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3331B1 -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331B1
KR100723331B1 KR1020060027921A KR20060027921A KR100723331B1 KR 100723331 B1 KR100723331 B1 KR 100723331B1 KR 1020060027921 A KR1020060027921 A KR 1020060027921A KR 20060027921 A KR20060027921 A KR 20060027921A KR 100723331 B1 KR100723331 B1 KR 10072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nel
fiber sheet
reinforcing fiber
edge
panel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2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3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함으로 석패널의 강도가 보강되어 동일한 강도대비 석패널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테두리 단면의 촉구멍 가공시 절리 및 파쇄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 테두리보강 석패널과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두리보강 석패널은 건축물의 내·외장용 마감판으로 사용되는 석패널로서, 석패널본체; 및, 상기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되는 보강섬유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섬유시트 위로는 보강섬유시트를 함침시키는 수지함침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섬유시트로는 탄소섬유시트를 채택할 수 있다.
테두리보강, 석패널, 보강섬유, 탄소섬유, 촉구멍

Description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The reinforced stone panel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도 1은 석패널의 촉구멍 가공시 나타나는 절리 및 파쇄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석패널본체 20: 보강섬유시트
30: 수지함침층 40: 촉구멍
100: 고정철물 200: 실링
본 발명은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한 테두리보강 석패널과 그 제 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함으로 석패널의 강도가 보강되어 동일한 강도대비 석패널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테두리 단면의 촉구멍 가공시 절리 및 파쇄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 테두리보강 석패널과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패널은 건축용 내·외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로서, 특히 건축물의 비내력 외벽 마감을 위한 석재 커튼월 구조에 많이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석재 커튼월 공사는 (1)수직재와 수평재를 격자형으로 조립하여 트러스를 제작하여 그 트러스를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고 (2)고정철물을 이용하여 트러스에 석재 커튼월을 고정시키고 (3)커튼월 부재간의 연결부위를 실리콘 등으로 실링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고정철물을 석재 커튼월에 긴결시키기 위해 석패널의 테두리 단면에는 촉구멍 가공이 선행되어야 한다.
촉구멍은 석패널의 테두리 단면에서 수직으로 홈을 파내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석패널의 촉구멍 가공 후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절리 또는 파쇄현상이 쉽게 일어나게 마련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리석류인 수성암, 변성암, 점판암 등에, 석패널의 밀도가 클수록, 두께가 작을수록, 크기가 클수록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데, 종래에는 석패널 자체의 두께를 키우거나 메탈밴딩 처리, 테이핑 처리, 고정철물 변경 등의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원가상승 또는 외관손상의 원인이 되거나 외부영향에 따른 부식문제가 있거나, 품질확보에 미흡하다는 단점을 가지거나, 시공성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는 등 완전한 해결방법이 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함으로 석패널의 강도가 보강되어 동일한 강도대비 석패널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테두리 단면의 촉구멍 가공시 절리 및 파쇄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 테두리보강 석패널과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하는 것만으로 보강이 완료되어 별도의 장비나 공구의 필요없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테두리보강 석패널과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패널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된 보강섬유시트가 완충작용을 하여 석패널 상호간의 부딪힘에 의한 자재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테두리보강 석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용 마감판으로 사용되는 석패널로서, 석패널본체; 및, 상기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되는 보강섬유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강섬유시트 위로는 보강섬유시트를 함침시키는 수지함침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섬유시트로는 탄소섬유시트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용 마감판으로 사용되는 석패널을 제작함에 있어서, (a)일정 크기로 커팅된 석패널본체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 (b)상기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c)상기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하는 단계; 그리고, (d)상기 보강섬유시트 위로 수지를 도포하여 보강섬유시트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d)단계 후에는 보강섬유시트가 접착된 부분에 촉구멍을 가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두리보강 석패널은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20)가 접착된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석패널본체(10)는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석재로 일정크기로 가공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섬유시트로 보강하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얇은 두께의 것을 채택할 수 있게 되며, 테두리 단면에 촉구멍 가공시 절리현상이 잘 발생하는 대리석류인 수성암, 변성암, 점판암의 채택도 무방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되는 석패널본체(10)의 단면적 축소에 기인한 원가절감이 가 능하게 되고, 나아가 시공시의 양중무게 감소에 따른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석패널본체(10)는 건축용 내·외장재로의 사용을 감안하면 그 두께가 25~30㎜인 것이 적당하다.
