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330B1 - Data playback device - Google Patents
Data playback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0330B1 KR100720330B1 KR1020057023398A KR20057023398A KR100720330B1 KR 100720330 B1 KR100720330 B1 KR 100720330B1 KR 1020057023398 A KR1020057023398 A KR 1020057023398A KR 20057023398 A KR20057023398 A KR 20057023398A KR 100720330 B1 KR100720330 B1 KR 100720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pattern
- crosstalk
- reproduction
- tr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6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000606504 Drosophila melanogaster Tyrosine-protein kinase-like otk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신호의 품질 향상이 도모된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의 데이터 재생 장치는 재생 대상의 트랙에 있어서의 헤드 패턴과 재생 신호와의 상호 상관값을 구하는 위상차 검출부(153)와, 그 재생 대상 트랙에 인접한 트랙에 있어서의 헤드 패턴과 재생 신호와의 상호 상관값을 구하는 상호 상관기(166, 167)와, 이들의 상호 상관값에 기초하여 크로스토크의 방향이나 비율을 구하는 크로스토크량 검출기(168)를 포함하고 있다. 또는, 데이터 재생 장치는 위상차 검출부(153)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나 상호 상관값에 기초하여 재생 신호의 오프셋이나 이득을 수정하는 수정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the quality of a reproduction signal is improved, and the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for obtaining a cross correlation value between a head pattern and a reproduction signal in a track to be reproduced. 153, cross correlators 166 and 167 for obtaining a cross correlation value between a head pattern and a reproduction signal in a track adjacent to the playback target track, and the direction and ratio of crosstalk based on these cross correlation values; And a crosstalk amount detector 168 for obtaining. Alternatively, the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 correction function for correcting the offset and the gain of the reproduction signal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and the cross correlation value obtained by the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153.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최근 고밀도화를 계속하는 DVD(Digital Versatile Disk)나 MO(Magneto-Optical disk)로 대표되는 광(자기) 디스크 장치, 자기 디스크 장치(HDD: Hard Disk Drive) 등이라는 데이터 재생 장치는 다양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금후보다 대용량, 고속 전송이 갈망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데이터 재생 장치가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로서는 트랙 간격이 매우 좁아지게 되었다. 그 때문에, 재생 신호의 품질이 크로스토크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있어서 한층 더 고밀도화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data reproducing devices such as optical (magnetic) disk devices and magnetic disk devices (HDDs), such as DVD (Digital Versatile Disk) and MO (Magneto-Optical disk), which are continuously increasing in density, are diversifying. In the future, large-capacity and high-speed transmissions are desired. However, as the recording medium targeted by these data reproduction apparatuses, the track interval becomes very narrow.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reproduced signal is easily affected by crosstalk, making it difficult to further increase the density.
재생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켜 한층 더한 고밀도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크로스토크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produced signal and to achieve higher density, it is conceivable to detect and eliminate crosstalk.
도 1 및 도 2는 크로스토크를 검출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에 적용하는 포맷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인접한 양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구별하지 않는 포맷례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인접한 양 트랙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포맷례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examples of formats applied to a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crosstalk. FIG. 1 shows a format example in which crosstalk from both adjacent tracks is not distinguished, and FIG. An example of the format for discriminating whether it is crosstalk from either of the tracks is shown.
도 1의 포맷례 및 도 2의 포맷례 모두 각 트랙(1_1, ···, 1_5)에, 1T 연속 구간과 4T 연속 구간이 배치된 크로스토크 검출 영역(3)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크로스토크 검출 영역(3)에서는, 인접한 트랙 사이에서 1T 연속 구간 및 4T 연속 구간의 구간 배치 패턴이 다르다. 이와 같이 1T 연속 구간과 4T 연속 구간이 배치된 크로스토크 검출 영역(3)에서 빔 스폿(2)이 오프 트랙이 되면, 재생 신호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In both the format example of FIG. 1 and the format example of FIG. 2, each track 1_1,..., 1_5 is provided with a
여기서, 1T 연속 구간과 4T 연속 구간 각각으로부터 재생되는 샘플 데이터(재생 신호)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the sample data (playback signal) reproduced from each of the 1T continuous section and the 4T continuous sec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1T 연속 구간과 4T 연속 구간 각각으로부터 재생되는 샘플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sample data reproduced from each of 1T continuous section and 4T continuous section.
이 도 3에 도시된 패턴 「10101010」이 1T 연속 구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패턴 「11110000」이 4T 연속 구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기록 데이터는 1+D 특성을 갖는 재생 채널에 의해 재생되어 각각 「11111111」, 「12221000」이라는 샘플 데이터(재생 신호)가 된다. 따라서, 1T 연속 구간으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진폭 0의 신호이고, 4T 연속 구간으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큰 진폭을 갖는다.The pattern "10101010" shown in this FIG. 3 shows the data recorded in the 1T continuous section, and the pattern "11110000" shows the data recorded in the 4T continuous section. These recorded data are reproduced by a reproduction channel having a 1 + D characteristic to become sample data (reproduction signal) of "11111111" and "12221000", respectively. Therefore, the playback signal from the 1T continuous section is a signal of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포맷례에서는 이러한 재생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진폭이 발생하지 않는 1T 연속 구간에서, 인접 트랙의 4T 연속 구간에 기인하는 진폭 신호가 얼마만큼 크로스토크하는지를 계측함으로써 크로스토크량을 산출한다.In the format example shown in Figs. 1 and 2, the crosstalk is measured by measuring how much the amplitude signal resulting from the 4T continuous section of the adjacent track crosstalks in the 1T continuous section where the amplitude does not occu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oduced signal. Calculate the quantity.
도 4는 크로스토크 검출의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crosstalk detection.
크로스토크가 없을 때의 재생 신호 4_1에서는 1T 연속 구간에서 진폭 0이 되지만, 크로스토크가 있을 때의 재생 신호 4_2에서는 1T 연속 구간에서 진폭 신호 5가 검출되며, 이 진폭 신호 5는 인접한 트랙의 4T 연속 구간에 기인한 크로스토크이다. 그리고, 전단의 4T 연속 구간의 진폭과 크로스토크한 4T 연속 진폭을 비교함으로써 크로스토크 정도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reproduction signal 4_1 when there is no crosstalk, the amplitude becomes 0 in the 1T continuous section, but in the reproduction signal 4_2 when there is crosstalk, the
전술한 크로스토크의 검출 원리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의 테스트 영역에서 크로스토크를 검출하고, 트랙에 대한 빔 스폿 위치에 오프셋을 거는 기술(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이나 크로스토크 검출 영역을 프리 피트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On the basis of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principle of crosstalk, crosstalk is detected in the test area o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technique of offsetting the beam spo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ck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or the crosstalk detection area is prefitted. The technique of using and installing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7762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77627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4508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45080
그러나, 전술한 원리에 의한 크로스토크의 검출에서는 재생 신호가 충분한 품질 향상을 실현하는 정도의 정밀도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크로스토크 검출 영역을 설치하는 만큼만 기록 매체의 용량 손실이 된다.However, in the detection of crosstalk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it is difficult to attain a precision that the reproduction signal realizes sufficient quality improvement. In addition, the capacity loss of the recording medium is limited only by providing the crosstalk detection are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크로스토크 이외에도 재생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회로에 있어서, 신호 강도의 오프셋이나 신호의 이득 불량 등이 생긴 경우에도 재생 신호의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In addition to the crosstalk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the reproduction signal, the quality of the reproduction signal is affected even when an offset of signal strength, a poor gain of the signal, or the like occurs.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재생 신호의 품질 향상이 도모된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첫 번째로, 크로스토크의 고정밀도한 검출에 의한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두 번째로, 재생 신호의 오프셋이나 이득의 수정에 의한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the quality of a reproduction signal can be improved, and in particular, firstly, an object thereof is to improve the quality by high precision detection of crosstalk. Second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by correcting the offset and the gain of the reproduction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1의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hieves the above object,
복수의 병렬 선형 트랙을 가지며, 트랙을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A dat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linear tracks and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in which data is recorded along the tracks,
상기 기록 매체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트랙을 따른 제1 영역과, 트랙을 따라 상기 제1 영역보다 전에 존재하고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 보정에 이용되는 패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가지며, 서로 인접한 트랙 사이에서 서로 인접한 패턴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has a first area along a track in which user data is recorded, and a second area along the track, which exists before the first area and in which pattern data used for correcting the reproduction timing of the user data is recorded. The adjacent pattern data is different between adjacent tracks,
상기 기록 매체에 대향하고, 이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얻는 헤드와,A head which opposes the recording medium and obtains a reproduction signal by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헤드에 의해 재생 대상 트랙을 따른 제2 영역이 재생되어 얻어진 재생 신호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재생되어야 할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는 제1 패턴 비교부와,A first pattern comparison section for comparing a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reproducing a second region along the reproduction target track by the head with pattern data to be reproduced from the second region;
제1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타이밍의 보정을 행하는 타이밍 보정부와,A timing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the reproduction timing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first pattern comparison unit,
헤드에 의해 재생 대상 트랙을 따른 제2 영역이 재생되어 얻어진 재생 신호와, 상기 재생 대상 트랙에 인접한 트랙을 따른 제2 영역으로부터 재생되어야 할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는 제2 패턴 비교부와,A second pattern comparison section for comparing a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reproducing the second region along the reproduction target track by the head with pattern data to be reproduced from the second region along the track adjacent to the reproduction target track;
제1 패턴 비교부 및 제2 패턴 비교부의 각각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크로스토크를 검출하는 크로스토크 검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rosstalk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crosstalk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y each of the first pattern comparison unit and the second pattern comparison unit.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에 따르면, 제1 패턴 비교부 및 제2 패턴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의해 인접한 트랙상의 패턴 데이터에 기인하는 크로스토크를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고, 크로스토크를 줄여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talk resulting from the pattern data on the adjacent tracks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by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pattern comparing section and the second pattern comparing section, and the signal quality is reduced by reducing the crosstalk. Can improve.
