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228B1 - Auto spanner - Google Patents
Auto span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9228B1 KR100719228B1 KR1020060065551A KR20060065551A KR100719228B1 KR 100719228 B1 KR100719228 B1 KR 100719228B1 KR 1020060065551 A KR1020060065551 A KR 1020060065551A KR 20060065551 A KR20060065551 A KR 20060065551A KR 100719228 B1 KR100719228 B1 KR 100719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piece
- fastening object
- head
- spanner
- sl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00)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rip the hand 200;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체결대상체를 끼워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내측 일면에는 이송홈(330)이 형성된 헤드부(300)와;A head portion 300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a transfer groove 330 formed at one inner side thereof in an open state so as to open or tighten a fastening object;
일측에는 상기 헤드부의 이송홈에 대응되되 그 내측선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된 이송돌기(4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돌기에 의해 상기 이송홈에 결합된 상태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와 체결대상체 사이에서 왕복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편(400)과;One side is provided with a transfer protrusion 410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groove of the head portion, the inner end is formed with a stopper , and forms an opening in a state coupled to the transfer groove by the transfer protrusion, the head and the fastening object A slide piece 400 reciprocating between the slide pieces;
상기 헤드부와 슬라이드편 각각의 일면에는 체결대상체의 모서리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치형(500)과; A plurality of teeth 500 formed on one surface of each of the head part and the slide piece so that an edge of the fastening object can be engaged ;
상기 슬라이드편이 왕복슬라이딩될 때 상기 헤드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홈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편(310); 및A fixing piece 310 screwed to an end of the conveying groove so that the slide piece is not deviated out of the head when the slide piece is reciprocated; And
상기 슬라이드편의 이송돌기와 상기 고정편 사이의 상기 이송홈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편을 개구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스패너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 스패너에 의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슬라이드편에 의해 스패너를 뽑지 않고도 풀림과 조임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Disclosed is an automatic spanner including a spring 320 provided in the conveying groove between the conveying projection of the slide piece and the fixing piece to elastically bias the slide piec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an open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automatic spanner, the slide piece elastically bias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can not only perform the loosening and tightening without removing the spanner, but also can work at a desired rotation angle even in a narrow space.
스패너, 슬라이드, 치형 Spanner, Slide, Teeth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스패너를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ann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패너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p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 4 내지 도 11는 도 2에 도시된 자동 스패너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4 to 11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panner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자동 스패너 200...손잡이100 ...
300...헤드부 310...고정편300
320...스프링 330...이송홈320 ...
400...슬라이드편 410...이송돌기400 ...
500...치형500 ... tooth
본 발명은 스패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대상체인 볼트나 너트의 풀림과 조임을 용이하게 하며, 좁은 장소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panner that facilitates loosening and tightening of a bolt or nut, which is a fastening object, and can perform work in a narrow place.
일반적으로 스패너는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조이거나 푸는데 사용되는 공구로서 그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In general, a spanner is a tool used to tighten or loosen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nut, and is variously classified according to its size and shape. In the related art, a structure is generally employed as shown in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패너(10)는 볼트 및 너트의 헤드에 끼워지는 부분인 헤드부(20)가 일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20)와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러한, 상기 스패너(10)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대상체의 헤드를 상기 헤드부(20)의 개구부를 통해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0)를 잡고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시킴으로서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풀게 된다.The
