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2602B1 -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602B1
KR100722602B1 KR1020050087045A KR20050087045A KR100722602B1 KR 100722602 B1 KR100722602 B1 KR 100722602B1 KR 1020050087045 A KR1020050087045 A KR 1020050087045A KR 20050087045 A KR20050087045 A KR 20050087045A KR 100722602 B1 KR100722602 B1 KR 10072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tator
vibration motor
groove
housing
release preve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124A (ko
Inventor
에이치 이바타
양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602B1/ko
Priority to JP2006245330A priority patent/JP4384154B2/ja
Priority to US11/518,425 priority patent/US7598639B2/en
Priority to CN2006101541838A priority patent/CN1933295B/zh
Publication of KR2007003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6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4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모터(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압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축(140)과, 회전축(14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정류자(190)와, 두께가 얇으며 회전축(140)의 압입홈(141)에 압입되고 정류자(190)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이탈방지체(180)를 포함하며, 정류자(190)와 이탈방지체(180)는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된다.
진동모터, 정류자, 이탈, 방지, 베어링, 자석, 회전축, 하우징, 코일

Description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Vibration motor provided with a thin blocking body of a commutator's breakawa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회전축에 이탈방지체를 압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이탈방지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5는 종래의 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진동모터 110, 210 : 하우징
120, 220 : 출력측베어링 130, 230 : 반출력측베어링
140, 240 : 회전축 150, 250 : 자석
160, 260 : 코일 170, 270 : 편심추
180, 280 : 이탈방지체 190, 290 : 정류자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 등의 인가시 정류자가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휴대전화 등의 이동통신기기에 설치되어 통신의 수신상태를 진동발생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그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모터(300)는 하우징(310), 출력측베어링(320), 반출력측베어링(330), 회전축(340), 자석(350), 코일(360), 편심추(370), 이탈방지체(380), 정류자(39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10)은 진동모터(300)의 외부케이스가 되는 외부하우징(311)과 외부하우징으로 내부로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내부하우징(3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측베어링(320)은 하우징(310)의 입구부에 압입되어 결합되며, 반출력측베어링(330)은 출력측베어링(320)과 대향하게, 즉 내부하우징(315)의 말단에 압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340)은 출력측베어링(320)과 반출력측베어링(330)을 관통하여 이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내부하우징(315)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편심추(370)가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다.
자석(350)은 내부하우징(315)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코일(360)은 자석(350)과 마주하도록 외부하우징(311)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탈방지체(380)는 회전축(340)에 압입 고정되고 외주에 정류자(390)가 배치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진동모터(300)는 회전축(340)과의 보관유지력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이탈방지체(380)가 내경 치수의 차이를 감안하여 회전축(340)의 축방향으로 두껍게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한정된 공간에서 자석(350)의 길이가 줄어들고 이는 자기회로의 열화를 가져와 모터 특성을 높이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에 압입홈을 형성하고 이탈방지체를 이 압입홈에 압입시킴으로써 이탈방지체의 두께가 얇더라도 회전축과의 보관유지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체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자석의 길이를 늘려 모터의 특성을 높일 수 있는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압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정류자와, 두께가 얇으며 회전축의 압입홈에 압입되고 정류자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이탈방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정류자와 이탈방지체는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정류자는 내주면에 볼록돌기가 형성되고 이탈방지체는 외주면에 볼록돌기와 대응하는 오목홈이 형성되며 정류자와 이탈방지체는 볼록돌기와 오목홈이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정류자는 이탈방지체를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체는 내주면에 인접하게 피가압홈이 형성되며 피가압홈이 가압될 때 피가압홈과 인접한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축의 압입홈으로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체의 두께는 0.15mm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모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모터(100)는 하우징(110), 출력측베어링(120), 반출력측베어링(130), 회전축(140), 자석(150), 코일(160), 편심추(170), 이탈방지체(180) 및 정류자(19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각 구성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하우징(111)과 내부하우징(115)을 갖는다.
외부하우징(111)은 진동모터(100)의 외부케이스가 되는 부분으로 중공의 원 통형으로 형성되며 한 쪽이 개방된다. 또한, 외부하우징(111)은 개방된 부분에 베이스(112)가 고정되며, 베이스(112)에는 브러시(113)가 설치된다.
