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8331B1 - 절단용 티자 - Google Patents

절단용 티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331B1
KR100718331B1 KR1020060005936A KR20060005936A KR100718331B1 KR 100718331 B1 KR100718331 B1 KR 100718331B1 KR 1020060005936 A KR1020060005936 A KR 1020060005936A KR 20060005936 A KR20060005936 A KR 20060005936A KR 100718331 B1 KR100718331 B1 KR 10071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ead
plate
guide
cutting t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to KR102006000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331B1/ko
Priority to US11/433,121 priority patent/US737042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2T-squares and other similar squa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10Plural straightedges relatively movable
    • B43L7/14Square and sliding straight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76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arking and cutting t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02Calculator,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Kniv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각종 판재를 절단 및 줄긋기를 실시하기 위한 절단용 티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판재의 일단에 밀착하여 절단을 위한 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는 머릿날을 가지며 상면에 폭방향으로 구멍을 갖는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는 머리와, 가이드의 구멍에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으며 몸체날을 따라 눈금이 새겨져 있는 몸체와, 몸체의 선단과 근접하는 상면에 사용자가 절단도구와 함께 잡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머리에 몸체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고정기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에 대하여 눈금이 새겨져 있는 몸체를 이동시켜 절단하기 위한 판재의 치수를 설정한 후, 판재와 몸체의 선단에 절단도구의 날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판재의 일단을 따라 머리, 몸체와 절단도구를 함께 이동시켜 각종 판재를 정확하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머리, 몸체와 절단도구 또는 필기도구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판재의 길이에 구애받음이 없이 단일 공정에 의하여 판재를 절단 및 줄긋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판재의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절단기구들 중에서 절단에 적합한 절단도구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단용 티자{CUTTING TEE SQUA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티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와 절단용 커터를 이용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와 절단용 커터를 이용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와 유리 절단용 커터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와 유리 절단용 커터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에서 머리에 몸체를 고정기구에 의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에서 머리에 대하여 몸체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판재 10: 절단도구
12: 절단용 커터 12a: 날
12b: 칼집 14: 유리 절단용 커터
14a: 날 20: 머리
22: 머릿날 24: 가이드
26: 구멍 30: 몸체
32a, 32b: 몸체날 34: 눈금
36a: 선단 36b: 후단
38: 홈 40: 스토퍼
50: 제1 손잡이 52: 제1 턱
54: 제2 턱 60: 고정기구
62: 나사 64: 가압판
66: 제2 손잡이
본 발명은 절단용 티자(Tee squar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각종 판재를 정확하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절단 및 줄긋기를 실시할 수 있는 절단용 티자에 관한 것이다.
티자는 선긋기에 사용되는 제도용구(制度用具)의 하나이며, 몸체와 눈금이 새겨져 있는 머리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머리의 머릿날을 제도판의 좌측단에 기준면이 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몸체를 이용하여 평행선을 긋거나 몸체에 삼각자 등을 대고 제도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티자의 구조를 개량하여 건축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보드(Board), 패널(Panel), 유리판 등과 같은 각종 판재를 절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절단용 티자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329851호의 보드 절단용 자에는 가로대의 구멍에 고정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고정자에 눈금이 새겨져 있는 자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자의 길이 방향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Slider)가 장착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의 하면에는 보드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날이 장착되어 있다. 이 기술은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자와 자를 함께 이동시키거나 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면서 커터날에 의하여 보드 및 합판 등을 절단한다.