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7712B1 - 다양한 단말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엔브이오디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단말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엔브이오디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712B1
KR100717712B1 KR1020050105955A KR20050105955A KR100717712B1 KR 100717712 B1 KR100717712 B1 KR 100717712B1 KR 1020050105955 A KR1020050105955 A KR 1020050105955A KR 20050105955 A KR20050105955 A KR 20050105955A KR 100717712 B1 KR100717712 B1 KR 100717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data
bandwidth
video
divi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900A (ko
Inventor
정민성
박호현
박재화
강이철
정종렬
황재식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타임텍 주식회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타임텍 주식회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0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712B1/ko
Priority to US11/910,300 priority patent/US7941825B2/en
Priority to PCT/KR2006/004636 priority patent/WO2007066905A1/en
Priority to JP2008505244A priority patent/JP4779011B2/ja
Publication of KR2007004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7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near-video-on-deman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단말기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NVOD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NVOD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의 재생대역폭에 대한 단말기의 상대적인 네트워크 대역폭(m)을 확인하는 대역폭 확인단계;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함에 있어서, 분할크기를 상기 m에 따라 분할서열별로 다르게 분할하는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에서 분할된 데이터를 다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단말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엔브이오디 서비스방법{Efficient NVOD service methods for various client environments}
도 1은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에 따른 서비스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방법의 실시결과를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공간이 충분한 경우 Fast Broadcasting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방법의 실시결과를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공간이 제한된 경우 Skyscraper Broadcasting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단말기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NVOD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년간 네트워크 환경은 HFC, xDSL, FTTH과 같이 빠른 전송속도를 갖게 되었다. 국내의 광대역통합망(BcN)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은 광대역화 되어가고 있고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로 광대역의 차세대 네트워크망이 갖춰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802.11, 위성방송, DMB, WiBro 등 다양한 무선 환경이 생겨나고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성이 요구되는 소형단말기들과 기존의 PC, TV등 고성능의 단말기들이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네트워크가 광대역화된다고 인기 있는 비디오를 동시에 수십만 또는 수백만 명에게 RVOD로 서비스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 NVOD서비스를 해야 한다.
종래 NVOD서비스 방법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가. Staggered Broadcasting
RVOD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엄청난 서버의 대역폭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NVoD서비스 방법들이 생각되었다. 그 중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NVOD서비스 방법은 Staggered Broadcasting이다. 이 방법은 전체 비디오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채널을 통해 전송하여 다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120분 길이의 비디오를 12개의 채널을 통해 전송하면 각 채널의 시간 간격은 10분이 되므로 대기시간(Access latency)는 10분이 된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단말기기에 저장공간이 필요 없다는 점이고 단점은 서버의 대역폭에 비해 너무 큰 대기시간을 갖는다는 점이다.
나. Pyramid Broadcasting(PB)
이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해서 전송한 최초의 방법이다. 비디오 데이터를 여러 부분으로 분할하고 여러 채널을 이용하여 분할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약 비디오를 k개로 분할하였다면 k개의 채널이 필요하게 된다. 데이터조각의 크 기는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1
(i=1, 2, 3…k)이고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2
이다.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3
를 2라고 하면 1, 2, 4, 8, 16, 32...의 비율로 데이터를 분할하고 k개의 채널에 각 데이터 조각들은 반복하여 전송한다. 사용자는 각 채널을 순서대로 이동해가면서 전송받는다. 예를 들어 120분 길이의 비디오를 12b(b:비디오의 재생 비트율)의 채널로 전송할 경우 대기시간은 1분 이내로 줄어들게 된다. 이는 staggered broadcasting에 비해 90%이상의 대기시간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말은 바꿔 생각하면 같은 대기시간을 가질 경우 상당히 작은 대역이 필요하다는 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비디오의 50%이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그리고 단말기은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4
의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
다. Skyscraper Broadcasting(SB)
이 방법의 특징은 제한된 저장 공간을 갖는 단말기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가능하다는 점이다. 이 방법은 Pyramid Broadcasting과 같이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해서 여러 채널을 통해 전송을 하지만 1, 2 ,2 ,5 ,5 ,12 ,12 ,25 ,25 ,52 ,52...의 비율로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함으로써 서버 대역폭 효율을 높였다. 그리고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은 2b만을 필요로 한다. 이 방법은 채널의 효율이 낮으며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이 높아질 경우 더욱 효율이 낮아진다.
