 같이 필요시에 시간을 조절하여 조력발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밀물과 썰물 외의 시간대에 조력발전을 하지 못했던 종래의 조력발전장치와는 달리 밀물과 썰물 외의 공백시간에도 수위를 조정하여 발전설비를 계속 가동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idal or high tide reclaimed land, respectively, so that tidal pow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time when necessary, such as a time zone with a large amount of power.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tidal power generation apparatus that did not have tidal power generation outside the high tide and low tide,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operate th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during the empty time other than the high tide and low tide to provide a stable power supply.
상기 제 1 수문(11), 제 2 수문(21)은 기계식, 유압식, 공압식 등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2a와 도 2b 및 도 3a와 도 3b에서와 같이 취수갑문(Inter gate)(11a,21a)과 배수갑문(Dranage gate)(11b,21b)이 각각 이중으로 구비된다. 밀물시 상기 배수갑문(11b,21b)이 개방되고 취수갑문(11a,21a)을 통해 물이 제 1 간척지(10) 또는 제 2 간척지(20)로 유입되게 되며, 썰물시작시 유입된 물은 취수갑문(11a,21a)의 폐쇄에 의해 제 1 간척지(10) 또는 제 2 간척지(20)에 저장되게 된다. 도 2a에서는 상기 제 1 간척지(10)가 만조호가 되고 상기 제 2 간척지(20)가 간조호가 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2b에서는 상기 제 1 간척지(10)가 간조호가 되고 상기 제 2 간척지(20)가 만조호가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The
이와 같이 하나의 수문에 취수갑문(11a,12a)과 배수갑문(11b,12b)을 각각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조력발전보다 수문 개폐조작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은 지역사정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간척지(10)의 제 1 수문(11)과 제 2 간척지(20)의 제 2 수문(21)은 교대적인 개 폐조작에 의해 제 1 간척지(10)와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이 서로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력발전뿐 만아니라 어업활동을 주업으로 하는 인근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산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us, by providing the water intake locks (11a, 12a) and the drainage locks (11b, 12b) in each of the water gates, it becomes easier to open and close the gate than the conventional tidal power generation. In addition,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opens and closes the
상기 수차(30)는 상기 제 1 간척지(10)와 상기 제 2 간척지(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간척지(10)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31)과, 상기 흡입관(31)과 연결되며 흡입된 물에 의해 회전되는 안내날개(미도시됨)와, 상기 안내날개와 연결된 회전축(미도시됨)과, 상기 흡입관(31)을 통해 흡입된 물을 상기 제 2 간척지(20)로 배출시키는 낙수관(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간척지(10)와 상기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간척지(10)가 간조호가 되고 상기 제 2 간척지(20)가 만조호가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수차(30)의 낙수관(32)은 흡입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수차(30)의 흡입관(31)은 낙수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간척지(10)가 만조호가 되고 상기 제 2 간척지(20)가 간조호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간척지(10)의 인근 주민들은 어류의 수산자원을 이용할 수 있고 제 2 간척지(20)의 인근 주민들은 염전, 갯뻘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 1 간척지(10)가 간조호가 되고 상기 제 2 간척지(20)가 만조호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간척지(20)의 인근 주민들은 어류의 수산자원을 이용할 수 있고 제 1 간척지(10)의 인근 주민들은 염전, 갯뻘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제 1 간척지(10)와 상기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이 바뀌는 경우 상기 제 1 간척지(10)와 제 2 간척지(20) 사이에 구비된 수차(30)는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한 방향으로의 물 흐름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4a와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수차(30)의 낙수관(32)으로부터 흡입된 물을 흡입관(31)을 통해 수차(30)의 안내날개로 보내는 제 1 우회로(33)와, 수차(30)의 안내날개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을 다시 흡입관(31)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우회로(34)가 구성된다. 