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754B1 - High Rigidity Panel for Double Floor System 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High Rigidity Panel for Double Floor System 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2754B1 KR100722754B1 KR1020040102203A KR20040102203A KR100722754B1 KR 100722754 B1 KR100722754 B1 KR 100722754B1 KR 1020040102203 A KR1020040102203 A KR 1020040102203A KR 20040102203 A KR20040102203 A KR 20040102203A KR 100722754 B1 KR100722754 B1 KR 1007227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plate
- aluminum
- reinforcement
- plate
- dou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바닥재용 상판에 관한 것으로, 상부판, 하부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위치하는 사각의 보강재틀, 및 상기 사각의 보강재틀 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알루미늄 보강재로 이루어진 이중바닥재용 상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plate for double floors, comprising a top plate, a bottom plate, a square reinforcement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a top plate for double floors made of at least one aluminum reinforcement disposed in the square reinforcement frame. to provide.
본 발명은 이중바닥재용 상판에 다양한 리브구조 또는 중공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를 적용함으로써, 상판의 고강성과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안정적인 보행감과 보다 넓은 지지대 배치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n aluminum reinforcing material having various rib structures or hollow structures to a double floor top plate, high rigidity and light weight of the top plate can be realized, and a more stable walking feeling and a wider support spacing interval can be ensured.
이중바닥, 상판, 보강재, 알루미늄, 리브, 강성, 보행감Double bottom, top plate, reinforcement, aluminum, rib, rigidity, walking feel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재용 상판의 분해 평면도,1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top plate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을 적용한 이중바닥 시스템의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ouble bottom system to which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a 내지 도 3ℓ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용 상판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의 내부 단면도이다.Figure 3a to 3l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luminum reinforcement having a variety of structures applied to the top plate for a double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중바닥 시스템 20: 상판10: double bottom system 20: top plate
21: 상부판 22: 하부판21: upper plate 22: lower plate
23: 보강재틀 24: 알루미늄 보강재23: reinforcement frame 24: aluminum reinforcement
25: 리브 26: 중공25: rib 26: hollow
27: 요홈부 30: 지지대27: groove 30: support
본 발명은 건식 이중바닥 시스템의 상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리브구조 또는 중공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를 적용하여 고강성을 부여한 이중바닥재용 상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plate of a dry double bottom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plate for a double bottom material to which high rigidity is applied by applying aluminum reinforcement having various rib structures or hollow structures.
일반적으로 주택, 사무실, 전산실, IT관련 전자제품 공장 등의 실내공간에서 전선, 배관처리 등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대(30) 위에 이중바닥재의 상판(20)이 전개되어 지지대 높이와 간격 만큼의 활용공간을 갖는 이중바닥 시스템(10)이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국내 이중바닥 제품의 경우, 비교적 무거운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스틸 지지대, 무기질 상판과 같은 견고한 부품을 사용함에 따라 비교적 고중량 자재가 소요되고, 지지대 배치간격이 500×500 ㎜, 600×600 ㎜ 정도이어서 시공속도가 능률적이지 못하며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라 의존하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domestic double-floor products, relatively heavy weights are required by using solid parts such as steel support and inorganic top plate to withstand relatively heavy load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is 500 × 500 mm and 600 × 600 mm. Speed is not efficient and depends on the skill of the contractor.
또한 일본의 경우에는 공동주택에 이중바닥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하부배관처리, 경량바닥충격음 저감대책이 주목적이고, 국내에서의 관심사인 중량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은 극미한 수준이며, 다양한 건물구조에 대한 시공대응력에 따라 오히려 저감성능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고무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중바닥 위를 보행시 울렁임을 유발시켜 통상의 단단한 시멘트몰탈 바닥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유발한다.In addition, in Japan, the double-floor system is applied to multi-unit houses, but the lower piping treatments and light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measures are the main focus, and the weight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which is a concern in Korea, is minimal and construction for various building structures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responsiveness, the reduction performance may deteriorate. In addition, soft rubber is applied to maximize the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which causes wandering when walking on the double floor, causing anxiety to those who are used to the normal hard cement mortar floor.
