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751B1 - Secondary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7751B1 KR100717751B1 KR1020050127190A KR20050127190A KR100717751B1 KR 100717751 B1 KR100717751 B1 KR 100717751B1 KR 1020050127190 A KR1020050127190 A KR 1020050127190A KR 20050127190 A KR20050127190 A KR 20050127190A KR 100717751 B1 KR100717751 B1 KR 1007177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wall
- battery module
- secondary battery
- fix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격벽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단위 전지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격벽을 끼움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the unit battery to improve cooling efficiency and stably fix the partition wall,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the unit. It includes a fixing portion for fitting the neighboring partition wall with the battery in between.
이차 전지 모듈, 격벽, 고정 홈, 고정 돌기, 절곡부 Secondary battery module, bulkhead, fixing groove, fixing protrusion, ben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에서 Ⅳ-Ⅳ선을 따라 자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hargeable battery module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이 모터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전지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partition wall provided between unit cells.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셀을 수십 개 연결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is not rechargeable. Such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 computers, and camcorders in the case of low-capacity batteries in which one battery cell is packed in a pack form, and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batteries in units of battery packs in which dozens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t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motors of hybrid electric vehicles.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등의 형상이 있다.Th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shapes and square shapes.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차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Recently,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using a non-aqueous electrolyte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has been developed, and the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described above uses a secondary battery module when used for driv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Will be constructed.
이와 같은 이차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편의상 단우 l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진다.Such a secondary battery module is usual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ly batteries" for convenience).
상기 각각의 단위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Each unit cell includes a case having an electrode group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disposed therebetween and a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group is built,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to seal the unit.
여기서 캡 조립체는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에 걸쳐 배치되는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p assembly may include terminal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and disposed over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se.
상기 단위 전지가 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 단위 전지는 캡 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이웃하는 다른 단위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 상태에서, 외주면의 일부가 나사 가공된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 도전체의 연결구가 너트에 의해 설치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When the unit cell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unit cell ha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cap assembly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another neighboring unit cell. The connector of the conductor is installed on the screwed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by a nu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attery module.
여기서 상기한 전지 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 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 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각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상기 단위 전지가 전동 청소기 또는 전동 스쿠터나 자동차용(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의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한 열 방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module is configured to connect one to many dozens of unit cells to form a single battery module to be able to easily release the heat generated in each unit battery, in particular, the unit battery is an electric cleaner or When applied as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for motor driving of an electric scooter or an automobile (electric vehicle or hybrid electric vehicle), the above heat dissipation can be said to be important.
그 이유는 전지 모듈에 있어,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전지 모듈의 온도가 각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과도하게 상승되고, 그로 인해 이 전지 모듈이 적용된 기기의 오작동 발생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in the battery module, if the heat dissip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is excessively increased due to the heat generated in each unit cell, which causes a malfunction of the device to which the battery module is applied. to be.
또한, 종래에는 단위 전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이 단위 전지의 표면에 밀착되어 냉각 매체가 간접적으로 격벽을 통하여 단위 전지를 냉각하는 구조로 이차 전지 모듈이 이루어졌으나, 이는 상기 냉각 매체가 단위 전지에 직접 제공되어 냉각시키는 이차 전지 모듈의 구조보다 열전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unit cell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unit cell so that the cooling medium indirectly cools the unit battery through the partition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lower than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that is directly provided and cooled.
그리고 이차 전지 모듈이 설치된 기기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기기의 작동으로 진동이 발생하면, 단위 전지 또는 격벽이 이차 전지 모듈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단위 전지가 움직이면, 단위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와 전극 단자 사이에 접촉저항이 증가하며, 격벽이 움직이면 냉각 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device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installed or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he unit cell or the partition wall may flow 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When the unit cell moves, the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cells, and when the partition wall moves,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medium is disturbed and the cool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전지에 대한 냉각 성능이 향상되고, 격벽의 위치가 안 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module that can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for the unit cell,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can be fixed stably.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복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들, 및 상기 격벽들에 연결 설치되어 이 격벽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ells, partition walls disposed between the unit cells, and the partition walls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s to fix the positions of the partition walls. May include government.
