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1313B1 -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313B1
KR100721313B1 KR1020060052197A KR20060052197A KR100721313B1 KR 100721313 B1 KR100721313 B1 KR 100721313B1 KR 1020060052197 A KR1020060052197 A KR 1020060052197A KR 20060052197 A KR20060052197 A KR 20060052197A KR 100721313 B1 KR100721313 B1 KR 10072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cover
desk system
leg
adjust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to KR102006005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스크 시스템의 하부를 형성하는 레그 패널에 어저스트부를 구비함으로써 레그 패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 레그 패널, 어저스트부

Description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structure of adjust}
도 1은 종래 데스크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 시스템의 폴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부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레그 패널 2: 상부 기판
5: 스크린 패널 10: 삽입공
20: 폴 22: 연결편
30: 횡바 40: 정렬대
42: 안내공 60: 어저스트부
61: 결합축 63: 회전판
65: 상부커버 66: 하부커버
67: 결합부재
본 발명은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스크 시스템의 하부를 형성하는 레그 패널에 어저스트부를 구비함으로써 레그 패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작업대 등과 같은 테이블에는 책꽂이 또는 작업 도구함, 공구대, 정리함 등과 같은 소품이 놓여지게 되는데, 이러한 소품들은 테이블의 후방 또는 일측방에 놓여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테이블의 사용면적을 줄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소품이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용구를 놓고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작업공간이 부족하여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특허공개번호 2003-39315호에서와 같은 데스크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데스크 시스템의 레그 패널(1)은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인접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레그 패널(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긴 모양의 직사 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향된 상부 코너들에 45°로 경사진 경사면(1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레그 패널(1)은 각각의 상부에 상부 기판 지지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기판 지지부재(3)는 하부로 한 쌍의 레그부(3a)를 연장 형성하며, 상부 기판 지지부재(3)는 레그부(3a)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기판 지지부재(3)는 스크린 패널(5)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지지로드(10)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9)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기판 지지부재(3) 상에는 상부 기판(2)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상부 기판 지지부재(3)는 한 쌍의 수직한 레그부(3a)와, 각각 레그부(3a)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연장된 수평 암부(3b)와, 수평 암부(3b)의 끝에 결합된 크로스 빔(3c)으로 형성되며, 상부 기판(2)은 수평 암부(3b) 및 크로스 빔(3c)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마주하게 배열된 레그 패널(1)은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에 횡빔(4)을 지지한다.
상기 횡빔(4)은 종방향으로 배열된 배선 구멍(14)이 마련된 긴 모양의 직사각형 금속판이다.
특히, 상기 횡빔(4)은 레그 패널(1)의 경사면(1a)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데스크 시스템은 레그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레그 패널의 양측 하부에 어저스트부를 구비하여 강제 회전으로 레그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어저스트부의 회전되는 회전판의 하면에 원형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직접적으로 접하는 하부커버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레그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어저스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저스트부로서 레그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결합축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의 상부를 커버링하기 위한 상부커버와,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며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과 바닥면과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 시스템의 폴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부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 시스템은 서로 대칭되게 일체적으로 형성된 레그 패널(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레그 패널(1)은 한 쌍씩 적어도 두 쌍 구비되어 데스크 시스템의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 패널(1)의 상부에는 상부 기판(2)이 놓이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기판(2)은 너비 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를 레그 패널(1)에 지지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하나의 상부 기판(2)은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레그 패널(1)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 패널(1)은 한 쌍을 서로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부 기판(2)은 두 쌍의 레그 패널(1) 사이에 두 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그 패널(1)은 육면체 형상으로서 바닥면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되며, 한 쌍씩의 레그 패널(1)은 서로 인접한 모서리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공(10)을 각각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폴(20)은 삽입공(10)에 삽입되며, 레그 패널(1)의 내부에 지지된다.