종래의 일본건식 차음 이중바닥 시스템은 콘크리트 바닥 위에 다수의 지지대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 위에 다수의 상판이 재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각 지지대간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즉 지지대의 개수가 적을수록 바닥의 수평레벨 조절횟수가 단축되어 시공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대 소 요비용이 절약된다. 그러나 지지대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이중바닥재의 상판 강도 저하 현상으로 보행시 울렁임 현상과 처짐성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제약조건으로 인해 지금까지 선행제품의 경우 지지대의 간격거리는 최대 600×455 ㎜로 적용되었다.The conventional Japanese sound insulation double floor system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concrete floor, and a plurality of top plates are placed on the support. At this time, as the distance between each support becomes far, that is, the fewer the number of supports, the number of horizontal level adjustments of the floor is shortened, which not only improves the construction speed but also saves the support cost. Howev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increases, the stiffness and deflection problems occur when walking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top plate strength of the double flooring. Due to these constraint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is up to 600 × 455 ㎜ up to now. It became.
또한 종래의 상판은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통판으로 이루어져 바닥충격음 흡수에 불리하고, 상판 자체의 고중량으로 인하여 지지대에 하중 부담을 유발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p plate is made of a particle board (Particle Board) plate is detrimental to the impact of the floor impact, causing a load burden on the support due to the high weight of the top plate itself.
이중바닥재의 요구 물성에 있어서 보행감이 중요한 항목이다. 상판의 강성이 약하면 보행시 상판이 울렁이게 되고 보행자가 불안해 하거나 불쾌한 느낌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 배치간격을 좁히게 되면 지지대 개수 사용증가에 따라 비용상승을 초래한다.Gait feeling is an important item in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of double floors. If the stiffness of the tops is weak, the tops will rum when walking and cause pedestrians to feel uneasy or unpleasant.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narrowing the spacing of supports may lead to an increase in cost as the number of supports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성이면서 경량이고 안정적인 보행감과 지지대의 넓은 배치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바닥재용 상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 plate for a double floor material that can secure a high rigidity, lightweight, stable walking feeling and a wide spacing of the suppo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판, 하부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위치하는 사각의 보강재틀, 및 상기 사각의 보강재틀 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알루미늄 보강재로 이루어진 이중바닥재용 상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p plate, a bottom plate, a top plate for the double bottom made of a square reinforcement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at least one aluminum reinforcement disposed in the square reinforcement frame. to provide.
상기 상부판, 하부판 및 보강재틀의 재질로는 목질계, 무기질계, 합성수지 계, 스틸계, 알루미늄계 등의 단일재료 또는 목질과 알루미늄 등의 2가지 이상의 재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재료 등이 사용가능하나, 가격대비 강성 그리고 가공용이성을 고려하면 목질계가 바람직하다.As the material of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reinforcing frame, a single material such as wood, inorganic, synthetic resin, steel, aluminum, or a composite material using two or more materials such as wood and aluminum can be used. However, considering the stiffness and ease of processing, the wood system is preferable.
특히 바람직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는 파티클보드, 합판, OSB(Oriented Strand Board), 무기질보드 등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티클보드를 사용한다.Particularly preferred top and bottom plates are particle board, plywood, OSB (Oriented Strand Board), inorganic board, and the like, and more preferably, particle board is used.
바람직한 보강재틀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보강재, 합판, OSB(Oriented Strand Board), 목재 등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층구조의 합판(Ply Wood) 또는 알루미늄 보강재를 사용한다. 특히, 보강재틀로서 알루미늄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보강재료가 모두 알루미늄 보강재로 이루어지므로 고강성에 유리하다.Preferred materials for the reinforcement frame are aluminum reinforcement, plywood, OSB (Oriented Strand Board), wood, and the like, and more preferably, plywood or aluminum reinforcement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s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the aluminum reinforcement as a reinforcing frame, all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made of aluminum reinforcing material is advantageous for high rigid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 보강재는 상판의 경량화를 위하여 그 내부가 비어있는 알루미늄 바(bar)이며, 바람직하게는 상판의 고강성을 위하여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rib)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reinforcing material is an aluminum bar (empty bar) inside the hollow to reduce the weight of the upper plate, preferably one form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for the high rigidity of the upper plate It has the above rib.