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251874호의 유리 절단용 티자에는 지지부재의 상면 중앙에 자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자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유리 절단용 커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 기술은 유리판의 일단에 지지부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터를 이동시켜 유리판을 절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절단용 자들은 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터를 이동시키면서 판재를 절단하여야 하므로, 자의 길이보다 긴 판재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자의 길이만큼 절단을 실시한 후, 판재의 절단선에 맞추어 자 전체를 이동시켜 또 다시 절단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판재의 절단이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실시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보드의 절단용 커터와 유리의 절단용 커터 각각은 보드와 유리판을 절단하는데 전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판재의 종류별로 절단용 자들을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부담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하기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편, 각종 건설현장에서 판재에 줄긋기를 실시할 때에는 먹자를 사용하고 있다. 먹자에 의한 줄긋기는 판재의 치수를 측정하고, 판재의 양단에 줄긋기를 위한 마크를 표시한다. 그리고, 먹줄의 일단을 판재의 일단에 표시되어 있는 마크에 고정한 후, 먹줄의 타단을 판재의 타단에 표시되어 있는 마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먹줄을 잡아당겼다가 놓아 먹줄의 잉크가 판재에 표시되도록 하기 때문에 줄긋기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에 대하여 몸체를 이동시켜 절단하기 위한 판재의 치수를 설정한 후, 판재와 몸체의 선단에 절단도구의 날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판재의 일단을 따라 머리, 몸체와 절단도구를 함께 이동시켜 각종 판재를 정확하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는 절단용 티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머리, 몸체와 절단도구 또는 필기도구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판재의 길이에 구애받음이 없이 단일 공정에 의하여 판재를 절단 및 줄긋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판재의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절 단기구들 중에서 절단에 적합한 절단도구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절단용 티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각종 판재를 절단도구에 의하여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절단용 티자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일단에 밀착하여 절단을 위한 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는 머릿날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머릿날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멍을 갖는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는 머리와; 상기 가이드의 구멍의 양측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으며, 폭 방향의 양측 단부의 몸체날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눈금이 새겨져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선단과 근접하는 상면에 사용자가 상기 절단도구와 함께 잡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상기 머리에 상기 몸체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절단용 티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티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는 다양한 보드, 패널, 유리판 등과 같은 각종 판재(2)를 절단도구(10)에 의하여 절단 및 줄긋기를 실시하는데 사용한다. 도 2, 도 3과 6에는 절단도구(10)의 일례로 석고보드, 합판, 스티로폼 패널(Styrofoam panel) 등의 보드(2a)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커터(12)가 도시되어 있다. 절단용 커터(12)는 날(12a)과 이 날(12a)을 수용하는 칼집(12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날(12a)은 절단선(12c)에 의하여 토막 단위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는 이른 바 커터날로 구성되 어 있다. 도 4, 도 5와 도 7에는 절단도구(10)의 다른 예로 유리판(2b)을 절단하기 위한 유리 절단용 커터(14)가 도시되어 있다. 유리 절단용 커터(14)는 날(14a)이 장착되어 있는 홀더(Holder: 14b)와 이 홀더(14a)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자루(14c)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4,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는 머리(20)와 이 머리(2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있는 몸체(30)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20)의 일단에는 판재(2)의 일단에 밀착하여 절단을 위한 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는 직선의 머릿날(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에는 가이드(Guide: 24)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24)는 머리(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사각단면의 구멍(26)을 가지며, 가이드(24)의 상면 중앙에는 나사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24)의 선단은 머리(20)의 머릿날(22)과 정렬되어 있으며, 가이드(24)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상방에서 머리(20)의 머릿날(22)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시야의 확보를 위한 절취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30)는 가이드(24)의 구멍(26)에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머리(20)에 대하여 T자를 이루며 판재(2)의 절단 및 줄긋기에 적합한 길이, 예를 들어 60cm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30)의 양측에는 직선의 몸체날(32a, 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날(32a, 32b)을 따라 길이의 측정을 위한 눈금(34)이 새겨져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24)의 절취부(24a)에 의하여 머리(20)의 머릿날(22)에 정렬되는 몸체(30)의 눈금(34)을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또한, 몸체(30)의 선단(36a)에 절단도구(10), 예를 들어 절단용 커터(12)의 날(12a), 유리 절단용 커터(14)의 홀더(14b)를 수용할 수 있는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30)의 후단(36b)에는 가이드(24)의 일단에 걸려 가이드(24)의 구멍(26)으로부터 몸체(3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 40)가 장착되어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30)의 선단(36a)과 근접하는 상면에 사용자가 절단도구(10)와 함께 잡을 수 있도록 제1 