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870B1 - Call method us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Call method us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1870B1 KR100721870B1 KR1020050120481A KR20050120481A KR100721870B1 KR 100721870 B1 KR100721870 B1 KR 100721870B1 KR 1020050120481 A KR1020050120481 A KR 1020050120481A KR 20050120481 A KR20050120481 A KR 20050120481A KR 100721870 B1 KR100721870 B1 KR 100721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ing
- voice message
- call
- receiving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대방 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을 호출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호출음 대신 발신 측에서 보내진 음성 메세지에 의해 호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alling a counterpar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alling a called party by a voice message sent from a calling party instead of a receiving ringing tone in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대방을 호출하여 부재 시나 통화 중 또는 이 경우가 아닌 상태에서 특별히 호출을 음성 메세지로 할 경우 설정하는 과정과,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setting up a call to a voice message in the absence or during a call or in a state other than this by calling the other party in the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발생하여 음성사서함에서 받아 저장한 후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출음 대신 음성 메세지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출을 위한 착신 음 대신 수신되는 음성 메세지를 듣고 통화를 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발신 측의 호출 의도를 미리 알고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불 필요한 호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응답할 수 있고 긴급한 상황 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Generating a voice message for calling and storing it in a voice mailbox, and then transmitting the voice message to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voice message instead of a ringing tone, and listening to a voice message received instead of a ringing tone for a call in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onsists of the process of doing. Therefore, the caller can make a call in advance by knowing the intention of the calling party, and thus can selectively respond to an unnecessary call and active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음성사서함, 음성호출 메세지, 음성호출 응답, VMS Voicemail, voice call message, voice call response, VM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이동통신망구성도1 is a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ferred to for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이동통신단말기(112)의 내부 구성도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송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12)에서의 음성 메세지 호출에 따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message call in a transmitting-sid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M S C(100)에서의 V M S장치(114)에 호출을 위한 음성 메세지 저장흐름도 4 is a flow chart of voice message storage for a call to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12)에서 음성 메세지 호출에 따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message call in a receiv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출을 위한 수신음(벨) 대신 음성메세지로 착신을 알려 수신측 이 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호출 의도를 미리 확인하고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메세지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ifies the incoming call with a voice message instead of a reception tone (bell) for a call to confirm a user call intention of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vance and make a c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message cal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를 걸어 상대방의 통화 중 또는 부재중으로부터 연결이 늦어지거나 또는 취침 및 주변의 영향으로 벨소리를 못들어 실패가 되는 일이 없이 호의 응답을 성공적으로 신속히 이루고자 하는 노력은 누구나 하고 있다. 특히 예측 할 수 없는 긴급 상황이 발생되어 상대방으로 긴급한 도움이 필요로 할 때 상대방으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더욱 난감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대방으로부터 호의 착신을 알리는 방법은 통화중이라도 강제적으로 착신이 있음을 알리고 호출한 번호를 남기는 방법이 있다. 또한, 최근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개의 이동통신단말기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벨소리가 유사할 경우 호출음만 듣고서는 어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링 착신 음이 울리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 음성 메세지를 설정하여 착신이 있으면 링을 울리는 수신음 대신에 설정된 음성 메세지("전화가 걸려 왔읍니다. XXXX전화 받으세요")을 들려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국내공개특허 제2000-19618호에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방법은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에 사용자가 설정한 링에 의한 호출음 대신 들려 줄 수 있는 음성 메세지를 들려 주는 것에 불과할 뿐 발신 측 사용자가 어떤 이유로 호출을 했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부재중 상태로 상대방 호출한 전화번호만 남기거나 문자(SMS) 또는 음성 메세지 만 남겨지며, 이를 후에 확인을 하여 필요시 전화를 걸게 된다. 그러나 실로 회의 중이나 다른 이 유로 전화를 받지 못할 때 그 당시 상대방이 호출 한 이유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더 긴급하고 중요한 사항도 종종 놓치게 된다. 