바람직한 리브구조는 폭방향으로 절개한 종단면을 볼 때, 폭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삼각형 또는 반원형 부재가 상하로 마주보면서 중앙의 수직 부재와 연결된 구조를 갖거나, 전체 폭이 일정한 긴 수직 부재로 이루어진다.The preferred rib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triangular or semi-circular member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center vertical member while facing up and down when the longitudinal section cut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or a long vertical member having a constant overall width.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 보강재는 중공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바(bar)이며, 상기 중공구조는 하나 이상의 타원형, 반원형, 원형 또는 사각형 중공으로 이루어진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reinforcing material is an aluminum bar having a hollow structure, and the hollow structure has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one or more elliptical, semicircular, circular or rectangular hollow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 보강재는 그 일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부를 갖는 알루미늄 바(bar)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reinforcement is an aluminum bar having one or more grooves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상부판, 하부판 및 보강재로 구성되는 상판의 총 두께는 20 내지 7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재틀과 알루미늄 보강재의 두께는 3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과 보강재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원하는 강도에 못 미치고, 너무 두꺼우면 자체 하중과 재료비가 상승하게 된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composed of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preferably 20 to 7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aluminum reinforcing material is preferably 3 to 20 mm. If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and the reinforcement is too thin, it will not reach the desired strength. If it is too thick, its own load and material cost will in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음 또는 단열성능 및 상판의 고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재틀과 알루미늄 보강재 사이의 공간에 흡음재 또는 단열재가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sound absorption or heat insulating performance and high rigidity of the upper plate, a sound absorbing material or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aluminum reinforcing material.
상기 흡음재 또는 단열재로는 글라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합성섬유,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발포우레탄, 발포 염화비닐(PVC) 등과 같은 플라스틱 폼(Foam)이 사용가능하다.As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o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synthetic fibers such as glass wool, rock wool,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expanded polystyrene (EPS), foamed urethane, foamed vinyl chloride (PVC), etc. Plastic foams are available.
본 발명에서는 고강성 샌드위치 상판을 적용함으로써, 지지대의 배치간격을 적어도 400×400 ㎜, 바람직하게는 600×6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600 ㎜ 내지 1,200×1,800 ㎜ 정도로 할 수 있고, 바닥충격음의 흡수에 유리하며, 상판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high rigid sandwich top plate,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upport can be at least 400 × 400 mm, preferably 600 × 600 mm or more, more preferably 600 × 600 mm to 1,200 × 1,800 mm, It is advantageous to absorb the impact sound,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weight reduction of the top plat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바닥재용 상판(20)의 분해 평면도로서, 상기 상판(20)은 상부판(21)과 하부판(22)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틀(23)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재틀(23)은 상부판(21)과 하부판(22)의 테두리와 일치하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공간에는 고강성을 위하여 알루미늄 보강재(24)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1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double
상기 알루미늄 보강재(24)는 상판(20)의 경량화를 위하여 속이 비어있거나 중공구조(26)를 갖거나 또는 일면에 요홈부(27)를 갖는 알루미늄 바(bar)이며, 상판(20)의 고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25)를 갖는다.The
또한, 상기 보강재틀(23) 및 알루미늄 보강재(24) 사이에는 글라스울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EPS)과 같은 흡음-단열재를 삽입하여 흡음과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reinforcin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을 적용한 이중바닥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중바닥 시스템(1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 위에 재치되는 상판(20)으로 구성되어 있다.2 illustrates a double bottom system to which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판(20)으로 고강성 샌드위치 상판을 적용하여 각 지지대(30) 사이의 배치간격을 적어도 400×400 ㎜ 이상이 되게, 예를 들어 600×600 ㎜, 900×900 ㎜, 800×1,200 ㎜, 1,200×1,200 ㎜, 1,200×1,800 ㎜ 정도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속도 향상과 아울러 지지대(30) 사용감소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high rigid sandwich top plate to the