또한, 이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기록 매체 상에 종래부터 준비되어 있는 패턴 데이터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 손실을 막을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ttern data can also serve as pattern data conventionally prepared on the recording medium for reproduction of the user data, the capacity loss of the recording medium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패턴 데이터는 자기 상관값이 일치점에서만 피크를 나타내는 동시에 다른 패턴 데이터와의 상호 상관값이 자기 상관값보다 작은 패턴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In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data is a pattern data in which the autocorrelation value indicates a peak only at a coincidence point and the cross-correlation value with other pattern data is smaller than the autocorrelation value.
상기 패턴 데이터가 최장 부호 계열(M 계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pattern data is the longest code series (M series).
패턴 데이터가 최장 부호 계열(M 계열)로 대표되는 전술한 자기 상관값이나 상호 상관값을 나타내는 것이면, 크로스토크의 검출 정밀도가 한층 더 향상된다.If the pattern data represents the above-described autocorrelation value or cross-correlation value represented by the longest code series (M series), the detection accuracy of crosstalk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크로스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재생 대상 트랙에 대한 헤드의 재생 위치의 조정을 행하는 트래킹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cking adjustment section that adjusts the reproduction position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playback target track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detected by the crosstalk detection section.
통상의 크로스토크는 목표하는 트랙에 대하여 헤드의 재생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발생하기 때문에, 트랙에 대하여 재생 위치를 수정함으로써 크로스토크가 감소한다.Since normal crosstalk is caused by a shift in the reproduction position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target track, crosstalk is reduced by correcting the reproductio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ck.
이러한 트래킹 조정부를 포함한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 tracking adjustment unit is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의 테스트에 이용되는 테스트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has a test area used for test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data,
상기 트래킹 조정부는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테스트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고,The tracking adjustment unit performs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the test in the test area. &Quot;
「상기 트래킹 조정부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실패하여 기록 재생을 다시 할 때에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고, 또는May be in the form of " the tracking adjustment unit performs the adjustment when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data fails. &Quot;
「상기 트래킹 조정부는 데이터의 재생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다.It may be in the form of "the tracking adjustment unit performs the adjustment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data ''.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크로스토크에 따라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영역에서의 데이터 재생에 적합한 조정량을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크로스토크로부터 추정하여 조정하게 되고, 다른 영역에서의 데이터 재생시에 크로스토크도 검출함으로써 장치에 대한 부가를 줄일 수 있다.In the case where adjustment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in the test area, an adjustment amount suitable for data reproduction in the other area is estimated from the crosstalk in the test area and adjusted. By detecting, the addition to the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기록 재생을 다시 할 때에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록 재생이 가능한 정도의 크로스토크는 방치함으로써 장치에 대한 부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djustment is performed wh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gain, the addition to the apparatus can be reduced by leaving the crosstalk of the extent to which recording and reproducing is possible.
또한, 재생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조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장치에 대한 부가가 크지만, 기록 재생의 지장이 되는 크로스토크의 발생 자체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djustment is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the addition to the apparatus is large, b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rosstalk itself, which hinders recording and reproduction.
또한,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크로스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헤드가 기록 매체에 대향하는 각도(경사각)의 조정을 행하는 각도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도 적합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gle adjusting section for adjusting the angle (inclined angle) at which the head opposes the recording medium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detected by the crosstalk detecting section.
헤드가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면에서 상대하지 않고 경사져 있는 경우에도 크로스토크의 원인이 되며, 이 경우에는 헤드의 재생 위치를 수정하더라도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각도 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Even if the hea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cording medium without facing from the front, crosstalk is caused.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crosstalk even when the reproduction position of the head is corrected.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rosstalk by including the angle adjuster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각도 조정부를 포함한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n angle adjusting unit is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의 테스트에 이용되는 테스트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has a test area used for test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data,
상기 각도 조정부는 상기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테스트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고,The angle adjusting unit adjusts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testing in the test area. &Quot;
「상기 각도 조정부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실패하여 기록 재생을 다시 할 때에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으며, 또는The above-mentioned angle adjusting unit may perform 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when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the data fails in recording and reproducing.
「상기 각도 조정부는 데이터의 재생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다.The above-mentioned angle adjustment part may perform the said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 regeneration of data. "
여기에 도시한 각 형태의 이점은 트래킹 조정부를 포함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형태의 이점과 동일하다.The advantages of each form shown here are the same as the advantages of each form in the case of including a tracking adjustment part.
또한,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크로스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헤드에 있어서의 재생 파워의 조정을 행하는 재생 파워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도 적합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roducing power adjusting section that adjusts the reproducing power in the head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detected by the crosstalk detecting section.
재생 파워가 부적절하고, 특히 너무 강한 경우에는, 매체 상의 빔 스폿이 너무 커져서 크로스토크를 일으킨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재생 파워 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스폿 사이즈를 적절한 사이즈로 조정하여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If the reproduction power is inadequate, especially too strong, the beam spot on the medium becomes too large to cause crosstalk. Thus, by including the regeneration power adjusting se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rosstalk by adjusting the spot size to an appropriate size.
이러한 재생 파워 조정부를 포함한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 reproducing power adjusting unit,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의 테스트에 이용되는 테스트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has a test area used for test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data,
상기 재생 파워 조정부는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테스트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고,The regenerative power adjustment unit performs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testing in the test area. &Quot;
「상기 재생 파워 조정부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실패하여 기록 재생을 다시 할 때에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으며, 또는May be in the form of "the reproduction power adjustment unit performs the adjustment wh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is failed in recording and reproducing ''; or
「상기 재생 파워 조정부는 데이터의 재생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다.It may be in the form of "the reproduction power adjustment unit performs the adjustment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data ''.
여기에 나타낸 각 형태의 이점도 트래킹 조정부를 포함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형태의 이점과 동일하다.The advantages of each aspect shown here are also the same as the advantages of each aspect in the case of including a tracking adjustment part.
게다가,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크로스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헤드가 기록 매체에 대향하는 거리의 조정을 행하는 거리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도 적합하다.In addition,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eferably includes a distance adjusting section for adjusting the distance the head opposes the recording medium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detected by the crosstalk detecting section.
헤드가 기록 매체에 대향하는 거리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매체 상의 빔 스폿이 핀트가 맞지 않아 크로스토크율이 증가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은 거리 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핀트가 맞지 않는 것을 고쳐서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If the distance that the head opposes the recording medium is inappropriate, the beam spot on the medium will be out of focus and the crosstalk rate will increase. Thus, by including the distance adjuster as described above, the crosstalk can be reduced by correcting the misalignment.
이러한 거리 조정부를 포함한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 distance adjusting unit is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의 테스트에 이용되는 테스트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has a test area used for test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data,
상기 거리 조정부는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테스트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고,The distance adjusting part performs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testing in the test area. &Quot;
「상기 거리 조정부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실패하여 기록 재생을 다시 할 때에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으며, 또는The above-described distance adjusting unit may perform the adjustment when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data fails to record and reproduce.
「상기 거리 조정부는 데이터의 재생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다.The above-mentioned distance adjusting unit may perform the above adjust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detect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the data.
여기에 나타내는 각 형태의 이점도 트래킹 조정부를 포함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형태의 이점과 동일하다.The advantages of each aspect shown here are also the same as the advantages of each aspect in the case of including a tracking adjustment part.
게다가,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In addition,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헤드는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도 행하는 것으로서,"The head also records data on the recording medium,
크로스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헤드에 있어서의 기록 파워의 조정을 행하는 기록 파워 조정부를 포함하였다」라고 하는 형태도 적합하다.A recording power adjustment section for adjusting the recording power in the head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detected by the crosstalk detection section is also suitable.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기록시에 인접 트랙의 데이터를 덮어쓰기 해버리는 크로스 라이트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전술한 기록 파워 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기록 파워의 조정을 적절한 파워로 조정하여 크로스 라이트를 방지할 수 있다.When crosstalk has occurr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cross light that overwrites the data of adjacent tracks may occur when data is recorded. Thus, b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recording power adjustment sec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djustment of the recording power to an appropriate power to prevent the cross light.
이러한 기록 파워 조정부를 포함한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 recording power adjusting unit,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의 테스트에 이용되는 테스트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has a test area used for test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data,
상기 기록 파워 조정부는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테스트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따라 상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의 크로스토크에 따라 미리 기록 파워를 적절히 조정해 둠으로써, 정식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시에 크로스 라이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cording power adjustment unit performs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rosstalk detected during the test in the test area. &Quo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recording power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crosstalk in the test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ss light from occurring during the recording of the regular user data.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제1 패턴 비교부 및 상기 제2 패턴 비교부가 패턴 데이터와 재생 신호를 비교한 결과로서 상호 상관값을 얻는 것이 적합하다.In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attern comparator and the second pattern comparator obtain a cross correlation valu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ttern data with the reproduction signal.
