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909B1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peer rebar network - Google Patents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peer rebar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9909B1 KR100719909B1 KR1020060065208A KR20060065208A KR100719909B1 KR 100719909 B1 KR100719909 B1 KR 100719909B1 KR 1020060065208 A KR1020060065208 A KR 1020060065208A KR 20060065208 A KR20060065208 A KR 20060065208A KR 100719909 B1 KR100719909 B1 KR 1007199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steel pipe
- peer
- filled steel
- reinforcing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과 그 하단부에 결합되는 피어철근망(기초철근망)(Pier Reinforcement Cage)을 접합함에 있어서, CFT기둥이 건축물의 축하중을 효율적으로 피어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 joining the 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 (Pier Reinforcement Cag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the CFT column structure to efficiently celebrate the celebration of th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method of a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and a peer reinforcing steel network which can be transferred.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작용하는 축 하중은 기둥을 구성하는 강관, 그 내부의 콘크리트 및 철근을 통해서 피어로 전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작용하는 축 하중에서 강관이 부담하는 하중을 피어철근망에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커플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을 일체로 접합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건축물의 지하층 공사에 적용될 수 있다. The axial load acting on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is transmitted to the peer through the steel pipe constituting the column, concrete and reinforcing bars therei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borne by the steel pipe in the axial load acting on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is reinforced. In order to transfer directly to the network,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in which a coupler is used to integrally join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The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and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basement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by the top-down method.
CFT, 콘크리트 충전 강관, 탑-다운, 피어철근망, 기둥, 접합 CFT, Concrete Filled Steel Pipe, Top-Down, Peer Rebar Net, Column, Joi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어철근망이 CFT기둥의 하단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is joined to a lower end of a CFT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접합구조에 의하여 CFT기둥의 하단에 피어철근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ure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rebar network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FT pillar by another bonding structu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선A-A에 의한 단면도이다.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A.
도 2c는 도 2a의 선B-B에 의한 단면도이다.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A.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피어철근망과 CFT기둥의 접합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상세도로서 도 2a의 원C에서의 단면도이다. FIG. 3A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and the CFT pillar shown in FIG. 2A in detail.
도 3b는 도 3a의 선D-D에 의한 단면도이다.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3A.
도 3c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상세도이다. Figure 3c is a partial detailed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피어철근망과 CFT기둥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ure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and the CFT pillar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의 원E 부분의 단면도이다.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le E portion of FIG. 4A.
도 5a는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피어철근망과 CFT기둥의 접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ure 5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structure of a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and a CFT pillar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의 선F-F에 의한 단면도이다.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5A.
도 5c는 도 5a의 선G-G에 의한 단면도이다.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of FIG. 5A.
도 5d는 도 5a의 원H 부분에서의 분해 단면도이다. FIG. 5D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le portion of FIG. 5A. FIG.
도 5e는 도 5d에 도시된 상태에서 볼트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이다. 5E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lt member is coupled in the state shown in FIG. 5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1 ...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2 ...피어철근망2 ... peer bar
4 ...커플러4 ... coupler
11 ...수평플랜지11 ... horizontal flange
21 ...수직철근21 ... vertical rebar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이하 "CFT기둥"이라고 약칭함)과 그 하단부에 결합되는 피어철근망(기초철 근망)(Pier Reinforcement Cage)을 접합함에 있어서, CFT기둥이 건축물의 축하중을 효율적으로 피어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a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and specifically, a 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 (hereinafter, abbreviated as "CFT column") and a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a lower end thereof. In joining a network (Pier Reinforcement C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a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and a peer reinforcing steel network, which allows a CFT column to efficiently transmit a celebration of a building to a peer.