손잡이(5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손잡이(50)는 몸체(30)의 선단(36a)과 근접하는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턱(52)과 몸체(30)의 후단(36b)을 향하는 제1 턱(52)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턱(54)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30)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턱(52)은 절단용 커터(12)의 칼집(12b)으로부터 날(12a)을 빼내 몸체(30)의 선단(36a)에 지지시키면서 판재(2)를 절단할 때 칼집(12b)이 그 상단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몸체(30)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2 턱(54)의 높이(H2)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2 턱(54)의 측면에 밀착시켜 힘을 줄 수 있도록 제1 턱(52)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4, 도 6과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는 머리(20)에 몸체(30)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24)의 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고정기구(60)를 구비한다. 고정기구(60)는 가이드(24)의 나사구멍(28)을 통하여 체결되어 있는 나사(62)와, 나사(62)의 하단에 몸체(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가압판(64), 나사(62)의 상단에 나사(62)를 회전시켜 체결 또는 풀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2 손잡이(6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손잡이(66)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를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간편하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고정기구(60)의 제2 손잡이(66)를 회전시켜 가이드(24)의 나사구멍(28)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62)를 풀면, 몸체(30)의 상면으로부터 가압판(64)이 이격되어 가이드(24)의 구멍(26)을 따라 몸체(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판재(2)의 일단에 머리(20)의 머릿날(22)을 밀착시켜 절단을 위한 기준면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판재(2)의 절단 위치에 몸체(30)의 선단(36a)이 정렬되도록 가이드(24)의 구멍(26)을 따라 몸체(30)를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몸체(30)의 몸체날(32a, 32b)을 따라 새겨져 있는 눈금(34)에 의하여 판재(2)의 일단으로부터 절단 위치까지 사이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절단하기 위한 판재(2)의 치수를 맞출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몸체(30)의 선단(36a)을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2)의 치수에 맞춘 후, 고정기구(60)의 제2 손잡이(66)를 회전시켜 나사(62)를 다시 체결한다. 나사(62)의 체결에 의하여 가압판(64)은 몸체(30)의 상면을 가압하며, 이에 따라 몸체(30)는 머리(20)와 가압판(64)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고정기구(60)의 제2 손잡이 (66)를 잡고 판재(2)의 일단에 머리(20)의 머릿날(22)을 밀착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다른 한 손으로 절단도구(10)의 날(12a)에 의하여 판재(2)를 절단할 수 있도록 몸체(30)의 선단(36a)에 날(12a)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절단도구(10)가 고정되도록 절단도구(10)와 제1 손잡이(50)의 제2 턱(54)을 함께 잡으며, 이때 제2 턱(54)의 측면에 엄지를 밀착시켜 힘을 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5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리 절단용 커터(14)는 그 홀더(14b)를 몸체(30)의 홈(38)에 수용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30)의 선단(36a)과 근접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제1 턱(52)의 높이(H1)는 절단용 커터(12)의 날(12a)을 판재(2)와 몸체(30)의 선단(36a)에 밀착시켰을 때 칼집(12b)이 제1 턱(52)의 상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턱(54)의 높이(H2)는 제1 턱(5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칼집(12b)과 제2 턱(54)을 손으로 안전하면서도 강한 힘으로 함께 잡아 절단용 커터(1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결과 판재(2)를 정확하고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판재(2)와 몸체(30)의 선단(36a)에 절단용 커터(12)의 날(12a)을 지지시키고, 판재(2)의 일단에 머릿날(22)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 손잡이(66)를 이용하여 머리(20)를 판재(2)의 절단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머리(20)의 이동에 의하여 몸체(30)와 절단용 커터(12)가 함께 이동되고, 절단용 커터(12)의 날(12a)이 판재(2)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용 커터(12)의 날(12a)은 판재(2)의 일단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되므로, 판재(2)의 절단선을 판재(2)의 일단과 평행하 게 유지시켜 판재(2)를 정확한 치수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판재(2)의 길이에 구애받음이 없이 단일 공정에 의하여 판재(2)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절단용 티자에 의해서는 절단도구(10) 대신에 통상적인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앞에서 설명한 판재(2)의 절단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하여 판재(2)의 상면에 줄긋기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티자에 의하면, 머리에 대하여 눈금이 새겨져 있는 몸체를 이동시켜 절단하기 위한 판재의 치수를 설정한 후, 판재와 몸체의 선단에 절단도구의 날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판재의 일단을 따라 머리, 몸체와 절단도구를 함께 이동시켜 각종 판재를 정확하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머리, 몸체와 절단도구 또는 필기도구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판재의 길이에 구애받음이 없이 단일 공정에 의하여 판재를 절단 및 줄긋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판재의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절단기구들 중에서 절단에 적합한 절단도구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각종 판재를 절단도구에 의하여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절단용 티자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일단에 밀착하여 절단을 위한 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는 머릿날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머릿날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멍을 갖는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는 머리와;
