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78B1 - Vegetation Block Assembly - Google Patents
Vegetation Block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9878B1 KR100719878B1 KR1020060084424A KR20060084424A KR100719878B1 KR 100719878 B1 KR100719878 B1 KR 100719878B1 KR 1020060084424 A KR1020060084424 A KR 1020060084424A KR 20060084424 A KR20060084424 A KR 20060084424A KR 100719878 B1 KR100719878 B1 KR 1007198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block assembly
- vegetation block
- sides
- protrus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된 각 블럭간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로, 세로 방향의 연결 및 식생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편리한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블록의 유실 및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capable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 and vegetation for easy separation between each block constructed, and convenient for direct construction in the field, by installing concrete directly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assembly that is prevented from spilling and conforms to the natural environment.
본 발명의 식생블럭 조립체는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에 하나이상의 식생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식생블럭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들의 형태는 지그재그형태로 나열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 상부면에 식생공을 형성하기 위해 절치선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두면 끝단 상측부에 일정폭의 판상에 보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다른 두면 상측부에 상기 보강판의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체결핀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들 사이를 구획하는 직선상의 공간부에 보강살을 안착하기 위한 다수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는 식생블럭 조립체를 제공한다.In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getation block assembly in which the upper and four sides are open, and forming a vegetation hole-shaped protrusion projecting upward to form one or more vegetation holes on the upper surface. The protrusions provided on the top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and are provided with incision lines to form vegetation holes on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s, and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re provided. A reinforcing plate is provided on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t an upper end of the two sides, and fastening hole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to the other two upper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Fastening pin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all, and the reinforcing bar is seated in a linear space partitioning the protrusions. It provides a vegetation block assembly is provided with a holder for a plurality of groups.
식생블럭 조립체, 식생공 Vegetation block assembly, vegetation hol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1) of a vegetati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사시도(2)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2)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 “A” 부위의 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조립한 구성도Figure 4 is a configuration of assembling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 조립의 “B”부위의 확대도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B" site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6은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 조립의 “C”부위의 확대도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C" portion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분리도Figure 7 is an assembly separation for assembling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에 보강살을 안착하기 위한 거치대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for seating the reinforcement to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경사면에 시공한 시공도9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on the inclined surfa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식생블럭 조립체 100
돌출부 200
절치선 210
보강판 300Gusset 300
체결공 310Fastener 310
체결핀 400Fastening
거치대 500Cradle 500
보강살 600
본 발명은 시공된 각 블럭간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로, 세로 방향의 연결 및 식생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편리한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블록의 유실 및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capable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 and vegetation for easy separation between each block constructed, and convenient for direct construction in the field, by installing concrete directly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assembly that is prevented from spilling and conforms to the natural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과 같은 수로등에는 여러형태의 식생블럭이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vegetation blocks are formed in waterways such as rivers and rivers to prevent dikes and waterways.
그리고, 이러한 식생블럭은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block is constructed so that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block is constant and dense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dike due to the flood.
이와 같은 상황에서 폭우로 인해 시공된 블럭 중에서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는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은 시간이 진행됨에 있어 유실되거나 심지어는 붕괴되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In this situation, when one block is lost or escaped from the blocks constructed due to heavy rain, each of the ban blocks gradually fixed to each side and bottom may be lost or even collapsed over time. There is a drawback to this.
또한, 지금까지 법면이나 하천의 호안에서는 토양안정과 경사면 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 및 콘크리트 블럭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무미건조하고 딱딱한 느낌의 경관을 연출하고, 하천이나 도로변의 주변생태계와는 이질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In addition, up to now, on the surface of rivers or rivers, soil stability and protection of slopes ar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and uniform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concrete retaining walls, stone blocks, and concrete blocks, resulting in a dry and hard landscape. It is heterogeneous with its surrounding ecosystem.
최근에는 보다 조형미를 갖춘 콘크리트 블럭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콘크리트가 주는 딱딱한 느낌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자연친화적이고 경관을 고려한 환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construction by concrete blocks with more beauty is made, but it is still a situation that requires environment-friendly and landscape-oriented environment without escaping the hard feeling of concrete.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목이나 초본류 등의 식물 도입이 가 능한 격자블럭 등이 적용되기도 하는 상황이지만, 이는 토사의 유출이나 슬라이딩등으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함께 하천의 호안에서는 콘크리트 블럭이 적용되어 침식방지와 홍수시의 통수 기능만을 고려함으로써 하천생태계의 단절을 가져와 하천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grid block that can be used to introduce plants such as trees and herbaceous plants is sometimes applied, but this is a concrete block applied to the shore of the river along with the problem of poor stability due to the outflow or sliding of soil. By considering only the function of preventing erosion and flooding during flooding, it is bringing down the river ecosystem and failing to utiliz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river.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개발된 여러 식생블럭들은 각각의 모양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이탈되지 않게 개발되었으나, 우천시 식생블럭에 쌓인 토사들은 아무런 대책없이 흘러 내리는 구조로 인하여 식생블럭의 지지력이 약화되면서 제방의 붕괴, 침하 및 유실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vegetation blocks currently developed to solve such a problem have been developed to have a shape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but the soils accumulated in the vegetation block during rainy weather are flowed down without any countermeasures. As the bearing capacity of the vegetation block is weaken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llapse, settlement and loss of the dike can occur.