특히 되돌릴 수 없는 중요한 결과도 있게 된다. In general, anyone should try to make a successful response to a call without making a call from the calling mobile terminal and failing to make a connection from the other party's busy or absent service, or failing to hear a ringtone due to bedtime and surroundings. have. In particular, when an unforesee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the other party needs urgent help, there is a more difficult result if the other party does not respond. In general, there is a method of notifying the incoming call from the other party by informing that the incoming call is forcibly and leaving the called number. In addition, most users ha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when a ring tone used by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simila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mobile communication ringing ring tone is heard only by hearing a ringing tone. .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 voice message is set in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a voice message ("Call is received. Answer XXXX") is set instead of ringing the ringing tone. I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19618. In the conventional method, only the voice message that can be heard instead of the ringing tone set by the user inside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heard, but the user of the calling party cannot know why. Therefore, only the phone number of the called party is left in the absent state or only the text (SMS) or voice message is left. However, when you do not receive a phone call during a meeting or for any other reason, you will often miss more urgent and important things if you do not know exactly why the other party called. In particular, there are important consequences that cannot be rever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사서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을 위한 착신에 대해 벨소리 대신 음성 메세지로 호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alling a voice message instead of a ring tone for an incoming call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voice mailbox.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측 사용자가 발신 측 사용자의 통화목적과 신분을 미리 알고 통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receiving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know in advance the purpose and identity of a calling user and make a c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이 예측할 수 없는 긴급 상황이 발생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ctively cop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that cannot be predicted by a counterpart.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화중이나 부재시 음성 메세지 호출에 대한 설정을 하고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발생하여 음성사서함에 저장하는 과정과, The present invention for carrying out the above object is a process for calling the other party in the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t the voice message call during or away from the call and to generate a voice message for the call to store in the voicemail box;
상기 호출에 따라 상대방의 통화 중 또는 부재 상태에서도 상대방과 통화로가 형성되어 호출 음성 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측 호출에 따라 응답을 하고 수신된 호출 신호가 음성 메세지 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According to the call, a call path is formed with the other party even in the busy or absent state of the other party, and a call voice message is transmitted, and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onds according to the calling party and confirms whether the received call signal is a voice message. Process,
상기 호출에 따라 호출 음성 메세지를 수신하여 착신 벨음 대신 수신 측 사 용자에게 통보하여 수신 측 사용자가 듣게 하고 수신한 호출 음성메세지에 따라 통화를 실시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Receiving a call voice message according to the call, notifying the called party instead of the ringing tone, allowing the receiving user to listen and making a call according to the received call voice message.
본 발명은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화중이거나 부재시 음성 메세지 호출에 대한 설정을 하고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발생하여 음성사서함에 저장한 후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대방을 호출한다. 상대방의 호출에 따라 상대방의 통화 중 또는 부재중 상태에서도 상대방과 통화로가 형성되어 호출 음성 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측 호출에 따라 응답을 하고 수신된 호출 신호가 음성 메세지 인지를 확인하여 호출된 음성 메세지를 수신한다. 