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656B1 - Cultivator crop harvester - Google Patents
Cultivator crop harve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8656B1 KR100718656B1 KR1020060064346A KR20060064346A KR100718656B1 KR 100718656 B1 KR100718656 B1 KR 100718656B1 KR 1020060064346 A KR1020060064346 A KR 1020060064346A KR 20060064346 A KR20060064346 A KR 20060064346A KR 100718656 B1 KR100718656 B1 KR 1007186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ccentric shaft
- cutter
- crop
- harvesting
- viny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abstract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abstract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5/00—Digging machines with sieve graters but without conveying mechanisms
- A01D15/04—Digging machines with sieve graters but without convey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vibrating grat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운기에 장착되어 마늘이나 감자, 고구마 등을 비롯하여 주로 뿌리상품에 대한 작물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확할 때 사용하는 작물 수확기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mounted on the cultivator and used when harvesting crops for root products, including garlic, potatoes, sweet potatoes and the like, more quickly and stably.
구성의 특징으로는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경운기의 후미에 연결 장착시켜 사용되며 한 쌍의 컷터가 땅속 소정깊이(작물의 뿌리 밑부분)에서 작용하여 지층을 썰어주듯이 작용하게 하되, 상기 각각의 컷터는 일단이 편심축에 연결되어 편심축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전후좌우 요동되게 하고, 타단에는 핀에 끼워지도록 장공을 형성하여 편심축이 회전할 때 상기 장공과 핀이 함께 유기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컷터가 마치 톱질하듯이 작용하게 하며, 상기한 편심축과 일체로 된 편심주축을 지지하는 수직관체의 정면하부에 비닐컷터를 고정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이다.Characteristic of the configuration is detachably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ultivator is used and a pair of cutters to act at a predetermined depth (under the root of the crop) to cut the stratum, but each cutter once It is connected to the eccentric shaft to swing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haft, and the other end forms a long hole to be fitted to the pin and when the eccentric shaft rotates, the long hole and the pin are organically acted together so that the cutter is sawed as if It acts as if, it is configured by fixing the vinyl cutter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tube supporting the eccentric spindle integrated with the eccentric shaf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물수확기에 따르면, 한 쌍의 컷터가 핀과 편심캠에 의해 작용하게 됨에 따라 마치 톱질을 하는 것처럼 작용하게 되어 무른 땅은 물론 굳은 땅, 또는 돌이나 자갈이 포함된 땅에 있어서도 매우 손쉽게 수확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작물 수확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한쌍의 컷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시 쏠림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비닐컷터에 의해 수확하고자 하는 밭에 비닐이 덮여 있는 경우에도 비닐 절개와 동시에 수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수확효율 증대와 생산성 증대, 그리고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수확기 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rop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pair of cutters are acted by the pin and the eccentric cam, it acts as if it is sawing, so that the soft ground as well as the hard ground, or the ground containing stones or gravel Even when harvesting can be done very easily, the efficiency of crop harvesting can be improved, and a pair of cutters can be oper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minimize the tilting or shaking during the work, thereby making stable work possible, and harvesting by vinyl cutter. Even if the field is covered with vinyl,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arvester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increasing the harvesting efficiency, increasing productivity, and maximizing reliability by making harvesting easier at the same time as plastic cutting.
마늘수확기, 작물 수확기, 톱날형 요동날, 경운기 및 관리기용 수확기. Garlic harvesters, crop harvesters, saw blade swingers, cultivators and harvester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운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Figure 1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a state mounted to the till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일부를 절개한 요부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cut away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요부확대 사시도.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측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로서 절개용컷터의 평면도.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cutting machine as a main part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경운기에 연결 장착하여 마늘 등의 작물을 매우 신속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경운기용 작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for cultivators to be connected to the cultivator to be able to harvest crops such as garlic very quickly and easily.
보다 상세하게는 경운기에 견인되어 전진하면서 지면을 소정깊이(양파, 마늘, 각종 약초 등을 비롯하여 상품성이 뿌리에 있는 작물을 그 작물의 뿌리길이를 감안한 깊이를 말함)로 수평 절개와 동시에 파헤치면서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할 수 있게 하는 경운기용 작물수확기에 있어서, 절개용 컷터가 마치 톱질을 하는 것처럼 유기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땅이 무른 밭은 물론 굳은 밭이나 자갈이나 돌이 많이 포함된 밭 등 어느 곳에서도 부하를 덜 받게 하여 경운기 및 작물수확기의 수명연장과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여 수확량 증대 및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ground is pulled through the cultivator to advance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depth in consideration of the root length of the crop, including onions, garlic, various herbs, etc. In the crop harvester for cultivators, which allows automatic harvesting of crops, the cutting cutter acts organically as if it is sawing.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yield and reliability of the cultivator and crop harvester and to increase the yield and reliability of the crop.