도 4a에서는 제 1 간척지(10)가 만조호이고 제 2 간척지(20)가 간조호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4b에서는 반대의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간척지(10)와 상기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이 바뀌었을 때 제 1, 2 밸브(35,36)의 개폐에 의해 제 2 간척지(20)의 물이 제 1 우회로(33)를 거쳐 수차(30)의 안내날개를 통과하고 제 2 우회로(34)를 거쳐 제 1 간척지(10)로 배수되게 된다. 이를 통해 제 1 간척지(10)와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이 바뀌었을 때에도 수차(30)의 안내날개에는 한 방향으로만 공급되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으로 공급될 때에 비해 안내날개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안내날개에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선풍기 날개와 같이 방향성을 줄 수 있어 역률을 높게 효율적으로 발전기(40)를 가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roles of the first reclaimed
간단히 설명하면, 제 1 간척지(10)와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이 바뀌었을 때, 밸브(35,36)의 개폐에 의해 제 2 간척지(20)에 저장된 물은 제 1 우회로(33)를 거쳐 수차(30)의 안내날개를 통과하게 되고 제 2 우회로(34)를 거쳐 제 1 간척지(10)로 배수되게 되는 것이다. In brief, when the roles of the first reclai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조호와 만조호를 번갈아 가면서 주기적으로 교체해 줌으로써 간척지 인근주민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troubles of the residents near the reclaimed land by periodically replacing the tidal lake and the tidal lake alternately.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발전기(40)와 연결되며 안내날개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는 발전을 하게 된다.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the
상기 발전기(40)는 수차(3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자기유도작용으로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송전시설(미도시됨)을 통해 필요한 장소로 공급된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의 높이 차이에 의한 수압을 통해 발전하게 되고 이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조력발전보다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reservoir and by adjusting it can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tidal power generation.
위와 같이 구성된 조력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tidal power gen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밀물시에는 상기 제 1 간척지(10)의 제 1 수문(11)을 통해 물이 유입되게 된다. During high tide, water flows through the
밀물시 상기 제 1 수문()에 상기 배수갑문(11b)이 개방되고 취수갑문(11a)을 통해 물이 제 1 간척지(10)로 유입되게 되며, 썰물시작시에 유입된 물은 취수갑문(11a)에 폐쇄에 의해 제 1 간척지(10)에 저장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간척지(10)에 저장된 물은 수차(30)의 흡입관(31)을 통해 흡입되게 되며 흡입된 물은 수차(30)의 안내날개를 회전시키고 수차(30)의 낙수관(32)을 통해 상기 제 2 간척지(20)로 낙수되게 된다. 안내날개가 회전되면 안내날개와 연동되는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축과 연결된 발전기(40)를 발전시키게 된다. 한편, 제 2 간척지(20)에 유입된 물은 제 2 수문(21)의 취수갑문(21a)과 배수갑문(21b)이 모두 개방된 상태이므로, 밀물시 제 2 간척지(20)의 배수갑문(21b)에 의해 막히게 되어 물의 유입 이 방지되게 된다. At the time of high tide, the
제 1 간척지(10)와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이 바뀌는 경우에는, 밀물시 제 2 간척지(20)에 구비된 제 2 수문(21)의 배수갑문(21b)이 개방되고 취수갑문(21a)이 개방되어 제 2 간척지(20)에 물이 유입되게 되고 썰물시작시에는 제 2 수문(21)의 취수갑문(21a)이 폐쇄되어 제 2 간척지(20)에 유입된 물을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제 2 간척지(20)에 저장된 물은 낙수관(32)으로부터 흡입되어 제 1 밸브(35)의 개방에 의해 제 1 우회로(33)로 유입되게 된다. 제 1 우회로(33)를 통해 우회된 물은 안내날개를 통과하면서 안내날개를 회전시키게 되고 배출된 물은 제 2 밸브(36)의 개방에 의해 제 2 우회로(34)를 통해 흡입관(31)으로 배출되게 된다. 즉, 제 1 간척지(10)와 제 2 간척지(20)의 역할이 바뀌어도 수차(30)를 통과하는 물은 한방향으로만 흐르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roles of the first reclaimed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시스템은 밀물과 썰물때 외에 조력발전을 하지 못했던 공백시간에도 발전설비를 계속 가동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어 전력수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력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조력발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generate power by continuously operat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even in the absence of tidal power generation in addition to high tide and low tide, thereby smoothly supplying power, and necessity. According to the tidal power generation and generation time can be adjusted to have an effective tidal power generation effect.
