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1717B1 -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717B1
KR100721717B1 KR1020070018455A KR20070018455A KR100721717B1 KR 100721717 B1 KR100721717 B1 KR 100721717B1 KR 1020070018455 A KR1020070018455 A KR 1020070018455A KR 20070018455 A KR20070018455 A KR 20070018455A KR 100721717 B1 KR100721717 B1 KR 10072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xed arm
lever
bushing
hinge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Priority to KR102007001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7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기는 레버(60)에 의해 회동되는 고정아암(30)을 이용하여 케이블(20)의 커넥터(21) 배면을 가압고정하므로써,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외부진동에 의해 배전용 케이(20)블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underground distributor}
도 1은 종래의 지중배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기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하개폐기, 20; 케이블,
21; 커넥터, 30; 고정아암,
40; 제2 스프링, 50; 연결바아,
60; 레버.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 등에 연결되는 배전선로가 외부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된 지중배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배전선로를 지중에 매설하는 지중배선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지중배선의 배전선로 중간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개폐기(10)가 구비된 지중배전기가 설치되어, 수용가의 사고전류가 다른 선로로 파급되지 않도록므로써, 전기사고에 의한 정전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부하개폐기(10)는 본체(11)의 외측에 부싱(12)이 돌출되어, 이 부싱(12)에 배전용 케이블(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20)은 엘보커넥터(21)가 단부에 구비되어, 이 엘보커넥터(21)를 부싱(12)에 결합하여, 케이블(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지중배선의 지중배전기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차량이 운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이나, 근처에서 공사가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진동 등과 같이, 외부의 진동에 의해 엘보커넥터(21)와 부싱(1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엘보커넥터(21)와 부싱(12)이 꽉 끼워지도록 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엘보커넥터(21)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 케이블(20)의 연결작업이나 교체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20)을 부싱(12)에 결합한 후, 보수작업이나 기타 진동 등의 이 유로 케이블(20)이 상하로 흔들리면서, 커넥터(21)와 부싱(12)의 결합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외부진동에 의해 배전용 케이블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지중배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1)의 외부에 부싱(12)이 구비된 부하개폐기(10)와, 상기 부싱(12)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선단에 구비되어 부싱(12)에 연결되는 배전용 케이블(2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1)의 배면에는 오목홈(22)이 형성되는 한편,
부싱(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구비된 제1 힌지축(14)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바(31)와, 전면에 커넥터(21)의 오목홈(22)과 결합되는 돌기(32a)가 형성되며 회동바(31)의 선단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블록(32)과, 이 가압블록(32)에 연결되어 가압블록(32)이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33)을 포함하여, 하측으로 회동되면 가압블록(32)이 커넥터(21)의 배면에 밀착되어 커넥터(21)가 빠지지 않도록 가압고정하는 고정아암(30)과;
이 고정아암(30)에 연결되어 고정아암(30)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2 스프링(40)과;
선단부가 상기 회동바(31)에 구비된 제2 힌지축(31b)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바(31)의 상측으로 연장된 연결바(50)와;
상기 고정아암(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구비된 제3 힌지축(16)에 힌지결합되어 고정아암(30)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고, 중간부에는 고정아암(30)쪽을 향하도록 연장된 지지패널(61)이 구비되며, 이 지지패널(61)에는 연결바(50)의 기단이 힌지결합되는 제4 힌지축(62)이 구비된 레버(6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널(61)은 레버(6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닿아 레버(60)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2 내지 제4 힌지축(31b,16,62)은 레버(60)를 최대한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제4 힌지축(62)이 제2 및 3 힌지축(31b,16)이 이루는 직선과 교차되는 사점을 지나서, 고정아암(30)과 연결바(50) 및 레버(60)가 셀프록킹 작용을 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기는, 본체(11)의 외부에 부싱(12)이 구비된 부하개폐기(10)와, 상기 부싱(12)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선단에 구비되어 부싱(12)에 연결되는 배전용 케이블(2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부싱(12)은 부하개폐기(10) 본체(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커넥터(21)를 이 부싱(12)에 끼워 배전용 케이블(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21)의 배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오목홈(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지중배전기에는, 커넥터(21)의 배면을 가압하여 커넥터(21)가 부싱(1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아암(30)과, 이 고정아암(30)에 연결된 제2 스프링(40)과, 고정아암(30)에 연결된 연결바(50)와, 이 연결바(50)에 연결된 레버(6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아암(30)은 부싱(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구비된 제1 힌지축(14)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바(31)와, 전면에 커넥터(21)의 오목홈(22)과 결합되는 돌기(32a)가 형성되며 회동바(31)의 선단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블록(32)과, 이 가압블록(32)에 연결되어 가압블록(32)이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힌지축(14)은 부싱(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 전면에 구비된 제1 브라켓(13)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회동바(31)는 기역자로 구성되며 기단이 제1 힌지축(1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회동바(31)는 하측으로 회동될 때 선단부가 부싱(12)에 결합된 커넥터(21)의 배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동바(31)의 선단부에는 상기 가압블록(32)이 삽입되는 결합공(31c)이 형성된다. 