상호 상관값을 얻음으로써 패턴의 일치 불일치를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고, 그 결과, 크로스토크의 유무도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By obtaining the cross-correlation value, the mismatch of patterns can be determined with high accuracy, and as a result,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osstalk can be determined with high accuracy.
또한,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제1 패턴 비교부 및 상기 제2 패턴 비교부가 패턴 데이터와 재생 신호를 비교하는 데에 있어서, 그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 레벨의 합계가 0이 되도록 변환하고, 변환후의 패턴 데이터와 재생 신호를 비교하여 상호 상관값을 얻는 것도 적합하다.Further, in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ttern comparator and the second pattern comparator compare the pattern data with the reproduction signal so that the sum of the data levels is zero. It is also suitable to compare the pattern data after conversion and the reproduction signal to obtain a cross correlation value.
패턴 데이터 레벨의 합계가 0이 되도록 변환되어 비교에 이용되면, 상관 관계가 없는 신호와의 비교가 행해졌을 때의 상관값은 0이 되어 상관의 유무가 명료해진다.When the sum of the pattern data levels is converted to 0 and used for comparison, the correlation value when the comparison with the uncorrelated signal is 0 becomes clear and the existence of correlation becomes clear.
또한,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크로스토크 검출부가 제1 패턴 비교부 및 제2 패턴 비교부의 각각에서 얻어진 상호 상관값의 각 최대값 상호의 상대 비율에 기초하여 크로스토크를 검출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상대 비율에 의해 크로스토크의 유무나 크로스토크율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crosstalk detection unit detects crosstalk based on a relative ratio of each maximum value of the cross-correlation values obtained in each of the first pattern compar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comparing unit. Suitable. With such a relative rati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osstalk and the crosstalk rat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또한, 본 발명의 제1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크로스토크 검출부는 제2 패턴 비교부에서 얻어진 상호 상관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크로스토크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talk detection unit in the first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re is crosstalk when the cross correlation value obtained by the second pattern comparison uni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소정의 임계값이 판단 기준으로서 이용됨으로써, 크로스토크 이외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상관값에 좌우되지 않는 정밀도 좋은 판정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By using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s a criterion of determination, it is possible to make an accurate judgment that does not depend on a correlation value generated by a cause other than crosstalk. In this case,
상기 크로스토크 검출부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설정하여, 그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크로스토크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라도 좋다.The crosstalk detection unit may set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osstalk using the set threshold valu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seco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hieves the above object,
복수의 병렬 선형 트랙을 가지며, 트랙을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A dat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linear tracks and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in which data is recorded along the tracks,
상기 기록 매체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트랙을 따른 제1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 보정에 이용되고 자기 상관값이 일치점에서만 피크를 나타내는 패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을 따라 제1 영역보다 전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exists before the first area along the first area along the track on which the user data is recorded and along the track on which the pattern data indicating the peak at only the coincidence point and used for correcting the reproduction timing of the user data is recorded. As having a second region to
기록 매체에 대향하고,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얻는 헤드와,A head facing the recording medium,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to obtain a reproduction signal;
헤드에 의해 재생 대상 트랙을 따른 제2 영역이 재생되어 얻어진 재생 신호와, 그 제2 영역으로부터 재생되어야 할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는 패턴 비교부와,A pattern comparator for comparing a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reproducing a second area along the track to be reproduced by the head with pattern data to be reproduced from the second area;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타이밍 보정을 행하는 타이밍 보정부와,A timing correction unit that performs reproduction timing correc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ison unit,
헤드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신호의 직류 성분을 상기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하고, 그 직류 성분에 따른 오프셋 보정량만큼 그 재생 신호의 직류 성분을 보정하는 직류 오프셋 보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C offset corr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DC component of the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the hea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ison unit, and correcting the DC component of the reproduction signal by the offset correct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C component. .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재생 장치에 따르면, 신호 처리에 적합한 본래의 레벨로부터 재생 신호의 직류 성분이 어긋나 있는 양(오프셋량)을,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구하여 수정할 수 있어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fset amount) in which the DC component of the reproduction signal is shifted from the original level suitable for signal processing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nd corrected by using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ison unit, and the signal Can improve the quality.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second data repro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직류 오프셋 보정부는 오프셋 보정량을 헤드의 출력으로 피드백하여 재생 신호의 직류 성분을 보정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고, 또는,The DC offset correction unit may feed back an offset correction amount to the output of the head to correct a DC component of a reproduction signal, or
「상기 직류 오프셋 보정부는 타이밍 보정부에 의해 재생 타이밍이 보정된 재생 신호의 직류 성분을 오프셋 보정량만큼 보정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다.The above-described DC offset correction unit may correct a DC component of a reproduction signal whose reproduction timing has been corrected by the timing correction unit by an offset correction amount.
재생 타이밍이 보정된 후의 재생 신호에 대하여 오프셋 보정량의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디지털에 의한 피드포워드의 보정이 가능하고, 신호 처리의 속도 향상에 적합하다.When the offset correction amount is corrected for the reproduced signal after the reproduction timing is corrected, the digital feed forward can be corrected, which is suitable for speeding up the signal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재생 장치는,In addition, the second data re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직류 오프셋 보정부는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로부터 패턴 데이터가 0레벨이 되는 타이밍을 얻어 그 타이밍에 있어서의 재생 신호값의 합계를 산출함으로써 재생 신호의 직류 성분을 얻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고, 또는,Even if the DC offset correction unit obtains the timing at which the pattern data becomes zero level from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ison unit and calculates the sum of the reproduction signal values at the timing, the DC component of the reproduction signal is obtained. May or
「상기 직류 오프셋 보정부는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로부터 패턴 데이터가 최대 레벨이 되는 타이밍 및 최소 레벨이 되는 타이밍을 얻어 최대 레벨이 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재생 신호값의 평균과 최소 레벨이 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재생 신호값의 평균의 중간값을 산출함으로써 재생 신호의 직류 성분을 얻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이어도 좋다."The DC offset correction unit obtains the timing at which the pattern data becomes the maximum level and the minimum level from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ator, and the timing at which the average and minimum level of the reproduction signal values at the timing becomes the maximum level. The DC component of the reproduction signal can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median value of the average of the reproduction signal values. &Quot;
또한,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직류 오프셋 보정부가 기준 레벨의 설정을 받아 그 기준 레벨과 상기 직류 성분과의 차에 의해 상기 오프셋 보정량을 얻는 것이 적합하다.In the seco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C offset correction unit receives the setting of the reference level and obtains the offset correction amount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level and the DC component.
이러한 적합한 형태에 따르면, 재생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계가 예정하고 있는 직류 성분 레벨이 기준 레벨로서 설정됨으로써, 적절한 오프셋 보정량을 얻을 수 있어 적절한 보정에 의한 신호 품질의 향상이 실현된다.According to such a suitable form, by setting the DC component level intended by the processing system for processing the reproduction signal as the reference level, an appropriate offset correction amount can be obtained, thereby improving signal quality by appropriate corr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3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thir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hieves the above object,
복수의 병렬 선형 트랙을 가지며, 트랙을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A dat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linear tracks and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in which data is recorded along the tracks,
상기 기록 매체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트랙을 따른 제1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의 보정에 이용되고 자기 상관값이 일치점에서만 피크를 나타내는 패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을 따라 제1 영역보다 전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을 갖는 것으로서,The recording medium is located before the first area along the first area along the track on which the user data is recorded and along the track on which the pattern data indicating the peak only at the coincidence point is used for the correction of the reproduction timing of the user data. As having a second region present,
기록 매체에 대향하고,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얻는 헤드와,A head facing the recording medium,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to obtain a reproduction signal;
헤드에 의해 재생 대상 트랙을 따른 제2 영역이 재생되어 얻어진 재생 신호와, 그 제2 영역으로부터 재생되어야 할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는 패턴 비교부와,A pattern comparator for comparing a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reproducing a second area along the track to be reproduced by the head with pattern data to be reproduced from the second area;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타이밍의 보정을 행하는 타이밍 보정부와,A timing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the reproduction timing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ison unit,
헤드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 신호의 이득을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하여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gain adjusting section for detecting and adjusting the gain of the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the hea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ing section.
본 발명의 제3 데이터 재생 장치에 따르면, 재생 신호의 이득을 패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구하여 신호 처리에 적합한 본래의 이득으로 수정할 수 있어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in of the reproduced signal can be accurately obtained by using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pattern comparator, and can be corrected to the original gain suitable for signal processing, thereby improving the signal quality.
본 발명의 제3 데이터 재생 장치는,The thir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패턴 비교부는 패턴 데이터와 재생 신호를 비교한 결과로서 상호 상관값을 얻는 것으로서,"The pattern comparison unit obtains a cross correlation valu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ttern data and the reproduction signal,
상기 이득 조정부는 패턴 비교부에 의해 얻어진 상호 상관값의 최대값과 소정의 목표 최대값과의 비교에 의해 재생 신호의 이득을 검출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가 적합하다.The gain adjusting unit detects the gain of the reproduction signal by compa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cross-correlation value obtained by the pattern comparing unit with a predetermined target maximum value.
이 적합한 형태의 제3 데이터 재생 장치에 따르면, 상호 상관값의 최대값이 이용됨으로써 재생 신호의 이득이 정확하게 요구된다.According to this suitable form of the third data reproducing apparatus, the maximum value of the cross-correlation value is used, so that the gain of the reproduction signal is accurately demanded.