예를 들어,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함에 있어서 탑-다운(TOP-DOWN) 공법에서는 흙막이벽 설치 후, 기초기둥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에 지하층의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고 다시 하부를 굴토하는 순서로 지반으로부터 원하는 지하 깊이까지 차례로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탑-다운 공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할 때, 종래에는 H형강을 기둥부재로서 사용하였으며 바닥 슬래브와 H형강 기둥과의 전단 접합을 위하여 바닥 슬래브에 배근된 휨 철근을 현장에서 H형강 기둥에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많은 수의 전단 스터드를 현장 용접에 의하여 H형강 기둥에 직접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였다. For examp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the TOP-DOWN method is to install the foundation wall, install the foundation pillar, construct the base slab of the basement on the column, and then excavate the lower part again. The basement floor of the building is constructed in order to the desired underground depth. When constructing the basement of a building using this top-down method, H-beam was conventionally used as a pillar member, and H-steels were flexibly reinforced on the floor slab for shear bonding between floor slab and H-beam column. The floor slab was constructed by welding the column or by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shear studs directly on the H-beam column by field welding.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H형강 기둥을 사용한 탑-다운 시공방법에서는, 요구되는 압축력 지지에 적합한 피어(pier)의 천공직경크기 내에서는 H형강 기둥 주변의 여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H형강 기둥의 수직도 조절이 어렵고,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트레미파이프를 설치할 공간조차도 충분하지 않아 피어콘크리트 타설은 물론이고 H형강 기둥 주변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작업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H형강 기둥의 형상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채울 수 있는 공간이 4개로 분할되어 각각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콘크리트 타설의 신뢰도가 낮아 피어 지지성능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beam, the verticality of the H-beam is adjusted because there is not enough space around the H-beam in the drilling diameter size of the pier suitable for supporting the required compressive force. This difficult, not even enough space to install the trempipe for the concrete injection, as well as pour concrete, as well as filling the concrete around the H-beam column is not made smoothly. In particular, due to the shape of the H-beam column is divided into four spaces for filling the concrete, it is difficult to fill the concrete tightly in each space. As a result,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problem in peer support performance due to low reliability of concrete pouring.
또한 종래의 H형강 기둥에서는 기둥의 외면에 전단 스터드를 용접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전단 스터드가 돌출된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미 조립된 피어철근망을 기둥 외부로 삽입하여 천공된 구멍의 피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결국 H형강 기둥을 피어선단까지 연장하여 지중에 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공사비의 증가와 공기의 연장이라는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beam column, the shear studs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by welding. In the state where the shear studs are attached in the protruding form, the already assembled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is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column to drill holes.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in position. As a result, the H-beam column extends to the peer end and enters the ground,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and an extension of air.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공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어지지력에서 요구되는 직경크기보다 큰 직경크기로 천공하여 H형강 기둥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천공크기를 키우는 방법 역시 공사비와 공기를 증가시키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solve such construction problems, H-beam columns are installed by drilling a diameter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size required for peer support,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drilling size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construction cost and air. .
최근에는 기둥 부재로서 원형의 강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CFT기둥을 이용하는 것이 주목을 받고 있다. CFT기둥을 이용하게 되면 철근조립 및 거푸집 공사를 생략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 해야 하는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CFT기둥은 콘크리트와 강관의 합성작용이 발휘됨에 따라 강재량을 절감할 수 있어, 시공성의 향상, 공기단축, 기둥 크기 축소에 따른 공간활용도 증대, 강성, 내진/내풍성능 및 내화성능 등의 향상, 그리고 고층 건축물에 대한 우수한 적용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CFT기둥은 강관이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강성, 내력, 변형성능, 내화, 시공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는 구조시스템이다.Recent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using a CFT pillar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to a circular steel pipe as a pillar member. The use of CFT pillars can omit rebar assembly and formwork, and minimize the work required at the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the CFT column can reduce the amount of steel as the composite action of concrete and steel pipe is exerted, thus improving construction performance,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due to shortening of the air, reducing the size of the column, rigidity, seismic / windproof performance, and fireproof performance. Improvements and excellent applicability to tall buildings can be achieved. In particular, the CFT column is a structural system that exhibits excell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rigidity, strength, deformation performance, fire resistance, and construction, because steel pipes restrain concrete inside.
