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9490B1 - 레이크 수신기 - Google Patents

레이크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490B1
KR100719490B1 KR1020010053880A KR20010053880A KR100719490B1 KR 100719490 B1 KR100719490 B1 KR 100719490B1 KR 1020010053880 A KR1020010053880 A KR 1020010053880A KR 20010053880 A KR20010053880 A KR 20010053880A KR 100719490 B1 KR100719490 B1 KR 10071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receiver
primary
combiner
time dif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574A (ko
Inventor
박탄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4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4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 모뎀의 레이크(Rake) 수신기를 비동기식(W-CDMA) 표준안에 최적화시키기 위한 핑거 출력신호의 결합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간적으로 변하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PN코드 추적 루프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동기를 유지하는 핑거(21A-21E)와; 상기 핑거(21A,21B),(21C,21D),(21E,21F)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별로 다중 경로차를 보상하여 결합하는 1차 결합기(23A-23C)와; 상기 각 1차 결합기(23A-23C)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시간차를 보상한 후 결합하여 최종의 복조신호를 출력하는 2차 결합기(26)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레이크 수신기{RAKE RECEIV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A-21F : 핑거 22A-22F,25A-25C : 버퍼
23A-23C : 1차 결합기 24A-24C : 1차 경로보상 제어기
26 : 2차 결합기 27 : 2차 경로보상 제어기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 모뎀의 레이크(Rake) 수신기에 대한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크 수신기를 비동기식(W-CDMA) 표준안에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크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CDMA는 동일한 주파수를 많은 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타 방식보다 간섭이 적고, 통화자가 침묵하고 있는 시간 동안 전송을 중지 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식보다 수용 용량을 1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CDMA방식의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가 Rake 수신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Rake 수신기는 서로 시간차(지연)가 있는 두 신호를 분리해 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신기를 말하는 것으로 CDMA의 대역확산 원리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특성이다. 전자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때 전송품질에 영향을 주는 현상 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중경로에 의한 페이딩(Fading)이다.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은 서로 다른 경로로 수신기에 도착한 신호의 위상차이(시간 지연 차이)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페이딩은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키므로 C/I(Channel Interference)를 악화시켜 전송에러를 집중적으로 발생시킨다.그리고 시간지연은 신호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을 발생시킨다. 대개의 전파를 이용한 통신방식에서 페이딩은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극복을 하고 있으며 시간 지연은 각 시간지연을 보상하는 등화기(Equalizer)를 이용하여 ISI를 줄이고 있다.
CDMA방식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서는 송신 데이터가 PN(Pseudo noise) 코드에 의해 대역 확산되어 전송되므로, 수신단에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신신호의 PN코드와 위상이 동기 된 국부 PN코드를 발생시켜, 이것을 수신신호에 곱하는 방식으로 수신신호를 역 확산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신신호와 PN코드와 국부 PN코드의 동기과정은 PN코드 위상 획득과정과 PN코드 위상에 대한 추적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수신단은 PN코드 위상 획득과정을 통해서 수신신호의 PN코드 위상에 대한 국부 PN코드의 위상에 대하여 대략적인 초기 동기를 이루는데, 이러한 동작을 하는 부분을 서쳐(searcher)라고 한다. 서쳐에 의한 신호의 PN코드 위상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적으로 변하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PN코드 추적 루프를 사용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동기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부분을 핑거(Finger)라고 한다. 이렇게 서쳐와 핑거를 통해 복원된 다중경로의 신호 성분들을 최종 데이터복원에 사용하는데, 이 수신기가 레이크 수신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기식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쳐에 의한 신호의 PN코드 위상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적으로 변하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PN코드 추적 루프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동기를 유지하는 다수의 핑거(11A-11N)와; 상기 핑거(11A-11N)의 출력신호를 결합기(13)에 전달하기 위한 버퍼(12A-12N)와; 상기 각각의 핑거(11A-11N)에서 발생하는 경로차를 보상한 후 결합하는 결합기(13)와; 상기 결합기(13)에서의 경로차 보상동작을 제어하는 경로보상 제어기(14)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기식 표준안이 적용되는 단말 모뎀의 레이크 수신기는 소프트 핸드오버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핑거(11A-11N)를 통해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 각 핑거(11A-11N)는 서쳐에 의한 신호의 PN코드 위상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적으로 변하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PN코드 추적 루프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동기를 유지하게 된다.
결합기(13)는 버퍼(12A-12N)를 통해 상기 핑거(11A-11N)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이들을 결합할 때,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경로의 신호를 결합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이는 모든 기지국이 비트 동기를 이루어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그런데, 비동기식 표준안에 의하면, 소프트 핸드오버시 각 기지국이 전송하는 신호(DPCH)가 소정의 시간차(±148chips)를 갖고 전송되고, 각 기지국마다 적용된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이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각 핑거(11A-11N)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다중 경로차, 기지국간의 시간차, 송신 다이버시티의 복조 시간차를 모두 보상해 주어야 하므로 매우 큰 용량의 버퍼(12A-12N)를 필요로하게 된다. 다음의 [수학식1]은 이때 필요로하는 버퍼의 총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1022505829-pat00001
비동기식 표준안이 적용되는 종래의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는 각 핑거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다중 경로차, 기지국간의 시간차, 송신 다이버시티의 복조 시간차를 모두 보상해 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 매우 큰 용량의 버퍼를 핑거수 만큼 필요로 하므로 결과적으로, 레이크 수신기의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식(W-CDMA) 표준안에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1차적으로 기지국별로 다중 경로차를 보상한 후 2차적으로는 1차결합된 출력신호의 시간차를 보상하여 결합하는 레이크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크 수신기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쳐에 의한 신호의 PN코드 위상 정보를 근거로 시간적으로 변하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PN코드 추적 루프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동기를 유지하는 핑거(21A-21E)와; 버퍼(22A,22B),(22C,22D),(22E,22F)를 통해 상기 핑거(21A,21B),(21C,21D),(21E,21F)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또는 셀)별로 다중 경로차를 보상하여 결합하는 1차 결합기(23A-23C)와; 상기 1차 결합기(23A-23C)의 다중 경로차 보상 동작을 제어하는 1차 경로보상 제어기(24A-24C)와; 버퍼(25A),(25B),(25C)를 각기 통해 상기 각 1차 결합기(23A-23C)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1차 결합된 신호의 시간차를 보상한 후 결합하여 최종의 복조신호를 출력하는 2차 결합기(26)와; 상기 2차 결합기(26)의 다중 경로차 보상 동작을 제어하는 2차 경로보상 제어기(27)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상 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 모뎀의 레이크 수신기는 소프트 핸드오버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핑거(21A-21F)를 통해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 각 핑거(21A-21F)는 서쳐에 의한 신호의 PN코드 위상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적으로 변하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PN코드 추적 루프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동기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핑거(21A,21B),(21C,21D),(21E,21F)의 출력신호가 각각의 버퍼(22A, 22B),(22C, 22D),(22E,22F)를 통해 1차 결합기(23A),(23B),(23C)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1차 결합기(23A),(23B),(23C)는 1차적으로 기지국(또는 셀)별로 다중 경로차를 보상하여 결합한다. 즉, 상기 1차 결합기(23A),(23B),(23C)에서는 동일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다중 경로차만을 보상하여 결합한다.
상기 1차 결합기(23A),(23B),(23C)에 의해 다중 경로차가 보상된 후 결합된 신호들이 각각의 버퍼(25A),(25B),(25C)를 통해 2차 결합기(26)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2차 결합기(26)는 기지국별로 1차 결합된 출력신호의 시간차를 보상한 후 결합하여 최종의 복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기지국(또는 셀)간의 비트 동기를 위한 최대 시간차와 기지국간의 송신 다이버시티가 다르게 적용되었을 경우 복조 방식이 달라지게 되는데, 상기 2차 결합기(26)에서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최대 시간차만을 보상하면 된다. 다음의 [수학식2]은 이때 필요로하는 버퍼의 총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1022505829-pat0000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결합기에서 기지국별로 다중 경로차를 보상하고, 2차 결합기에서는 1차결합된 출력신호의 시간차를 보상하여 결합함으로써, 비동기식(W-CDMA) 표준안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시간적으로 변하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PN코드 추적 루프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동기를 유지하는 핑거(21A-21E)와; 상기 핑거(21A,21B),(21C,21D),(21E,21F)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별로 다중 경로차를 보상하여 결합하는 1차 결합기(23A-23C)와; 상기 각 1차 결합기(23A-23C)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시간차를 보상한 후 결합하여 최종의 복조신호를 출력하는 2차 결합기(2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1차 결합기(23A-23C)는 동일 셀별로 다중 경로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2차 결합기(26)는 기지국간의 비트 동기를 위한 최대 시간차와 기지국간의 송신 다이버시티가 다르게 적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여 최대 시간차만을 보상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레이크 수신기에서 필요로하는 버퍼의 총 용량은 다음의 수식으로 구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Figure 112001022505829-pat00003
KR1020010053880A 2001-09-03 2001-09-03 레이크 수신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80A KR100719490B1 (ko) 2001-09-03 2001-09-03 레이크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80A KR100719490B1 (ko) 2001-09-03 2001-09-03 레이크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574A KR20030020574A (ko) 2003-03-10
KR100719490B1 true KR100719490B1 (ko) 2007-05-18