특히, 상기 레그 패널(1)이 일정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폴(20)의 하부는 레그 패널(1)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폴(20)은 상부 기판(2)의 너비 방향으로 한 쌍씩 상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레그 패널(1)에서 각각 삽입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폴(20)은 연결편(22)에 의해 상호 구속된다.
즉, 상기 인접한 폴(20)은 연결편(22)에 의해 용접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폴(20)은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보강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폴(20)은 한 쌍의 상부 기판(2)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 기판(2)의 너비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한 한 쌍씩의 폴(20)은 횡바(30)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횡바(30)는 접하는 폴(20)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횡바(30)는 한 쌍 구비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횡바(30)는 각각 스크린 패널(5)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기판(2) 사이를 구획하는 스크린 패널(5)은 폴(20) 사이를 연결하는 횡바(30)에 지지되기 때문에 레그 패널(1)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폴(20) 사이에는 다수 개의 횡바(3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스크린 패널(5)은 후면에 횡바(30)의 개수만큼의 브라켓(15)을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15) 각각은 횡바(30)에 걸리게 됨으로써 스크린 패널(5)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스크린 패널(5)이 브라켓(15)에 의해 횡바(30)에 걸림에 따라 스크린 패널(5)은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 패널(5)은 선반(13)이나 작은 물품을 구비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 패널(5)은 선반(13)이나 작은 물품을 볼트로서 횡바(30)와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나란하게 배열되는 횡바(30) 사이에는 정렬대(40)가 구비된다.
상기 정렬대(40)는 상부 기판(2)의 상방으로 전선(17)을 배치해야 할 경우 외부 노출을 방지하면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선(17)은 형광등 등의 설치를 위해 정렬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정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대(40)는 나란한 횡바(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대(40)는 일정간격으로 안내공(42)을 통공한다.
상기 안내공(42)은 임의의 위치에서 전선(17)을 하부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레그 패널(1)은 하부 양측 가장자리에 어저스트부(60)를 구비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저스트부(60)는 결합축(61), 회전판(63), 상부커버(65), 하부커버(66) 및 결합부재(67)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축(61)은 레그 패널(1)의 하단에 나사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결합축(61)은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축(61)의 상단부는 레그 패널(1)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단에 렌치홈(62)을 형성하여 렌치를 이용하여 강제 회전된다.
특히, 상기 레그 패널(1)은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6) 및 상기 프레임(6)의 양측을 개방 가능하게 닫도록 형성된 측판(7)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7)은, 공지된 바와 같이, 프레임(6)의 양측면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결합축(6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축(61)은 금속재질인 레그 패널(1)의 프레임(6) 하측에 치합(齒合)되어 회전하며 상승하게 되고, 사용자가 결합축(61)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축(61)은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63)은 결합축(6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63)은 결합축(61)을 지지하여 결합축(61)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65)는 중심을 결합축(61)에 끼우며, 회전판(63)의 상단부를 삽입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66)는 결합축(61)의 하단부를 삽입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판(63)은 상부커버(65)와 하부커버(66)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65)와 하부커버(65)는 회전판(6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회전판(63)을 보호함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 회전판(63)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63)은 회전시 하부커버(66)와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하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원형돌기(64)를 돌출 형성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67)는 상부커버(65)와 하부커버(66)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상기 결합부재(67)는 상부커버(65)의 내측면 하부 가장자리 전체에 돌출 형성된 제 1후크돌기(68) 및 하부커버(66)의 외측면 상부 가장자리 전체에 돌출 형성된 제 2후크돌기(69)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후크돌기(68)는 제 1경사면(68a)을 갖음과 아울러 제 2후크돌기(69)는 제 2경사면(69a)을 갖도록 하여 상부커버(65)와 하부커버(66)의 닫힘시 제 1후크돌기(68)와 제 2후크돌기(69)가 상호 슬라이딩되면서 걸리도록 한다.