라. Harmonic Broadcasting(HB)
이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를 균등하게 분할하고 처음부터 동시에 모든 조각들을 다운로드 한다. 조각들은 자신이 재생되기 전까지만 다운로드 되면 되기 때문 에 i번째 조각은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5
의 대역폭으로 전송된다. 이 방법은 서버측면에서 좋은 효율을 보여주지만 단말기에서 모든 채널의 데이터를 동시에 다운로드 받아야 하기 때문에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단말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비디오의 길이가 길수록 논리채널의 수가 엄청나게 증가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복잡도가 너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마. Fast Broadcasting(FB)
이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를 동일한 크기로 자른 후 각 채널에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6
개의 분할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채널에는 하나의 첫 번째 분할, 두 번째 채널에는 그 다음 두 개의 분할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은 모든 채널에서 동시에 전송을 받는다. 위의 어떤 방법들보다 채널에 담기는 데이터양이 다음 채널로 갈수록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적은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방법 역시 단말기의 저장 공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이 제한이 없을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단말기 환경에서는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바. Fibonacci Pyramid Broadcasting(FPB)
이 방법은 Skyscraper broadcasting과 같이 단말기은 2b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갖고있지만 보다 나은 분할 방법을 제시한다. 비디오데이터를 1, 2, 3, 5, 8, 13, 21...로 fibonacci수열의 비율로 분할한다. Skyscraper broadcasting보다 수열이 더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같은 길이의 비디오를 더 적은 수의 채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반복전송주기가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7
으로 증가하면서 3번째 이후 채널의 반복전송주기가 데이터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재생시 끊김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상 상술한 NVOD 서비스방법들은 단말기에 많은 저장 공간을 요구하거나, 서버에 큰 네트워크 대역폭을 사용하게 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들은 소형화되고 저장 공간이 적은 단말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BcN과 같이 다양한 단말기환경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NVOD서비스 방법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광대역화되고 있는 네트워크 환경과 VOD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기들이 용도나 취향에 따라 다양화되면서, 광대역통합망에서 다양한 단말기의 저장공간과 네트워크 전송률에 적응가능하고,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서버에 필요한 전송대역폭 및 대기시간을 줄이며, 상기 대역폭과 저장공간이 제한된 단말기에서도 사용가능한 NVOD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영상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NVOD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의 재생대역폭에 대한 단말기의 상대적인 네트워크 대역폭(m)을 확인하는 대역폭 확인단계;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함에 있어서, 분할크기를 상기 m에 따라 분할서열별로 다르게 분할하는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에서 분할된 데이터를 다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NVOD 서비스 방법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NVOD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에서 데이터의 분할크기를 제한하는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8
)의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최대값 확인단계; 및
상기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09
)의 설정이 확인될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에서 해당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크기가 상기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0
)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비디오 데이터 분할크기 제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NVOD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는
분할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각 채널에서, 상기 데이터의 반복전송주기를 그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일치시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NVOD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의 전송 대역폭을 줄일 수 있도록, 마지막 분할서열의 실제 데이터 크기에 해당 채널의 대역폭을 일치시키면서 그 반복전송주기는 설정된 상기 채널의 반복전송주기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NVOD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는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1
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가 서열별로 분할되되, 'n'은 서열번호이고, '
Figure 112007000766976-pat00012
'은 n 번째 데이터의 분할크기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NVOD서비스 방법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와 더불어, 대기시간 w(단위 ; sec), 단말기의 상대적인 네트워크 대역폭 m, 그리고 단말기의 저장공간의 최대크기
Figure 112007000766976-pat00013
(단위 ; MB)가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서버에 필요한 전송대역폭 B(단위 ; Mbps)를 작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서, 'm'은 비디오의 재생 대역폭(단위:Mbps)에 대한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의 상대적 크기로, 비디오 재생대역폭이 1Mbps에서 단말의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이 2Mbps이면 상기 'm'은 '2'가 된다.
한편, 서버에 필요한 전송대역폭(B)과 대기시간(w)은 상호 반비례적인 관계에 있다.
상기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4
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크기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임의로 그 값을 한정할 경우, 한정된 값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방법을 실시할 경우, 해당 단말기가 최적화된 상태로 동작하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그 값을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비디오의 분할방법 및 채널할당 방법은 단말기의 최대 저장공간(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5
)과 네트워크 대역폭 m(단말기의 상대적인 대역폭)×b(비디오의 재생 대역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부분으로 나뉜다.
i) 단말기가 동시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처음 m개의 분할 방법이다. 이전에 연구되었던 방법 중 효율이 좋았던 Fast Broadcasting과 같은 방법으로 분할한다. 즉,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6
의 크기로 분할하는 것이다.
도 1은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에 따른 서비스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위의 경우는 m=2이기 때문에 두 번째 분할까지, 아래의 경우는 m=3이기 때문에 세 번째 분할까지 이 방법을 따른다.
ii) m번째 채널 이후의 채널들을 위한 분할 방법이다. 동시에 다운로드 받고 있는 m개의 채널 중에 첫 번째 부분의 전송이 끝나면 뒤의 새로운 채널에서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m=2인 경우, 도 1을 보면 첫 번째 조각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세 번째 조각의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각 조각들은 자신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점에 다운로드를 완료해야 한다. 도 1의 경우 m=2이므로 1, 2, 3, 5, 8...의 fibonacci 수열의 형태를 띠게 된다. 하지만 앞서 이야기했던 Fibonacci PB에서와 달리 분할된 데이터의 재생길이와 반복전송주기를 같게 함으로써 재생시 끊김 현상을 방지하였다. 즉, 반복전송주기와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크기를 일치시키는 것이다.