또한, 식생블럭을 제조하여 시공현장까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식생블럭을 이동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용 상승을 가져오며 이동시 발생되는 블럭의 파손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진 블럭을 시공현장에 적재할때에도 다른 적재수단과 운반수단을 이용하여야 하는 실정으로 비용의 상승과 블럭의 파손을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시공현장에 블럭을 설치할 때에도 블럭의 과중한 무게로 인해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설치에 어려움과 시공의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일으킨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block is manufactured to move the vegetation block to the construction site by using a moving mean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ost, and may cause breakage of the block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and also to construct a block moved by the moving means. When loading on site, it is necessary to use other loading means and transportation means, which can increase the cost and damage of the block. When the worker installs the block on the construction site, work is carried out by using the transportation means due to the heavy weight of the block. This will cause difficulties in installation and increase the labor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홍수 등 자연재해로부터 식생블럭에 쌓인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또한, 식생블럭중 하나의 블록도 홍수나 자연재해로부터 유실을 막을 수 있고, 현장에서 직접 식생블럭을 제조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어떠한 형태의 지면에서도 공사가 용이하며 관통공 및 식생공에는 공기와 물의 유통 및 일반 토양과 같이 식생 가능하고 자연환경에 부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loss of soil accumulated in vegetation blocks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also prevents the loss of one block of vegetation blocks from floods or natural disasters, and it is only necessary to manufacture vegetation blocks directly on site. It is simple to install, easy to construct in any form of ground, and through hole and vegetation hole provide new structure block which can be compatible with veget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such as air and water distribution and general soi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접 시공현장에 식생블럭 조립체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양생기간을 지난후에 식생블럭 조립체를 제거하여 시공 및 설치하는 것으로 타측의 식생 블럭간의 결합력 또는 원지반과의 결합력을 최대한으로 밀착시켜 상기 식생블럭을 연결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지지하고, 유수의 배출시 토사 유실과 시공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in the construction site directly to the concrete after a certain curing period after the removal of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ly suppor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vegetation blocks or the coupling force with the ground, so that the vegetation blocks are not separated when they are connected, and provide convenience of soil loss and construction during discharge of running water.
본 발명의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럭 조립체(100)는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에 하나이상의 식생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200)를 형성하고 있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있어서,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200)들의 형태는 지그재그형태로 나열되어 구비되고,The
상기 돌출부(200) 상부면에 식생공을 형성하기 위해 절치선(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두면 끝단 상측부에 일정폭의 판상에 보강판(300)이 구비되고,A
상기 보강판(300)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310)이 구비되고,The reinforcing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다른 두면 상측부에 상기 보강판(300)의 체결공(310)에 삽입되도록 체결핀(40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Fastening
상기 돌출부(200)들 사이를 구획하는 직선상의 공간부에 보강살(600)을 안착하기 위한 다수개의 거치대(500)가 구비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도 1과 도 2와 같이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등 고분자물질을 이용하여 가열압축한 성형물로서 제조되어지며, 또한 나무를 톱밥과 같은 일정크기로 파쇄한 목분 60-80wt%에 접착성 수지와 같은 고분자 물질 40-20wt%로 혼합하여 바닥판 몰드에 성형하여 가열압착한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In the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있어서는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판상의 형태에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판상 하부에 하나이상의 식생공이 상부면에 형성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200)를 형성하고 있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하며 상기 식생블럭 조 립체(100) 상부에 하나이상의 식생공 형상의 사각기둥 또는 원통형 모양을 가진 돌출부(200)로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의 공간은 지면의 바닥과 면접하여 지면에 초본류의 식물이 성장하여 상기 돌출부(200)의 내부 즉 식생공으로 자라게 된다.As shown in FIG. 2, in the
또한, 상기 돌출부(200) 내부로 토사를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유입하여 초본류 등 식물의 씨앗을 심어 자라게 할 수 있는 상기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200)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200)들의 형태는 지그재그형태로 나열되어 구비되어 있어, 경사면 시공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경사면 전면에 설치후 경사면 상부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콘크리트를 유입하면 돌출부(200)가 지그재그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하부로 흘러가는 콘크리트의 유속을 차단하여 돌출부(200)들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의 채움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돌출부(200)의 형태를 지그재그로 구비한 형태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hapes of the