또한, 본 발명의 제3 데이터 재생 장치는,Further, the thir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헤드는 아날로그의 재생 신호를 얻는 것으로서,"The head is to obtain an analog reproduction signal,
헤드에 의해 얻어진 아날로그의 재생 신호를 디지털값의 열로 이루어진 디지털 재생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reproduction signal obtained by the head into a digital reproduction signal composed of a sequence of digital values;
디지털 재생 신호의 부분 구간에 있어서의 각 디지털값에 각 소정의 계수를 곱하여 합계를 얻는 연산을 그 디지털 재생 신호에 대한 그 부분 구간을 어긋나게 하면서 반복하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고,And a digital filter which repeats the operation of multiplying each digital value in the partial section of the digital reproduction signal by each predetermined coefficient to obtain a sum, while shifting the partial section for the digital reproduction signal,
상기 이득 조정부는 디지털 필터의 계수를 설정함으로써 재생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도 적합하다. 이 형태의 제3 데이터 재생 장치에 따르면, 디지털 필터의 계수 설정에 의해 이득을 용이하게 또한 가능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gain adjusting unit adjusts the gain of the reproduction signal by setting the coefficients of the digital filter. &Quot; According to the third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is aspect, the gain can be easily and easily adjusted by setting the coefficient of the digital filter.
또한, 이러한 적합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필터가 타이밍 보정부에 의한 재생 타이밍의 보정에도 이용되는 것이 적합하다.Moreover, in this suitable form, it is suitable that the said digital filter is used also for the correction | amendment of the reproduction timing by a timing correction part.
전술한 바와 같은 디지털 필터는 계수가 적절하게 설정됨으로써, 디지털 등화기나 신호의 위상 변환기 등으로서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회로로서, 복수의 역할을 함께 갖게 할 수 있다. 디지털 필터에 이득 조정의 역할과 위상 조정의 역할을 함께 갖게 함으로써, 회로 규모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The digital filter as described above is a highly versatile circuit that can play a role as a digital equalizer, a phase converter of a signal, or the like by appropriately setting coefficients, and can have a plurality of roles. By making the digital filter have a role of gain adjustment and a role of phase adjustment, the circuit scale can be reduced.
도 1은 크로스토크를 검출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에 적용하는 인접한 양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구별하지 않는 포맷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format example in which crosstalk from both adjacent tracks applied to a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crosstalk is not distinguished.
도 2는 크로스토크를 검출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에 적용하는 인접한 양 트랙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포맷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format example for discriminating whether it is crosstalk from either of two adjacent tracks applied to a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crosstalk.
도 3은 1T 연속 구간과 4T 연속 구간 각각으로부터 재생되는 샘플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sample data reproduced from each of 1T continuous section and 4T continuous section.
도 4는 크로스토크 검출의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crosstalk detection.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포맷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concept for detecting crosstalk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은 패턴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pattern data.
도 7은 본 발명의 데이터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광 디스크상에 기록된 파인 클록 마크(FCM: Fine Clock Mark)와, 파인 클록 마크 신호(Tpp)로부터 PLL에 의해 외부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an external clock signal by a PLL from a fine clock mark (FCM) recorded on an optical disk and a fine clock mark signal Tpp.
도 9는 헤더 패턴 생성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eader pattern generator.
도 10은 M 계열 발생기의 개념 구성도이다.10 is a conceptu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M series generator.
도 11은 채널 특성 변환기의 개념 구성도이다.11 is a conceptu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nnel characteristic converter.
도 12는 위상차 검출부의 구성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hase difference detector.
도 13은 상호 상관기의 구성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of a cross correlator.
도 14는 위상차 검출기의 구성도이다.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hase difference detector.
도 15는 위상차 조정부의 구성도이다.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hase difference adjusting unit.
도 16은 FIR 필터의 구성도이다.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FIR filter.
도 17은 헤더 검출 게이트의 생성 순서를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17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generation procedure of the header detection gate.
도 18은 헤더 패턴 생성기의 구성을 재차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der pattern generator again.
도 19는 크로스토크량 검출기의 구성도이다.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rosstalk amount detector.
도 20은 크로스토크의 제1 검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detection example of crosstalk.
도 21은 크로스토크의 제2 검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detection example of crosstalk.
도 22는 크로스토크의 제3 검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detection example of crosstalk.
도 23은 경사각 조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2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도 24는 크로스토크의 제4 검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detection example of crosstalk.
도 25는 포커스 오프셋 조정의 개념도이다.25 is a conceptual diagram of focus offset adjustment.
도 26은 제2 실시예에 내장된 제2 실시예의 오프셋 수정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6 is a diagram showing a component part in charge of the offset corr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embedded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27은 DC 오프셋이 없는 이상적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7 shows an ideal state without a DC offset.
도 28은 DC 오프셋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DC offset occurs.
도 29는 DC 오프셋 검출기에 있어서의 오프셋량 검출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9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offset amount detection in the DC offset detector.
도 30은 DC 오프셋 검출기의 구성도이다.3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C offset detector.
도 31은 합산기에 의해 산출된 합계를 도시한 도면이다.31 is a diagram showing the sum calculated by the summer.
도 32는 다른 DC 오프셋 검출기에 있어서의 오프셋량 검출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3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offset amount detection in another DC offset detector.
도 33은 다른 DC 오프셋 검출기의 구성도이다.3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DC offset detector.
도 34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DC 오프셋의 수정을 담당하는 구성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4 is a diagram showing a component part responsible for the correction of the DC offset in the third embodiment.
도 35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득 불량의 수정을 담당하는 구성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5 is a diagram showing a component part responsible for correcting a gain failure in the fourth embodiment. FIG.
도 36은 이득 탭 조정기의 구성도이다.36 is a block diagram of a gain tap adjuster.
도 37은 제4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7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포맷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concept for detecting crosstalk in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각 트랙(10_1, 10_2, 10_3)의 헤더 영역(11)에 인접한 트랙 사이에서 다른 패턴 데이터가 기록되고, 이 헤더 영역(11)이 크로스토크 검출 영역을 겸하고 있다. 또한, 이 헤더 영역(11)에 기록되는 패턴 데이터는 애초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12)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의 위상 조정에 이용되는 패턴이 일치한 경우의 자기 상관이 큰 데이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패턴 데이터를 크로스토크의 검출에 이용한다.In this embodiment, different pattern data is recorded between tracks adjacent to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 패턴 데이터의 역할을 어드레스 데이터에 더 갖게 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헤더가 어드레스와는 별도로 준비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 of the pattern data may be further provided to the address data, but the following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the header is prepared separately from the address.
도 6은 패턴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pattern data.