상기 이중바닥 시스템(10)에서 사용되는 지지대(30)는 크게 분류하여 헤드, 높낮이 조절볼트 및 지지대고무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중심부에 삽입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이중바닥의 상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헤드; 상단에 일자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트; 및 상부에 상기 볼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트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고무를 구비한다.The
상기 지지대고무는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진동전달을 저감하기 위해, 그 재질로서 제진성 방진고무(Non-Elastic Rubb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하중에 유리한 원통형,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역사다리꼴,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을 얻기 위한 엠보구조 등 다양하게 선택 적용가능하다.In order to reduce vibration transmission while absorbing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floor, the support rubber is preferably made of non-elastic rubber (Non-Elastic Rubber), the shape is cylindrical, favorable to the load to obtain a sense of stability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hoices such as inverted trapezoidal shape, emboss structure to obtain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도 3a 내지 도 3ℓ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용 상판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의 내부 단면도로서, 두께에 비하여 폭이 넓어 납작한 형태의 긴 알루미늄 바를 폭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3A to 3L are internal cross-sectional views of aluminum reinforcing materials having various structures applied to the double floor top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cut in the width direction of a long aluminum bar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thickness thereof.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속이 비어있고 그 내부에 리브구조(25)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24)로서, 도 3a의 알루미늄 보강재(24a)는 폭방향으로 넓게 연장된 2개의 삼각형 부재가 상하로 마주보면서 중앙의 짧은 수직 부재와 연결된 구조의 리브(25a)를 구비한다. 도 3b의 알루미늄 보강재(24b)는 리브구조를 갖지 않은 것이다. 도 3c의 알루미늄 보강재(24c)는 긴 수직 부재로 이루어지되 그 상하부가 폭방향으로 약간 연장되어 작은 삼각형상을 이루는 리브(25c)를 구비한다. 도 3d의 알루미늄 보강재(24d)는 전체 폭이 일정한 긴 수직 부재로 이루어진 리브(25d)를 구비한다. 도 3e의 알루미늄 보강재(24e)는 도 3d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나의 리브(25e)를 구비하며, 도 3f의 알루미늄 보강재(24f)는 도 3a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나의 리브(25f)를 구비한다. 도 3g의 알루미늄 보강재(24g)는 긴 수직 부재로 이루어지되 그 상하부가 폭방향으로 약간 연장되어 작은 반원형상을 이루는 리브(25g)를 구비한다.3A-3G are
도 3h 내지 도 3k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공구조(26)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24)로서, 도 3h의 알루미늄 보강재(24h)는 타원형의 중공(26h)을, 도 3i의 알루미늄 보강재(24i)는 반원형의 중공(26i)을, 도 3j의 알루미늄 보강재(24j)는 원형의 중공(26j)을 갖는 단층구조이며, 도 3k의 알루미늄 보강재(24k)는 사각형의 중공(26k)을 갖는 다층구조이다.3H-3K illustrate an
도 3ℓ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그 일면에 다수의 요홈부(27ℓ)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24ℓ)이다.3L is an aluminum reinforcement 24L having a plurality of recesses 27L on one surface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판(20)의 고강성을 위해서, 리브(25)의 형상은 도 3a와 같이 지지부분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브(25)의 수는 많을수록 유리하나, 제조비용과 제조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상과 수의 리브(25) 구조를 설계한다. 또한, 리브(25)의 형상과 수는 도 3a 내지 도 3g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중공(26) 및 요홈부(27)의 형상과 수 또한 도 3h 내지 도 3ℓ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the high rigidity of the
[실시예]EXAMPLE
도 1과 같은 구조의 상판(20)으로서, 상부판(21)과 하부판(22)으로 파티클 보드, 보강재틀(23)로서 합판, 그리고 도 3e 및 도 3f에서 도시된 치수(단위 ㎜)의 리브(25e, 25f) 구조를 갖는 4개의 알루미늄 보강재(24e, 24f)를 사용하여 두께 38 ㎜의 상판(20)을 제조한 후, 처짐량을 측정한 결과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합판 보강재틀만 적용한 비교예보다 상판(20)의 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 다. 이때 처짐성은 Ø80의 가압면적으로 100 ㎏의 무게를 상판(20)의 상부 표면 중심부에 가하고 제품 하부에 설치된 측정게이지의 눈금을 읽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As the
또한, 고강도 상판(20)을 적용함에 따라 도 2와 같은 이중바닥 시스템(10)에서 지지대(30)의 배치간격을 800×1,200 ㎜까지 넓게 배치할 수 있었으며,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실시규격 KS F 2810-2, 평가규격 KS F 2863-2)도 45 ㏈(A)로서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high-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리브구조 또는 중공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보강재를 적용함으로써 합판보강재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우수한 강성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보행감과 보다 넓은 지지대 배치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판의 경량화를 달성함과 동시에 종래의 이중바닥 시스템보다 지지대 간격을 넓게 하여 시공속도 향상과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바닥충격음 저감효과 또한 