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676B1 - Water Disinfection Cleaner Using Photocatalyst Beads - Google Patents
Water Disinfection Cleaner Using Photocatalyst Bea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8676B1 KR100718676B1 KR1020040093938A KR20040093938A KR100718676B1 KR 100718676 B1 KR100718676 B1 KR 100718676B1 KR 1020040093938 A KR1020040093938 A KR 1020040093938A KR 20040093938 A KR20040093938 A KR 20040093938A KR 100718676 B1 KR100718676 B1 KR 1007186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iral tube
- water
- photocatalyst
- bead
- ultravio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로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된 유입프레임(110);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유출관(121)이 형성된 유출프레임(120); 상기 유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어, 오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나선튜브(130); 상기 나선튜브(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폐수와 접촉하는, 광촉매가 코팅된 비드체(140); 및 상기 나선튜브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발생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나선튜브(130)는 상기 복수의 자외선발생수단(150)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disinfec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comprising: an inflow frame 110 having an inflow pipe 111 into which waste water is introduced; An outflow frame 120 having an outflow pipe 121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 spiral tube 130 installed between the inflow frame 110 and the outflow frame 120 to form a flow path of waste water; A bead body 140 installed inside the spiral tube 130 and contacting the waste water flowing along the flow path, the photocatalyst coated bead body 140; And a plurality of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50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spiral tube, wherein the spiral tube 130 is formed spirally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50. It is done.
본 발명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에 따르면, 오폐수가 여러 나선튜브의 경로를 통해 나뉘어지므로 자외선을 방해하지 않아 자외선램프의 조사효율이 매우 높고, 오폐수가 고속으로 흐름으로 인한 와류현상에 의하여 짧은 시간동안에 큰 표면적(반응면적)에 걸쳐 살균정수효과가 나타나며, 긴 거리의 나선튜브 경로를 거치므로 상대적으로 충분한 시간 동안 광촉매 반응효과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te water is divided through the path of several spiral tubes, the irradiation efficiency of the ultraviolet lamp is very high because it does not interfere with ultraviolet rays, and the waste water flows at high speed for short periods of time due to the vortex phenomenon caused by the flow. The sterilizing water purification effect is shown over a large surface area (reaction area), and through the long distance spiral tube path, the photocatalytic reaction effect can be effectively purifi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FIG. 2;
도 4는 도 2의 I-I선에서 보는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의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은 나선튜브내에 구비되는 광촉매 비드체의 배치를 나타낸 측면에서 본 투시도 및 광촉매 비드체의 단면도.7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erspective view and a photocatalyst bead viewed from the side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photocatalyst bead provided in the spiral tube;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a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를 복수개 채용한 수질살균정화시스템을 도시한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system employing a plurality of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100 ...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beads
104 ... 지지대 110 ... 유입프레임104
111 ... 유입관 120 ... 유출프레임111
121 ... 유출관 130 ... 나선튜브121
140 ... 광촉매 비드체 141, 142 ... 구형 비드140
143 ... 마루와 골을 가진 원판형 비드143 ... disc bead with floor and valley
144 ... 다각형 비드 145 ... 엠보싱형 비드144 ... Polygon Bead 145 ... Embossed Bead
150 ... 자외선발생수단 151 ... 제1자외선램프150 ... UV generation means 151 ... 1st UV lamp
152 ... 제2자외선램프 160 ... 투명관152 ... 2nd
170 ... 메인유입관 171 ... 제1메인밸브170 ...
172 ... 화학물질제어밸브 173 ... 제1세척밸브172 ... Chemical Control Valve 173 ... First Wash Valve
174 ... 제어밸브 180 ... 메인유출관174
181 ... 제2메인밸브 183 ... 제2세척밸브181 ... 2nd main valve 183 ... 2nd washing valve
184 ... 제어밸브 193 ... 세척부184
본 발명은 광촉매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 및 그 장치를 채용한 수질살균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촉매 비드체를 함유하는 나선형 튜브내에 오폐수를 흘리고 광촉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수질살균정화장치 및 그 장치를 채용한 수질살균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infec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tic bead body capable of effectively purifying wastewater using a photocatalyst, and a water disinfection purification system employing th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iral tube containing the photocatalyst bead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waste water by flowing waste water and activating a photocatalyst, and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system employing the apparatus.