따라서 이러한 CFT기둥을 탑-다운 공법에 적용하게 되면, 압축지지력이 탁월 할 뿐만 아니라 강관의 직경 크기와 단면적이 작아서 경제적이며, 강관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피어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강관 내부에 철근과 콘크리트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큰 압축력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CFT column is applied to the top-down method, it is not only excellent in compressive bearing capacity but also economical because the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eel pipe are small, and it is possible to insert a pier-concrete tremi tube u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el pipe. Concrete pouring becomes easy. In particular, since the steel pipe is filled with reinforcing steel and concrete, large compressive force can be efficiently supported.
탑-다운 공법에서 기둥의 하단부에는, 피어철근망과 피어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피어(pier)가 형성되어 있는데, 위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가진 CFT기둥을 탑-다운 공법의 기둥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울기 시공오차가 있는 제한된 크기의 천공구멍 내에 CFT기둥을 설치할 때 기둥의 수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멍 내에서 CFT기둥 주변에 더욱 여유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CFT기둥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피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어철근망의 외곽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op-down method, the bottom of the column is formed with a pier consisting of a rebar network and a pier concrete. In order to apply a CFT column having many advantages as a top-down column, a slope construction error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pace around the CFT column in the hole so that the verticality of the column can be adjusted when installing the CFT column in a limited sized drill hole. Thus,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space around the CFT pil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eer rebar network installed inside the peer is small.
또한 CFT기둥과 피어의 연결부에서는 CFT기둥이 지지하는 축하중이 피어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FT column and the peer should ensure that the celebrations supported by the CFT column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peer.
본 발명자는 CFT기둥을 탑-다운 공법에 적용시킴에 있어서 위와 같은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특히, 강관이 피어 속으로 연장하여 근입하지 않고 CFT기둥이 지지하는 축하중을 효율적으로 피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것처럼 커플러를 이용하여 CFT기둥과 피어철근망을 접합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in applying the CFT column to the top-down method, the present inventors efficiently transmit the congratulations supported by the CFT column to the peer without the steel pipe extending into the peer. As a result of intensive research, the technology for joining a CFT column and a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using a coupler, as described below, has been developed.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에 의하여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할 때 CFT기둥을 적용함에 있어서, 지중에 천공된 구멍에 CFT기둥을 설치하였을 때 CFT기둥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CFT기둥이 지지하는 축하중이 효율적으로 피어에 전달될 수 있도록 CFT기둥을 탑-다운 공법에 의한 건축물 지하층 공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ying the CFT pillar when constructing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by the top-down method, when the CFT pillar is installed in the perforated hole in the ground, the CFT pillar is supported while securing sufficient space around the CFT pillar. The purpose is to make the CFT pillars usefu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by the top-down method so that the congratulations can be delivered to the peers efficiently.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단부에 피어철근망을 접합함에 있어서, 커플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을 서로 견고하게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CFT기둥에 작용하는 축하중 중에서 강관이 분담하는 하중이 피어철근망의 수직철근에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축하중이 CFT기둥을 통하여 원활하게 지반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건축물의 지하층 공사에 적용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joining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to the ends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by using a coupler to concretely join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and the peer reinforcing steel network to each other to act on the CFT column The joint structure of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and peer rebar network is provided so that the load shared by the steel pipe during the celebration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rtical rebar of the peer rebar network so that the celebration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ground through the CFT column. . The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and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basement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by the top-down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공 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수직철근과 횡방향 철근으로 이루어진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하단부에 커플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러에 상기 피어철근망의 수직철근 상단부가 결합되므로써 피어철근망과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이 일체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and filled in the hollow, and a joint structure of a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consisting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and transverse reinforcing bars, the coupler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Is done; By joining the coupler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is provided a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and the peer reinforcing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of the reinforced steel pipe and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또한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접합구조에서 상기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바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커플러는 양방향 커플러로 구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양방향 커플러의 하부에는 피어철근망의 수직철근 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bar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in the above-described joint structure; The coupler is composed of a bidirectional coupler, the upper end of the coupl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ar; The low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coupler is provided with a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and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reinforcing end of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is coupl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접합구조의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CFT기둥의 하단부에 수평플랜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플랜지의 하부에는 양방향 커플러가 설치되고; 볼트부재가 수평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양방향 커플러에 체결되며; 상기 양방향 커플러의 하부에는 피어철근망의 수직철근 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bove bonded structure, a horizontal flang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FT pillar; A bidirectional coupler is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flange; A bolt member is fastened to the bidirectional coupler through a horizontal flange; The low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coupler is provided with a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and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reinforcing end of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is coupled.