만족할만한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상판에 배치된 보강재 사이의 공간에 흡음재 또는 단열재를 삽입하여 흡음 또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excellent rigidity by using aluminum reinforcement having a variety of rib structure or hollow structure than when using only the plywood reinforcement, thereby ensuring a more stable walking feeling and a wider support spacing interval have. In addition, while achieving a lighter weight of the top plate and wider support interval than the conventional double floor system,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construction speed and cost reduction, and to obtain a satisfactory value of the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effect, and the reinforcement disposed on the top plate Insert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or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space betwee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sound absorption or heat insulating performanc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2203A KR100722754B1 (en) | 2004-12-07 | 2004-12-07 | High Rigidity Panel for Double Floor System 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2203A KR100722754B1 (en) | 2004-12-07 | 2004-12-07 | High Rigidity Panel for Double Floor System 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0739U Division KR200363781Y1 (en) | 2004-07-21 | 2004-07-21 | Stiffness reinforced sandwich panel for house access floor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8215A KR20060008215A (en) | 2006-01-26 |
KR100722754B1 true KR100722754B1 (en) | 2007-05-31 |
Family
ID=3711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22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2754B1 (en) | 2004-12-07 | 2004-12-07 | High Rigidity Panel for Double Floor System 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27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323169A1 (en) * | 2007-12-13 | 2010-12-23 | Jong-Seok Son | Custom mosaic floor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0898A (en) * | 1996-05-10 | 2000-02-25 | 헨켈 코포레이션 | Internal reinforcement for hollow structural elements |
KR20010069792A (en) * | 2001-05-11 | 2001-07-25 | 김창섭 | Stone-panel reinforced by a frame |
KR200267004Y1 (en) | 2001-12-05 | 2002-03-06 | 엄주복 | The panel to take soundproof functional |
-
2004
- 2004-12-07 KR KR1020040102203A patent/KR1007227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0898A (en) * | 1996-05-10 | 2000-02-25 | 헨켈 코포레이션 | Internal reinforcement for hollow structural elements |
KR20010069792A (en) * | 2001-05-11 | 2001-07-25 | 김창섭 | Stone-panel reinforced by a frame |
KR200267004Y1 (en) | 2001-12-05 | 2002-03-06 | 엄주복 | The panel to take soundproof functio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8215A (en) | 2006-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65761B2 (en) | Polymer-based composite structural sheathing board and wall and/or ceiling system | |
US5279089A (en) | Insulated wall system | |
KR200357517Y1 (en) | House access floor system for noise reduction comprising high rigidity sandwich board | |
RU2529687C2 (en) | Laminar composite (versions) | |
JP2015048654A (en) | Free access floor | |
KR200363781Y1 (en) | Stiffness reinforced sandwich panel for house access floor system | |
KR100722754B1 (en) | High Rigidity Panel for Double Floor System 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 |
WO2007098207A2 (en) | Laminated structural members | |
KR100806728B1 (en) | Insulation materials for reducing a noise and a impact sound | |
KR100654127B1 (en) | Residential double floor system with high rigid sandwich top plate | |
KR20130055945A (en) | The insulation complex panel with structural wood and the construct method of wall therewith | |
RU213422U1 (en) | Multilayer Vacuum Panel | |
JPS623470Y2 (en) | ||
KR101748231B1 (en)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 |
KR100722520B1 (en) | Slab flooring | |
JP7598258B2 (en) | Double floor structure | |
TW200300470A (en) | Floor-supporting structure for building | |
JPH09170284A (en) | Bearing wall panel and bearing wall structure | |
JP3012304U (en) | Damping material | |
JP2023140362A (en) | floor structure | |
US20140260081A1 (en) | Multiple panel column and methods | |
KR20060120332A (en) | Slab flooring | |
JP2003176622A (en) | Dry type floor framing construction and its work method | |
JPH037468Y2 (en) | ||
KR20060117868A (en) | Interlaye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8 | Dual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7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3I Patent event date: 20041207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