상기 호출용 음성 메세지는 착신 벨 음 대신 수신 측 사용자에게 통보하게 되며, 수신 측 사용자는 음성 메세지를 듣고 발신 측의 호출 의도 또는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통화를 실시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sets up a voice message call during or away from the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 calling voice message, stores it in a voice mailbox, and then calls the other party of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of the other party, a call path is established with the other party even in the busy or absent state of the other party and transmits a call voice message and responds according to the calling party at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ecks whether the received call signal is a voice message. Confirm and receive the called voice message. The calling voice message is notified to the called party instead of the ringing tone, and the receiving user listens to the voice message and selects the call according to the calling intention or situation of the calling par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의 동일 참조 부호는 유사 또는 동일 기능이 있음을 밝혀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se specific details may be modifi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reveal that they have similar or identical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통상적인 이동 통신망 구성도로서, 1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용 CDMA(Code Division Mutiple Access) 디지털 이동망의 예를 보인다. 도 1의 이동통신망은 교환기인 MSC(Mobile Switching Center)(100)와 소속 위치 등록기인 HLR(Home Location Register)(106)과 기지국 제어장치인 다수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108)로 이루어지는 교환국과, 각 BSC(108)에 연결되는 기지국인 다수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110)로 구성되며,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112)와 함께 무선으로 연결되어 일반 공중전화망인 PSTN(104) 및 이동전화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102)과 접속한다. BSC(108)는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 제어, 핸드오프(hand-off) 기능들을 수행한다. BTS(110)는 이동통신단말기(112)와 함께 무선 통화로를 구성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HLR(106)은 가입자 위치 등록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MSC(100)와 연결된 음성사서함(VMS)장치(114)는 MSC(100)를 통해 VMS(Voice Mail System)를 제공한다. 음성사서함(VMS)장치(114)은 본 발명을 위한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12)에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시 수신음(벨) 대신 음성 메세지를 저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모든 이동통신단말기들(112)은 음성사서함(VMS)장치(114)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하고, 이러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전화를 할 때 상대방이 통화중이거나 부재중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직접적인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일 때 필요한 음성 메세지를 음성사서함(VMS)장치(114)에 녹음하여 두웠다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12)로 호출을 위한 벨 음 대신 통보하게 된다.An example of a commercial Code Division Mutiple Access (CDMA) digital mobile network i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1 is a switching station including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00 as a switch,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06 as a location register,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108 as base station controllers. And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110, which is a base station connected to each
도 2는 상기한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112)의 내부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DMA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2에서 EEPROM(202)과 플래쉬 메모리(204)와 램(206)와 키패드(208)와 표시부(210)와 RF모듈(214)과 베이스밴드 처리부(216)와 코덱(CODEC)(218)과 음성 처리부(224)와 연결 되는 제어부(200)는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음성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부분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00)로서는 예를 들어, 퀄컴(QUALCOMM)사의 MSM(Mobile System Modem) 칩(chip)이 사용된다. 상기 MSM 칩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CDMA 처리부, 보코더(vocoder) 등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통상적인 전화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이나 각종 부가기능을 위한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EEPROM(202)에는 각종 참조 데이터가 저장되고, 플래쉬 메모리(204)에는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램(206)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를 제공한다. 키패드(208)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표시부(210)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RF모듈(214)은 안테나(212)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 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216)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16)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16)는 제어부(200)와 RF모듈(214)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나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214)에 인가하며, RF모듈(214)로부터 인가되는 아나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제어부(200)와 연결된 코덱(218)은 마이크(220) 및 스피커(222) 와 접속되며, 마이크(2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음성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음성신호를 스피커(222)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224)는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호출을 위한 벨 음으로 대신 할 음성 메세지 데이터를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음성 메모리(226)에 저장하거나 독출하여 스피커(233)로 출력한다. A block diagram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own. 2, the EEPROM 202, the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송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12)에서의 음성메세지 호출에 따른 흐름도이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message call in a transmitting-side