도 1과 도 2에서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두면 상측부에 일정폭의 판상에 보강판(30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 상기 보강판(300)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310)이 구비되고,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다른 두면 상측부에 상기 보강판(300)의 체결 공(310)에 삽입되도록 체결핀(40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제공하며,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간의 설치에 있어 다음과 같이 조립이 이루어진다.In FIGS. 1 and 2, the
먼저, 경사면에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설치한후 이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보강판(300)이 구비된 일측부에 다른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체결핀(400)이 구비된 일측부에 상기 체결핀(400)을 보강판(300)의 체결공(310)에 삽입하여 조립하며, 이때 하나의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구비된 이러지는 두면 상측부에 구비된 보강판(300)중 하나의 일면 상측부에 구비된 보강판(300)의 길이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일면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하고, 다른 일면 상측부에 구비된 보강판(300)의 길이는 보강판(300)의 폭만큼 빠지도록 짧게 구비하여 식생블럭 조립체(100)간의 연결에 있어 원활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보강판(300)의 길이가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일면과 동일한 일면에 있어 상기 일면과 이어지는 상측부에 체결핀(400)이 구비된 일면에는 보강판(300)의 폭만큼 빠지도록 절단되어 있으며, 이 절단된 면과 이어지는 상측부에 체결핀(400)이 구비된 일면의 길이는 원래의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일면의 길이를 유지하여 각각의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연결에 있어 원활히 조립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First, after the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둘레면에 보강판(300)이 짧게 구비하는 것과 보강판(300)의 폭만큼 빠지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은 식생블럭 조립체(100)들을 각각 연결시 식생블럭 조립체(100) 사방(四方)면에 연결된 식생블럭 조립체(100)들의 조립되는 구획부에 어긋남이 없거나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조립시 보강판(300)이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물리적인 충격에 이탈 및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상기 보강판(300)의 두께와 체결핀(400)의 높이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측면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또한, 도 4와 도 7과 같이 경사면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식생블럭 조립체(100)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들 사이의 직선상의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거치대(500)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대(500)는 일정간격으로 외주에 마디가 구비된 콘크리트용 이형봉강(미도시)을 이용하여 휨 또는 절곡작업을 통해 중간에 직선모양의 이형봉강의 보강살(600)을 안착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를 구비하고, 양쪽 끝단부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공간부 바닥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각도가 15도정도 기울어진 형태로 바닥면과 직면하는 도 8과 같이 거치대(500)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between the
도 5와 도 6의 확대도에서 상기 거치대(500)의 중간부에 형성된 “U”자 형태에 보강살(600)을 안착하면 보강살(600)의 높이는 돌출부(200)의 중간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50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and 6 when the
상기와 같이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돌출부(200)들 사이의 직선상의 공간부에 거치대(500)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500)를 통해 보강살(600)을 안착하여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유입하여 경사면에 식생블럭을 시공하게 된다.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상기 콘크리트를 유입하는 과정에 있어 콘크리트의 높이와 돌출부(200)의 상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콘크리트를 유입하며, 상기 콘크리트 유입후 경화가 진된 다음 돌출부(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절치선(210)에 충격을 주어 구멍을 만들어 줌에 따라 식생공을 형성하게 된다.Inflowing the concrete so that the height of the concre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1의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이용한 경사면 시공에 있어 다수개의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보강판(300)이 구비된 일측부에 다른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체결핀(400)이 구비된 일측부에 상기 체결핀(400)을 보강판(300)의 체결공(310)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방법으로 경사면의 전면에 설치하고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하나의 행 또는 열을 기점으로 일정 개수의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상부면에 콘크리트 유입시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강살(400)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 식생블럭 조립체의 돌출부(200)들 사이에 직선상의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거치대(500)를 설치하여 거치대(500)에 보강살(600)를 안착한 후 경사면 상부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상측면으로부터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점차 콘크리트 유입물이 아래로 흘러 유입되면서 경사면 아래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부터 콘크리트 유입물이 채워져 점차적으로 경사면 상부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로 채워져 경사면 전면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 내부 공간에 모두 채워지면 타설을 중지하고, 일정시간의 양생기간이 지나면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절치선(210)에 충격을 주어 식생공을 만들어 주면 상기 식생공 공간을 통해 식물의 씨앗 또는 성장된 식물을 심어 식물이 자라게 된다.In the inclined surface construction using the
