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8033B1 - 콘 이젝터가 있는 피펫 - Google Patents

콘 이젝터가 있는 피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033B1
KR100718033B1 KR1020027010795A KR20027010795A KR100718033B1 KR 100718033 B1 KR100718033 B1 KR 100718033B1 KR 1020027010795 A KR1020027010795 A KR 1020027010795A KR 20027010795 A KR20027010795 A KR 20027010795A KR 100718033 B1 KR100718033 B1 KR 10071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tte
ejector
screw
rod
n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812A (ko
Inventor
비오프랑스와
Original Assignee
질송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질송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질송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2009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0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75Interchangeable or disposable dispensing tips
    • B01L3/0279Interchangeable or disposable dispensing tips co-operating with positive eje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샘플 채취용 피펫은 이 피펫에 고정된 콘(9)을 피펫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터 아암(14, 20)을 포함한다. 상기 피펫은 아암의 길이를 소정 범위의 값에 걸쳐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 수단(16, 1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 이젝터가 있는 피펫{PIPETTE WITH TIP EJECTOR}
본 발명은 액체 샘플을 채취하는 피펫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FR-2 696 110 공보에는 폐기 가능한 콘(cone)을 저부 단부에서 수용하기에 적절한 샘플 채취용 피펫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콘은 마찰에 의해 피펫 상에 유지되어 있다. 그 피펫은 샘플 채취용 버튼에 인접한 버튼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이젝터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한 콘을 새로운 콘으로 교환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그 버튼을 가압하여 콘을 피펫으로부터 밀어 분리시킬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피펫이 갖는 결점은 상기 이젝터가 단지 한가지 형태의 콘에 적합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상기 피펫을 다양한 치수의 콘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젝터가 다양한 형태의 콘과 호환될 수 있는 피펫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펫에 고정된 콘을 피펫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이젝터 아암과, 아암의 길이를 소정 범위의 값에 걸쳐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샘플 채취용 피펫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젝터의 길이는 사용 시에 피펫 상의 콘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젝터는 수많은 형태의 콘과 호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 아암은 나사-너트 이음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아암 부분을 포함하며,
- 피펫은 상기 아암 부분들 중 하나에 대해 활주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으며 다른 아암 부분에 나사로 연결되어 있는 너트 형성부를 구비하고,
- 너트 형성부는 피펫 외부로부터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널링 가공된 휘일(knurled wheel)이며,
- 너트 형성부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고정된 아암 부분은 저부 아암 부분이며, 다른 아암 부분은 상부 아암 부분이고,
- 아암은 콘과 접촉 상태가 되기에 적합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두 부분은 하나가 다른 것에 맞물려 있어, 상기 제1 부분은 피펫의 길이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작동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이점은 비한정적인 예로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드러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펫의 이젝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구가 어떤 방식으로 배치되는 가를 보여주는 피펫의 부분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기구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2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액츄에이터의 평면 Ⅵ-Ⅵ에서의 부분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5a는 도 5의 액츄에이터의 평면 A-A에서의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기구의 이음 나사의 배면도 및 좌측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평면 Ⅷ-Ⅷ 및 평면 Ⅸ-Ⅸ에서의 두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기구의 이젝터 로드의 사시도 및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이젝터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이젝터 로드가 피펫 상에 배치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고 있는 샘플 채취용 피펫은 FR-2 696 110 공보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이다. 이미 상기 공보에 개시된 피펫의 특정 세부 사항을 위해 그 공보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콘 이젝터 기구의 특정 양태만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펫(2)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로 기능하는 본체(1)를 포함한다. 페펫은 이 피펫의 저부 공동 내에서 피펫의 길이 방향 축선(10)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어, 피펫 안으로 샘플링될 액체의 소정 부피를 흡입하거나 이것을 상기 공동에서부터 배출시키는 피스톤(6)을 구비한다. 피스톤의 이동은 특히 축선(10) 상의 제어 로드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 로드는 그 저부 단부가 통상적인 형태의 부품에 의해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 로드의 상단부에는 이 제어 로드에 단단히 고정되며, 사용자가 피펫을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작동시키기에 적합한 푸시 버튼이 얹혀져 있다. 따라서, 피스톤은 버튼의 상응하는 운동 기능에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피펫은 복귀 스프링과 퍼지 스프링을 구비하며, 복귀 스프링은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피스톤과 로드의 하향 행정의 종결 지점에서 이들을 상측 위치로 복귀시키며, 퍼지 스프링은 피스톤의 행정이 퍼지 행정을 위해 하향으로 계속되는 경우에 복귀 스프링의 효과에 추가의 효과를 부여한다.