보강섬유시트(20)는 석패널본체(10)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된다. 보강섬유시트(20)는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 단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접착한다. 이러한 보강섬유시트(20)는 석패널본체(10)의 보강역할은 물론, 석패널본체(10)의 완충쿠션으로도 역할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테두리보강 석패널은 석패널 상호간 단면이 맞닿아 설치되기 마련인데, 이때 석패널본체 단면에 보강섬유시트가 접착됨으로 석패널본체(10)끼리 서로 맞닿지 않으면서 보강섬유시트(20)끼리 서로 맞닿게 되는 바, 보강섬유시트(20)가 석패널본체(10) 상호간이 맞닿아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쿠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섬유시트(20)는 그 폭이 석패널본체(10) 두께보다 작아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 단면 중심에만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강섬유시트(20)가 석패널본체(10)의 표면보다 내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테두리보강 석패널을 내·외장 마감재로 하여 설치하는 경우 석패널 사이의 줄눈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줄눈으로 처리되도록 유도하여 실링처리시 말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5 참고). 석패널본체(10)의 두께가 25~30㎜인 경우에는 보강섬유시트(20)는 그 폭이 20~23㎜ 정도의 것을 채택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섬유시트(20)로는 탄소섬유시트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탄소섬유시트는 강도는 물론 탄성이 우수하여 석패널본체(10)의 균열과 쪼개짐을 억제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나아가, 탄소섬유시트는 비중이 철의 1/4로 가볍고 석패널본체 표면에 약 1㎜ 정도의 얇은 두께로 접착할 수 있으므로, 접착 후 석패널본체에 대한 중량 및 단면증가를 극히 작게 할 수 있어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경량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은 탄소섬유시트는 접착력이 우수한 상온 경화형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섬유시트(20) 위로는 보강섬유시트(20)를 함침시키는 수지함침층(3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수지함침층(30)은 보강섬유시트(20) 위로 수지를 도포함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데, 보강섬유시트(20)의 접착에 이용한 수지와 동일 물성을 갖는 것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함침층(30)은 보강섬유시트(2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석패널본체(10)에 밀착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강섬유시트(20)의 완충쿠션 역할을 보완하기도 하며, 나아가 테두리보강 석패널을 설치하는 경우 석패널 사이의 틈 발생을 억제하여 방수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보강에 보강섬유시트(20)와 수지함침층(30)을 이용하면, 물, 염분, 산, 자외선 등 외부 영향에 따른 부식염려가 없으므로 석재의 중성화와 열화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섬유시트(20)가 접착되거나, 그 위에 수지함침 층(30)이 더 형성되도록 테두리보강 석패널을 완성하면, 이렇게 완성된 석패널 테두리 단면에 촉구멍(40)을 가공할 수 있다. 일단 보강섬유시트(20)와 수지함침층(30)에 의해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가 보강되므로 촉구멍(40)을 가공하더라도 절리 또는 파쇄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 이를 참고하여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a)표면처리- 도 3(a)
일정 크기로 커팅된 석패널본체(10)의 표면을 처리한다. 커팅 작업에서 생기는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세척한 후 건조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b)접착용 수지 도포- 도 3(b)
상기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한다. 다만, 접착용 수지의 도포 전에 붓 등을 이용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석패널본체(10)와 접착용 수지의 접착력을 향상되도록 유도하고 석패널본체(10) 표면에 퍼티(작은 구멍)를 처리하여 기포로 인한 접착용 수지의 들뜸현상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c)보강섬유시트 접착- 도 3(c)
상기 석패널본체(10)의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20)를 접착한다. 보강섬유시트(20)는 그 폭이 석패널본체(1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채택하여 석패널본체(10) 표면에서 들어간 상태로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 기포제거용 롤러를 이용하여 보강섬유시트(10)의 섬유배열에 맞춰 보강섬유시트(20)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보강섬유시트 함침- 도 3(d)
상기 보강섬유시트(20) 위로 수지를 도포하여 보강섬유시트(20)를 함침시킨다. 이로써, 수지함침층(30)이 형성된다. 이때, 함침두께가 일정하도록 하면서 수지가 석패널본체 표면까지 도포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e)촉구멍 가공- 도 3(e)
보강섬유시트(20)가 접착된 부분에 촉구멍(40)을 가공하도록 한다.