광촉매란, 조사되는 자외선(UV)과 같은 빛에 의하여 촉매반응을 진행시키는 물질로서, 접촉되는 각종 오염물질들을 산화/분해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광촉매 물질로서는 TiO2, ZnO, CdS을 포함하는 여러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광촉매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산화/분해시킴으로써 2차 오염을 배제시킬 수 있고, 액상 및 기상에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온/상압 및 저온에서도 처리가 가능하고,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및 색도, SS(Settleable Solids), 냄새 제거능력도 탁월하며, 중금속 제거, 난분해성 유기물질 제거, 각종 미생물의 살균효과가 우수하다.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장치는 처리 수량에 비하여 설치면적이 좁다는 장점까지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산업분야 및 실생활 분야에서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A photocatalyst is a substance that promotes a catalytic reaction by light such as ultraviolet (UV) light that is irradiated, and effectively removes contaminants by oxidizing / decomposing various contaminants to be contacted. As the photocatalyst material,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iO 2 , ZnO, and CdS may be used. Photocatalyst can eliminate secondary pollution by completely oxidizing / decomposing pollutants, treat pollutants in liquid and gaseous phase, process at room temperature / atmospheric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OD (Chemical Oxygen Demand), color, SS (Settleable Solids), odor removal ability is also excellent, heavy metals, hard to decompose organic substances, excellent sterilization effect of various microorganisms. The sterilizer using photocatalyst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area is narrower than the processing quantity, and its range of use is expanding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real life fields.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8-036723호에는 광촉매를 이용한 정수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정수장치는, 일단에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정수처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구비되며, 상기한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반응용기; 지지체에 광촉매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반응용기 내부에 장착 되어, 광원으로부터 광촉매 활성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한 반응용기 내부의 물 속에 함유된 불순물을 광화학반응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광촉매; 및 상기한 반응용기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한 광촉매의 광촉매 활성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036723 discloses an example of a water purifier using a photocatalyst. The water purifier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is provided with an inlet pipe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t one end, and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space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pipe. Reaction vessel provided; A photocatalyst formed by coating a photocatalytic material on a support and mounted inside the reaction vessel to receive impurities for photocatalytic activity from a light source and to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water in the reaction vessel by photochemical reaction; And a light source provided outside the reaction vessel and configured to supply energy for photocatalytic activity of the photocatalyst.
그러나, 기존의 광촉매 정수장치는 다량의 불투명한 오폐수가 흘러감으로 인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오폐수에 방해받기 때문에 광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없어 광촉매효율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량의 오폐수가 한꺼번에 흘러감으로 인하여 광촉매 활성화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살균정화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hotocatalytic water purifica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photocatalytic efficiency is very low because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disturbed by the waste water due to the flow of a large amount of opaque waste water. 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waste water flows at once, there is a problem of low sterilization purification effect because it does not go through sufficient time necessary for photocatalytic activation.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 및 이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다량의 불투명한 오폐수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광촉매 반응효과를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it, a photocatalyst capable of effectively purifying wastewater by causing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cause a photocatalytic reaction effect without being disturbed by a large amount of opaque wastewat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bea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량의 오폐수가 충분한 시간 동안 광촉매 반응효과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disinfec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which can effectively purify waste water by allowing a large amount of waste water to undergo a photocatalytic reaction effect for a sufficient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폐수와의 반응 면적이 큰 광촉매 비드체를 함유하는 나선형 튜브내에 오폐수를 흘리고 광촉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오폐수를 효 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tic bead body that can effectively purify waste water by flowing the waste water into a spiral tube containing a photocatalyst bead body having a large reaction area with the waste water and activating the photocatalyst.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된 유입프레임(110);An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유출관(121)이 형성된 유출프레임(120);An
