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2881B1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881B1
KR100722881B1 KR1020050113160A KR20050113160A KR100722881B1 KR 100722881 B1 KR100722881 B1 KR 100722881B1 KR 1020050113160 A KR1020050113160 A KR 1020050113160A KR 20050113160 A KR20050113160 A KR 20050113160A KR 100722881 B1 KR100722881 B1 KR 10072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xt
information
contents
nume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또는 수신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필요한 부분을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과 기능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와; 텍스트 또는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 베이스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AVING MESSAGE CONT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저장에 따른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무선통신부 22: 오디오 처리부
23: 키패드 24: 메모리
25: 제어부 26: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또는 수신 메시지의 메 시지 내용중 필요한 부분을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 서비스와 메시지를 통해 상대방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들어 정보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화사회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요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그 보급이 계속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메모와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는 전자수첩기능과 음성통화 기능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메시지를 통한 단말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가 가능한 메모 모드는 입력되는 문자와 숫자를 저장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이 가능한 메시지 모드상에서는 입력되는 문자와 숫자의 메시지를 상대 단말로 전송한다. 이러한 상기 메시지 모드는 음성통화가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어, 메시지 모드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메시지 모드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내용중 중요한 메시지 내용을 단말에 저장하기 위해서 메시지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가 스케쥴, 메모장 또는 전화번호부를 실행시켜 사용자가 직접 키버튼을 조작해서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송신 또는 수신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필요한 부분을 특정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 또는 수신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과 기능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와;
텍스트 또는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 베이스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하여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된 메시지 내용을 각각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는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텍스트와 숫자 혹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을 스케쥴에 저장하고, 숫자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은 전화번호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바로 사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따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텍스트 정보와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며, 그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텍스트 정보와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특정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하도록 한후, 그 선택된 부분을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인 식한다. 그래서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인식한 메시지 내용을 스케쥴이나 전화번호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문자메시지의 저장하고자 하는 본문 내용을 선택하는 일예의 방법으로는 드래그(drag)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특정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자 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스케쥴과 전화번호부중 임의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저장에 따른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송신 문자메시지 혹은 수신 문자메시지의 본문내용이 도 1(a)와 같은 "주말 12:00에 강남에서 모임. 꼭 참석해. 연주한테도 연락해. 019-123-4567이다. 즐거운 하루 보내라."라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도 1(a)의 문자메시지의 본문내용을 데이터베이스인 스케쥴(또는 메모장)과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고자 하면, 방향키를 조작하여 본문내용중 저장하고자 하는 해당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즉, 도 1(b)와 같이 "연주한테도 연락해"라는 메시지를 스케쥴에 저장하기 위해 커서를 참조부호 a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송신 문자메시지인 경우에는 메시지의 입력을 위한 커서가 존재하게 되지만, 수신 문자메시지인 경우에는 수신 메시지를 확인하는 중에 특정키(일예로 메뉴키)를 입력하여 저장메뉴를 선택 하면 커서가 생성된다.
그래서 커서를 이용하여 송수신 문자메시지중 저장을 희망하는 부분을 방향키를 이용하여 도 1(c)의 참조부호 ①,②,③과 같이 드래그하여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참조부호 ①,②,③은 연속적으로 드래그 되지 않기 때문에 ①,②,③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후, 메뉴키를 선택하면 도 1(d)와 같이 그 메뉴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메뉴 팝업창(1. 스케쥴, 2. 전화번호부, 3. 발신 등)이 표시된다.
그러면 참조부호 ①의 내용을 스케쥴에 저장하기 위해 메뉴 팝업창의 "1. 메모장"을 선택하면 도 1(e)와 같이 스케쥴에 상기 참조부호 ①에 대한 내용 즉, "주말 12:00에 강남에서 모임"이 스케쥴 정보로 저장된다.
또한 참조부호 ②의 내용을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기 위해 메뉴 팝업창의 "2. 전화번호부"를 선택하면 도 1(f)와 같이 전화번호부에 상기 참조부호 ②에 대한 내용 즉, "연주"가 이름정보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연주는 전화번호부의 이름으로 인식되어 이름영역에 저장된다. 이는 전화번호부의 숫자가 아니므로 단말이 자동으로 이름으로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하면 가능하다.
또한 참조부호 ③의 내용을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기 위해 메뉴 팝업창의 "2. 전화번호부"를 선택하면 상기 도 1(f)와 같이 전화번호부에 상기 참조부호 ③에 대한 내용 즉, "019-123-4567"이 휴대폰번호 정보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019-123-4567"의 전화번호를 휴대폰번호로 저장함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휴대폰번호, 집전화번 호 등으로 자동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메뉴 팝업창의 "3. 발신"을 선택하면, 도 1(g)와 같이 송수신 문자메시지의 본문내용의 전화번호 "019-123-4567"의 "연주"에게 발신을 시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1)는 호 착발신에 대한 음성신호와 송신 및 수신 문자메시지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2)는 상기 무선통신부(21)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2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23)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에 따른 기능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4)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에 따른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에 따라 스케쥴에는 스케쥴 정보, 전화번호부에는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5)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선택한 부분을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하여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따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텍스트정보와 숫자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즉, 메시지 내용중 선택한 부분이 텍스트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되면, 선택한 부분을 스케쥴 또는 메모장에 스케쥴 또는 메모장 정보로 저장하고, 숫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되면, 선택한 부분을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 정보로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 내용중 선택한 부분이 텍스트와 숫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되면, 선택한 부분을 스케쥴에 스케쥴 정보로 저장한다.