그러나, 종래의 스패너(10)는 볼트 및 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부(20)를 볼트 및 너트의 헤드에 끼운 상태로 회전하여 작업 한 다음, 볼트 및 너트에서 상기 헤드부(20)를 뺀 후 다시 상기 헤드부(20)를 볼트 및 너트에 끼우는 번거로운 반복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또한, 상기 헤드부(20)를 볼트 및 너트의 헤드에 다시 끼울 때 상기 헤드부(20)가 볼트 및 너트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60°정도의 상기 손잡이(3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은 용이하지 못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각의 체결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각의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스패너를 빼지않고 연속적으로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킨 자동 스패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enable the user to fasten the desired angle even in a narrow space, and to provide an automatic spanner with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continuously work smoothly without removing the spanner It is for that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스패너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00)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체결대상체를 끼워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내측 일면에는 이송홈(330)이 형성된 헤드부(300)와;
일측에는 상기 헤드부의 이송홈에 대응되되 그 내측선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된 이송돌기(4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돌기에 의해 상기 이송홈에 결합된 상태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와 체결대상체 사이에서 왕복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편(400)과;
상기 헤드부와 슬라이드편 각각의 일면에는 체결대상체의 모서리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치형(500)과;
상기 슬라이드편이 왕복슬라이딩될 때 상기 헤드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홈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편(310); 및
상기 슬라이드편의 이송돌기와 상기 고정편 사이의 상기 이송홈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편을 개구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320)을 포함한다.Automatic span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ser can grip the
A
One side is provided with a
A plurality of
A
And a
여기서, 체결대상체와 맞물리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편의 일면에는 체결대상체의 모서리가 맞물리도록 치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tooth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the slide piece that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object so that the edge of the fastening object is engag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various alternatives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패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sp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패너(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00)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헤드부(300)와, 상기 헤드부(300)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편(40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또한, 상기 헤드부(300)에는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슬라이딩 되도록 고정편(310) 및 스프링(32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손잡이(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The
이러한, 상기 손잡이(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일측방향이나 타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자동 스패너(100)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그 회전되는 각도만큼 체결대상체를 풀거나 조이게 된다.This, the
상기 헤드부(300)는 체결대상체의 헤드가 끼워지는 부분이다.The
여기서,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손잡이(20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대상체의 헤드를 끼운 상태로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일단부가 개구된다.Here, the
또한, 체결대상체의 헤드가 끼워지는 내측 일면에는 이송홈(33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슬라이드편(400)은 상기 헤드부(300)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는 부재이다.The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편(400)은 일측에 상기 헤드부(300)의 이송홈(330)에 대응되는 이송돌기(410)가 구비되는데, 그 내측 선단에는 스토퍼(도면 2에 개시된 바와 같음)가 형성되어 슬라이드편이 외측으로 이동할 때 후술하는 스프링과 고정편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Such,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편(400)은 상기 이송돌기(410)에 의해 상기 헤드부(300)의 이송홈(330)에 체결된 상태로 볼트나 너트가 인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300)와 체결대상체 사이에서 왕복슬라이딩 된다.위와 같이 슬라이드편과 헤드부가 개구부를 형성하게 될 경우, 슬라이드편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확대되므로 체결대상체의 크기가 어느정도 다르다 할지라도 체결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이송돌기(410)와 상기 이송홈(330)의 형상은 삼각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라이드편(400)의 왕복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원형이나 마름모형상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 헤드부(300) 및 슬라이드편(400)의 내측 일단부는 체결대상체의 헤드가 상기 헤드부(300) 및 슬라이드편(400)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소정각도로 연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end of the
상기 고정편(310)은 상기 슬라이드편(400)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부재이다.The
이러한, 상기 고정편(310)은 상기 헤드부(300)의 이송홈(330)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슬라이드편(400)의 이송돌기(410)가 상기 고정편(310)에 걸림되어 상기 헤드부(3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is, the