또한, 회동바(31)의 기단부 인접측에는 연결바(50)가 결합되는 제2 힌지축(31b)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블록(32)은 회동바(31)의 결합공(31c)에 삽입되며 제1 스프링(33)에 의해 돌출가압되는 것으로, 둘레면에는 결합공(31c)의 내부에 걸리는 걸림턱(32b)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바(31)가 아래쪽으로 회동되면, 가압블록(32)이 커넥터(21)의 배면에 밀착되어 가압한다. 이때, 이 가압블록(32)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32a)가 커넥터(21) 배면의 오목홈(22)에 끼워져 커넥터(2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2 스프링(40)은 토션스프링으로서, 제1 힌지축(14)에 끼워져 양단이 회동바(31)에 구비된 걸림핀(31a)과 부하개폐기(10) 본체(11)의 전면에 각각 걸려 고정아암(30) 전체가 위쪽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결바(50)는 길이가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며, 선단부가 제2 힌지축(31b)에 힌지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레버(60)는 고정아암(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구비된 제3 힌지축(16)에 힌지결합되어 고정아암(30)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 힌지축(16)은 제1 브라켓(1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 본체(11)의 전면에 구비된 제2 브라켓(15)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레버(60)의 중간부에는 고정아암(30)쪽을 향하도록 연장된 지지패널(61)이 구 비되며, 이 지지패널(61)에는 연결바(50)의 기단이 힌지결합되는 제4 힌지축(6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패널(61)은 레버(6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킬 때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닿아 레버(60)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 4힌지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60)를 최대한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제4 힌지축(62)이 제 2힌지축(31b)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되면서, 제2 및 3 힌지축(31b,16)이 이루는 직선(A)과 교차되는 사점(D)을 지나쳐서 정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와같이 각 힌지축이 배치되면, 고정아암(30)이 상측으로 회동되는 힘이 작용될 경우, 분력에 의해 레버(60)를 더욱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발생되는데, 레버(60)는 지지패널(61)에 의해 더 이상 아래쪽으로 회동되지 못하므로, 고정아암(30)과 연결바(50) 및 레버(60)가 상호 걸려서 고정되는 셀프록킹 작용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부싱(12)에 커넥터(21)를 결합하여 배전용 케이블(20)을 연결한 후, 상기 레버(60)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회동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바(50)에 의해 고정아암(30)이 아래쪽으로 회동되며, 고정아암(30)의 가압블록(32)이 커넥터(21)의 배면을 가압하여 커넥터(21)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고정아암(30)이 회동되어 가압블록(32)이 커넥터(21)의 배면에 밀착될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블록(32)의 돌기(32a)가 커넥터(21)의 배면 상 측에 먼저 닿게 되므로, 이때, 가압블록(32)이 커넥터(21)의 배면을 추종하여 후진되므로써, 커넥터(21)가 무리하게 가압되지 않고, 고정아암(30)이 완전하게 회동되어 가압블록(32)이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제1 스프링(33)에 의해 가압블록(32)이 돌출되면서, 돌기(32a)가 커넥터(21)의 오목홈(22)에 끼워진다.
그리고, 커넥터(21)를 분리할 때는 레버(6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고정아암(30)이 커넥터(2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후, 커넥터(21)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아암(30)은 제2 스프링(40)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되어,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부싱(12)에 커넥터(21)를 결합한 후에는 전술한 방법으로 고정아암(30)을 아래쪽으로 회동시켜, 커넥터(21)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지중배전기는 상기 레버(60)를 상, 하측으로 회동시켜, 고정아암(30)이 커넥터(21)의 배면을 가압,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커넥터(21)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넥터(21)를 부싱(12)에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블록(32)의 전면에 돌기(32a)가 형성되어, 이 돌기(32a)가 커넥터(21)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홈(22)에 끼워져 커넥터(21)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므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기타 이유로 배전용 케이블(20)이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커넥터(21)와 부싱(12)의 결합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압블록(32)은 회동바(31)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스프링(33)에 의해 돌출가압되므로, 원운동하는 가압블록(32)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21)의 배면에 밀착될 때, 가압블록(32)의 돌기(32a)에 의해 커넥터(21)가 무리하게 가압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기는 레버(60)에 의해 회동되는 고정아암(30)을 이용하여 케이블(20)의 커넥터(21) 배면을 가압고정하므로써,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외부진동에 의해 배전용 케이블(2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본체(11)의 외부에 부싱(12)이 구비된 부하개폐기(10)와, 상기 부싱(12)에 결합되는 커넥터(21)가 선단에 구비되어 부싱(12)에 연결되는 배전용 케이블(2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1)의 배면에는 오목홈(22)이 형성되는 한편,