표시부(26)는 상기 제어부(25)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저장모드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6)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3)와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선택된 메시지 내용을 스케쥴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25)는 무선통신부(21)를 통해 송신하고자 키패드(23)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문자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하고, 상기 무선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표시부(26)에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가 표시되고 있는 중에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 실행되면, 키패드(23)의 키조작에 의해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선택한 부분을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와 숫자를 분리하여 인식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25)는 인식한 메시지 내용중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숫자로 이루어진 선택한 부분의 메시지 내용을 스케쥴 정보로 메모리(24)의 스케쥴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인식한 메시지 내용중 숫자를 전화번호 정보로 메모리(24)의 전화번호부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중 저장하고자 선택한 부분에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그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제어부(25)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303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303단계에서 제어부(25)는 수신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며 305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307단계에서 제어부(25)는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문자메시지 작성중인지를 판단하여 송신 문자메시지 작성중이면, 309단계로 진행하여 송신하고자 입력되는 문자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303단계와 309단계 이후, 제어부(25)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이면, 311단계에서 제어부(25)는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사용자로부터 저장하고자 희망하는 부분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저장하고자 희망하는 부분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예로, 문자메시지의 내용중 저장하고자 희망하는 부분을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도 있다.
313단계에서 제어부(25)는 저장하고자 입력된 부분의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하여 인식한다.
이후, 315단계에서 제어부(25)는 저장하고자 입력된 부분의 메시지 내용이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것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이루어지면, 317단계로 진행하여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메시지내용을 스케쥴에 저장한다.
상기 판단결과, 저장하고자 입력된 부분의 메시지 내용이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면, 319단계에서 제어부(25)는 저장하고자 입력된 부분의 메시지 내용이 텍스트정보로 이루어진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에, 텍스트정보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이면, 321단계에서 제어부(25)는 텍스트정보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을 스케쥴에 저장한다.
그러나, 텍스트정보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이 아니면, 323단계에서 제어부(25)는 저장하고자 입력된 부분의 메시지 내용이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것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이면, 325단계에서 제어부(25)는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메시지 내용을 전화번호부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하는 부분의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스케쥴, 메모장 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예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 또는 수신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에 저장하고자 하는 부분을 특정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가 직접 저장하고자 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 또는 수신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선택한 부분을 텍 스트정보와 숫자정보로 분리하고, 그 분리결과 텍스트와 숫자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는 스케쥴 혹은 메모장에 저장되고, 텍스트 정보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됨으로써, 중요한 스케쥴 혹은 메모내용에 대해 사용자가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 또는 수신 메시지의 메시지 본문내용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희망하는 경우에 메시지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호 발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호 발신을 시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과 기능키를 구비한 키패드와;
    텍스트 또는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 베이스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텍스트 정보,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스케쥴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스케쥴과,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전화번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전화번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 실행시에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선택한 부분을 텍스트와 숫자 정보로 분리하여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따른 메시지 내용을 분류하여 각각 해당 데 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드래그(drag)로 선택된 부분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부분을 텍스트와 숫자 정보로 분리하여 각각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정보로 호 발신을 시도하고, 송신 또는 수신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을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에 대하여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된 메시지 내용을 각각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저장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한 부분을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하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저장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텍스트와 숫자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저장모드 실행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저장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문자메시지의 메시지 내용중 저장하고자 하는 부분을 드래그(drag)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저장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된 메시지 내용이 텍스트정보인 경우와 텍스 트와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케쥴 또는 메모장에 그 텍스트 정보와 그 텍스트와 숫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와 숫자정보로 분리된 메시지 내용이 숫자정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화번호부에 그 숫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저장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정보로 분리된 메시지 내용에 대해 호 발신요구시 상기 숫자정보에 해당하는 상대방측으로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내용저장방법.
KR1020050113160A 2005-11-24 2005-11-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 KR10072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60A KR100722881B1 (ko) 2005-11-24 2005-11-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60A KR100722881B1 (ko) 2005-11-24 2005-11-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881B1 true KR100722881B1 (ko) 2007-05-30

Family

ID=3827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160A KR100722881B1 (ko) 2005-11-24 2005-11-2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61B1 (ko) * 2008-07-11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대화 보관함 검색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62A (ko) * 2002-05-24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저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62A (ko) * 2002-05-24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저장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2003-009116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61B1 (ko) * 2008-07-11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대화 보관함 검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5655B2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KR101542136B1 (ko)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5148083B2 (ja) メモ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US20070004461A1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US20080282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text input
EP1701339A2 (en) Method for controlling emotion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US873153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therein
US20200106875A1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7858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050103130A (ko)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KR100735412B1 (ko) 동일 송수신 번호에 대해 빠른 단문 메시지 검색을 위한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2881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내용 저장방법
KR100453160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멀티 에쓰엠에쓰 전송 방법
CN110602325B (zh) 一种终端的语音推荐方法和装置
KR100664241B1 (ko) 멀티 편집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KR1004482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CN113672152A (zh) 显示方法及装置
KR1006781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 편집 방법
WO2015011217A1 (en) User-interface using rfid-tags or voice as input
KR100664250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중문자 표시방법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04004466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즐겨찾기 방법
KR101134829B1 (ko) 메시지 검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626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부가 기능 수행 방법
KR10066343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