상기 유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어, 오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나선튜브(130);A
상기 나선튜브(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폐수와 접촉하는, 광촉매가 코팅된 비드체(140); 및A
상기 나선튜브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발생수단(150);을 포함하고,Includes; a plurality of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50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spiral tube,
상기 나선튜브(130)는 상기 복수의 자외선발생수단(150)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나선튜브(130)의 중심을 따라 연장된 내심(135)을 가지며,
상기 광촉매 비드체(140)는 상기 내심(135)이 통과되는 통공(135a)을 가지고, 상기 통공(135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나선튜브(130)에 의해 둘러싸이는 자외선발생수단(150)은, 상기 나선튜브(130)의 나선축(155)에서 가까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자외선램프(151)와, 상기 나선튜브(130)의 나선축(155)에서 멀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자외선램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튜브(130)는 상기 자외선발생수단(150) 중 제1자외선램프(151)를 둘러싸 고, 상기 제1자외선램프(151)와 상기 제2자외선램프(152)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50 surrounded by th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 비드체는 구형 비드(141, 142, 146), 오폐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루(143a)와 골(143b)를 가진 원판형 비드(143), 상기 광촉매 비드체는 다각형 비드(144), 엠보싱(145a)을 가지는 엠보싱형 비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hotocatalyst bead is a spherical bead (141, 142, 146), a dis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체적인 오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메인밸브(171), 소정의 화합물질의 유입을 제어하는 다수의 화학물질제어밸브(172), 수질살균정화장치(10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1세척밸브(173a), 및 오폐수의 유입흐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174)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메인유입관부(170);The first
정화된 처리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메인밸브(181), 오폐수의 유출흐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184), 세척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2세척밸브(173b)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메인유출관부(180);A second
상기 제어밸브(174)와 상기 제어밸브(184)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의 수질살균정화장치(100)로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된 유입프레임(110);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유출관(121)이 형성된 유출프레임(120); 상기 유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어, 오폐수의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발생수단(150)을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튜브(130); 상기 나선튜브(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폐수와 접촉하는, 광촉매가 코팅된 비드체(140); 상기 나선튜브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발생수단(150);을 포함하는 수질살균정화장치(100); 및At least one
상기 수질살균정화장치(100)의 상기 나선튜브(130) 또는 상기 비드체(14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세척밸브(173a)와 상기 제2세척밸브(173b)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세척부(193)를 포함한다.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상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 및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서 서로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 부호들로 기재되어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bjects and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 addi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to simila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scribed with the same to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b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질살균정화장치(100)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된 유입프레임(110);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유출관(121)이 형성된 유출프레임(120); 유 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어 오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나선튜브(130); 나선튜브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발생수단(150);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1의 사시도에는 드러나 있지 않으나, 나선튜브(130)의 내부에는, 나선튜브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폐수와 접촉하는 광촉매가 코팅된 비드체(140)가 구비된다.Water sterilization and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튜브(130)는 복수의 자외선발생수단(150)을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관(111) 및 유출관(121)의 단부는 플랜지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른 배관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나선튜브(130)는 자외선이 잘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석영관이나 유리관, 또는 불소수지(PFA)관 기타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인튜브(130)는 유연성을 구비한 테프론 튜브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자외선램프(151)는 360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제2자외선램프(152)는 253.7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나선튜브(130)의 외측에는 또 다른 여러개의 자외선발생수단(150)이 유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나선튜브(130)는 자외선발생수단(150)의 중심축에 가까운 자외선발생수단(150)과 중심축에서 먼 자외선발생수단(150)의 사이에 개재되게 된다.On the outside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에서 보는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line I-I of FIG.