상기 상부커버(65)와 하부커버(66)가 완전히 닫히면, 제 2후크돌기(69)의 하면이 제 1후크돌기(68)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65)와 하부커버(66)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외력으로 상부커버(65)를 외측으로 벌린 후 제 1후크돌기(68)와 제 2후크돌기(69)를 분리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레그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에 어저스트부를 구비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어저스트부는 강제 회전되며 레그 패널의 높낮이를 변경시키는 결합축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을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보호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한 쌍씩 연결된 레그 패널의 각 중앙부위에 스크린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레그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축·상기 결합축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판·상기 결합축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의 상부를 커버링하기 위한 상부커버·상기 회전판을 수용하며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과 바닥면과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로 구성된 어저스트부를 구비하여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레그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하부커버 상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원형돌기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은 상기 레그 패널의 내부로 돌출된 상단을 렌치로서 강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렌치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면 하단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며, 제 1경사면을 갖는 제 1후크돌기와;
    상기 하부커버의 외측면 상단부 둘레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경사면과 접하며 슬라이드 되는 제 2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1후크돌기의 상부에 걸리는 제 2후크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KR1020060052197A 2006-06-09 2006-06-09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KR10072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97A KR100721313B1 (ko) 2006-06-09 2006-06-09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97A KR100721313B1 (ko) 2006-06-09 2006-06-09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313B1 true KR100721313B1 (ko) 2007-05-25

Family

ID=3827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197A KR100721313B1 (ko) 2006-06-09 2006-06-09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3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15A (ko) * 2001-11-12 2003-05-17 가부시끼가이샤 우찌다 요오꼬오 데스크 시스템
JP2003153756A (ja) 2001-11-26 2003-05-27 Ebisuya Kogyo Kk テーブル等の高さ調整機構
JP2004136008A (ja) 2002-10-21 2004-05-13 Uchida Yoko Co Ltd デスク配線機構
KR200375637Y1 (ko) 2004-11-18 2005-03-10 안중식 가구용 바닥 서포트
JP2005087672A (ja) 2003-09-16 2005-04-07 Tomiyuki Okano 調整機構付アジャスター
KR200406067Y1 (ko) 2005-10-17 2006-01-20 이창우 가구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15A (ko) * 2001-11-12 2003-05-17 가부시끼가이샤 우찌다 요오꼬오 데스크 시스템
JP2003153756A (ja) 2001-11-26 2003-05-27 Ebisuya Kogyo Kk テーブル等の高さ調整機構
JP2004136008A (ja) 2002-10-21 2004-05-13 Uchida Yoko Co Ltd デスク配線機構
JP2005087672A (ja) 2003-09-16 2005-04-07 Tomiyuki Okano 調整機構付アジャスター
KR200375637Y1 (ko) 2004-11-18 2005-03-10 안중식 가구용 바닥 서포트
KR200406067Y1 (ko) 2005-10-17 2006-01-20 이창우 가구용 받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200406067NU 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5186B2 (ja) 組立式書架
JP2008119072A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の棚装置
KR100721313B1 (ko)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US20090039750A1 (en) Adjusting rail
JP5203678B2 (ja) デスク装置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H049367Y2 (ko)
JP7164400B2 (ja) 天板付什器
KR100625780B1 (ko) 데스크 시스템의 선반 설치구조
JP6381108B2 (ja) 天板付き什器
KR20110005809U (ko) 주방용 선반의 고정구
KR102235203B1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KR200262278Y1 (ko) 진열장
JP7272802B2 (ja) 天板付什器
JP2006289033A (ja) 什器の中間支柱追加ユニット
JP2010148628A (ja) 什器とブラケット
JP417378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6893728B2 (ja)
AU2008291200A1 (en) Shelf element
JPH07284419A (ja) 引出し収納部の面材取付け構造
KR20090050692A (ko) 신발장
JP6821264B2 (ja)
JP4375956B2 (ja) テーブル
JP4673738B2 (ja) 机と仕切パネルとの連結構造
JP4132357B2 (ja) 間仕切におけるコーナー棚板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