내부하우징(115)은 외부하우징으로부터 내부로 일체로 연장되게 외부하우징(111) 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하우징(115)과 외부하우징(111)이 이어지는 절곡부는 하우징(110) 전체의 입구부(110a)가 된다.
출력측베어링(120)은 회전축(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10)의 입구부(110a)에 압입된다.
반출력측베어링(130)은 출력측베어링(120)과 함께 회전축(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하우징(115), 구체적으로 내부하우징(115)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압입된다.
회전축(140)은 편심추(17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출력측베어링(120)과 반출력측베어링(130)을 관통하여 이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내부하우징(115)에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축(140)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출력측베어링(120)과 반출력측베어링(130)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하우징(115)과의 접촉없이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좁은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140)은 점선원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를 따라 소정폭의 압입홈(141)이 형성된다.
자석(150)은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의 원통형으로 내부하우징(115)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코일(160)은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자석(150)과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자석(150)과 마주하도록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외부하우징(111)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이때, 코일(160)은 정류자(190)의 외주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편심추(170)는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140)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이탈방지체(180)는 정류자(190)가 회전축(14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출력측베어링(13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40)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이탈방지체(180)는 소정폭의 원고리형상을 하며, 점선원으로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40)과 인접한 부위에 피가압홈(181)이 형성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피가압홈(181)은 이탈방지체(180)의 원주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정류자(190)는 코일(160)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브러시(113)와 접촉하도록 회전축(140) 및 이탈방지체(180)에 소정의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된다. 이때, 정류자(190)의 내주면이 이탈방지체(18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진동모터(100)에서 이탈방지체(18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다.
먼저, 도 2a와 같이, 압입홈(141)에 이를 때까지 이탈방지체(180)를 회전축(140)에 압입하고 이탈방지체(180)를 단단한 블럭(10)에 얹는다.
다음, 도 2b와 같이, 피가압홈(181)과 대응하는 돌기를 갖는 가압체(20)를 화살표방향으로 진행시켜 이탈방지체(180), 구체적으로 이탈방지체(180)의 피가압홈(181)을 가압한다. 이때, 이탈방지체(180)의 회전축(140)과 인접한 부위가 회전축(140)의 압입홈(141)으로 압입되며, 이로 인해 이탈방지체(180)가 회전축(14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도 1의 이탈방지체(180)는 원고리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3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회전축(140)에 압입된 이탈방지체(180')는 외주에 오목한 오목홈(181')이 형성되고 정류자(190')는 이탈방지체(180')와 접하는 내주면에 오목홈(181')과 대응하는 볼록돌기(191')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탈방지체(180')의 오목홈(181')과 정류자(190')의 볼록돌기(191')가 결합함으로써 이탈방지체(180')가 정류자(190')에 대해 회전하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모터(200)는 하우징(210), 출력측베어링(220), 회전축(240), 자석(250), 코일(260) 및 편심추(270)가 앞서 설명한 진동모터(1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탈방지체(280)는 정류자(290)가 회전축(24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출력측베어링(23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축(240)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이탈방지체(280)는 소정폭의 원형고리형상을 하며, 점선원으로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40)과 인접한 부위에 피가압홈(281)이 형성되며 회전축(240)과 인접한 부위가 회전축(240)에 형성된 압입홈(241)에 압입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피가압홈(281)은 이탈방지체(280)의 원주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정류자(290)는 코일(260)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이탈방지체(280)가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진동모터(100)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탈방지체(280)를 정류자(290)에 결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진동모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진동모터에 따르면, 정류자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이탈방지체가 회전축에 압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이탈방지체의 두께가 얇더라도 회전축과의 보관유지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약 0.8mm의 두께를 갖는 이탈방지체로 약 10kgf의 보관유지력을 가졌으나 본 발명은 약 0.15mm의 두께를 갖는 이탈방지체로 약 19kgf의 보관유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이탈방지체의 두께를 크게 줄임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자석의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모터의 특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압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정류자; 및