도 2에 도시된 수질살균정화장치(100)는 도 1의 그것보다도 나선튜브(130)가 자외선발생수단(150)을 둘러싸는 밀도가 작게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수질살균정화장치(100)는 자외선발생수단(150) 및 지지대(104)가 외부에서 보이므로, 이하에서는 도 2의 수질살균정화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Water sterilization and
도 2와 같이, 유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간의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지지대(104)가 양자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대(104)는 가급적 자외선발생수단(150)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나선튜브(130)에 조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유입관(111)을 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면, 이 오폐수는 도 3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나선튜브(130)의 유로를 따라 흐른 후 유출관(12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ste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나선튜브(130) 내에는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촉매 비드체(140)가 구비되어 있다. 광촉매 비드체(140)는 자외선발생수단(150)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킨다. 나선튜브(130)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폐수가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광촉매 비드체(140)와 짧은 시간동안에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하면서 흐르므로, 본 발명의 살균정화장치는 살균 및 정화효과가 탁월하다.The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자외선발생수단(150)은 나선튜브(130)의 나선축(155)에서 가까이 배치되는 자외선램프(151)와, 나선튜브(130)의 나선축(155)에서 멀리 배치되는 자외선램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선축(155)에서 가까이 배치되는 자외선램프들(151)의 둘레 외측에는 나선튜브(130)가 걸쳐져 휘감길 수 있도록 투명관(16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유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의 사이에는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지지대(104)가 양자간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투명관(160)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나선튜브(130)가 지지대(104)에 걸쳐져 휘감길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the UV generating means 150 is far from the
도 4와 같이, 지지대(104)는 가급적 자외선발생수단(150)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나선튜브(130)에 조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축(155)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자외선램프(15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나선튜브(130)로부터 나선축(155)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나선튜브(130)는 자외선발생수단(150) 중 나선축(155)에 가까운 자외선램프(151)를 둘러싸고, 자외선램프(151)와 나선축(155)에서 먼 자외선램프(152)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나선튜브(130)는 나선축(155) 부근의 자외선램프(151)와 나선축의 반대측의 자외선램프(152)의 사이에 개재되어,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의 단면도로서, 지지대(104) 뿐 아니라 자외선램프(151)도 나선튜브(130)를 지지하고 있다는 점이 도 4의 단면도와 다른 점이다. 도 5에는 투명관(160)이 표시되어 있지만, 투명관(160)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지지대(104)와 자외선램프(151)에 의하여 나선튜브 (130)는 거의 원형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의 단면도로서, 지지대(104)가 자외선램프(151)보다도 나선축(155)에 가까이 배치되는 점이 도 4의 단면도와 다른 점이다. 따라서, 나선튜브(130)는 지지대(104)가 아니라 자외선램프(151) 및/또는 투명관(16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6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대(104)가 자외선램프(151)보다도 나선축(155)에 가까이 있으므로, 자외선램프(151)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지지대(104)에 의해 전혀 방해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그 밖에, 도 5 및 도 6의 수질살균정화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도 4의 그것과 대동소이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of Figures 5 and 6 is similar to that of Figure 4,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 내지 도 10은 나선튜브(130)내에 구비되는 광촉매 비드체(140)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도 8(a), 도 9(a), 도 10(a)는 나선튜브(130)를 일자로 펼친 모습을 측면에서 본 투시도이고, 도 7(b), 도 8(b), 도 9(b), 도 10(b)는 광촉매 비드체의 단면도이다.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도 7(a)와 같이, 나선튜브(130)는 그 중심을 따라 연장된 내심(135)을 가질 수 있다. 내심(135)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으로 된 철사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비드체(140)는 내심(135)이 통과되는 통공(135a)을 가질 수 있다. 내심(135)은 복수의 광촉매 비드체들(140)의 통공(135a)을 통과하여, 광촉매 비드체들(140)을 고정하는 동시에, 광촉매 비드체들(140)이 통공(135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As shown in FIG. 7A,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 도 7(b)와 같이, 광촉매 비드체는 내심(1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구형 비드(141, 142)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a), 7 (b), the photocatalyst bead may be formed of
나선튜브(130)는 나선형으로 휘감겨 있으므로, 나선튜브(130)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폐수는 와류를 일으키면서 구형 광촉매 비드(141, 142)와 접촉하면서 지나간다. 이 과정에서 와류현상으로 인하여 오폐수가 구형 광촉매 비드(141, 142)에 접촉되는 표면적이 실질적으로 길어지므로, 짧은 시간에 큰 접촉 면적을 유도해낼 수 있다.Since th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 도 8(b)와 같이, 광촉매 비드체는 내심(1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마루(143a)와 골(143b)을 가진 원판형 비드(143)를 포함할 수 있다. 마루(143a)와 골(143b)을 가진 원판형 비드(143)는 톱니바퀴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므로, 단순한 원판형 비드에 비하여 오폐수와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크다. 더욱이, 원판형 비드(143)는 내심(1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므로, 와류현상에 의한 효과 뿐 아니라 큰 접촉 면적 구조에 의한 효과를 겸비하므로, 오폐수와 광촉매 비드체와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실질적으로 매우 길어지므로, 짧은 시간에 큰 접촉 면적을 유도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photocatalytic bead body is rotatable by an