이 도면에는 5개의 트랙(10_1, ···, 10_5)이 도시되어 있고, 각 트랙의 헤더 영역(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패턴 데이터의 일례로서 16바이트의 M 계열(Maximum sequence)이 기록되어 있다. 예컨대, 트랙 번호 「n」의 트랙(10_3)에는 귀환법 [7, 1]로 생성되는 M 계열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3종류의 귀환법 [7,1] [7, 3] [7, 3, 2, 1] 각각으로 생성되는 M 계열이 순서대로 각 트랙의 헤더 영역(11)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트랙 번호 「n」의 트랙(10_3)의 한쪽에 인접한 트랙 번호「 n-1」의 트랙(10_2)에는 귀환법 [7, 3, 2, 1]로 생성되는 M 계열이 기록되며, 다른 쪽에 인접한 트랙 번호 「n+1」의 트랙(10_4)에는 귀환법 [7, 3]으로 생성되는 M 계열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트랙 사이에서 M 계열이 다른 동시에 임의의 트랙에 대해서 그 양측에 인접한 트랙 상호 간에서도 M 계열이 다르다.In this figure, five tracks 10_1, ..., 10_5 are shown, and a 16-byte M sequence (Maximum sequence) is recorded in the
도 7은 본 발명의 데이터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ata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재생 장치(100)의 재생계는 주로 광 디스크(101)에, 광 빔을 조사하여 광 디스크(101)로부터의 반사광을 받고, 이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 픽업(102), 광 픽업(102)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신호 이득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104), 아날로그 등화기(105), A/D 변환기(106),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 헤더 패턴 생성기 (151), 디지털 파형 등화기(107), 샘플링값을 2치의 바이너리 데이터로 복호하는 복호기(108), 파인 클록 마크(FCM: Fine Clock Mark) 검출기(112), PLL(113) 및 어드레스 마크 검출기(114)로 구성된다.The reproduction system of the
이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광 디스크(101)로부터 재생된 MO 신호(재생 신호)를 이하에 설명하는 외부 클록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외부 클록 방식이란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의 클록을 매체상에 매립된 특별한 파인 클록 마크로부터 얻는 방식으로서, 여기서는, 파인 클록 마크가 재생된 탄젠셜 푸시풀(Tpp) 신호로부터, 파인 클록 마크 검출기(112)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PLL(113)을 동기시켜 외부 클록을 발생한다.The
도 8은 광 디스크(101)상에 기록된 파인 클록 마크(FCM; 201)와, 파인 클록 마크 신호(Tpp)로부터 PLL(113)에 의해 외부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n external clock signal by the
도 8의 최상단에 표시된 파인 클록 마크(FCM; 201)는 광 픽업(102)에 의해 광 빔으로 재생된다. 도 8의 중단에 표시된 Tpp 신호는 이와 같이 파인 클록 마크(FCM; 201)가 재생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이 Tpp 신호는 파인 클록 마크 검출기(112)에 의해 검출되어 펄스형의 FCM 검출 신호(123)가 되어 파인 클록 마크 검출기(112)로부터 출력된다. 이 FCM 검출 신호(123)가 PLL(113)에 의해 체배(遞培)됨으로써, 외부 클록(샘플링 클록; 124)이 생성된다.The fine clock mark (FCM) 201 displayed at the top of FIG. 8 is reproduced by the optical pickup 102 into the light beam. The Tpp signal shown in the middle of FIG. 8 is obtained by reproducing a fine clock mark (FCM) 201 in this manner. The Tpp signal is detected by the fine clock mark detector 112 and becomes a pulsed
한편, 광 디스크(101)로부터, 광 픽업(102)에 의해 재생된 MO 신호는 AGC(104)에 의해 신호 진폭의 제어가 행해지며, 그리고 아날로그 파형 등화기(105) 에 의해 파형 등화된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외부 클록을 샘플링 클록으로서 사용하는 A/D 변환기(106)에 의해 샘플링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 signal reproduced by the optical pickup 102 from the
여기서, MO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계와 부클록(section clock)을 생성하는 생성계가 물리적으로 다른 계인 것 등에 기인하여 A/D 변환기(106)에 의해 샘플링되는 MO 신호와, A/D 변환기(106)에 입력되는 샘플링 클록 사이에는 위상차가 있다. 재생 신호를 알맞게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이 위상차를 조정해야 한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재생 장치(100)에는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이 포함되어 있고, AGC(104)와 아날로그 파형 등화기(105)를 경유한 후에, 최적의 샘플링점과는 반드시 동기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샘플링 클록에 의해 A/D 변환이 행해져 얻어진 샘플링 신호가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에 공급되고, 여기서, 위상차 보정, 데이터 선두 검출 조정이 행해져 최적의 샘플링점에서 샘플링된 신호와 동등한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이 위상차 보정은 말하자면,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을 보정하는 것에 해당한다. 그리고, 위상차 보정된 신호는 디지털 파형 등화기(107)에 의해 파형 등화되며, 그리고, 복호기(108)로 복호되어, 광 디스크 제어부(109)로 송신되고, 광 디스크 제어부(109)로부터 사용자 데이터(130)로서 출력된다.Here, the MO signal sampled by the A /
여기서,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the details of the interpolation type phase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버퍼(152)와, 헤더 패턴 생성기(151)에 의해 생성되는 헤더 패턴을 사용하여 위상차를 검출하는 위상차 검출부(153)과, 위상차 검출부(153) 에 의해 검출된 위상차에 기초하여 샘플링 데이터의 위상차를 조정하는 위상차 조정부(154)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interpolation type phase
도 9는 헤더 패턴 생성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eader pattern generator.
헤더 패턴 생성기는 트랙 정보에 따른 M 계열을 발생시키는 M 계열 발생기(155)와, M 계열을 재생 채널이 갖는 1+D 특성에 따라 변환하여 헤더 패턴으로서 출력하는 채널 특성 변환기(156)로 구성되어 있다.The header pattern generator is composed of an
도 10은 M 계열 발생기(155)의 개념 구성도이다.10 is a conceptu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 계열 발생기(155)에는 트랙 정보에 따라 귀환법을 전환하는 스위치군(155a)과, M 계열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1비트씩 유지하는 n개의 메모리(155b)와, 이들 메모리(155b)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스위치군(155a)에 의해 선택되어 귀환한 데이터에 대하여 EXOR 연산을 행하는 논리 소자(155c)가 포함되어 있고, 논리 소자(155c)에 의한 연산 결과가 n개의 메모리(155b) 중 첫 번째 메모리로 송신되고, 각 메모리(155b)에 유지되어 있는 각 비트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송신되며, 최후의 n번째 메모리로부터 M 계열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The
도 11은 채널 특성 변환기(156)의 개념 구성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hannel
이 채널 특성 변환기(156)는 지연기(156a), 덧셈기(156b), 나눗셈기(156c) 및 뺄셈기(156d)로 이루어진다. 이 채널 특성 변환기(156)에, 「0」, 「1」의 2값의 데이터열이 입력되면, 지연기(156a)에 의해 데이터열이 1데이터분만큼 지연되고, 덧셈기(156b)에 의해 지연된 데이터열과 원래의 데이터열이 가산되어 「0」, 「1」, 「2」의 3값의 데이터열이 된다. 그 후, 나눗셈기(156c)에 의해 그 데이터 열 중의 최대값(여기서는 「2」)의 반값이 산출되고, 뺄셈기(156d)에 의해 그 반값이 3값인 데이터열의 각 데이터로부터 감산되어 「-1」, 「0」, 「1」의 3값의 데이터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특성 변환기(156)로 변환되어 얻어지는 데이터열은 원래의 2값의 데이터열이 M 계열과 같이 「0」과 「1」이 같은 수의 데이터열인 경우에는 데이터 레벨의 합계가 「0」이 된다.This channel
이와 같이,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헤더 패턴 생성기(151)에서는, M 계열 발생기(155)에 의해 발생되고, 채널 특성 변환기(156)에 의해 데이터 레벨의 합계가 「0」이 된 헤더 패턴이 생성되며, 이 헤더 패턴이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의 위상차 검출부(153)에 입력된다.Thus, in the
도 12는 위상차 검출부(153)의 구성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위상차 검출부(153)는 여기서는 상호 상관기(157), 미분기(158) 및 위상차 검출기(159)로 구성되어 있다. 상호 상관기(157)는 샘플링 데이터와 헤더 패턴과의 상호 상관값을 샘플링 데이터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되는 함수치로서 산출하고, 미분기(158)는 그 상호 상관값의 미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기(159)는 헤더 검출 게이트가 어서트 상태일 때에 상호 상관값 및 미분치에 기초하여 위상차 및 헤더 위치를 산출한다.The
도 13은 상호 상관기(157)의 구성도이다.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상호 상관기(157)는 헤더 패턴과 비교되는 샘플링 데이터 s(t)를 기억하여 1클록분씩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157a), 기준이 되는 헤더 패턴이 기억되는 레지스터군(157b), 소정수의 곱셈기(157c) 및 각 곱셈기(157c)의 출력의 합계를 계 산하는 합산기(157d)로 구성된다.The cross correlator 157 stores a
시프트 레지스터(157a)의 각부에 기억된 샘플링값과, 레지스터군(157b)의 각 레지스터에 기억된 헤더 패턴의 값이 각 곱셈기(157c)에 의해 승산되고, 합산기(157d)에 의해 각 곱셈기(157c)의 출력의 합계가 산출되며, 이 합계가 상호 상관값 r(t)로서 출력된다.The sampling value stored in each part of the
이와 같이 상호 상관기(157)에 의해 출력되는 상호 상관값 r(t)과, 이 상호 상관값 r(t)이 상기 미분기(158)에 의해 미분되어지는 미분 상호 상관값 r'(t)이 상기 위상차 검출기(159)에 입력된다.In this way, the cross-correlation value r (t) output by the
도 14는 위상차 검출기(159)의 구성도이다.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위상차 검출기(159)는 주로 상호 상관 임계값 검출기(159a)와 최적 위상 검출 연산기(159b)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으로 나타내는 위상차 검출기(159)는 헤더 검출 게이트가 어서트 상태에 있는 동안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호 상관 임계값 검출기(159a)에는 헤더 검출 게이트와 상호 상관값 r(t)과 임계값이 입력된다. 상호 상관값 r(t)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호 상관 임계값 검출기(159a)는 상호 상관값 r(t)을 최적 위상차 검출 연산기(159b)로 송신한다.The
최적 위상차 검출 연산기(159b)에서는, 송신되어 오는 상호 상관값이 그 이전의 최대값보다 커지거나 최대값이 갱신된 시점에서 헤더 위치 정보(h)가 갱신되어 출력된다. 또한, 미분 상호 상관값 r'(t)의 제로 크로스 위치를 구하여 위상차 정보(p)를 출력한다.In the optimum phase
이와 같이,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위상차 검출부(153)에서는, 헤더 위치 정보(h)와 위상차 정보(p)가 얻어져 출력된다. 또한, 전술한 상호 상관기(157)에 의해 얻어진 상호 상관값의 최대값도 출력된다. 위상차 정보(p)는 도 7에 도시된 버퍼에 기억된 샘플링 데이터와 함께 위상차 조정부(154)에 부여된다.Thus, in the phase
도 15는 위상차 조정부(154)의 구성도이다.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hase
위상차 조정부(154)는 탭 계수 선택기(160)와 FIR 필터(161)로 이루어지고, 위상차 정보(p)는 탭 계수 선택기(160)에 입력되며, 샘플링 데이터는 FIR 필터(161)에 입력된다. 탭 계수 선택기(160)에서는, 위상차 정보(p)에 기초하여 최적의 샘플링 타이밍에 샘플링된 샘플링 데이터와 동등한 보간값을 얻기 위한 탭 계수가 선택된다.The phase