    두께가 얇으며 상기 회전축의 압입홈에 압입되고 상기 정류자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이탈방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체는 내주면에 인접하게 피가압홈이 형성되며 상기 피가압홈이 가압될 때 상기 피가압홈과 인접한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축의 압입홈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와 상기 이탈방지체는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는 내주면에 볼록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체는 외주면에 상기 볼록돌기와 대응하는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정류자와 상기 이탈방지체는 상기 볼록돌기와 상기 오목홈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자는 상기 이탈방지체를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5. 삭제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체의 두께는 0.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20050087045A 2005-09-16 2005-09-16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72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45A KR100722602B1 (ko) 2005-09-16 2005-09-16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JP2006245330A JP4384154B2 (ja) 2005-09-16 2006-09-11 薄型の整流子離脱防止体を備えた振動モーター
US11/518,425 US7598639B2 (en) 2005-09-16 2006-09-11 Vibration motor provided with a thin blocking body of a communtator's breakaway
CN2006101541838A CN1933295B (zh) 2005-09-16 2006-09-15 设置有阻止换向器脱离的薄止挡体的振动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45A KR100722602B1 (ko) 2005-09-16 2005-09-16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124A KR20070032124A (ko) 2007-03-21
KR100722602B1 true KR100722602B1 (ko) 2007-05-28

Family

ID=3787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0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2602B1 (ko) 2005-09-16 2005-09-16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98639B2 (ko)
JP (1) JP4384154B2 (ko)
KR (1) KR100722602B1 (ko)
CN (1) CN19332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0955B2 (en) 2013-03-14 2017-02-14 Nike, Inc. Overmold protection for vibration motor
US10536048B2 (en) * 2013-03-25 2020-01-14 Nt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intered bearing, sintered bearing, and vibration motor equipped with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106Y1 (ko) 1999-08-27 2000-03-15 주식회사신광전자 코어레스 마이크로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648B2 (ja) 1993-10-20 2001-11-05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JPH09294352A (ja) 1996-04-25 1997-11-11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型扁平コアレスモータ
KR19990018022U (ko) 1997-11-06 1999-06-05 윤종용 파워코드 고정구조
KR100346276B1 (ko) 1997-11-07 2002-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의베어링결합구조
KR100431054B1 (ko) 1998-02-24 2004-07-3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CN2496174Y (zh) * 2001-08-10 2002-06-19 胡经淼 微型振动电机
CN2648688Y (zh) * 2003-09-03 2004-10-13 深圳市双环全新机电有限公司 空心杯直流电机
JP4748429B2 (ja) 2003-10-07 2011-08-17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小型モータ
JP3843097B2 (ja) 2003-10-31 2006-11-08 株式会社シコー技研 コアレスモ−タ
KR100541103B1 (ko) 2004-01-06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바-타입 진동모터
TWI283957B (en) 2004-02-13 2007-07-11 Samsung Electro Mech Bar type vibration mo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106Y1 (ko) 1999-08-27 2000-03-15 주식회사신광전자 코어레스 마이크로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3295A (zh) 2007-03-21
JP2007089389A (ja) 2007-04-05
US20070063602A1 (en) 2007-03-22
KR20070032124A (ko) 2007-03-21
US7598639B2 (en) 2009-10-06
CN1933295B (zh) 2011-10-26
JP4384154B2 (ja)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602B1 (ko) 박형의 정류자 이탈방지체를 구비한 진동모터
JP2003285009A (ja) コインタイプ振動モーター
JP4328537B2 (ja) モ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燃料供給ポンプ
JP2007174808A (ja) 小型モータ
JP2008099355A (ja) モータ用軸受装置及び振動モータ
JP2002079179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
KR100789514B1 (ko) 무정류자 전동기
JPH10271744A (ja) 偏平形振動モータとその回転子及びハウジング
JP6816546B2 (ja)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KR100990542B1 (ko) 스핀들모터
CN100533920C (zh) 振动电机
JP2000046043A (ja) 小型モータの軸受構造
KR200291011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68293B1 (ko) 바타입 진동모터
JP4474865B2 (ja) 直流モータ
JP3973767B2 (ja) 超小型モータ、携帯機器用超小型振動モータ、並びに情報伝達装置
KR100802509B1 (ko) 바형 진동 모터
JP3503794B2 (ja) モータ
KR100346276B1 (ko) 진동모터의베어링결합구조
JPH10271743A (ja) 偏平形振動モータとその回転子及びハウジング
KR20000002777U (ko) 모터에서의 누유 방지구조
KR20060078865A (ko) 몰드하우징을 구비한 모터
JP3527775B2 (ja) カップ型コアレスモータ
JP2020085177A (ja) 軸受組立体、モータ、および軸受組立体の組立方法
KR200169643Y1 (ko) 레진 팩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