도 4는 본 발명을 위해 MSC(100)에서의 VMS장치(114)에 호출에 대한 음성메세지 저장 흐름도 이며,4 is a flowchart for storing a voice message for a call to the
도 5는 본 발명을 위해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12)에서 음성 메세지 호출에 따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message call in the receiving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Therefor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의 개시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12) 상호간에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시 설정에 따라 상대방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발생하여 MSC(100)의 제어하에 VMS(114)에 저장하여 후에 메세지로 알려 줄 수 도 있고, 직접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여 호출에 따른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 준다.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음성 메세지를 듣고 필요시 통화 버튼을 눌려 발신 측과 통화를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즉, 도 2의 개시와 같이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12)에서 발신 측 사용자가 (301)과정에서 키패드(208)을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303)한 후 (305)과정에서 통화버튼을 누른다. 제어부(200)는 전화번호의 입력과 통화버튼의 입력을 확인한다. 제어부(200)는 (307)과정에서 RF모듈(214)을 통해 상대방을 호출한다.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출 과정을 통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중 또는 부재중인지 여부를 제어부(200)를 제어 동작으로 확인한다. 제어부(200)가 확인을 하여 통화중또는 부재중이면 (311)과정에서 키패드(208)의 키입력을 통해 음성메세지로 호출을 하기 위한 설정을 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313)과정에서 음성 메세지 호출을 위한 설정모드인가를 제어부(200)는 확인을 하며, (314)과정에서 도 1의 VMS장치(114)에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해 호출을 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VMS장치(114)에 음성 메세지 저장을 위한 호출은 BTS(110), BSC(108), MSC(100)를 거쳐 이루어지며, MSC(100)는 호출한 측의 이동통신단말기(112)가 VMS서비스를 위해 가입이 되어 있어야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VMS장치(114)는 MSC(100)의 제어를 받는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음성 메세지 전송을 위해 (315)과정에서 BTS(110), BSC(108), MSC(100)를 통해 호출에 따른 응답신호의 수신을 기다려 응답신호의 수신이 있으면 (317)과정에서 마이크(219)를 통해 호출 할 음성 메세지를 입력한다. 입력된 메세지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RF모듈(214)을 통해 (319)과정에서 전송이 된다. 그리고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상대방으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올 때 까지 (323)과정에서 대기를 하게 된다. 송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325)과정에 서 통화를 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in the calling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12)간에 BTS(110), BSC(108)를 통해 MSC(100)는 기본적으로 (400)과정에서 상호 호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 중 및 부재에 따른 제어를 하며, 상호 응답에 따른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VMS서비스로서 MSC(100)의 제어를 받은 VMS(음성사서함)장치(114)는 (401)과정의 예와 같이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세지 저장을 위한 요청을 한다. MSC(100)는 (403)과정에서 호출한 이동통신단말기가 VMS장치(114)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 MSC(100)는 VMS장치(114)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라면 (405)과정에서 호출에 따른 응답신호를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을 한다. MSC(100)는 응답신호를 받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407)과정에서 음성 메세지 호가 수신이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수신이 되었으면 (409)과정에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보낸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받아 저장을 한다. 이어 (411)과정에서 받아 저장된 음성 메세지는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호출을 하게 되는데, (413)과정에서 MSC(100)는 (411)과정으로부터 음성 메세지 전송을 위한 호출을 하고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 MSC(100)가 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발신 측에서 발생한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415)과정에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417)과정에서 전송이 완료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한편,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는 결국, BTS(110), BSC(108), MSC(100)의 제어하에 상호 통신을 하는 것으로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보내진 호에 대해 수신 측 이동통신단밀기의 RF모듈(214)을 통해 (501)과정에서 호를 수신한다. 일반 적으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00)는 호출신호를 받고 (502)과정에서통화중이거나 회의상태에서 부재중일 경우 (503)과정에서 통화 중 또는 부재중 상태가 전달되도록 한다.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는 상대방의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중 또는 부재 중 임을 알고 보내진 음성 메세지에 의한 호출 여부를 (504)과정에서 확인을 한다. 제어부(200)가 음성 메세지에 의한 호출이 확인이 되면 (505)과정에서 호출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음성 메세지를 (506)과정에서 수신하여 저장을 한다. 제어부(200)는 (506)과정에서 음성 메세지를 수시하여 저장하되, 완료 되었는지를 (507)과정에서 확인을 한다. 제어부(200)는 상기 (507)과정에서 완료되었으면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출음 대신 음성 메세지를 통보함에 있어 (508)과정에서 기존의 호출 알림을 위해 설정된 벨, 진동, 램프 . . . 등 모두를 오프 시킨다. 다음 (509)과정에서 호출용 음성 메세지를 청취 시 설정에 의해 선택에 따라 들을 수 있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무조건 받도록 을 수 있는 지에 대해 확인을 하여 설정에 의한 것이면 (510)과정에서 키 입력을 받아 (511)과정에서 듣게 되고, 아니면 바로 음성 메세지를 들려준다. 이때 사용자가 음성 메세지를 듣고서 발신 측에서 호출한 의도에 따라 필요하면 바로 통화버튼을 눌려(512)과정에서 확인하여 (513)과정에서 통화를 실시하고 아니면 기다렸다가 나중에 별도로 전화를 하거나 저장된 음성 메세지를 읽어 통화를 할 수 도 있다. 