상기 격벽은 상기 단위 전지를 감싸면서 이웃하는 격벽과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be fixed to the neighboring partition wall while surrounding the unit cell.
상기 고정부는 격벽에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격벽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wall and fit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neighboring partition wall.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고정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고정 돌기는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bent.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격벽의 모서리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e corner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격벽의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may be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서 굽어져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a bent portion formed at at least one edge.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격벽의 양단에 길게 이어져 형성되고, 이 절곡부에 상기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on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bent portion.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절곡부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ent portion.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단위 전지가 갖는 외부 단자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단위 전지의 측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unit battery in which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unit battery is not disposed.
상기 격벽은 그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위 전지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an edge thereof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nit cell.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절곡부가 직교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may be disposed in an orthogonal state.
상기 격벽은 냉각 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may include an opening for distributing a cooling medium.
상기 개구는 상기 격벽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단위 전지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nit cell may have a square shape.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일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module may be for driving a mo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은 복수 개의 단위 전지(11)와 상기 단위 전지들(11)의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 매체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격벽(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the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전지(11)로 각형의 단위 전지(11)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단위전지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각각의 단위 전지(11)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개재된 전극군을 케이스 내에 구비하여, 설정된 양의 전기를 충전과 방전하는 통상적인 구조의 이차전지로 이루어진다.Each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에는 상기 단위 전지들(11)을 이격시키면서,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로 냉각 매체가 유통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격벽(20)이 설치된다.A
적층 배열된 단위 전지(11)들의 최외측에는 상기 단위 전지(11)들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5)가 설치된다.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stacked
상기 엔드 플레이트들(15)는 이 엔드 플레이트들(15)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17)에 의해 서로 고정되면서 단위 전지들(11)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7)는 엔드 플레이트(15)에 형성된 체결공(15a)에 삽입되어 이 엔드 플레이트(15)에 연결 설치된다.The
이때, 체결공(15a)은 연결부재(17)의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된 이어(ear)(15b)에 형성된다. 연결부재(17)가 체결공(15a)에 삽입될 때, 이 연결부재(17)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7a)는 이어(15b)에 결려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너트(17b)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15a) is formed in the ear (15b)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end of the connecting
이를 위해 체결부재(17)의 타측 단부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으며 너트(17b)는 이 타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이어(15b)에 밀착되어 고정된다.To this end,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이와 같은 엔드 플레이트(15)와 연결부재(17)의 결합 구조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15)는 단위 전지(11)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20)의 표면에는 냉각 매체의 유통로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21)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21)는 격벽(20)의 내측으로 이어져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at least one
본 실시예에서 이 개구(21)는 복수로 형성되고, 그 양단은 격벽(20)의 양단에 배치되는 양 절곡부(23)에 형성된 홈(24)과 이어져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도 2에서는 상기 격벽(20)에 복수개의 개구(21)가 격벽(2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구(21)는 상기 격벽(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면 족하고, 그 형상 또한 어느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in FIG. 2, although 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위 전지(11)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20)에 격벽(20)을 가로지르는 개구(21)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21)를 통해서 냉각 매체가 유통될 수 있다. 또한 냉각 매체는 이웃하는 양측의 단위 전지(11)와 직접 접하여 상기 단위 전지들(11)을 냉각시킴으로써 단위 전지들(11)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21)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으며, 개구(21) 사이의 간격이 좁을 수록, 열전달 면적이 증가되어 열전달 효율은 더욱 향상되게 된다.A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