이 경우, 원판형 비드들(143) 사이에는 원활한 와류현상을 위하여 다각형 비드(144)가 개재될 수 있으며, 그외에도 도 7(b)의 작은 구형 비드(142)가 개재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 도 9(b)와 같이, 광촉매 비드체는 내심(1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엠보싱(145a)을 가지는 엠보싱형 비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145a)을 가지는 엠보싱형 비드(145)는 단순한 원판형 비드(143)에 비하여 오폐수와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크다. 더욱이, 원판형 비드(143)는 내심(1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므로, 와류현상에 의한 효과 뿐 아니라 큰 접촉 면적 구조에 의한 효과를 겸비하므로, 오폐수와 광촉매 비드체와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실질적으로 매우 길어지므로, 짧은 시간에 큰 접촉 면적을 유도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photocatalytic bead body may include a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a), 도 10(b)와 같이, 광촉매 비드체(140)는 나선튜브(130)내에서 복수의 구형 비드들(145)이 겹쳐서 채워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나선튜브(130) 내에 내심(135)이 구비되지 않으며, 구형 비드들(145)은 통공(135a)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 10(a), 도 10(b)의 구형 비드들(145)은 회전하지 않는 점이 상기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나선튜브(130) 내에는 구형 비드들(145)이 밀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폐수와 광촉매 비드체와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실질적으로 매우 길어지므로, 짧은 시간에 큰 접촉 면적을 유도해 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 (a) and 10 (b), the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살균정화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복수개의 수질살균정화장치(100)가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유입프레임(110)은, 자외선발생수단(150)과 지지체(104)와 결합되는 제1유입프레임(110a)과, 복수개의 수질살균정화장치들(100)의 제1유입프레임들(110a)을 결합시키고 유입관(111)이 형성된 제2유입프레임(110b)을 포함한다. 또한, 유출프레임(120)은, 자외선발생수단(150)과 지지체(104)와 결합되는 제1유출프레임(120a)과, 복수개의 수질살균정화장치들(100)의 제1유출프레임들(120a) 을 결합시키고 유출관(121)이 형성된 제2유출프레임(120b)을 포함한다.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a water disinf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mbodiment showing that a plurality of
그리고, 나선튜브(130)가 유입프레임(110)과 유출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어, 오폐수의 유로를 형성하고, 자외선발생수단(150)을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튜브(130)의 내부에는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폐수와 접촉하는 광촉매가 코팅된 비드체(140)가 구비된다.Then, the
유입관(111)에는 전체적인 오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메인밸브(171)와, 소정의 화합물질의 유입 및 유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화학물질제어밸브(172)와, 세척을 위한 세척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1세척밸브(173a)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메인유출관(180)에는 정화된 처리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메인밸브(181)와, 세척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2세척밸브(173b)가 설치될 수 있다.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자외선발생수단(150)과 나선튜브(130)의 사이에는,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관(160)이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그 밖에, 복수개의 수질살균정화장치(100)가 결합되어 이용됨에 따른 작용, 효과는 상기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water sterilization an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100)를 복수개 채용한 수질살균정화시스템(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다 많은 양의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여러개의 수질살균정화장치를 배관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2개의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2개의 수질살균정화장치를 메인유입관(170)과, 메인유출관(180)에 동시에 연결시킨다. 12 is a view showing a water
이때, 메인유입관(170)에는 전체적인 오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메인밸브(171)와, 소정의 화합물질의 유입 및 유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화학물질제어밸브(172)와, 세척을 위한 세척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제1세척밸브(173a)가 설치된다. 여기서, 화학물질제어밸브(172)는 처리하고자 하는 오폐수의 성질에 따라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오존이나, 펜톤, 또는 과산화수소를 제공하는 배관들과 연결됨으로써, 이들 화학물질들의 유입 및 유출을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또, 메인유출관(180)에는 정화된 처리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메인밸브(181)와, 세척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2세척밸브(173b)가 설치된다. 한편, 수질살균정화장치(100)와 메인유입관(170), 그리고 수질살균정화장치(100)와 메인유출관(180) 사이의 배관에는 각각의 수질살균정화장치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흐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174,184)가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수질살균정화장치(100)의 나선튜브(130)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세척밸브(173a)와 제2세척밸브(173b)와의 사이에 오존 및/또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세척부(193)가 설치된다.Cleaning to generate ozone and / or bubbles between the
이와 같은, 수질살균정화시스템(200)은 양식장, 정화처리소, 공장내 정수장, 아파트단지용 정수장치 및 가정용 정수장치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오폐수가 여러 나선튜브의 경로를 통해 나뉘어지므로 자외선을 방해하지 않아 자외선램프의 조사효율이 매우 높다. 또한, 오폐수가 고속으로 흐름으로 인한 와류현상으로 짧은 시 간동안에 큰 표면적에 걸쳐 살균정수효과가 나타난다.As such, the wa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disinfection device using the photocatalyst bea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오폐수가 통과되는 튜브 내부에 광촉매가 코팅된 비드체로 구성된 광촉매비드체를 배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오폐수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First, by disposing a photocatalyst bead body consisting of a bead body coated with a photocatalyst inside the tube through which waste water passes, and by placing an ultraviolet lamp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more effective and easy maintenance wastewater treatment can be realized.