피펫은 폐기 가능한 샘플 채취용 콘(9)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용하기에 적절한 저부 클립(7)을 구비하며, 상기 샘플 채취용 콘은 마찰에 의해 저부 클립의 외부에 유지된다.
피펫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콘 이젝터 기구를 구비한다. 피펫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서부터 저부로 가면서, 상기 기구는 제어 버튼(12), 액츄에이터(14), 이음 나사(16), 널링 가공된 휘일(18) 및 이젝터 로드(20)를 포함한다. 도 1의 이젝터 기구는 피펫의 후방부, 즉 사용자의 손의 손바닥에 인접한 부분을 지나 연장한다.
액츄에이터(14)는 대체로 긴 형상이며 하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이것은 피펫의 본체(2) 내에 수용되어 그 내에서 축선(10)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피펫은 버튼(12)에서의 하향 압력이 액츄에이터(14)의 하향 이동을 야기하 도록 배치되어 있다. 버튼과 액츄에이터 사이의 연결은 통상적인 형태가 좋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20)은 버튼(12)이 해제될 때 액츄에이터(14)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5a를 참조로 하면, 액츄에이터(14)는 암형 커플링 부분(22)으로 이루어진 저부 단부를 구비한다. 이 부분은 축선(10)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섹션 부재를 구성하며, 대체로 U자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보다 정확하게는 U자형의 2개의 가지부(limb)(24)가 이들 각각의 두 단부를 향해 서로 근접하게 되어 타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형상이다. U자 형상의 개구(26)는 측방향으로 향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펫의 좌측편을 향한다. 커플링 부분(22)의 저부 가장자리는 U자 형상의 내부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차부(28)를 형성하는 견부를 구비한다. 하지만, 이러한 단차부 또한 U자 형상이다. 각 가지부(24)는 수평 노치(30)에 의해 액츄에이터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수평 노치는 상기 가지부를 따른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한다. 커플링 부분은 가지부(24) 사이에서 공동(32)을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나사(16)는 상부 헤드(34)를 포함한다. 헤드(34)는 지지부(36)를 구비하며, 이 지지부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액츄에이터의 암형 커플링 부분(22) 안으로 통과하기에 적절한 수형 커플링 부분(38)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수형 커플링 부분(38)은 축선(10)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섹션 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축선을 가로지르는 횡단면은 거의 타원 형상이다. 이음 나사(16)는 코어(40)를 구비하며, 이 코어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36)가 코어에 대해 측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수형 부분(38)은 지지부(36) 보다 짧다. 수형 부분(38)의 상단부와 지지부(36)의 상단부는 동일한 높이에 있지만, 수형 부분은 코어(4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연장하여 이들 사이를 단차부(28)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수형 부분(38)은 우측으로 연장하여 지지부(36)로부터 돌출하며, 마찬가지로 수형 부분은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한다.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에서는 그 형상이 T자 형상이다.
수형 부분(38)은 축선(10)에 수직하게 측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암형 부분(22)에 맞물려 수용되기에 적절하다. 삽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가지부(54)가 벌어지고, 이어서 서로를 향해 다시 이동하여 수형 부분이 수용 위치에 도달한 것을 알리는 찰칵하는 소리를 낸다. 가지부는 노치(30)에 의해,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사용되는 재료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단차부(28)은 수형 부분(38)과 코어(40) 사이의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이음 나사(16)가 액츄에이터(14)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러한 이음을 분해할 수 있다. 조립과 분해는 액츄에이터에 대해 나사를 좌우측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음 나사의 코어(40)는 평탄한 상부 플레이트(42)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저부 부분(44)을 구비한다. 이것의 저부 단부에서는 나사산이 형서된 나사 생크(46)가 연장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면, 이젝터 로드(20)는 수직 방향으로 긴 형상이다. 이것의 횡단면 형상은 거의 중공 및 개방형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상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유단(7)을 형성하는 본체(2)의 저부 말단편(50) 상에 활주 가능하게 맞물리는 링을 형성하도록, 이젝터 로드의 저부 단부(48)에서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링은 콘을 배출하도록 콘과 직접 접촉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피펫의 축선(10) 상에 놓이는 상기 저부 단부(48)와,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서 상기 축선(10)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피펫 후방부와의 사이에 접합을 달성하도록 로드(20)는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 아니다.