위와 같은 접합구조에서, 상기 수평플랜지의 상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측면으로 제2 수평플랜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평플랜지와 제2 수평플랜지 사이에는 보강용 수직 스티프너를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e bond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second horizontal flange to the side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lange, a reinforcing vertical stiffen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flange and the second horizontal flange.
다음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CFT기둥과 피어철근망의 접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어철근망(2)이 CFT기둥(1)의 하단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CFT기둥은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져 있으며, 수직철근(21)과 횡방향 철근(22)으로 이루어진 피어철 근망(2)이 다음과 같은 접합구조에 의하여 상기 CFT기둥(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어철근망(2)의 외부에는 피어콘크리트(3)가 타설되어 피어를 형성하게 된다. Next,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CFT column and the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eer reinforcing
도 2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접합구조에 의하여 CFT기둥(1)의 하단에 피어철근망(2)이 접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상기 도 2a의 선A-A에 의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c에는 상기 도 2a의 선B-B에 의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reinforcing
도 3a에는 도 2a에 도시된 피어철근망(2)과 CFT기둥(1)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 2a의 원 C에서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 단부와 CFT기둥(1)의 하단에 구비된 수평플랜지(11)간의 접합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b에는 도 3a에서 선D-D에 의한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3A shows a detailed view in circle C of FIG. 2A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eer reinforcing
본 발명에서는 CFT기둥(1)의 하단부에 피어철근망(2)이 직접 접합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CFT기둥(1)의 하단부에 수평플랜지(1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플랜지(11)는 필렛용접, 부분 그루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용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플랜지(11)의 하면에는,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과의 결합을 위한 커플러(4)가 고정 설치된다.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 상단부는 상기 커플러(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CFT기둥(1)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수평플랜지(11) 하면에 커플러(4)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커플러(4)에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 되므로써, 피어철근망(2)이 CFT기둥(1)과 견고하게 일체로 접합된다. 상기 커플러(4)는 철근을 연결하는 공지된 부재로서, 공장에서 미리 수평플랜지(11)에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커플러(4)를 직접 CFT기둥(1)의 하단부에 부착하고, 상기 수평플랜지(11)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때, 필요하다면 CFT기둥(1)의 하단부에서 커플러(4)의 부착 위치에 결합판(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고 상기 결합판에 커플러(4)를 부착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도 3c에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평플랜지(11)에 연결바(bar)(12)를 용접 부착한 후 상기 연결바(12)의 단부와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 단부에 양방향 커플러(4)를 설치하여 상기 연결바(12)와 수직철근(21)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피어철근망(2)이 CFT기둥(1)과 견고하게 일체로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양방향 커플러(4) 역시 공지된 부재를 이용한다. 이 경우에도 수평플랜지(11)를 생략하고 상기 연결바(12)를 직접 CFT기둥(1) 하단부의 단면에 부착할 수도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연결바(12)를 CFT기둥(1) 하단부의 외면 또는 내면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다. Figure 3c is a detailed view showing an embodiment modified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a, after connecting the connecting bar (bar) 12 to the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의 변형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a에는 CFT기둥(1)의 하단부 외면에 부착된 연결바(12)를 이용한 피어철근망과 CFT기둥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4a의 원 E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는 연결바(12)가 CFT기둥(1)의 하단부 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연결바(12)의 단부에 양방향 커플러(4)가 결합되어 상기 양방향 커플러(4)에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의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피어철근망(2)이 CFT기둥(1) 단부에 접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4A and 4B show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shows a joint structure of a peer reinforcing bar network and a CFT column using a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바(12)가 상기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1)의 하단부 외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양방향 커플러(4)가 상기 연결바(12)에 결합되어 상기 양방향 커플러(4)에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플랜지(11)는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어 CFT기둥(1)의 하부 측면으로 연장되는 보강철근이 용접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수평플랜지(11)는 