경운기나 트랙터에 연결하여 파나 마늘 등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한 종래의 작물수확기는 경운기의 동력을 받아 좌우로 왕복요동하게 되는 한 쌍의 컷터와, 상기 컷터가 경운기에 의해 견인되는 상태에서 땅속을 횡방향으로 절개하면서 전진함에 따라 절개된 지표의 흙과 작물들이 자연스럽게 컷터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컷터 뒤에 설치되어 상하로 요동하면서 작물 뿌리에 붙어 있는 흙 등을 털어주는 한 쌍의 선별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컷터는 선단 날끝의 모양이 둥근 나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crop harvester, which is connected to a tiller or tractor to harvest crops such as leeks and garlic, has a pair of cutters which are reciprocated from side to side under the power of the tiller, and the cutter is towed by the tiller. It is composed of a pair of sorting vegetables that are installed behind the cutter and shakes up and down the soil attached to the crop roots as the soil and crops of the cut surface naturally move over the cutter as they move forward while cut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cutt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screw of the tip of the tip blade.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작물수확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따를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aforementioned conventional crop harvester was inevitably followed by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한 종래의 작물수확기는 컷터가 좌우로만 왕복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다가 컷터의 날끝 모양 또한 둥근나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컷터 선단이 땅속 소정깊이에서 경운기의 전진에 의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심하게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잦고, 따라서 경운기는 물론 작물수확기 자체도 무리가 갈 수 밖에 없어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따르게 됨은 물론 작물수확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폐단이 따랐다.That is, the conventional crop harvester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cutter only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blade tip of the cutter is also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screw, so that the tip of the cutter is severe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tiller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ground. Loads are often generated, and thus, tillers and crop harvesters themselves are inevitable, which leads to a drastic reduction in durability, as well as a drop in productivity due to crop harvesting.
다시 말하면, 종래의 작물수확기에 장착 구성된 컷터는 경운기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좌우로만 왕복이송되면서 지층에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컷터에 많은 부하가 작용할 수 밖에 없는 데다가 컷터의 끝부분이 둥근 나사형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층 절개가 원활하지 못한 폐단이 따랐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utter mounted on the conventional crop harvester has a lot of load on the cutter because the cutter is reciprocated only to the left and right while the cultivator is in progress, and the end of the cutter is formed in a round screw type. Because of the delamination was not followed smoothly.
또한, 한 쌍의 컷터가 동시에 좌 우로 왕복이송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업과정에서 경운기나 트랙터에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기가 어려운 폐단도 따랐으며, 수확하고자 하는 밭에 비닐이 덮여 있는 경우는 사전에 비닐을 먼저 제거한 뒤 작업하여야 하였으므로 이 또한 번거로우면서도 수확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 In addition, since a pair of cutters are simultaneously reciprocated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since the vibrator is severely generated during the work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achieve stable work, and the field to be harvested is covered with vinyl. In this case, the vinyl had to be removed first and then worked, which was also cumbersome and resulted in poor harvesting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지층을 절개 및 파헤치도록 된 컷터가 편심축과 핀 및 장공에 의해 전후좌우로 곡선을 이루며 요동운동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파나 마늘 등을 비롯한 작물 수확시 마치 톱으로 썰듯이 작용하게 되어 작물수확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시키고, 이에 따라 생산성 극대화와 장비의 수명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n particular, the cutter which is designed to cut and dig the stratum is formed by making the swing motion in an eccentric axis, a pin and a long hole to form a curv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When harvesting crops, such as garlic, it acts as if cutting with a saw to minimize the load caused by crop harvesting, thereby maximizing productivity and maintaining the life of the equipment to achieve a purpos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마늘이나 파, 약초 등을 비롯하여 뿌리 부분을 상품으로 사용하는 작물의 경우에 매우 신속원활하게 수확할 수 있게 하는 작물 수확기(100a)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운기에 탈부착 시킬 수 있게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작물을 수확함에 있어서, 땅속 지층을 절개하는 컷터(2)가 편심축에 의해 좌우이송은 물론 전후로도 왕복 요동하게 됨으로서 마치 톱으로 썰듯이 작용하게 하여 무른 땅은 물론 굳은 땅에서도 부하가 최소화되면서 안정적인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100a) that can be harvested very quickly and smoothly in the case of crops using garlic, green onions, herbs, etc. as a commodity, in particular, it can be attached to a tiller In harvesting various crops as described above, the