둘째,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다량의 불투명한 오폐수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오폐수가 여러 나선튜브의 경로를 통해 나뉘어지므로 자외선을 방해하지 않아 자외선램프의 조사효율이 매우 높다.Second, since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not disturbed by a large amount of opaque waste water and the waste water is divided through the path of several spiral tubes, the irradiation efficiency of the ultraviolet lamp is very high becaus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ltraviolet light.
셋째, 오폐수가 고속으로 흐름으로 인한 와류현상에 의하여 짧은 시간동안에 큰 표면적(반응면적)에 걸쳐 살균정수효과가 나타나며, 긴 거리의 나선튜브(130) 경로를 거치므로 상대적으로 충분한 시간 동안 광촉매 반응효과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Third, the sterilization water purification effect occurs over a large surface area (reaction area) for a short time due to the vortex phenomena caused by the flow of waste water at high speed, and the photocatalytic reaction effect for a relatively sufficient time through the long
이상, 도면을 참조한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for the purpose of easily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can be derived from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3938A KR100718676B1 (en) | 2004-11-17 | 2004-11-17 | Water Disinfection Cleaner Using Photocatalyst Bea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3938A KR100718676B1 (en) | 2004-11-17 | 2004-11-17 | Water Disinfection Cleaner Using Photocatalyst Bea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3539A KR20060053539A (en) | 2006-05-22 |
KR100718676B1 true KR100718676B1 (en) | 2007-05-18 |
Family
ID=3715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39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8676B1 (en) | 2004-11-17 | 2004-11-17 | Water Disinfection Cleaner Using Photocatalyst Bea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8676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4509B1 (en) | 2007-01-02 | 2007-12-11 | 주식회사 젠트로 | Photocatalytic water treatment unit and gas-misci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1226889B1 (en) * | 2012-05-03 | 2013-01-28 | 한삼코라(주) | Sterilization apparatus by ultraviolet ray |
KR101351174B1 (en) | 2012-03-08 | 2014-01-15 | 김태완 | A purification fileter using photocatalyst |
KR20170003584U (en) | 2016-04-07 | 2017-10-17 | 장윤정 | Air cleaner |
EP3263137A1 (en) * | 2016-06-29 | 2018-01-03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queous solution using flexible ultraviolet irradiator |
CN109665590A (en) * | 2019-02-20 | 2019-04-23 | 姜月 | A kind of liquid waste treating apparatus of disease control control laboratory |
US10561620B2 (en) | 2017-09-15 | 2020-02-18 | Rezolute, Inc. | Coiled tube emulsification systems |
WO2022102943A1 (en) * | 2020-11-16 | 2022-05-19 | 주식회사 비아이바이오포토닉스 | Light-based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597B1 (en) * | 2005-09-23 | 2007-01-17 | 김태형 | Non-heated Fluid Sterilizer |
KR100906823B1 (en) * | 2007-11-05 | 2009-07-09 | 유진 | Water pipe connection type water purifier |
KR101220870B1 (en) * | 2010-05-28 | 2013-01-11 | 서유화 | Photocatalytic sheet can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mps |
KR101311603B1 (en) * | 2011-11-02 | 2013-09-26 | 정휘동 | Device for Sterilizing Water using Ultraviolet Rays |
CN108557946B (en) * | 2018-04-17 | 2024-02-13 | 山东良乔环保科技集团有限公司 | High-efficiency photocatalytic reaction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device |
KR102218711B1 (en) * | 2018-12-18 | 2021-02-22 | 세메스 주식회사 | Dissolved ozone removal unit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substrate including the unit,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
CN110627319A (en) * | 2019-09-21 | 2019-12-31 | 泉州华大环保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ecological treatment advanced oxidation sewage treatment equip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2956A (en) * | 2001-08-06 | 2003-02-14 | 학교법인조선대학교 | Method for killing of microorganisms in the water by UV-TiO2 photocatalytic reaction and reactor for killing of microorganisms |
KR200335006Y1 (en) * | 2003-08-29 | 2003-12-01 | 김태형 | Tap of water purifier having sterilizing lamp |
-
2004