    상기 가이드의 구멍의 양측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으며, 폭 방향의 양측 단부의 몸체날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눈금이 새겨져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선단과 근접하는 상면에 사용자가 상기 절단도구와 함께 잡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상기 머리에 상기 몸체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절단용 티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도구는 날과 이 날을 수용하는 칼집을 가지며,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몸체의 선단과 근접하는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턱과 상기 몸체의 후단을 향하는 상기 제1 턱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턱은 상기 날을 상기 칼집으로부터 빼내 상기 몸체의 선단에 지지시키면서 상기 판재를 절단할 때 상기 칼집이 그 상단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 턱의 높이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그 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턱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절단용 티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의 상면중앙부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있는 나사와; 상기 나사의 하단에 상기 몸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가압판과; 상기 나사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를 회전시키며, 사용자가 잡아서 상기 머리와 상기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는 절단용 티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의 일단에 걸려 상기 가이드의 구멍으로부터 상기 몸체가 빠지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절단용 티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선단에 상기 절단도구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의 머릿날과 근접하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상기 머리의 머릿날과 정렬되는 상기 몸체의 눈금을 상방에서 볼 수 있도록 절취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절단용 티자.
KR1020060005936A 2006-01-19 2006-01-19 절단용 티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71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936A KR100718331B1 (ko) 2006-01-19 2006-01-19 절단용 티자
US11/433,121 US7370426B2 (en) 2006-01-19 2006-05-12 Cutting tee squ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936A KR100718331B1 (ko) 2006-01-19 2006-01-19 절단용 티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331B1 true KR100718331B1 (ko) 2007-05-14

Family

ID=3826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9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8331B1 (ko) 2006-01-19 2006-01-19 절단용 티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70426B2 (ko)
KR (1) KR100718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13B1 (ko) * 2014-08-04 2015-11-04 방승철 휴대용 재단기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재단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11513S1 (en) * 2005-10-17 2010-03-09 Lee Valley Tools, Ltd. File and rasp grip
US8272136B2 (en) * 2010-01-06 2012-09-25 Vogeler Craig A Wallboard cutting tool
FR2959155B1 (fr) * 2010-04-21 2012-07-20 Benoit Mallet Chariot de decoupe d'un panneau de carton-platre, kit de decoup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FR2959156B1 (fr) * 2010-04-21 2012-09-21 Benoit Mallet Guide de decoupe d'un panneau de carton-platre, kit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GB201013693D0 (en) * 2010-08-16 2010-09-29 O'hare Brendan Marking tool
US9085079B2 (en) * 2010-11-23 2015-07-21 Manipal University Marking gauge
US8925210B2 (en) * 2013-01-09 2015-01-06 Yanchen Zhang Digital marking gauge
US9259958B2 (en) * 2013-08-15 2016-02-16 Stanley Black & Decker Inc. T-square
US20170036365A1 (en) * 2015-08-04 2017-02-09 Gary DARWIN Sheet material cutting guide and ruler
CN106553085A (zh) * 2015-09-29 2017-04-05 宁波江丰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切割量测工具及切割方法
US20170320354A1 (en) * 2016-05-05 2017-11-09 Steve Brown Adjustable t square alignment device
CN108457070A (zh) * 2018-04-25 2018-08-28 李松 一种便携式窗帘裁高机
US11052534B2 (en) * 2019-02-04 2021-07-06 Preston Medure Tile-cutting measurement device
US10857687B1 (en) * 2019-07-18 2020-12-08 William Richard Laupan Carton siz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51Y1 (ko) 2003-07-22 2003-10-10 신종균 보드 절단용 자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823A (en) * 1872-04-16 Improvement in gauges
US1195886A (en) * 1916-08-22 wheeler
US348674A (en) * 1886-09-07 Combined panel-gage
US365804A (en) * 1887-07-05 Carpenter s gage
US663168A (en) * 1900-05-31 1900-12-04 Elihue M Hembree Carpenter's tool.