도 3을 통해 더욱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절곡부는 격벽(2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다.As can be further seen through FIG. 3, the bent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상기 절곡부(23)는 상기 단위 전지(11)에 설치된 외부 단자(12)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단위 전지(11)를 세웠을 때를 기준으로, 단위 전지(11)의 양쪽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20)의 대칭되는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여기 서 상기 절곡부(23)는 단위 전지(11)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W)을 갖는다. The
이에 의해 전지모듈(100)이 구성될 때, 상기 절곡부(23)의 단부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11)에 설치된 격벽(20)과 밀착되고, 양측 격벽(20)에 끼워진 단위 전지(11)는 안정적으로 고정된다.As a result, when the
그리고 상기 절곡부(23)의 단부에는 인접하는 격벽(20)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가 고정 돌기(25)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돌기(25)는 인접하는 격벽(20)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the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 이 고정 돌기(25)는 절곡부(23)의 양단에서 돌출되면서 격벽(20)의 안쪽을 향하여 굽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한편, 고정 돌기(25)를 대향한 격벽(20)의 일 면에는 고정 돌기(2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 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홈(26)은 절곡된 고정 돌기(25)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이 고정 돌기(2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꺽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facing the fixing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홈(26)은 격벽(20)의 모서리들이 만나는 4개 꼭지 부분에 형성된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또한, 상기 격벽(20)은 외부 단자(12)가 설치된 단위 전지(11)의 윗면과 상기 윗면의 반대측 면인 단위 전지(11)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2)는 절곡부(23)가 굽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 절곡부(23)에서 타측 절곡부(23)까지 길게 이어져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격벽(20)은 좌, 우 측면에서 단위 전지(11)를 지지하는 절곡부(23)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서 단위 전지(11)를 지지하는 지지부(22)가 형성되어 단위 전지(11)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20)은 격벽에 형성된 고정 돌기(25)가 인접하는 격벽(20)에 형성된 고정 홈(26)에 끼워져 서로 이웃하는 격벽에 형성된 격벽끼리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4, the
그리고 격벽(20)의 코너부에 형성된 4개의 고정 돌기(25)가 격벽(20)을 지지하여 격벽이 한쪽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격벽(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four fix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이 모터(7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operates us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 wireless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drives a motor of the device. It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에 유통로가 형성되고 유통로를 통 해서 냉각매체가 양측의 단위 전지와 모두 접하면서 냉각작용을 일으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cooling medium is in contact with both of the unit cells on both sides through the flow path, thereby generating a cooling action, thereby improving heat transfer efficiency.
그리고 격벽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nd since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can be simplified,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그리고 격벽에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형성되어 격벽이 전지 모듈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partition wall can be stably fixed in the battery module.
또한, 상기 격벽에 형성된 절곡부와 지지부가 단위 전지를 고정하여 단위 전지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to fix the unit cell can be fixed stably the position of the unit cell.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7190A KR100717751B1 (en) | 2005-12-21 | 2005-12-21 | Secondary battery module |
JP2006214532A JP2007048750A (en) | 2005-08-10 | 2006-08-07 | Battery module |
US11/501,603 US7981538B2 (en) | 2005-08-10 | 2006-08-08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ell barrier between unit cells |
CN2008101658446A CN101409373B (en) | 2005-08-10 | 2006-08-10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ell barrier between cells |
EP20060118731 EP1753058B1 (en) | 2005-08-10 | 2006-08-10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ell barrier between cells |
US13/110,864 US8268474B2 (en) | 2005-08-10 | 2011-05-18 | Battery module with cell barrier between unit cells and having bending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7190A KR100717751B1 (en) | 2005-12-21 | 2005-12-21 | Secondary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7751B1 true KR100717751B1 (en) | 2007-05-11 |
Family
ID=3827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7190A Active KR100717751B1 (en) | 2005-08-10 | 2005-12-21 | Secondary battery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7751B1 (en)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612B1 (en) * | 2008-06-30 | 2011-06-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containing battery cell assemblies with alignment-binding elements |
KR20120081014A (en) | 2011-01-10 | 2012-07-18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101218803B1 (en) * | 2011-12-06 | 2013-01-04 | (주)현태금형 | Cell module assembly |