또한, 지역사정을 고려하여 간척지(제 1 간척지, 제 2 간척지)의 역할을 서로 변경하여 어류, 염전과 같은 수산자원 또는 갯벌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어패류 획득에도 일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ole of reclaimed land (first reclaimed land, second reclaimed land) can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local circumstances so that fish and fishery resources such as salt and salt or tidal flats can be used efficiently, thus contributing to the acquisition of fish and shellfish. hav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053A KR100723639B1 (en) | 2006-01-24 | 2006-01-24 |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053A KR100723639B1 (en) | 2006-01-24 | 2006-01-24 |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3639B1 true KR100723639B1 (en) | 2007-06-04 |
Family
ID=3835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70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3639B1 (en) | 2006-01-24 | 2006-01-24 |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363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3462B1 (en) | 2011-05-06 | 2011-10-17 | 이한석 | Tidal power systems |
KR20160072073A (en) * | 2015-05-20 | 2016-06-22 | 해양복류발전 합자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double flow tidal power devicesd |
WO2016186446A1 (en) * | 2015-05-20 | 2016-11-24 | 해양복류발전합자회사 | Construction method for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multiple-flow power generation from installation of uniflow generator |
CN111395282A (en) * | 2020-03-30 | 2020-07-10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ower by clinging to tidal pool additionally built on harbor poo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6989A (en) * | 2003-01-21 | 2004-07-30 | 김태호 | A water- power generation system |
-
2006
- 2006-01-24 KR KR1020060007053A patent/KR1007236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6989A (en) * | 2003-01-21 | 2004-07-30 | 김태호 | A water- power generation system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3462B1 (en) | 2011-05-06 | 2011-10-17 | 이한석 | Tidal power systems |
WO2012153896A1 (en) * | 2011-05-06 | 2012-11-15 | Je Kyung Moon |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
KR20160072073A (en) * | 2015-05-20 | 2016-06-22 | 해양복류발전 합자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double flow tidal power devicesd |
WO2016186446A1 (en) * | 2015-05-20 | 2016-11-24 | 해양복류발전합자회사 | Construction method for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multiple-flow power generation from installation of uniflow generator |
KR101705326B1 (en) * | 2015-05-20 | 2017-02-09 | 해양복류발전 합자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double flow tidal power devicesd |
CN107075827A (en) * | 2015-05-20 | 2017-08-18 | 海洋复流发电(合) | Construction method of tidal power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multi-flow power generation by installing single-flow generator |
CN111395282A (en) * | 2020-03-30 | 2020-07-10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ower by clinging to tidal pool additionally built on harbor poo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72679B (en) | Hydroelectric power plant | |
US8147168B2 (en) | Waste water electrical power generating system | |
US4241283A (en) | Hydro-electric power plant | |
KR100723639B1 (en) |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 |
Simmons et al. | Archimedes screw generators for sustainable micro‐hydropower production | |
KR101180641B1 (en) | Double Current Tidal Electric Power Station | |
JP2008144361A (en) | Water management device of dam | |
Dreyer |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low-level outlet shape on the scour cone formed during pressure flushing of sediments in hydropower plant reservoirs | |
CN107630439B (en) | A kind of river water intake method that is conducive to sand removal treatment | |
KR102818755B1 (en) | Generating system for using small hydropower | |
CN109371932A (en) | Waterpower vertical shaft type crosses fish structure | |
JPH10274146A (en) | Tidal level installed at sluice gate in water area surrounded by dike in coastal sea area | |
JP3486330B2 (en) | Sand removal system | |
KR101879604B1 (en) | Breakwater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ity | |
CN207348005U (en) | A kind of double-screw type water intaking desilting device | |
CN109183739A (en) | It is a kind of can the anti-silting rotary tide-block sluice of dredging | |
KR100961733B1 (en) | Multi-stag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Tunnel Type Storage System | |
CN209429074U (en) | Waterpower vertical shaft type crosses fish structure | |
JP3957213B2 (en) | Sand removal structure of floating undulating gate facility | |
CN222614209U (en) | Mud pit moisturizing anti-sedimentation device | |
KR100453798B1 (en) | Deposit oemoving apparatus of sluice | |
KR20130037137A (en) | Waterway pipe for reinforcement and control of runoff | |
CN215977638U (en) | Sea drainage pump station capable of realizing energy-saving operation by utilizing tide | |
CN109281295A (en) | Power station | |
Visvanathan | Keynote Address: SILT DISPOSAL FROM RESERVOI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