생략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한편, 상기 연결바(12)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CFT기둥(1)의 하단부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CFT기둥(1)의 하단부 내면이나 CFT기둥(1) 하단부의 단면부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도 5a 내지 도 5e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의 또다른 변형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피어철근망(2)과 CFT기둥(1)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선F-F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c에는 선G-G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d에는 도 5a의 원 H에서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e에는 도 5d에 도시된 상태에서 볼트부재(17)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가 도시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CFT기둥(1)의 하단부에 수평플랜지(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플랜지(11)의 하부에는 양방향 커플러(4)가 설치되고, 볼트부재(17)가 수평플랜지(11)를 관통하여 상기 양방향 커플러(4)에 체결되고 상기 양방향 커플러(4)의 하부에는 피어철근망(2)의 수직철근(21) 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수평플랜지(11)의 상부에는 제2 수평플랜지(15)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부의 수평플랜지(11)와 제2 수평플랜지(15) 사이에는 보강용 수직 스티프너(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5a to 5e show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joint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CFT기둥과 피어철근망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함에 있어서, 탑-다운 공사용 기둥으로 기존의 H형강 보다 장점이 많은 원형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어콘크리트 충전성, 축하중의 전달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시공적 측면, 비용측면에서 더 나은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FT column and the rebar network can be easily and firmly assembled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fore, in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use a round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which has many advantages over the existing H-beam as a top-down construction column, so that it can solve the problems of pier concrete filling, delivery during celebration, etc. In terms of construction and cost, a better effect can be expect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단부에 피어철근망을 접합함에 있어서, 커플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피어철근망을 서로 견고하게 일체로 접합하게 되므로, CFT기둥에 작용하는 축하중 중에서 강관이 분담하는 하중이 피어철근망의 수직철근에 직접 전달되며, 그에 따라 건축물로부터의 축하중이 CFT기둥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지반에 전달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joining the pier reinforcing bar network to the end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the piercing reinforcing steel network are firmly integrally bonded to each other using a coupler, The load shared by the steel pip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rtical rebar of the peer rebar network, so that the celebration from the building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CFT column.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48688 | 2006-05-30 | ||
KR1020060048688 | 2006-05-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9909B1 true KR100719909B1 (en) | 2007-05-21 |
Family
ID=3827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52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909B1 (en) | 2006-05-30 | 2006-07-12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peer rebar net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990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6383B1 (en) | 2011-02-25 | 2014-01-02 |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of reinforcement cage |
CN103758030A (en) * | 2013-12-30 | 2014-04-30 | 浙江工业大学 | External pipe restraining rubber concrete damping thin-wall bridge pier |
KR101420659B1 (en) * | 2012-11-07 | 2014-08-14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Reinforced concrete complex column, Connect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Ro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05937292A (en) * | 2016-03-09 | 2016-09-14 | 龙方启 | Multi-storey frame project establishing column |
KR101868809B1 (en) * | 2017-07-21 | 2018-06-19 | 김용주 | Bonding System of two different structural Column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2296A (en) | 1974-10-07 | 1976-03-09 |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 Tubular pole with base connection |
JPH02148045U (en) * | 1989-05-16 | 1990-12-17 | ||
US5428936A (en) | 1993-07-28 | 1995-07-04 | Roth; Steven A. | Suspension system for concrete structures |
JPH08296300A (en) * | 1995-04-26 | 1996-11-12 | Tokyo Tekko Co Ltd | Coupler with reinforcing bar striking plate |
JP2001323478A (en) | 2000-05-19 | 2001-11-22 | Isk Kk | Structure for connecting column with anchor bolt |