이렇게 완성된 테두리보강 석패널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석재 커튼월 구조의 외장재로 설치될 수 있다. 테두리보강 석패널의 촉구멍(40)에 고정철물(100)을 끼워 설치하게 되며, 석패널 사이의 틈에는 실링(200)으로 마감하여 밀실하게 처리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석패널을 보강할 있게 되며, 이러한 보강으로 동일한 강도대비 석패널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테두리 단면의 촉구멍 가공시 절리 및 파쇄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석패널을 내·외장재로 설치하는 경우 양중무게 감소에 따는 시공성의 향상과 자재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섬유시트는 물론 수지함침층으로 석패널의 테두리 단면 을 보강하기 때문에, 이를 내·외장재로 설치하는 경우 석패널 상호간의 틈이 보강섬유시트와 수지함침층으로 메워지므로 방수효과가 기대되며, 나아가 석패널 상호간의 부딪힘에 의한 자재파손이 억제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7)

  1. 건축물의 내·외장용 마감판으로 사용되는 석패널로서,
    석패널본체; 및,
    상기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되는 보강섬유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보강섬유시트 위로 도포되어 보강섬유시트를 함침시키는 수지함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3. 제1항에서,
    상기 보강섬유시트는 그 폭이 석패널본체 두께보다 작아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 중심에만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보강섬유시트가 접착된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촉구멍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5. 제4항에서,
    상기 보강섬유시트는 탄소섬유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6. 건축물의 내·외장용 마감판으로 사용되는 석패널을 제작함에 있어서,
    (a)일정 크기로 커팅된 석패널본체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
    (b)상기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c)상기 석패널본체의 테두리 단면에 보강섬유시트를 접착하는 단계; 그리고,
    (d)상기 보강섬유시트 위로 수지를 도포하여 보강섬유시트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제작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d)단계 후에는 보강섬유시트가 접착된 부분에 촉구멍을 가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강 석패널 제작방법.
KR1020060027921A 2006-03-28 2006-03-28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2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921A KR100723331B1 (ko) 2006-03-28 2006-03-28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921A KR100723331B1 (ko) 2006-03-28 2006-03-28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331B1 true KR100723331B1 (ko) 2007-05-30

Family

ID=3827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9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3331B1 (ko) 2006-03-28 2006-03-28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651A (zh) * 2017-10-28 2018-01-16 自贡市金土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石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96A (ko) * 1989-07-06 1991-02-25 유병우 불포화 합성 강화 대리석
JPH0381447A (ja) * 1989-08-25 1991-04-05 Nippon Steel Chem Co Ltd 複合ストーンパネル
JPH03247852A (ja) * 1990-02-23 1991-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石材パネル
JPH0525905A (ja) * 1991-07-25 1993-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石材パネル
KR20000058642A (ko) * 2000-06-21 2000-10-05 김창섭 보강철심이 매설된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366514Y1 (ko) 2004-08-03 2004-11-09 이성희 섬유보강 자연석 마감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96A (ko) * 1989-07-06 1991-02-25 유병우 불포화 합성 강화 대리석
JPH0381447A (ja) * 1989-08-25 1991-04-05 Nippon Steel Chem Co Ltd 複合ストーンパネル
JPH03247852A (ja) * 1990-02-23 1991-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石材パネル
JPH0525905A (ja) * 1991-07-25 1993-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石材パネル
KR20000058642A (ko) * 2000-06-21 2000-10-05 김창섭 보강철심이 매설된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366514Y1 (ko) 2004-08-03 2004-11-09 이성희 섬유보강 자연석 마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651A (zh) * 2017-10-28 2018-01-16 自贡市金土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石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9033A1 (ja) 化粧石板付パネル
KR100723331B1 (ko) 테두리보강 석패널 및 그 제작방법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CN104912319A (zh) 一种高强度、高刚度的复合材料模板及其制作方法
CN103866990A (zh) 一种x型玄武岩纤维布加固剪力墙的方法
JP5612884B2 (ja) 耐震外壁構造および耐震外壁工法
CN210597929U (zh) 一种直角边包覆带槽镁基板组件
KR101227987B1 (ko) 이종 석재 복합 석판의 제조 방법 및 동 제조 방법에 의한 석판
CN211313353U (zh) 一种复合清水模板
KR101672303B1 (ko) 전단균열이 발생되기 전 보강재를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EP3134598B1 (en) Method for glazing a door blade and door
JP2008121236A (ja) 基礎の補強構造
CN210067247U (zh) 一种刚柔复合防水结构
KR102203874B1 (ko)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JP2013076250A (ja) モルタル外壁の接合構造及びモルタル外壁の接合方法
JP2005068921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CN210508170U (zh) 一种一体成型镂空石材板
KR101287972B1 (ko)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JP6895226B2 (ja) 壁パネルの目地工法および目地構造
JP4279924B2 (ja) 表面加工された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01842941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벽체패널 조립체
CN212957743U (zh) 一种混凝土地坪修补结构
KR20110027093A (ko) 창호 시스템
CN209817238U (zh) 一种木工吊顶棚角防开裂结构
CN214301548U (zh) 一种水利工程用护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