이젝터 로드의 상단부에는 로드의 상부면(54)으로부터 노치(56)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상부 수직 덕트(5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노치는 로드의 후방면에서부터 전방면으로 향하여 로드 안으로 수평하게 연장한다. 상기 노치의 아래에서, 로드는 상부 덕트(52)와 축선 방향으로 일렬로 된 저부 덕트(58)를 제공하지만, 이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저부 덕트(58)의 직경은 상부 덕트(52)의 단면의 폭과 동일하며, 마찬가지로 나사(16)의 나사 생크(46)의 직경은 지지부의 저부 부분(44)의 폭과 동일하다.
널링 가공된 휘일(18)은 나사(16)의 생크(46)와 나사-너트 이음부를 형성하도록 중앙에 나사 형성 보어를 갖는다.
널링 가공된 휘일(18)은 덕트(52, 58)와 동일한 축선상에서 노치(56)에 수용된다. 나사(16)는 두 덕트와 널링 가공된 휘일을 관통한다. 수형 부분(38)은 상부면(54)으로부터 돌출하며, 상부 덕트(52)에 수용된 지지부의 직사각형 부분(44)은 로드(20)가 나사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그들이 서로에 대해 활주할 수 있게 한다. 널링 가공된 휘일(18)은 나사의 생크(46)와 나사-너트 이음부를 형성한다. 나사 생크의 저부 부분은 저부 덕트(58)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이젝터 로드(20)는 이음 나사(16)에 의해, 그리고 말단편에 맞물리는 링(48)에 의해서 피펫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가 피펫의 후방측으로부터 노치를 통해 널링 가공된 휘일(18)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널링 가공된 휘일의 회전은 이젝터 로드(20)를 본체(2)에 대해 상하로 축선(10)에 평행하게 활주시켜, 사용되는 폐기 가능한 콘의 형태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한다.
콘을 배출하기 위해, 로드가 그 행정 중 저부단에 있을 때까지 버튼(12)이 하강되며, 이로 인해 콘을 하향으로 밀어내어 그것을 피펫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젝터 기구가 정지 상태, 즉 그 행정 중 상부단에 있는 경우에, 암형 부분(22) 및 수형 부분(38)이 피펫의 본체(2)에 수용되며, 여기서 이들에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렵다. 또한, 그 내에서는 그들이 충격 및 먼지에 대해 보호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로드(20)를 제거할 수 없다.
로드(20)를 제거하여 피펫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버튼(12)을 하강시켜 로드가 행정 중 저부단에 놓이게 한다. 수형 부분과 암형 부분을 그때 볼 수 있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수형 부분과 암형 부분을 분리시키기 위해 로드(20)를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로드(20)가 피펫의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하며, 그러한 경사를 형성하는 것은 링(48)에서의 간극에 의해 가능하다. 그 후에, 피펫으로부터 물림이 해제되도록 로드의 저부 부분을 하향으로 활주시킨다. 재조립은 역순으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길이 방향 마찰 이음과는 달리, 상기 이젝터 로드(20)는 어려움 없이 설 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로드(20), 널링 가공된 휘일(18) 및 나사(16)는 이젝터 아암의 제1 부분을 구성하며, 이 제1 부분은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아암의 제2 부분에 측방으로 맞물리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널링 가공된 휘일이 이음 나사(16)로부터 물림 해제될 때까지 상기 휘일을 회전시킴으로써, 로드가 분해될 수 있다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로드(20), 나사(16) 및 널링 가공된 휘일(18)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한편, 전술한 순서는 상기 세 부분을 서로 연결 상태로 유지한다.
단차부(28) 때문에, 축선(10)에 평행하게 활주하는 것에 의해 로드(20)를 액츄에이터(14)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다. 상대적 측방 운동에 의해 그들을 분리시킴으로써 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콘의 배출 중에 발생하는 극단적인 분리에 대해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널링 가공된 휘일(18)은 액츄에이터(14)와 로드(20)로 구성된 이젝터 아암의 길이를 연속적인 범위의 길이 값에 걸쳐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물론, 수많은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20)는 액츄에이터 부품들간의 상대적 활주 운동에 대한 장애물을 형성하는 기타 형태의 이음, 즉 하나 이상의 나사-너트 이음 또는 베요넷(bayonet) 이음을 사용하여 액츄에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아암의 길이를 연속적인 범위의 길이 값에 걸쳐 조절하는 것에 관한 특성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 있는 2개의 아암 부분에 관한 특성과 무관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8)

  1. 피펫으로서,
    본체와, 피펫에 고정된 콘(cone)을 그 피펫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터 아암(ejector arm)을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 아암의 길이는 피펫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피펫.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아암은 나사-너트 이음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아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피펫.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분들 중 하나에 대해 활주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고, 다른 아암 부분에 나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너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피펫.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형성부는 피펫 외부로부터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널링 가공된 휠이며, 상기 너트 형성부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아암 부분은 저부 아암 부분이고 다른 아암 부분은 상부 아암 부분인 것인 피펫.