상기 통화를 실시하여 (514)과정에서 통화 끝이면 (515)과정에서 기존에 설정된 호출용 벨, 램프, 진동 모드 등 모두를 원 상태대로 복귀 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tually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사서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을 위한 착신에 대해 벨, 램프, 진동. . .등 대신 음성 메세지로 호출을 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측 사용자가 발신 측의 통화목적과 신분에 따라 미리 알고 통화를 할 수 있어 긴급한 정확한 상황에서 적응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Bell, lamp, vibration for an incoming call for the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voice mailbox as described above. . Because the user can make a call by voice message instead, the receiving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know and make a call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alling purpose and identity of the calling part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0481A KR100721870B1 (en) | 2005-12-09 | 2005-12-09 | Call method us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0481A KR100721870B1 (en) | 2005-12-09 | 2005-12-09 | Call method us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1870B1 true KR100721870B1 (en) | 2007-05-28 |
Family
ID=3827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04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1870B1 (en) | 2005-12-09 | 2005-12-09 | Call method us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187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97135A (en) | 1998-12-25 | 2000-07-14 | Kyocera Corp | Mobile phone |
KR20040026896A (en) * | 2002-09-26 | 2004-04-01 |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signal transmission using caller identification |
KR20040103533A (en) * | 2003-05-29 | 2004-12-09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KR20050022850A (en) * | 2003-08-29 | 2005-03-08 | 주식회사 엑스씨이 | System for controlling bell sound of a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
-
2005
- 2005-12-09 KR KR1020050120481A patent/KR1007218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97135A (en) | 1998-12-25 | 2000-07-14 | Kyocera Corp | Mobile phone |
KR20040026896A (en) * | 2002-09-26 | 2004-04-01 |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signal transmission using caller identification |
KR20040103533A (en) * | 2003-05-29 | 2004-12-09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KR20050022850A (en) * | 2003-08-29 | 2005-03-08 | 주식회사 엑스씨이 | System for controlling bell sound of a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15370B (en) |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accepting telephone calls without forming audio communications | |
KR100651408B1 (en) | Video Call Announcement Method Using Alternate Between Voice Mode and Data Mode | |
KR100653162B1 (en) | How to opt out from your mobile device | |
US7043261B2 (en) |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 |
KR100575765B1 (en) | Automatic response control method of push-to-talk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40473B1 (en) | How to send a message automatically | |
KR100721870B1 (en) | Call method using vo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350248B1 (en) | Voice Mailbox Service Method in Mobile Phone System | |
KR100566227B1 (en) | Method for notifying that the mobile call is an emergency call | |
KR20030080494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0007467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call connection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040045573A (en) | Method of notifying telephone conversation status on mobile phone | |
KR20010088553A (en) | A receiving sound convert sound not | |
KR20010019273A (en) | Reserve talk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698292B1 (en) | Mobile phone call control method and device | |
JP2005197915A (en) | Calling device and calling method of calling device | |
JP3562430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notifying incoming call to mobile phone | |
KR100800763B1 (en) | How to connect voice mail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65837B1 (en) | Ringback tone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455772B1 (en) | Method of responding auto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phone | |
KR100621679B1 (en) | How to Connect Recipient's Voice Mail Box According to Calling Party Request | |
KR100703294B1 (en) | Receiving side status notification method of mobile wireless terminal | |
KR100566986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inger size control function by caller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0439224B1 (en) |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id for manner mode mobile phone | |
WO2002013547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all notification message prior to a call accept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5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519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