여기서, 상기 고정편(310)은 상기 이송홈(330)의 단부에 나사결합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돌기와 홈 결합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상기 스프링(320)의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왕복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부재이다.The
이러한, 상기 스프링(320)은 상기 헤드부(300)의 이송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편(400)의 이송돌기(410)와 상기 고정편(310) 사이에 위치한다.The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상기 헤드부(3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스프링(320)은 일단부가 상기 고정편(310)에 지지된 상태로 수축하게 되며,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면서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상기 이송홈(330)에 결합된 상태로 왕복슬라이딩 되게 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체결대상체와 맞물리는 상기 헤드부(300) 및 상기 슬라이드편(400)의 일면에는 체결대상체 모서리가 맞물리도록 복수개의 치형(500)을 구비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러한, 상기 치형(500)은 체결대상체의 모서리가 상기 치형(500)사이에 걸림되게 한 상태로 체결대상체를 조이게 되며, 되감는 작업시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상기 헤드부(300)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복수개의 상기 치형(500) 사이에 체결대상체의 각 모서리가 순차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자동 스패너(100)의 역회전을 가능하게 한다.The
또한, 상기 치형(500)은 상기 자동 스패너(100)가 12°~ 20° 의 회전각에서도 체결대상체를 체결할 수 있도록 치형의 나사산 각이 120°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치형(500)은 상기 자동 스패너(100)가 8°~ 16°의 회전각에서도 체결대상체를 체결할 수 있도록 치형의 나사산 각이 90°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패너(100)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상기 자동스패너(100)로 체결대상체를 조이고자 할 경우 상기 헤드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사용자에 인접한 쪽에 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00)를 파지한다.First, when tightening the fastening object with the
그런 다음,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대상체 헤드의 측면이 상기 헤드부(300)의 개구된 일단부를 통해 끼워진 상태로 120°로 형성된 치형(500) 사이에 맞물리도록 하여 시계방향으로 12°회전시켜 체결한다.Then, as shown in FIGS. 4 to 5, the side of the fastening object head is engaged between the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0)의 회전력을 반 시계방향으로 가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상기 헤드부(300)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송되고 체결대상체의 모서리가 상기 슬라이드편(400)의 상기 치형(500) 사이에 걸림 되면서 상기 자동스패너(100)가 처음의 위치로 되감아 지게 된다.Here, when the user appli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또한,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대상체가 12°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 스패너(100)를 4°회전한 후 회전력을 반 시계방향으로 가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편(400)이 상기 헤드부(30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송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auto-
여기서, 체결대상체의 모서리는 상기 헤드부(300)의 치형(500) 사이에 인입된 상태로 맞물리면서 상기 자동 스패너(100)가 회전된 4°만큼 되감아 지고 체결대상체는 처음 상기 헤드부(300)에 끼워진 상태에서 16°회전하게 된다.Here, the corner of the fastening object is retracted by 4 ° while the
따라서, 체결대상체를 처음 12°회전시킨 후 체결대상체의 모서리가 상기 치형(500) 사이를 이동하면서 4°씩 회전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대상체를 20°및 24°체결을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fastening object is first rotated 12 °, the corner of the fastening object rotates by 4 ° while moving between the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대상체 헤드의 측면이 상기 헤드부(300)의 개구된 일단부를 통해 끼워진 상태로 90°로 형성된 치형(500) 사이에 맞물리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side of the fastening object head is engaged between the
그런 다음, 상기 자동 스패너(100)는 체결대상체를 상기의 12°회전방식과 동일하게 처음 8°의 각을 회전한 후 체결대상체의 각 모서리가 복수개의 상기 치형(500) 사이를 이동하면서 4°씩 회전하여 16°,20°,24°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즉, 상기 자동 스패너(100)는 치형의 각도와 치형 사이의 간격에 따라 체결대상체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체결대상체의 각 모서리가 상기 치형(500) 사이를 이동하면서 120°치형에서는 12°~ 20°회전이 가능하며, 90°치형에서는 8°~ 16°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으로 정확히 체결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자동 스패너(100)로 조임된 체결대상체를 풀 경우 상기 자동 스패너(100)를 뒤집어 사용함으로써 조임 작업과 동일한 작용으로 체결대상체를 풀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object fastened by the
이와 같이, 상기 자동 스패너(100)는 상기 슬라이드편(400)을 구비하여 체결대상체를 조이거나 풀 때 상기 헤드부(300)를 빼서 다시 끼울 필요 없이 되감아서 연속적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또한, 상기 헤드부(300) 및 상기 슬라이드편(400)의 일측에 체결대상체의 모서리와 맞물리도록 일정각도와 사이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치형(500)이 구비되어 협소한 회전각도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각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패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sp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볼트나 너트와 같은 체결대상체를 조이거나 풀 때 스패너의 헤드부를 빼지 않고 다시 되감아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First, when tightening or loosening a fastening object such as a bolt or a nut, it is possible to rewind and work continuously without removing the head of the spanner so that the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fficiently.