    부싱(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구비된 제1 힌지축(14)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바(31)와, 전면에 커넥터(21)의 오목홈(22)과 결합되는 돌기(32a)가 형성되며 회동바(31)의 선단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블록(32)과, 이 가압블록(32)에 연결되어 가압블록(32)이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33)을 포함하여, 하측으로 회동되면 가압블록(32)이 커넥터(21)의 배면에 밀착되어 커넥터(21)가 빠지지 않도록 가압고정하는 고정아암(30)과;
    이 고정아암(30)에 연결되어 고정아암(30)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2 스프링(40)과;
    선단부가 상기 회동바(31)에 구비된 제2 힌지축(31b)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바(31)의 상측으로 연장된 연결바(50)와;
    상기 고정아암(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구비된 제3 힌지축(16)에 힌지결합되어 고정아암(30)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고, 중간부에는 고정아암(30)쪽을 향하도록 연장된 지지패널(61)이 구비되며, 이 지지패 널(61)에는 연결바(50)의 기단이 힌지결합되는 제4 힌지축(62)이 구비된 레버(6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널(61)은 레버(6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부하개폐기(10)의 본체(11)에 닿아 레버(60)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2 내지 제4 힌지축(31b,16,62)은 레버(60)를 최대한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제4 힌지축(62)이 제2 및 3 힌지축(31b,16)이 이루는 직선과 교차되는 사점을 지나서, 고정아암(30)과 연결바(50) 및 레버(60)가 셀프록킹 작용을 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기.
KR1020070018455A 2007-02-23 2007-02-23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Active KR10072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55A KR100721717B1 (ko) 2007-02-23 2007-02-23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55A KR100721717B1 (ko) 2007-02-23 2007-02-23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717B1 true KR100721717B1 (ko) 2007-05-25

Family

ID=3827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55A Active KR100721717B1 (ko) 2007-02-23 2007-02-23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7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02B1 (ko) 2008-10-23 2009-02-06 금오테크(주)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KR100918689B1 (ko) * 2009-03-30 2009-09-29 오대영 지중매설형 배전 전선 스토퍼
KR100939505B1 (ko) 2009-11-12 2010-02-03 주식회사 동성기술단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KR101402991B1 (ko) 2013-11-11 2014-06-03 공은옥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KR101503781B1 (ko) 2014-09-01 2015-03-19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KR101535951B1 (ko) * 2015-02-09 2015-07-10 대성이엔에프(주)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KR102157818B1 (ko) 2020-04-16 2020-09-18 이삼종 도시지역 지중배전선로의 안정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40A (ko) * 2016-05-27 2019-01-03 마코 서지컬 코포레이션 수술 시스템을 위한 수술 전 계획 및 연관된 수술 중 등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40A (ko) * 2016-05-27 2019-01-03 마코 서지컬 코포레이션 수술 시스템을 위한 수술 전 계획 및 연관된 수술 중 등록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4-0015938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02B1 (ko) 2008-10-23 2009-02-06 금오테크(주)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KR100918689B1 (ko) * 2009-03-30 2009-09-29 오대영 지중매설형 배전 전선 스토퍼
KR100939505B1 (ko) 2009-11-12 2010-02-03 주식회사 동성기술단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KR101402991B1 (ko) 2013-11-11 2014-06-03 공은옥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KR101503781B1 (ko) 2014-09-01 2015-03-19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KR101535951B1 (ko) * 2015-02-09 2015-07-10 대성이엔에프(주)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KR102157818B1 (ko) 2020-04-16 2020-09-18 이삼종 도시지역 지중배전선로의 안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717B1 (ko)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지중배전기
KR20000035151A (ko)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KR200413755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JP5786033B2 (ja) 建設機械用警光灯の固定装置
KR20230107517A (ko)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101402991B1 (ko)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KR100721852B1 (ko) 배전형 변압기를 갖춘 전신주
KR101503781B1 (ko)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CN1289582A (zh) 关节内的假体
JP5792243B2 (ja) 間接活線作業用工具
CN103427352A (zh) 配电柜静触头安装、检验装置和方法
US8345399B2 (en) Electrical protection assembly and system
CN213906109U (zh) 一种引流线绝缘支撑杆
KR100708432B1 (ko) 지중매설방식의 송배전기
CN104727840A (zh) 液压支架、操纵阀组及其闭锁装置
EP2239819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for connecting at least two conductors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KR100869363B1 (ko) 송전탑용 현수애자의 각도보정장치
KR101535951B1 (ko)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CN1970240B (zh) 电力驱动的手持式工具机
CN102637537B (zh) 一种抽出式开关电器用桥型触头
CN106786121A (zh) 线夹安装工具
KR20220170172A (ko) 종단 접속재용 케이블 헤드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시공 방법
CN104577844A (zh) 一种联锁机构及具有该联锁机构的抽屉式开关柜
JP6857901B2 (ja) ストラップ押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3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