도 16은 FIR 필터(161)의 구성도이다.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 필터(161)는 샘플링 데이터 s(t)를 기억하여 1클록분씩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161a), 선택된 탭 계수가 기억되는 레지스터군(161b), 소정수의 곱셈기(161c) 및 각 곱셈기(161c)의 출력의 합계를 계산하는 합산기(161d)로 구성된다.The
시프트 레지스터(161a)의 각부에 기억된 샘플링값과, 레지스터군(161b)의 각 레지스터에 기억된 탭 계수가 각 곱셈기(161c)에 의해 승산되고, 합산기(161d)에 의해 각 곱셈기(161c)의 출력의 합계가 산출된다. 이 합계는 최적의 샘플링 타이밍에 샘플링된 샘플링 데이터와 동등한 보간 데이터 e(t)로 되어 있고, 이 보간 데이터 e(t)가 위상이 조정된 샘플링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헤더 검출 게이트의 생성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sampling value stored in each part of the
도 17은 헤더 검출 게이트의 생성 순서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17 is a timing chart showing a generation procedure of a header detection gate.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된 소정의 어드레스 싱크 마크가 도 7에 도시된 어드레스 검출기(114)에 의해 검출되면, 어드레스 펄스 신호(162)가 생성된다. 이 어드레스 펄스 신호(162)의 상승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버퍼 영역으로부터 MO 신호의 판독이 시작되도록 판독 게이트(163)가 어서트 상태가 되고, 헤더 검출 트리거(164) 버퍼 영역 속에서 상승한다. 그리고, 헤더 검출 트리거(164)의 상승으로부터 헤더 길이만큼 지연되어 헤더 검출 게이트(165)가 어서트 상태가 되고, 전술한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의 동작이 실행된다. 이 결과, 데이터 영역의 사용자 데이터가 샘플링된 샘플링 데이터(재생 신호)는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최적 타이밍에 샘플링된 데이터(신호)로 보정되어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으로부터 출력되게 된다.When a predetermined address sync mark included in the address area is detected by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재생 장치(100)에는 재생 신호의 재생 타이밍을 보정하여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이 데이터 재생 장치(100)에는 크로스토크를 정밀도 좋게 검출하여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내장되어 있다. 이하, 이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크로스토크를 검출하기 위해서 데이터 재생 장치(100)에는 전 트랙 상호 상관기(166)와 후 트랙 상호 상관기(167)와 크로스토크량 검출기(168)가 내장되어 있다. 전 트랙 상호 상관기(166)와 후 트랙 상호 상관기(167)는 전술한 위상차 검출부(153)에 포함되어 있는 상호 상관기(157; 도 12 참조)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전 트랙 상호 상관기(166)는 재생 대상 트랙의 하나 앞의 트랙에 대응하는 헤더 패턴과 샘플링 데이터와의 상호 상관값을 산출하고, 후 트랙 상호 상관기(167)는 재생 대상 트랙의 하나 뒤의 트랙에 대응하는 헤더 패턴과 샘플링 데이터와의 상호 상관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크로스토크량 검출기(168)는 상호 상관기(157; 도 12 참조), 전 트랙 상호 상관기(166) 및 후 트랙 상호 상관기(167)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호 상관값의 각 최대값에 기초하여 크로스토크의 비율과 크로스토크의 방향(발생 원인이 된 트랙이 앞인지 뒤인지)을 구한다.In order to detect the crosstalk, the
전술한 헤더 패턴 생성기(151)는 위상차 검출부(153)에 포함되어 있는 상호 상관기(157; 도 12 참조)를 위한 헤더 패턴뿐만 아니라 전 트랙 상호 상관기(166) 및 후 트랙 상호 상관기(167) 각각을 위한 헤더 패턴도 생성한다.The above-described
도 18은 헤더 패턴 생성기(151)의 구성을 재차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헤더 패턴 생성기(151)에는 M 계열 발생기(155) 및 채널 특성 변환기(156)가 포함되어 있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M 계열 발생기(155_1, ···, 155_3) 및 3개의 채널 특성 변환기(156_1, ···, 156_3)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 대상이 되는 트랙 번호 「n」 트랙의 헤더 패턴뿐만 아니라 전후의 트랙 번호 「n-1」, 「n+1」 트랙의 헤더 패턴도 생성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the
이와 같이 생성된 3종류의 헤더 패턴이 전술한 상호 상관기(157; 도 12 참조), 전 트랙 상호 상관기(166; 도 7 참조) 및 후 트랙 상호 상관기(167; 도 7 참조)의 각각에 입력되어 각 상호 상관값이 산출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크로스 토크량 검출기(168)에 의해 크로스토크의 검출이 행해진다.The three types of header patterns thus generated are input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cross correlator 157 (see FIG. 12), the front track cross correlator 166 (see FIG. 7), and the back track cross correlator 167 (see FIG. 7). Each cross correlation value is calculated. And crosstalk is detected by the
도 19는 크로스토크량 검출기(168)의 구성도이다.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크로스토크량 검출기(168)에는 2개의 임계값 판정기(169, 170)와, 2개의 나눗셈기(171, 172)와, 하나의 비교 제어기(173)가 포함되어 있다. 2개의 임계값 판정기(169, 170)에는 펌으로부터 임계값이 설정되어 있고, 이들 임계값 판정기(169, 170) 각각에 의해 인접 트랙의 헤더 패턴에 대한 최대의 상호 상관값이 임계값과 비교된다. 최대의 상호 상관값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크로스토크가 있다고 판정되어 그 최대의 상호 상관값이 나눗셈기(171, 172)로 송신되고, 재생 대상인 트랙의 헤더 패턴에 대한 최대의 상호 상관값에 의해 제산된다. 이에 따라, 재생 대상에 인접한 각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교 제어기(173)에 의해 이들의 크로스토크가 비교되어 어느 쪽 트랙에서 어느 정도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구할 수 있다.The
도 20 내지 도 22는 크로스토크의 검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0 to 22 are diagrams showing detection examples of crosstalk.
이들 각 도면의 최상단(A)에는 빔 스폿(20)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고, 두 번째 단(B), 세 번째 단(C), 최하단(D)에는 각각 「전」측의 트랙(10_1)의 헤드 패턴에 의한 상호 상관값의 그래프와, 재생 대상 트랙(10_2)의 헤드 패턴에 의한 상호 상관값의 그래프와, 「후」측의 트랙(10_13) 헤드 패턴에 의한 상호 상관값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The positions of the beam spots 20 are shown at the top end A of each of these drawings, and the track 10_1 on the "before" side is shown at the second end B, the third end C, and the bottom end D, respectively. The graph of the cross-correlation value by the head pattern, the graph of the cross-correlation value by the head pattern of the track 10_2 to be reproduced, and the graph of the cross-correlation value by the head pattern of the track 10_13 on the "rear" side are shown. It is.
도 20의 최상단(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스폿(20)의 위치가 재생 대상 트랙(10_2)의 중심으로부터 「전」 트랙(10_1)측으로 기울어 있는 경우에는, 세 번째 단(C)에 도시한 그래프에서 커다란 피크가 발생하는 동시에 두 번째 단(B)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약간 작은 피크가 발생하고 있고, 「전」측 트랙(10_1)에 기인하는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명료하게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uppermost portion A of FIG. 20, when the position of the
또한, 도 21의 최상단(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스폿(20)의 위치가 재생 대상 트랙(10_2)의 중심에 있는 경우에는 세 번째 단(C)에 도시한 그래프에서만 피크가 발생하고, 두 번째 단(B) 및 최하단(D)에 도시된 그래프에서는 피크가 없으며,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21, when the position of the
또한, 도 22의 최상단(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스폿(20)의 위치가 재생 대상 트랙(10_2)의 중심으로부터 「후」 트랙(10_3)측으로 기울어 있는 경우에는, 세 번째 단(C)에 도시한 그래프에서 커다란 피크가 발생하는 동시에 최하단(D)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약간 작은 피크가 발생하고 있고, 「후」측 트랙(10_3)에 기인하는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명료하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at the top end A of FIG. 22, when the position of the
이와 같이, 상호 상관값을 이용한 크로스토크 검출에 의해 정밀도 좋게 크로스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In this way, crosstalk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by crosstalk detection using the cross-correlation value.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재생 장치(100)에서는, 크로스토크가 검출되면, 그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광 디스크 제어부(109)에 의해 광 픽업(102)의 서보 드라이버(103)가 제어되어 재생 대상 트랙에 대한 광 픽업(102)의 재생 위치의 조정(오프 트랙 조정)이나 광 픽업(102)이 광 디스크(101)에 대향하는 각도의 조정(경사각 조정)이나 기록 파워의 조정이나 판독 파워의 조정이나 광 픽업(102)과 광 디스크(101)와의 거리 조정(포커스 오프셋 조정) 등이 행해진다.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조정은 이하와 같이 검출되는 크로스토크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첫 번째로는 광 디스크(101)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재생 전에 테스트 영역에서 실시되는 기록 재생 테스트시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기초한 개략적인 조정이 행해진다. 두 번째로는 실제로 데이터 재생을 행하고 있을 때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미세하게 조정된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데이터의 기록이나 재생에 실패했을 때에 검출된 크로스토크에 기초한 개별 조정이 행해진다. 단, 기록 파워의 조정에 대해서는 크로스 라이트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제1 조정만이 행해진다.In this embodiment, these adjustments are performed based on the crosstalk detected as follows. First, a coarse adjustment is made based on the crosstalk detected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test performed in the test area before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data to the
전술한 각종 조정 중, 오프 트랙 조정은 도 20이나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 스폿(20)의 어긋남을 수정하는 것으로서, 크로스토크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빔 스폿을 이동시킨다.Among the various adjustments described above, the off track adjustment corrects the misalignment of the
다음에, 경사각 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will be described.