JP2002138579A (en) | 2000-11-07 | 2002-05-14 | Tokyo Tekko Co Ltd | Connection method between steel tube column or steel column and beam rebar |
JP2003336267A (en) | 2002-05-21 | 2003-11-28 | Hitachi Metals Techno Ltd | Anchor bolt installation structure |
-
2006
- 2006-07-12 KR KR1020060065208A patent/KR1007199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2296A (en) | 1974-10-07 | 1976-03-09 |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 Tubular pole with base connection |
JPH02148045U (en) * | 1989-05-16 | 1990-12-17 | ||
US5428936A (en) | 1993-07-28 | 1995-07-04 | Roth; Steven A. | Suspension system for concrete structures |
JPH08296300A (en) * | 1995-04-26 | 1996-11-12 | Tokyo Tekko Co Ltd | Coupler with reinforcing bar striking plate |
JP2001323478A (en) | 2000-05-19 | 2001-11-22 | Isk Kk | Structure for connecting column with anchor bolt |
JP2002138579A (en) | 2000-11-07 | 2002-05-14 | Tokyo Tekko Co Ltd | Connection method between steel tube column or steel column and beam rebar |
JP2003336267A (en) | 2002-05-21 | 2003-11-28 | Hitachi Metals Techno Ltd | Anchor bolt installation structur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6383B1 (en) | 2011-02-25 | 2014-01-02 |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of reinforcement cage |
KR101420659B1 (en) * | 2012-11-07 | 2014-08-14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Reinforced concrete complex column, Connect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Ro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03758030A (en) * | 2013-12-30 | 2014-04-30 | 浙江工业大学 | External pipe restraining rubber concrete damping thin-wall bridge pier |
CN105937292A (en) * | 2016-03-09 | 2016-09-14 | 龙方启 | Multi-storey frame project establishing column |
KR101868809B1 (en) * | 2017-07-21 | 2018-06-19 | 김용주 | Bonding System of two different structural Column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55108B2 (en) | Pile reinforcement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817685B1 (en) | New RC Plate Slab - to - CFT Column Connection, and Top-dow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Floors of Building | |
KR100770023B1 (en) | Joint Structure of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and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Using Shear Head | |
JP2009097176A (en) | Bank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19909B1 (en)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peer rebar network | |
KR101631447B1 (en) | Top-Dow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CFT and the Composite Beam | |
JP2009007745A (en) | Axial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of construction column and foundation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column | |
KR102357963B1 (en) | Earthquake resistant slurry wall structure | |
KR20200044740A (en) | Connecting and Reinforcing Apparatus, Structure and Method for PHC Pile | |
CN115928874B (en) | Full-prefabricated assembly type structural system based on prefabricated hollow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7297861A (en) | Junction structure between pier and pile | |
JP4812324B2 (en) |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187174B1 (en) | Pre-founded Column System having Bearing-Shear Band and Beam-Column Connection System using Grouted Jacket having Bearing-Shear Band for Top-Down or Common Construction | |
JP2004244955A (en) | Cast-in-plac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e,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e, and basic structure of structure | |
KR101006411B1 (en) | Steel frame reverse casting system and method using CFT column | |
KR20060092552A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supported downward frame using cast-in-place pile | |
KR101210368B1 (en) | Uni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wall with basement exterior Wall using Couplers and Bolts. | |
KR20200104534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 |
JP6102010B2 (en) | Pile reinforcement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5456627B2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on between pile and steel column | |
KR101701495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tube column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reinforcement | |
KR101612637B1 (en) | Hollow PC column for saving construction period, SRC column with the hollow PC, joint structure of SRC and 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rame of buildings | |
KR20210073076A (en) |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
KR200451731Y1 (en) | Concrete filling steel pipe pillars | |
JP2009019362A (en) | Pile-column conne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