경운기(100)의 후미에 연결 장착되어 체인(도시하지 않음) 및 체인휠(12)에 의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며 양 단부에는 외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휠(13)과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베벨기어(14)를 장착한 장축(10a)이 내장 설치된 횡케이스(10), 상기 횡케이스(10)의 양 단 저부에 상기 베벨기어(14)와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14')가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고 하단에는 편심축(15)이 형성된 편심주축(10b)을 다수의 베어링(1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한 한쌍의 수직관체(10')로 이루어진 기어박스(1)와, I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선단에 톱니형태의 날(21)을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22)와 미들플레이트(23) 및 탑 플레이트(24)로 분리 구성되어 이들을 적층시켜 형성하되, 상기 미들플레이트(23)의 전후 길이를 짧게 형성함으로서 후방에 상기한 한쌍의 수직관체(10')사이에 연결 설치된 가이드바(18)에 끼워져 작용하는 "ㄷ"형의 홈(25)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의 일측에 상기 편심주축(10b)의 하단 편심축(15)이 베어링(26)과 함께 조립 장착되는 구멍(28)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장공(27)이 형성되어 가이드바(18)에 장착된 핀(17)을 중심으로 왕복 요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편심축(15)의 회전에 의해 전후좌우로 왕복작용하면서 마치 톱으로 썰듯이 작용하는 컷터(2)와,It has a sawtooth-
수직관체(10')의 후미에 한 쌍으로 장착 구비되어 휠(13)에 편심되게 설치된 연결링크(31)와 작동링크(32)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한 상하운동이 이루어지며 다수의 선별봉(34)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선별채(3)와,A pair of mounting rods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tube 10 'and the connecting
수직관체(10')의 정면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수확시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비닐을 찢어 줄 수 있게 한 비닐컷터(51) 및 비닐가이드(52)와, A vinyl cutter (51) and a vinyl guide (52) fix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10 ') to automatically tear the vinyl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during harvesting;
작물수확기(100a)의 후미에 장착 구성되어 핸들(41)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하부에 바퀴(42)를 장착하여서 된 통상의 지지구동부(4)로 이루어진다. Mounted on the rear of the crop harvester (100a) is made of a height adjustment by the
상기한 비닐가이드(52)는 금속은 물론 연질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하여도 되며, 수지나 고무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마늘 등의 작물이 수확되는 과정에서 부딪히더라도 손상되지 않게 되어 작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따르게 된다.The
미설명 부호 5는 절개용컷터의 각도조절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물수확기(100a)는 경운기에 연결 장착하여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특성, 즉, 뿌리 깊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감안하여 먼저 경운기(100)의 시동을 건 상태에서 지지구동부(4)의 상단에 위치한 핸들(41)로서 컷터(2)의 높낮이(작물 뿌리를 감안하여 절개용 컷터가 땅속에 박히는 깊이를 설정을 하여야 함)를 설정하고, 각도조절장치(5)로서 컷터(2)의 각도를 조절한 뒤 전진하면된다. The crop harvester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cultivator to be harves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p to be harvested, that is,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root depth of the support driving unit 4 in the state of starting the cultivator (100) Set the height of the cutter 2 (the depth at which the cutting cutter is to be driven into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the root of the crop) as the
이때 절개용 컷터(2)의 날(21) 끝은 작물의 뿌리 밑부분에 작용하게 되며 경운기(100)의 전진에 의해 땅을 파헤치면서 전진하게 되어 땅에 뭍힌 작물이 파헤쳐지는 흙과 함께 절개용컷터(2)의 상부의 탑플레이트를 거쳐 선별채(3)에 의해 흙이 부숴지면서 작물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내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발명에서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상기 컷터(2)가 편심축(15)과 핀(17)에 의해 전후좌우로 요동되게 하였다는 점이며, 이때 컷터(2)의 일단부에는 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28)에 베어링(26)과 함께 편심축(15)이 결합된 상태이므로 편심축(15)의 회전에 의해 컷터(2)의 일단부가 원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후좌우 요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이 과정에서 컷터(2)의 타단부 장공(27)에는 핀(17)이 결합되어 있어 장공(27)이 핀(17)을 기준으로 좌우로 작용하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절개용 컷터의 작용이 마치 톱질을 하듯이 작용하게 됨으로서 무른 땅은 물론 굳은 땅도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파헤치면서 작물 수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utter (2) is rock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by the eccentric shaft (15) and the pin (17), in which one end of the cutter (2) ) Is formed and the