  5. 샘플 채취용 피펫을 위한 이젝터 기구로서,
    샘플 채취용 피펫의 본체에 장착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본체의 단부로부터 샘플 채취용 콘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저부 단부를 포함하는 이젝터 로드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이젝터 로드를 연결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사용자가 상기 이젝터 로드의 저부 단부의 위치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인 이젝터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복수 개의 나사-너트 이음부인 것인 이젝터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베요넷(bayonet) 이음부인 것인 이젝터 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결합된 나사와, 상기 나사를 수용할 수 있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이젝터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로부터 연장하는 생크를 포함하는 것인 이젝터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것인 이젝터 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이젝터 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로드는 저부 단부 반대측의 상기 이젝터 로드의 상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덕트를 더 포함하며, 이 덕트는 상기 나사의 생크를 수용하는 것인 이젝터 기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나사의 헤드부를 수용하는 커플링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이젝터 기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젝터 로드의 저부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널링 가공된 휠을 포함하는 것인 이젝터 기구.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것인 이젝터 기구.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나사의 생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나사 형성 보어를 포함하는 것인 이젝터 기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로드는 그 이젝터 로드의 상단부 근처에서 덕트를 통과해 연장하는 노치를 더 포함하며, 이 노치는 상기 너트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인 이젝터 기구.
  18. 샘플 채취용 튜브와,
    상기 샘플 채취용 튜브 내에 끼워지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피스톤 조립체와,
    상기 피스톤 조립체에 접촉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기 샘플 채취용 튜브 내에서 이동시키고 샘플 채취용 튜브 내의 액체를 조절하는 제어 로드를 구비하는 피스톤 구동 기구와,
    샘플 채취용 콘을 수용하는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샘플 채취용 튜브, 피스톤 조립체 및 피스톤 구동 기구가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이젝터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 기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본체의 단부로부터 샘플 채취용 콘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저부 단부를 포함하는 이젝터 로드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이젝터 로드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상기 이젝터 로드의 저부 단부의 위치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인 샘플 채취용 피펫.
KR1020027010795A 2000-04-07 2001-04-09 콘 이젝터가 있는 피펫 Expired - Lifetime KR100718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4471 2000-04-07
FR0004471A FR2807342B1 (fr) 2000-04-07 2000-04-07 Pipette de prelevement a ejecteur de c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812A KR20020093812A (ko) 2002-12-16
KR100718033B1 true KR100718033B1 (ko) 2007-05-16

Family

ID=884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795A Expired - Lifetime KR100718033B1 (ko) 2000-04-07 2001-04-09 콘 이젝터가 있는 피펫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264779B2 (ko)
EP (1) EP1268071B1 (ko)
JP (1) JP4255638B2 (ko)
KR (1) KR100718033B1 (ko)
CN (1) CN1239266C (ko)
AT (1) ATE398489T1 (ko)
AU (2) AU2001250456B2 (ko)
CA (1) CA2400681C (ko)
DE (1) DE60134463D1 (ko)
DK (1) DK1268071T3 (ko)
FR (1) FR2807342B1 (ko)
MX (1) MXPA02009877A (ko)
RU (1) RU2002122737A (ko)
WO (1) WO2001076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07204T3 (es) * 1999-05-18 2004-05-16 Socorex Isba S.A. Pipeta con expulsor de terminales.
FR2807343B1 (fr) 2000-04-07 2002-12-06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munie de moyens de reglage du volume a prelever
FR2807340B1 (fr) 2000-04-07 2002-12-06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d'echantillons liquides a mecanisme d'ejecteur de cone
FR2807341B1 (fr) 2000-04-07 2002-07-12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d'echantillons liquides a ejecteur demontable
US7824102B2 (en) * 2006-12-09 2010-11-02 Shenzhen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Inc. Thermometer quick linkage apparatus and method
US20090071267A1 (en) * 2007-09-17 2009-03-19 Greg Mathus Pipette tip ejection mechanism
PL233500B1 (pl) 2011-05-31 2019-10-31 Pz Htl Spolka Akcyjna Pipeta do używania z końcówką pipety
CH709307A1 (de) * 2014-02-26 2015-08-28 Tecan Trading Ag Transportwerkzeug zum Transportieren eines Laborartikels.