Family

ID=2772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490B1 (ko) 2001-09-03 2001-09-03 레이크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1693B2 (en) * 2001-12-27 2004-08-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nhanced rake structure
KR100577541B1 (ko) * 2004-07-15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크 수신기에서 트래픽 채널 신호 전송 검출 장치 및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621A (ko) * 1999-07-12 2001-02-05 윤종용 서로 다른 두 개의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가능한 변복조 장치 및 그 핸드오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621A (ko) * 1999-07-12 2001-02-05 윤종용 서로 다른 두 개의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가능한 변복조 장치 및 그 핸드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574A (k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9815A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receiver
US6690665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for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EP2153543B1 (en) Short range booster and methods for boosting with multiple antennas
JP2734953B2 (ja) Cdma受信装置
US644926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050085823A (ko) 송신 다이버시티 시스템
US7599426B2 (en) Use of adaptive filters in multiple access wireless systems employing predictable signals
US20080232438A1 (en) 2D Rake Receiver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00047620A (ko)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00353982A (ja) 直接拡散受信装置
US7526012B2 (en) Interferenc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EP1128569B1 (en) Mobile station receiv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receiver
KR100719490B1 (ko) 레이크 수신기
JP4502233B2 (ja) レイク受信機におけるcdmaセルラ信号の合成方法
GB2340354A (en) CDMA receiver where the received signals are phase adjusted/time delayed and then summed before despreading
JP3153531B2 (ja) 直接拡散受信装置
JP3160590B2 (ja) 直接拡散受信装置および直接拡散送信装置
JP3160591B2 (ja) 直接拡散受信装置および直接拡散送信装置
US200600131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raffic channel signal transmission in a rake receiver
JP2001244914A (ja) 信号対雑音干渉電力比推定装置
JP3153530B2 (ja) 直接拡散受信装置
JP2000269931A (ja) 直接拡散受信装置
JP2880153B1 (ja) Ds−cdma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受信装置
KR20060126354A (ko) 초고속 부호분할다중방식의 채널 추정 장치
US20050129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multipath interfer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9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