- 2004-11-17 KR KR1020040093938A patent/KR1007186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2956A (en) * | 2001-08-06 | 2003-02-14 | 학교법인조선대학교 | Method for killing of microorganisms in the water by UV-TiO2 photocatalytic reaction and reactor for killing of microorganisms |
KR200335006Y1 (en) * | 2003-08-29 | 2003-12-01 | 김태형 | Tap of water purifier having sterilizing lamp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4509B1 (en) | 2007-01-02 | 2007-12-11 | 주식회사 젠트로 | Photocatalytic water treatment unit and gas-misci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1351174B1 (en) | 2012-03-08 | 2014-01-15 | 김태완 | A purification fileter using photocatalyst |
KR101226889B1 (en) * | 2012-05-03 | 2013-01-28 | 한삼코라(주) | Sterilization apparatus by ultraviolet ray |
KR20170003584U (en) | 2016-04-07 | 2017-10-17 | 장윤정 | Air cleaner |
EP3263137A1 (en) * | 2016-06-29 | 2018-01-03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queous solution using flexible ultraviolet irradiator |
US10561620B2 (en) | 2017-09-15 | 2020-02-18 | Rezolute, Inc. | Coiled tube emulsification systems |
WO2019055192A3 (en) * | 2017-09-15 | 2020-03-26 | Rezolute, Inc. | Coiled tube emuls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
CN109665590A (en) * | 2019-02-20 | 2019-04-23 | 姜月 | A kind of liquid waste treating apparatus of disease control control laboratory |
WO2022102943A1 (en) * | 2020-11-16 | 2022-05-19 | 주식회사 비아이바이오포토닉스 | Light-based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ame |
KR20220066638A (en) * | 2020-11-16 | 2022-05-24 | 주식회사 비아이바이오포토닉스 | Light-based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
KR102433871B1 (en) * | 2020-11-16 | 2022-08-19 | 주식회사 비아이바이오포토닉스 | Light-based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3539A (en) | 2006-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8676B1 (en) | Water Disinfection Cleaner Using Photocatalyst Beads | |
US20090145855A1 (en) | Water Purifier System and Method | |
KR100732504B1 (en) | Water Disinfection Purification System using Non-Contact UV Lamp and Photocatalyst and Water Disinfection Purifier Using It | |
US20150114912A1 (en) | UV-LED Collimated Radiation Photoreactor | |
KR101253322B1 (en) | Ultraviolet rays sterilization apparatus | |
JP5559340B2 (en) |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equipment using ultraviolet rays from which the dead area of ultraviolet irradiation was removed | |
CA2574005A1 (en) | Photocatalytic reactor with a modular configuration, based on uv light sources and a catalyst, and process for purifying and disinfecting wastewater from confined aquacultur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 |
KR100392413B1 (en) | Gas and liquid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JP4690872B2 (en) | UV irradiation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0480347B1 (en) |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using UV Lamp Module and Potocatalyst | |
US200302110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water or air by a photolytic and photocatalytic reaction | |
JP2010069353A (en) | Cleaning apparatus | |
EP2953902B1 (en) | Uv apparatus | |
JPH0526187U (en) |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for photochemical reaction treatment | |
WO200801455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chemical reaction | |
KR102256064B1 (en) | Ultraviolet purifying device using ozone gas | |
JP3018034B2 (en) |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and device | |
JP2702378B2 (en) |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 |
JP4664270B2 (en) |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200346263Y1 (en) | The photocatalyst sterilization water purifier with direct connection form which uses a photocatalyst sterilization water purifying device | |
KR100676953B1 (en) | Liquid clean filter | |
KR100832888B1 (en) | Purifier with photocatalyst blade | |
JPH1015393A (en) | Photocatalytic reaction vessel | |
Yasui et al. | Decomposition of 2-propanol in the liquid phase using a photocatalyst immobilized on nonwoven fabric and ozone microbubbles | |
KR100732497B1 (en) | Photocatalyst water pur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5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