CN110694706B (zh) * 2019-10-23 2021-09-03 临沂市人民医院 一种多功能移液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050A (en) * 1989-01-18 1990-10-23 Ballard Medical Products Adaptation of pipetter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472E (fr) 1904-10-01 1905-08-26 Emile Truel Garniture à appliquer aux tiges de pistons et dispositif de mise en place
FR4475E (fr) 1904-11-15 1905-08-26 Louis Bleriot Porte-lanterne pour automobiles
DE1009969B (de) * 1956-02-17 1957-06-06 Montblanc Simplo Gmbh Schreibgeraet mit laengs verschiebbarem Schreibspitzentraeger
US2896119A (en) * 1958-03-10 1959-07-21 Burroughs Corp Glow tube storage circuits
US3604267A (en) * 1969-01-15 1971-09-14 Beckman Instruments Inc Sample injection apparatus
US3766785A (en) * 1971-05-17 1973-10-23 Analytical Prod Automatic pipette
DE2319175A1 (de) * 1973-04-16 1974-10-31 Oxford Lab Detail-kolbenpipette
US3915308A (en) * 1974-10-03 1975-10-28 Harry Ratzloff Convertible tool storage rack
FR2287941A1 (fr) * 1974-10-15 1976-05-14 Marteau D Autry Eric Dispositif d'ejection de l'embout amovible d'une pipette
US4009611A (en) * 1976-05-13 1977-03-01 Oxford Laboratories Inc. Hand-held micropipettor with improved pipette tip ejector
FI57540C (fi) * 1977-02-17 1980-09-10 Suovaniemi Finnpipette Anordning foer att loesgoera och avlaegsna en engaongsspets pao en pipett
US4369665A (en) * 1978-01-11 1983-01-25 Indicon Inc. Manually holdable automatic pipette
US4164870A (en) * 1978-04-10 1979-08-21 Medical Laboratory Automation, Inc. Pipettes
FI56937C (fi) * 1978-08-04 1980-05-12 Suovaniemi Finnpipette Anordning foer att avlaegsna en engaongsspetsbehaollare fraon en pipett
FI76710B (fi) * 1978-09-08 1988-08-31 Osmo Antero Suovaniemi Pipett.
GB2029723B (en) 1978-09-12 1982-12-01 Lee T Adjustable volume pipetting device
FI60138C (fi) * 1979-03-23 1981-12-10 Suovaniemi Finnpipette Pipett
DE2954504A1 (de) 1979-08-31 1986-09-11 Kommandiittiyhtiö Finnpipette Osmo A. Suovaniemi, Helsinki Pipette
JPS56117489A (en) * 1980-02-22 1981-09-14 Fuji Photo Optical Co Ltd Color separating optical system for color television camera
US4442722A (en) 1982-02-23 1984-04-17 Beckman Instruments Inc. Plunger operated pipet
JP2648944B2 (ja) * 1988-10-20 1997-09-03 東亜医用電子株式会社 流体回路ユニット
EP0364621B1 (de) * 1988-10-21 1992-09-30 Eppendorf-Netheler-Hinz Gmbh Pipettiervorrichtung
WO1993011870A1 (en) 1991-12-13 1993-06-24 John Poulten Limited Pipetter
FI921765A0 (fi) 1992-04-21 1992-04-21 Labsystems Oy Med en spetsavlaegsnare foersedd pipett.
US5320810A (en) * 1992-05-13 1994-06-14 Integrated Instrument Services, Inc. Pipette with an axially stationary volume adjusting wheel
FR2696110B1 (fr) * 1992-09-28 1994-12-09 Gilson Medical Electronics Sa Perfectionnement à une piquette de prélèvement et de distribution de volumes réglables de liquides.