또한, 상기한 컷터(2)의 상단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24)는 후미가 가이드바(16)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데다가 일단은 핀(17)과 장공(27)에 의한 좌우왕복운동, 그리고 타단은 편심축(15)에 의한 원운동을 하게 됨으로서 컷터(2)에 의해 파헤쳐진 흙과 작물이 선별채(3)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심하게 흔들려 뭉친 흙 또는 작물에 흙이 뭉쳐있는 경우에 흙이 풀어져 작물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고, 이때 작물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선별채(3)를 통과하면서 완벽하게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수직관체(10')의 정면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비닐가이드(52)와 비닐컷터(51)를 일체로 형성하였기에 작물수확시 경운기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지표면을 덮고 있던 비닐이 비닐가이드(52)를 통하여 비닐컷터(51)위치로 상승 안내됨으로서 비닐컷터(51)에 닿으면서 절단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작물 수확시 이송 전진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비닐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상기한 비닐가이드(52)를 고무나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하면 작물 수확시 부딪히더라도 손상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컷터(2)가 핀(17)과 편심축(15)에 의해 마치 톱질을 하는 것처럼 작용하게 되어 무른 땅은 물론 굳은 땅, 또는 돌이나 자갈이 포함된 땅에 있어서도 매우 손쉽게 수확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작물 수확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한쌍의 컷터(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끔 구성됨으로서 수확 작업시 경운기(100)를 비롯한 작물수확기(100a)에 작용하는 쏠림이나 흔들림에 의한 진동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운행 및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더불어 진행중에 비닐컷터(51)에 의해 수확하고자 하는 밭에 덮힌 비닐을 자동으로 절개할 수 있게 하여 수확효율 증대와 생산성 증대, 그리고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4346A KR100718656B1 (en) | 2006-07-10 | 2006-07-10 | Cultivator crop harve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4346A KR100718656B1 (en) | 2006-07-10 | 2006-07-10 | Cultivator crop harves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8656B1 true KR100718656B1 (en) | 2007-05-15 |
Family
ID=3827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43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8656B1 (en) | 2006-07-10 | 2006-07-10 | Cultivator crop harve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865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573315C1 (en) * | 2014-06-18 | 2016-01-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ичур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Мичуринский ГАУ) | Digger of roots |
CN108633439A (en) * | 2018-04-11 | 2018-10-12 | 高瑗敏 | Crop harvester, which has been used, dials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5214A (en) * | 1992-08-06 | 1994-03-21 | 코바시 이치로오 | Root crop harvesters |
KR950000005A (en) * | 1993-06-25 | 1995-01-03 | 미츠이 고헤이 | Harvesting Structure of Root Vegetable Harvester |
KR960013169A (en) * | 1994-10-27 | 1996-05-22 | 김중호 | Tractor Harvester Paddy Harvester |
KR20040012629A (en) * | 2003-12-03 | 2004-02-11 | 이동주 | The threshing net for combine of threshing floor |
-
2006
- 2006-07-10 KR KR1020060064346A patent/KR10071865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5214A (en) * | 1992-08-06 | 1994-03-21 | 코바시 이치로오 | Root crop harvesters |
KR950000005A (en) * | 1993-06-25 | 1995-01-03 | 미츠이 고헤이 | Harvesting Structure of Root Vegetable Harvester |
KR960013169A (en) * | 1994-10-27 | 1996-05-22 | 김중호 | Tractor Harvester Paddy Harvester |
KR20040012629A (en) * | 2003-12-03 | 2004-02-11 | 이동주 | The threshing net for combine of threshing flo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573315C1 (en) * | 2014-06-18 | 2016-01-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ичур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Мичуринский ГАУ) | Digger of roots |
CN108633439A (en) * | 2018-04-11 | 2018-10-12 | 高瑗敏 | Crop harvester, which has been used, dials device |
CN108633439B (en) * | 2018-04-11 | 2020-04-28 | 惠安恒久升电子科技有限公司 | Lifting device for crop harves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1106B1 (en) | Bulb Harvester | |
KR101587220B1 (en) | Double vibration type bulbs such harvester | |
KR101663868B1 (en) | A root crop harvester | |
JP2012044913A (en) | Leaf vegetable harvester | |
KR100718656B1 (en) | Cultivator crop harvester | |
JP2008154536A (en) | Stems/leaves conveying device for bean reaper | |
JP4781250B2 (en) | Cutting blade of bean cutting device | |
KR20170000202A (en) | Double vibration type leaf and root vegetable and bulls such harvester | |
KR101721375B1 (en) | Garlic harvester | |
CN214206431U (en) | Leaf vegetable harvesting device | |
JP4274995B2 (en) | Vegetable root cutting harvester | |
KR200359487Y1 (en) | Rooting stage of root crops | |
CN203226036U (en) | Harvesting device | |
JP7403757B2 (en) | Leaf processing machine | |
JP3205508U (en) | Vegetable harvesting machine | |
KR200212531Y1 (en) | Harvester for edible roots | |
JP2007330232A (en) | Reaping device of combine | |
JPH1146552A (en) | Combine harvester | |
KR200366868Y1 (en) |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 |
JP5492062B2 (en) | Stem cutting and conveying device | |
JP2012000056A (en) | Stem cutting release apparatus | |
KR101880853B1 (en) | Grass plucking machine | |
US1040234A (en) | Sweet-potato-vine clipper. | |
JP4107755B2 (en) | Root crop crop harvester | |
JPH023709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