US685634A (en) * 1900-07-03 1901-10-29 Fredrick Olson Combined slide-gage and try-square.
US848387A (en) * 1906-12-24 1907-03-26 Corfitz Nielsen Marking-gage for rules.
US1046975A (en) * 1911-07-13 1912-12-10 Reed J Clark Jr Pencil marking-gage.
US1598993A (en) * 1923-11-09 1926-09-07 Joseph W Vlazny Carpenter's gauge
US1877185A (en) * 1929-02-08 1932-09-13 Lowe William Scribing tool and tau-square for mechanics
US2562348A (en) * 1948-07-28 1951-07-31 Universal Drafting Machine Cor Ruler
US2537505A (en) * 1949-06-09 1951-01-09 Frederick W Hall Box cutter
US2763065A (en) * 1952-08-12 1956-09-18 Aubert C Leidahl Marking gage for rules
US3514855A (en) * 1967-12-26 1970-06-02 Kinkead Industries Trimmer for trimming carpeting to a reference edge
US3871100A (en) * 1973-06-28 1975-03-18 Stanley Works Marking gauge
US4380872A (en) * 1980-12-09 1983-04-26 Moran Claude D Pipe fitter's combination instrument
FR2600591B1 (fr) * 1986-06-24 1990-08-10 Garraut Gerard Regle de tracage
SE461241B (sv) * 1987-04-21 1990-01-22 Ljungberg Patent Ab T A Kombination av maet- och eggverktyg
US4809439A (en) * 1987-10-21 1989-03-07 Burns Lawrence J True trace gauge
GB2236596A (en) * 1988-12-13 1991-04-10 Richard Begemann Measuring instrument
US5782007A (en) * 1996-02-26 1998-07-21 Harris; Adam S. Tool guiding tape measure
US5915806A (en) * 1996-05-30 1999-06-29 Levee; Kevin M. Multi-function square
US5979063A (en) * 1998-03-20 1999-11-09 Pritz; William A. Sheet rock cutting tool
US6912799B1 (en) * 2001-04-20 2005-07-05 Gregory S. Smith Marking and scoring guide
US6691425B1 (en) * 2002-11-13 2004-02-17 Choon Nam Lee Multi-functional tape meas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51Y1 (ko) 2003-07-22 2003-10-10 신종균 보드 절단용 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13B1 (ko) * 2014-08-04 2015-11-04 방승철 휴대용 재단기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재단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70426B2 (en) 2008-05-13
US20070163130A1 (en)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331B1 (ko) 절단용 티자
US6467174B1 (en) Combination scoring and marking apparatus for sheet goods and methods of use
US4128940A (en) Guide and adaptor for hand saws
US8739412B2 (en) Utility knife blade
KR200475444Y1 (ko)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US5979063A (en) Sheet rock cutting tool
US7162805B2 (en) Measuring and marking guide tool
US7845083B1 (en) Stabilized T-square
US20040055168A1 (en) Inside / outside scribe
US7231720B2 (en) Inside/outside scribe
US10456843B2 (en) Vibrating cutter tool circular cutting jig
CN101288958B (zh) 具有活动桌板的工作机台
EP1890851B1 (en) Saw guide
US5404647A (en) Dry wall sizing apparatus
US4161900A (en) Veneer edging jig for table saws
JPH10156060A (ja) 手持ちカッター工具
US8915662B2 (en) Marking blade
JP2010131282A (ja) レール式ラインカッター
US2541708A (en) Tile cutting device
CN111604873B (zh) 反面划线工具
US3273613A (en) Portable saw guide and work holder
US6283003B1 (en) Knife attachment for a sheet cutting system
JP3180578U (ja) 丸鋸用平行定規
KR200497256Y1 (ko) 나무판에 선을 긋는 장치
JP6623931B2 (ja) 切断用定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