도 23은 경사각 조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2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픽업의 렌즈(102a)에 대하여 광 디스크(101)가 경사져 있으면, 빔 스폿의 변형 등도 일어나기 때문에, 전술한 오프 트랙 조정만으로는 크로스토크의 감소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102a)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가 내장되어 있고, 그 액츄에이터에 의해 렌즈(102a)가 크로스토크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As shown in this figure, when the
다음에, 전술한 각종 조정 중, 기록 파워의 조정, 판독 파워의 조정 및 포커스 오프셋 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mong the various adjustments described above, adjustment of the recording power, adjustment of the read power, and focus offset adjustment will be described.
기록 파워나 판독 파워가 지나치게 강한 경우나 포커스 위치가 어긋난 경우 등에는 빔 스폿 사이즈가 바람직한 사이즈보다 커져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When the recording power or the reading power is too strong, or when the focus position is shifted, the beam spot size becomes larger than the desired size and crosstalk occurs.
도 24는 크로스토크의 제4 검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detection example of crosstalk.
이 도면에서도 최상단(A)에 빔 스폿(20)의 위치가 도시되고, 그 밖의 각 단 (B), (C), (D)에는 각 트랙(10_1, 10_2, 10_3)의 헤드 패턴에 의한 상관 함수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Also in this figure, the position of the
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스폿(20)의 사이즈가 커지면, 재생 대상 트랙(10_2)에 인접한 양쪽 트랙(10_1, 10_3)에 빔 스폿(20)이 걸리게 된다. 이 결과, 두 번째 단(B) 및 최하단(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관값에 약간 작은 피크가 발생하고, 양측에 인접한 트랙(10_1, 10_3) 양쪽으로부터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명료하게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4, when the size of the
이와 같이, 양방향의 크로스토크가 양쪽 다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파워의 조정(저하)이나 포커스 오프셋 조정에 의해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In this way, when both directions of crosstalk occur, crosstalk is reduced by adjusting the power (lowering) or adjusting the focus offset.
도 25는 포커스 오프셋 조정의 개념도이다.25 is a conceptual diagram of focus offset adjustment.
이 도면의 파트(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디스크(101)에 대한 렌즈(102a)의 거리가 부적절(여기서는 너무 가까움)한 경우에는 파트(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트가 맞지 않아 빔 스폿(20)의 사이즈가 커지고, 전술한 바와 같은 크로스토크가 검출된다. 그 크로스토크가 저감되도록 렌즈(102a)의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파트(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절한 거리로 렌즈(102a)가 이동한다. 이 때 빔 스폿(20)은 파트(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히 작은 사이즈가 된다.As shown in part (A) of this figure, if the distance of the lens (102a) to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종료하고,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는 크로스토크를 검출하여 저감함으로써 재생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만, 이하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재생 신호의 신호 강도의 오프셋이나 재생 신호의 이득 불량을 수정하여 재생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이하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예이기 때문에, 이하, 재생 신호의 신호 강도의 오프셋이나 재생 신호의 이득 불량을 수정하는 기능에만 주목하여 설명을 행한다.The above i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has a fun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production signal by detecting and reducing the crosstalk, but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offset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production signal and the gain defect of the reproduction signal are corrected. Built-in fun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layback signal. Except for this point, since each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an embodiment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ly on the function of correcting offset of signal strength of a reproduction signal and gain gain of the reproduction signal. Do it.
도 26은 제2 실시예에 내장된 신호 강도의 오프셋 수정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6 is a diagram showing a component part in charge of the offset correction function of the signal strength built in the second embodiment.
이 도면에 도시된 구성 부분 중, 도 7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 것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부분과 동등한 것이다.Of the components shown in this figu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7 are attached to those equivalent to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신호 강도의 오프셋을 수정하기 위해서 여기서는 DC 오프셋 검출기(174)와, 전압 변환기(175)와, 오프셋 조정 증폭기(176)가 내장되어 있다.In order to correct the offset of the signal strength, a DC offset
여기서, 수정의 대상이 되고 있는 DC 오프셋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Here, the DC offset to be corrected will be described first.
도 27 및 도 28은 DC 오프셋을 설명한 설명도로서, 도 27에는 DC 오프셋이 없는 이상적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8에는 DC 오프셋이 발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7 and 28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the DC offset. FIG. 27 illustrates an ideal state in which there is no DC offset, and FIG. 2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DC offset occurs.
이들 도면의 횡축은 재생 신호의 신호 강도를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그와 같은 신호 강도의 발생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The horizontal axis in these figures shows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production signal, an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ch signal strength.
재생 신호는 3값의 신호로서, 도 27의 그래프에는 각 값을 중심으로 한 빈도의 피크(177, 178, 179)가 발생하고 있다. A/D 변환기(106)는 0에서 128까지의 레인지를 갖고 있고, 재생 신호의 3값이 「32」, 「64」, 「96」으로 변환되는 상태가 이상적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상적인 상태에 대하여, 도 28에도 3개의 피크(180, 181, 182)가 나타나 있지만, 이들 피크의 위치는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다. 이 어긋남이 DC 오프셋이다. 이러한 DC 오프셋이 존재하면, 도 7에 도시된 복호기(108)에 있어서의 복호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적절한 복호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신호 처리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The reproduction signal is a three-value signal, and peaks 177, 178, and 179 of frequencies centering on each value are generated in the graph of FIG. The A /
도 26에 도시된 DC 오프셋 검출기(174)에서는, 이러한 DC 오프셋의 양이 헤더 패턴을 재생한 샘플링 데이터와, 위상차 검출부(153)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전압 변환기(175)에 의해 그 DC 오프셋량이 전압값으로 변환되며, 오프셋 조정 증폭기(176)에 의해 재생 신호(MO 신호)로 피드백되어 오프셋이 수정된다.In the DC offset
도 29는 DC 오프셋 검출기(174)에 있어서의 오프셋량 검출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offset amount detection in the DC offset
이 도 29에는 샘플링 데이터(183)가 도시되어 있고, DC 오프셋 검출기(174)에서는 위상차 정보에 기초하여 「1」, 「0」, 「-1」의 3값 중 중간값 「0」에 해당하는 부분(184)만이 추출되어 신호 레벨의 합계가 산출된다. 이것은 도 28에 도시된 중앙 피크(181)의 중심 위치를 구하는 것에 해당하고, 그 중심 위치를, 이상적인 중심 위치를 나타낸 기준 레벨(여기서는 「64」)로 비교함으로써 오프셋량을 구할 수 있다.The
도 30은 DC 오프셋 검출기(174)의 구성도이다.3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C offset
DC 오프셋 검출기(174)는 샘플링 데이터를 기억하여 1클록분씩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174a), 샘플링 데이터 중의 중간값 「0」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스위치군(174b), 헤더 패턴이 기억되는 레지스터군(174c), 스위치군(174b)의 각 스위치로 선택된 데이터의 합계를 계산하는 합산기(174d), 합산기(174d)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위상차 정보에 기초하는 최적 헤더 위치 정보로 래치하는 데이터 래치 회로(174e) 및 래치된 데이터로부터 오프셋량을 산출하는 오프셋량 계산기(174f)로 구성된다.The DC offset
시프트 레지스터(174)a의 각부에 기억된 샘플링값으로부터, 레지스터군(174c)의 각 레지스터에 기억된 헤더 패턴의 값 「0」에 대응하는 샘플링값만이 추출되어 합산기(174d)로 송신되고, 합산기(174d)에 의해 합계가 산출된다.From the sampling values stored in each part of the
도 31은 합산기(174d)에 의해 산출된 합계를 도시한 도면이다.31 is a diagram showing the sum calculated by the
이 도면의 횡축은 샘플링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고, 이 도면의 하단 그래프에 합계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상호 상관기에 의해 얻어지는 상호 상관값이 나타내어져 있고, 도 30에 도시된 데이터 래치 회로(174e)는 이 상단의 그래프의 피크 위치(P)에서 하단 그래프의 합계를 래치한다.The horizontal axis in this figure shows sampling timing, and a graph of the sum is shown in the lower graph of this figure. In the upper part, the cross correlation values obtained by the cross correlators shown in FIGS. 12 and 13 are shown, and the
오프셋량 계산기(174f)는 이와 같이 래치된 합계를 스위치군(174b)에서 선택되는 데이터수로 제산하고, 제산 결과를 펌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 레벨과 비교함으 로써 DC 오프셋량을 산출한다.The offset
제2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산출된 DC 오프셋량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되어 수정되기 때문에, 복호기로 송신되는 데이터에는 DC 오프셋이 없어 정확한 복호가 행해진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DC offset amount thus calculated is fed back and corrected as shown in FIG. 26, the data transmitted to the decoder has no DC offset, so that accurate decoding is performed.
그런데, 여기서 설명한 DC 오프셋 검출기로 바꾸어 이하 설명하는 별도의 DC 오프셋 검출기를 이용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However, there may be a form using a separate DC offset detector described below in place of the DC offset detector described herein.
도 32는 다른 DC 오프셋 검출기에 있어서의 오프셋량 검출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3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offset amount detection in another DC offset detector.