둘째, 헤드부 및 슬라이드편의 일측에 체결대상체의 모서리에 맞물리는 치형이 구비되어 스패너의 회전각도가 협소한 공간에서도 체결대상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각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셋째, 슬라이드편과 헤드부가 개구부를 형성하게 될 경우, 슬라이드편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확대되므로 체결대상체의 크기가 어느 정도 다르다 할 지라도 체결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Second, teeth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the slide piece to be engaged with the corner of the fastening object is provided to tighten or loosen the fastening object to a desired rotation angle even in a space where the spanner has a narrow rotation angle.
Third, when the slide piece and the head portion to form an opening, the slide piece is moved to the outside to expand the opening, so that even if the size of the fastening object is somewhat different, the faste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551A KR100719228B1 (en) | 2006-07-12 | 2006-07-12 | Auto span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551A KR100719228B1 (en) | 2006-07-12 | 2006-07-12 | Auto span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9228B1 true KR100719228B1 (en) | 2007-05-18 |
Family
ID=3827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55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228B1 (en) | 2006-07-12 | 2006-07-12 | Auto span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922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13088A (en) * | 2013-05-07 | 2013-07-24 | 牟群芳 | Monkey wrench |
CN104802115A (en) * | 2014-01-23 | 2015-07-29 | 志拓有限公司 | Ratchet spanner |
CN105328613A (en) * | 2014-08-13 | 2016-02-17 | 志拓有限公司 | Wrench with ratcheting effec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2517B1 (en) * | 1996-06-04 | 1999-07-01 | 유화열 | Movable sawtooth spanner |
-
2006
- 2006-07-12 KR KR1020060065551A patent/KR1007192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2517B1 (en) * | 1996-06-04 | 1999-07-01 | 유화열 | Movable sawtooth spann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02025170000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13088A (en) * | 2013-05-07 | 2013-07-24 | 牟群芳 | Monkey wrench |
CN104802115A (en) * | 2014-01-23 | 2015-07-29 | 志拓有限公司 | Ratchet spanner |
CN105328613A (en) * | 2014-08-13 | 2016-02-17 | 志拓有限公司 | Wrench with ratcheting effec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44433C2 (en) | Coupling device with rotary lever and equipment including said device | |
CA2128952C (en) | Compact folding wrench | |
US7387055B2 (en) | Accommodating handle for hexagon spanner | |
US7806025B2 (en) | Self-adjusting wrench | |
US11608842B2 (en) | Hinge clamp for a bicycle frame and other structures | |
US20110079113A1 (en) | Dual purpose flip-out and t handle | |
KR100719228B1 (en) | Auto spanner | |
KR101415580B1 (en) | Open type ratchet wrench | |
CN1907651A (en) | Ratchet wrench assembly for use with a tap and a die and adapter | |
KR20090038698A (en) | Bolt and screw remover | |
US7096766B2 (en) | Sleeve device with stepped structure | |
KR101445329B1 (en) | Adjustable wrench | |
KR20170124420A (en) | Auto-spanner | |
KR20120100437A (en) | Nut wrench | |
KR100504600B1 (en) | A spanner | |
KR101748385B1 (en) | Extension type Screwdriver | |
US20060130620A1 (en) | Spanner | |
KR20160054056A (en) | Openable and closable ratchet wrench | |
KR100614671B1 (en) | spanner | |
KR200383436Y1 (en) | A spanner | |
KR101695385B1 (en) | Auto-spanner | |
US20060196318A1 (en) | Wrench with end stopper arrangement | |
TWI511849B (en) | Auxiliary tool for timing gear | |
JP2019115947A (en) | Hexagonal wrench ratchet adapter | |
CN214081150U (en) | Clamping wren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7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417 Appeal identifier: 2007101002271 Request date: 20070227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703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07101002691 Request date: 20070308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7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0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J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
PJ0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Comment text: Request for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60731 Patent event code: PJ05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70308 Appeal identifier: 200710100269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