DE4339143A1 (de) 1993-11-16 1995-05-18 Jenoptron Ges Fuer Optoelektro Vorrichtung zur Verteilung von Proben
EP0692227A1 (de) * 1994-07-11 1996-01-17 SULZER Medizinaltechnik AG Flächiges Implantat
FR2723700B1 (fr) 1994-08-16 1996-11-15 Marteau D Autry Eric Pipette pour distribuer des volumes successifs de liquide
DE9415847U1 (de) 1994-09-30 1994-12-08 Ritter, Ralf, 86150 Augsburg Repetierpipette
FI951766A0 (fi) * 1995-04-12 1995-04-12 Labsystems Oy Faspipett
US5614153A (en) * 1995-05-26 1997-03-25 Rainin Instrument Co., Inc. Pipette tip ejector
US5650124A (en) * 1995-07-24 1997-07-22 Gilson; Warren E. Adjustable pipette
US5849248A (en) * 1996-03-05 1998-12-15 Rainin Instrument Co., Inc. Adjustable volume pipette with improved volume adjustment lock mechanism
US5792424A (en) * 1996-03-05 1998-08-11 Rainin Instrument Co., Inc. Manual pipette with delayed-action home position latch
FI961649A0 (fi) * 1996-04-15 1996-04-15 Labsystems Oy Spaerrpipett
US5983733A (en) * 1996-11-15 1999-11-16 Hamilton Company Manual pipette
US5958343A (en) 1997-12-29 1999-09-28 Astle; Thomas W. Small volume pipettor
ES2207204T3 (es) * 1999-05-18 2004-05-16 Socorex Isba S.A. Pipeta con expulsor de terminales.
US6295880B1 (en) 1999-12-08 2001-10-02 Warren E. Gilson Adjustable pipette
US6532837B1 (en) * 2000-02-03 2003-03-18 Rainin Instrument, Llc Pipette device with tip ejector utilizing stored energy
FR2807340B1 (fr) 2000-04-07 2002-12-06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d'echantillons liquides a mecanisme d'ejecteur de cone
FR2807341B1 (fr) * 2000-04-07 2002-07-12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d'echantillons liquides a ejecteur demontable
FR2807343B1 (fr) 2000-04-07 2002-12-06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munie de moyens de reglage du volume a prelever
FR2807558B1 (fr) 2000-04-07 2004-04-02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munie de moyens d'affichage d'un parametre de la pipette
FR2807345B1 (fr) 2000-04-07 2002-07-12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a demontage simplifie
FR2807339B1 (fr) 2000-04-07 2002-12-13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d'echantillons liquides a ejecteur reglable
FI5089U1 (fi) * 2001-07-06 2001-09-28 Biohit Oyj Imulai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050A (en) * 1989-01-18 1990-10-23 Ballard Medical Products Adaptation of pipe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30552A (ja) 2003-10-14
EP1268071B1 (fr) 2008-06-18
CN1418130A (zh) 2003-05-14
KR20020093812A (ko) 2002-12-16
JP4255638B2 (ja) 2009-04-15
US20040028564A1 (en) 2004-02-12
DE60134463D1 (de) 2008-07-31
ATE398489T1 (de) 2008-07-15
MXPA02009877A (es) 2004-05-05
AU2001250456B2 (en) 2006-02-02
EP1268071A1 (fr) 2003-01-02
AU5045601A (en) 2001-10-23
FR2807342A1 (fr) 2001-10-12
CA2400681A1 (en) 2001-10-18
FR2807342B1 (fr) 2002-07-12
RU2002122737A (ru) 2004-08-27
CN1239266C (zh) 2006-02-01
WO2001076753A1 (fr) 2001-10-18
CA2400681C (en) 2009-01-13
DK1268071T3 (da) 2008-09-29
US7264779B2 (en) 200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3816C (en) Multi-channel pipetter
KR100718033B1 (ko) 콘 이젝터가 있는 피펫
EP0265028B1 (en) Multi-channel pipetter
US5151101A (en) System for disconnectably mounting an endoscope sheath with an endoscope tool
KR100687590B1 (ko) 분리식 이젝터를 구비한 액체 샘플 채취용 피펫
EP3191161B1 (en) Reinforcing slider for surgical hand tool
WO1991004793A1 (en) Pipetter device
EP0066465B1 (en) Biopsic forceps
US20040206784A1 (en) Modified frame style caulking gun
US20210267497A1 (en) Push-to-charge lancing device
JP2008012456A (ja) マイクロピペット装置
AU2006201347A1 (en) Pipette with tip ejector
WO2008060171A2 (en) An exchangeable pipette tip ejection device
JP6065291B2 (ja) ピペット先端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ピペット
JP7239162B2 (ja) 吸引具および分注装置
KR20230101749A (ko) 미세 세포 수확 장치
JP2000166935A (ja) 手術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0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