이 도면에도 도 29와 마찬가지로 샘플링 데이터(183)가 도시되어 있다.29,
전술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DC 오프셋 검출기(174)가 샘플링 데이터(183)로부터 「1」, 「0」, 「-1」의 3값 중 중간값 「0」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오프셋량을 검출하는 것인 데 대하여, 여기서 설명하는 다른 DC 오프셋 검출기로서는 「1」, 「0」, 「-1」의 3값 중 최대값 「1」에 해당하는 부분(185) 및 최소값 「-1」에 해당하는 부분(186)을 추출하고, 이들의 중간값을 산출함으로써 오프셋량을 검출한다. 즉, 여기서는 도 28에 도시된 좌우의 피크(180, 182) 각각의 중심 위치를 구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 위치의 중간값을, 이상적인 중간값을 나타내는 기준 레벨(여기서는「64」)과 비교함으로써도 오프셋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e DC offset
도 33은 다른 DC 오프셋 검출기의 구성도이다.3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DC offset detector.
이 DC 오프셋 검출기(187)는 도 32에 도시된 최대값 「1」에 해당하는 부분(185) 및 최소값 「-1」에 해당하는 부분(186) 각각의 합계를 산출하는 최대값 최 소값 합산기(188)와, 최대값 최소값 합산기(188)로 산출된 「최소값」의 합계를「최소값」의 총수로 제산함으로써 「최소값」의 평균치를 구하는 최소값 평균 연산기(189)와, 마찬가지로 「최대값」의 평균치를 구하는 최대값 평균 연산기(190)와, 최대값의 평균에서 최소값의 평균을 빼는 뺄셈기(191)와, 뺄셈기(191)에 의한 결과를 값 「2」로 나누는 나눗셈기(192)와, 최대값의 평균으로부터 나눗셈기(192)에 의한 결과를 빼서 「최소값」의 평균치와 「최대값」의 평균치와의 중간값을 얻는 뺄셈기(193)와, 이 중간값과 펌으로부터 부여되는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오프셋량을 구하는 비교기(194)로 이루어진다.The DC offset
최대값 최소값 합산기(188)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30에 도시된 시프트 레지스터(174a), 스위치군(174b), 레지스터군(174c), 합산기(174d) 및 데이터 래치 회로(174e)로 이루어진 회로군과 동일한, 단, 스위치군(174b)에 의한 선택 대상이 다른 회로군에 의해 구성된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ximum
이러한 DC 오프셋 검출기(187)를 이용함으로써도 DC 오프셋량을 구할 수 있다.The DC offset amount can also be obtained by using such a DC offset
그런데, 도 2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DC 오프셋 검출기(174)에 의해 검출된 DC 오프셋량은 A/D 변환기(106)보다 전의 아날로그 신호로 피드백되어 있다. 이러한 피드백의 구성을 포함하면, 신호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디지털 처리에 의한 피드포워드로 DC 오프셋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그와 같이 디지털 처리에 의한 피드포워드로 DC 오프셋을 수정하는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By the way, in the form shown in FIG. 26, the DC offset amount detected by the DC offset
도 34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DC 오프셋의 수정을 담당하는 구성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4 is a diagram showing a component part responsible for the correction of the DC offset in the third embodiment.
이 도면에 도시된 구성 부분 중, 다른 도면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 것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부분과 동등한 것이다.Of the components shown in this figu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other figures are attach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ther figures.
이 제3 실시예에는 신호 강도의 오프셋을 수정하기 위해서 전술한 DC 오프셋 검출기(174) 이외에 오프셋 계수 조정기(195)와 덧셈기(196)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DC 오프셋 검출기(174)에 의해 구해진 DC 오프셋량이 오프셋 계수 조정기(195)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에 있어서의 계수값으로 변환되고, 그 계수값이 덧셈기(196)에 의해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에 의한 위상 보정이 완료된 디지털 데이터에 가산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처리에 의한 피드포워드로 DC 오프셋이 수정되어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This third embodiment includes an offset
다음에, 재생 신호의 이득 불량을 수정하는 기능이 내장된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a function of correcting a gain defect of a reproduction signal is incorporated will be described.
도 35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득 불량의 수정을 담당하는 구성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5 is a diagram showing a component part responsible for correcting a gain failure in the fourth embodiment. FIG.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이득 불량을 수정하기 위해서 이득 탭 조정기(197)가 포함되어 있고, 이 이득 탭 조정기(197)는 보간형 위상차 보정 시스템(150)의 위상차 검출부(153)에 의해 얻어진 상호 상관값의 최대값을 펌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의 상호 상관값과 비교함으로써 재생 신호의 이득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이득을 상호 상관값의 최대값이 목표의 상호 상관값과 일치하도록 수정하기 위해서 디지털 파형 등화기(107)의 탭 계수를 조정한다.In this fourth embodiment, a
도 36은 이득 탭 조정기(197)의 구성도이다.3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이 이득 탭 조정기(197)는 이득 계산기(197a)와, 소정수의 곱셈기(197b)로 이루어지며, 이득 계산기(197a)는 상호 상관값의 최대값을 목표의 상관값과 비교하여 서로 상관값의 최대값을 목표의 상관값과 일치시키는 이득 수정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그 이득 수정값이 각 곱셈기(197b)에 의해 디지털 파형 등화기(107)의 디폴트 탭 계수(c0, c1, c2)에 서로 곱해져서 신규의 탭 계수(c0', c1', c2')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신규의 탭 계수(c0', c1', c2')가 디지털 파형 등화기(107)에서 이용됨으로써 재생 신호의 이득이 수정되어 복호기에 의한 정확한 복호가 보증된다.The
마지막으로, 제4 실시예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5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디지털 파형 등화기(107)의 탭 계수가 조정되지만, 이 디지털 파형 등화기(107)의 구조는 도 16에 도시된 FIR 필터(16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득의 조정을 이 FIR 필터(161)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Finally,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form shown in FIG. 35, the tap coefficients of the
도 37은 도 4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4.
이 변형례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탭 계수 선택기(160)와 FIR 필터(161) 사이에 도 36에 도시된 이득 탭 조정기(197)와 동일한 탭 계수 조정기(198)가 포함되어 있고, 이 탭 계수 조정기(198)는 탭 계수 선택기(160)로 선택된 FIR 필터(161)의 탭 계수를 상호 상관값의 최대값이 목표의 상관값과 일치하도록 수정하여 FIR 필터(161)로 보내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도 재생 신호의 이득을 이상적인 이득으로 수정할 수 있어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modification, between the
Claims (3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23398A KR100720330B1 (en) | 2005-12-06 | 2003-08-29 | Data playback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23398A KR100720330B1 (en) | 2005-12-06 | 2003-08-29 | Data playback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3863A KR20060033863A (en) | 2006-04-20 |
KR100720330B1 true KR100720330B1 (en) | 2007-05-23 |
Family
ID=3714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33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0330B1 (en) | 2005-12-06 | 2003-08-29 | Data playback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033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6659A (en) * | 1997-08-19 | 1999-03-09 | Fujitsu Ltd | Tilt correction method for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apparatus used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
JP2003196840A (en) * | 2001-12-25 | 2003-07-11 | Fujitsu Ltd | Data playback device |
KR20080055341A (en) * | 2006-12-15 | 2008-06-19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rear view of a vehicle in conjunction with a roof monitor |
-
2003
- 2003-08-29 KR KR1020057023398A patent/KR10072033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6659A (en) * | 1997-08-19 | 1999-03-09 | Fujitsu Ltd | Tilt correction method for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apparatus used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
JP2003196840A (en) * | 2001-12-25 | 2003-07-11 | Fujitsu Ltd | Data playback device |
KR20080055341A (en) * | 2006-12-15 | 2008-06-19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rear view of a vehicle in conjunction with a roof moni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3863A (en) | 2006-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24330A (en) |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herein multi-bit digit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shift amount of a pit edge,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 |
US7082566B2 (en) | Signal quality evaluation metho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system, and recording compensation method | |
KR101049695B1 (en) | Recording control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 |
US6724702B2 (en) | Apparatus for reproducing recorded data | |
US8165007B2 (en) |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 |
JP3233485B2 (en) | Digital signal detection circuit | |
US20110002375A1 (en) |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daptive equalizer and adaptive equalization method | |
JP4287856B2 (en) | Data playback device | |
US5818805A (en) |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herein multi-bit digit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shift amount of a pit edge | |
JP2877109B2 (en) |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 |
US6198587B1 (en) | Recording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for increasing an amplitude of a high frequency component of the reproduced signal | |
US7852729B2 (en) | Optical disc apparatus with adjustable constraint length PRML | |
US6754145B1 (en) | Tilt compensation device for disk drive | |
JP2002197660A (en) | Recording state detect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er and reproducer provided with the same | |
US5986990A (en) | Device for detecting digital bit in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 |
JP2008181617A (en) | Information reproducing unit | |
US20090052294A1 (en) |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 |
KR100449306B1 (en) | Phase correction circuit and disk reproduction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720330B1 (en) | Data playback device | |
JP2007207283A (en) | Frequency detecting device, frequency detecting method, and optical disk device | |
US5748582A (en) |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herein digital symbols are represented by discrete shift amounts of a pit edge and tracking wobbling pits are shared between adjacent tracks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 |
KR20060042067A (en) | Optical disc device,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 |
JP2002208144A (en) |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 |
JP2682196B2 (en) | Optical disk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 |
US5587986A (en) | On-track detecting circuit for use in tracking servo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