KR101246291B1 (en) * | 2010-10-20 | 2013-03-21 |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 Battery pack with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
KR101262033B1 (en) | 2010-07-12 | 2013-05-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oling Member Having Improved Reliability to Cooling Design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KR101275487B1 (en) * | 2011-09-19 | 2013-06-17 | 세방전지(주) | Battery unit cell comprised in inserted case and battery module assembled at least one thereof |
KR101282519B1 (en) * | 2011-08-02 | 2013-07-04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Battery module |
KR101299393B1 (en) | 2011-09-19 | 2013-08-22 | 세방전지(주) | Battery unit cell comprised in engraved case and battery module assembled at least one thereof |
KR101476289B1 (en) * | 2011-01-26 | 2014-12-24 |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hovel |
US9023504B2 (en) | 2009-12-04 | 2015-05-05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spacer of secondary battery module |
US9203065B2 (en) | 2010-08-10 | 2015-12-01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
KR20160013759A (en) * | 2014-07-28 | 2016-02-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20180040922A (en) * | 2016-10-13 | 2018-04-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
2005
- 2005-12-21 KR KR1020050127190A patent/KR100717751B1/en active Active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612B1 (en) * | 2008-06-30 | 2011-06-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containing battery cell assemblies with alignment-binding elements |
US9023504B2 (en) | 2009-12-04 | 2015-05-05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spacer of secondary battery module |
KR101262033B1 (en) | 2010-07-12 | 2013-05-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oling Member Having Improved Reliability to Cooling Design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US9203065B2 (en) | 2010-08-10 | 2015-12-01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
KR101246291B1 (en) * | 2010-10-20 | 2013-03-21 |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 Battery pack with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
KR20120081014A (en) | 2011-01-10 | 2012-07-18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101708366B1 (en) * | 2011-01-10 | 2017-02-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US9356268B2 (en) | 2011-01-10 | 2016-05-31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
KR101476289B1 (en) * | 2011-01-26 | 2014-12-24 |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hovel |
US8535820B2 (en) | 2011-08-02 | 2013-09-1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
KR101282519B1 (en) * | 2011-08-02 | 2013-07-04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Battery module |
KR101299393B1 (en) | 2011-09-19 | 2013-08-22 | 세방전지(주) | Battery unit cell comprised in engraved case and battery module assembled at least one thereof |
KR101275487B1 (en) * | 2011-09-19 | 2013-06-17 | 세방전지(주) | Battery unit cell comprised in inserted case and battery module assembled at least one thereof |
KR101218803B1 (en) * | 2011-12-06 | 2013-01-04 | (주)현태금형 | Cell module assembly |
KR20160013759A (en) * | 2014-07-28 | 2016-02-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102378426B1 (en) * | 2014-07-28 | 2022-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20180040922A (en) * | 2016-10-13 | 2018-04-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102295371B1 (en) * | 2016-10-13 | 2021-08-3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1736B1 (en) | Battery Pack | |
KR101909215B1 (en) | Battery submodule carrier, battery submodule, battery system and vehicle | |
KR100649561B1 (en) | Cas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 |
US9203065B2 (en) | Battery module | |
JP2007048750A (en) | Battery module | |
EP2432045B1 (en) | Battery cartridge having elastic pres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cotaining the same | |
KR100949333B1 (en) | Battery module | |
CN103890997B (en) |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components | |
US9166260B2 (en) | Battery module | |
US7612526B2 (en) | Battery module having coupled cases of adjacent unit batteries | |
EP2853436B1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indirect air cooling structure | |
KR101282519B1 (en) | Battery module | |
US9219261B2 (en) | Battery pack | |
KR101252936B1 (en) | Battery pack | |
CN103891008A (en) |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to-large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ssembly | |
KR20120070274A (en) | Battery pack | |
KR100696669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717751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20120048262A (en) | Battery module | |
KR101609232B1 (en) | Battery Module Comprising Cartridge Having Coolant Flow Channel | |
KR20060037598A (en) | Battery module | |
KR20210042710A (en) | Bettery module | |
KR20070025735A (en) | Partition wall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1537000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0578889B1 (en) | Batter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