상기 경사면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콘크리트의 채움이 돌출부(200)의 상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경사면의 면적에 따라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전면 또는 부분면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유입시켜주는 것이 경사면에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설치하는 시공에 있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ill the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생블럭 조립체를 경사면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경사면 상부에 콘크리트로 타설된 식생블럭을 직접 제조하는 것으로 경사면 전체가 일체형의 식생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어 경사면에 설치시에 부분적으로 식생블럭의 이탈됨을 방지하고, 또한 우천시 식생블럭의 이탈을 방지하며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로 식물을 식재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를 통한 식물의 성장을 돕고 자연 상태에 가장 근접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block assembly is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to directly manufacture a vegetation block that is placed in concrete on the inclined surface after concrete placement. It is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y preventing the escape of vegetation blocks, but also prevents the loss of vegetation blocks in rainy weather, and prevents the loss of soil and planting plants with vegetation-shaped protrusions. It helps to keep the environment close to the natural stat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424A KR100719878B1 (en) | 2006-09-01 | 2006-09-01 | Vegetation Block Assembly |
PCT/KR2007/003189 WO2008026822A1 (en) | 2006-09-01 | 2007-06-29 | Block assembly for pl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424A KR100719878B1 (en) | 2006-09-01 | 2006-09-01 | Vegetation Block Assembly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3675U Division KR200430842Y1 (en) | 2006-09-01 | 2006-09-01 | Vegetation Block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9878B1 true KR100719878B1 (en) | 2007-05-18 |
Family
ID=3827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44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878B1 (en) | 2006-09-01 | 2006-09-01 | Vegetation Block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9878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15408A (en) | 1980-02-18 | 1981-09-10 | Masaru Shinozaki | Revetment 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JPH08151620A (en) * | 1994-11-29 | 1996-06-11 | Kankyo Kogaku Kk | Ecosystem protective natural stone sheet |
JPH08199532A (en) * | 1995-01-19 | 1996-08-06 | Hokuetsu:Kk | Concrete block combined body for waterside revetment and concrete block revetment |
KR20030070629A (en) * | 2002-02-26 | 2003-09-02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Ecological block and method for building bank protection of river using the same |
KR20040049535A (en) * | 2002-12-06 | 2004-06-12 | 이정수 | A Facing panel for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20040098434A (en) * | 2003-05-15 | 2004-11-20 | (유) 이도건설 | Block |
-
2006
- 2006-09-01 KR KR1020060084424A patent/KR1007198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15408A (en) | 1980-02-18 | 1981-09-10 | Masaru Shinozaki | Revetment 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JPH08151620A (en) * | 1994-11-29 | 1996-06-11 | Kankyo Kogaku Kk | Ecosystem protective natural stone sheet |
JPH08199532A (en) * | 1995-01-19 | 1996-08-06 | Hokuetsu:Kk | Concrete block combined body for waterside revetment and concrete block revetment |
KR20030070629A (en) * | 2002-02-26 | 2003-09-02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Ecological block and method for building bank protection of river using the same |
KR20040049535A (en) * | 2002-12-06 | 2004-06-12 | 이정수 | A Facing panel for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20040098434A (en) * | 2003-05-15 | 2004-11-20 | (유) 이도건설 | B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3236B1 (en) | Structure for slope reinforcement and eco-friendly slop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US20070110522A1 (en) |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 |
KR100704408B1 (en) | Vegetation Blocks | |
KR20070033301A (en) | Vegetation type hollow block | |
CN201581411U (en) | Inclined inserting sheet pile wall | |
KR100644413B1 (en) | Vegetation Greening Block | |
KR101661320B1 (en) | Assembly Penetrating Type Check Dam | |
KR100657182B1 (en) | Small river valley soil loss prevention facility | |
CA2515927A1 (en) | Freestanding wall structures made using sandbags | |
KR100719878B1 (en) | Vegetation Block Assembly | |
CN114809036A (en) | Prefabricated high-waterproof ecological slope protection construction method | |
KR200430842Y1 (en) | Vegetation Block Assembly | |
KR100689761B1 (en) | Vegetation Block Assembly | |
KR100525327B1 (en) | Fixing unit of construction stone and fixing method of construction stone that use it | |
KR100818794B1 (en) | Bed protection block | |
KR100671796B1 (en) | Vegetation Block Assembly | |
KR200403507Y1 (en) | Cellular Block Of A Plant Community Type | |
KR200433084Y1 (en) | Concrete pour assembly | |
KR100748926B1 (en) | Concrete pour assembly | |
KR100748933B1 (en) | Vegetation Block Assembly | |
KR200372619Y1 (en) | Block assembly for plants | |
KR20170124388A (en) | afforestation method using a slanted holder one-piece mesh | |
KR100724286B1 (en) | Vegetation Block Assembly | |
KR100713952B1 (en) | Vegetation Block Assembly | |
KR101664736B1 (en) | Soil bag for growing pl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