한편, m이 큰 단말기, 예를 들어 m=3인 경우는 1,2,4,7,13...과 같이 더 좋은 효율로 분할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m개의 채널을 모두 활용하여 더 급격하게 증가하는 수열로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하고 서버에 필요한 대역폭 B를 줄일 수 있다.
iii) 분할의 크기가 증가하다가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7
보다 커지면 그 분할부터는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8
와 같은 크기로 분할해서 전송한다. 따라서 제한된 단말기환경에도 적용이 가능해진다.
iv) 비디오 데이터의 마지막 부분에 데이터가 얼마 남지 않았다면 그 부분은 적은 데이터를 큰 주기로 전송함으로써 서버 대역폭 B를 줄일 수 있다.
위 i), ii), iii)은 비디오 분할에 관한 방법이고, iv)는 마지막 채널의 대역폭에 관련된 것이다. 비디오 분할에 관련된 방법들을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63924890-pat00019
… (1)
상기
Figure 112005063924890-pat00020
는 분할된 비디오 데이터 크기의 최대값을 한정한 것으로, 이는 작업자가 단말기의 재원과 통신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Figure 112005063924890-pat00021
가 결정되면 분할된 비디오 데이터는
Figure 112005063924890-pat00022
이상을 넘지 않게 된다.
도 1에서 50w 길이의 비디오를 m이 2인 환경과 3인 환경에 따른 서비스의 예를 보여준다. m이 2인 경우 수식(1)에 따라 1, 2, 3, 5, 8, 13, 21로 분할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1, 2, 3, 5, 8, 13, 21'의 '1'은 서열번호(단순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의미함) '1', '2'는 서열번호 '2', '3'은 서열번호 '3', '5'는 서열번호 '4', '8'은 서열번호 '5', '13'은 서열번호 '6', '21'은 서열번호 '7'인데, 'm'이 '2'이므로, 서열번호 '1' 및 '2'의 결과는 수식(1)의
Figure 112007000766976-pat00042
를 적용하여 그 결과를 얻고, 서열번호 '3' 내지 '7'은 수식(2)의
Figure 112007000766976-pat00043
를 적용하여 그 결과를 얻는다.
한편, 전체 비디오의 길이가 50w이므로 마지막 분할은 21
Figure 112007000766976-pat00023
이 아닌 18
Figure 112007000766976-pat00024
로 분할이 된다. 그리고 18
Figure 112007000766976-pat00025
크기의 데이터가 21w 시간동안 전송이 되면 되므로 7번째 채널은
Figure 112007000766976-pat00026
의 채널크기가 필요하므로 B=6.86b가 된다.
m이 3인 경우 역시 수식(1)에 따라 1, 2, 4, 7, 13, 24로 분할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체 비디오의 길이가 50w이므로 마지막 분할은 23
Figure 112007000766976-pat00027
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서열번호 '1' 내지 '3'의 결과는 수식(1)의
Figure 112007000766976-pat00044
를 적용하여 그 결과를 얻고, 서열번호 '4' 내지 '6'은 수식(2)의
Figure 112007000766976-pat00045
를 적용하여 그 결과를 얻는다. 결국, 23
Figure 112007000766976-pat00028
크기의 데이터가 24w 시간동안 전송되면 되므로 6번째 채널은
Figure 112007000766976-pat00029
의 채널크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B=5.96b가 된다.
단말기의 대역폭이 2b에서 3b로 증가해서 서버의 채널효율이 13%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단말기의 대역폭이 크면 클수록 더 좋은 효율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분할 및 채널할당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방법의 실시결과를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공간이 충분한 경우 Fast Broadcasting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방법의 실시결과를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공간이 제한된 경우 Skyscraper Broadcasting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서버와 단말기의 어떠한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연구되었던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가정하고 이론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공간이 충분한 경우 이전에 연구되었던 방법 중 Fast Broadcasting이 좋은 성능을 보이므로 Fast Broadcasting과 비교하였다. 이때, 비디오의 재생길이가 120분이라고 가정하고 실험하였다
도 3에 대기시간에 따른 필요한 서버의 대역폭을 나타내었다. Fast Broadcasting은 b의 정수배의 채널을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FleXible Broadcasting은 마지막 조각을 낮은 대역폭으로 전송해서 서버에 필요한 대역폭 B를 감소시켰다.
한편, 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이 제한된 경우, 이전에 연구되었던 방법 중 적용할 수 있는 것은 Pyramid Broadcasting, Skyscraper Broadcasting, Fibonacci PB 등이 있는데, Fibonacci PB는 재생시 끊김이 발생할 수 있고 Skyscraper Broadcasting이 Pyramid Broadcasting보다 더 좋은 효율을 보여주므로 Skyscraper Broadcasting과 FleXible Broadcasting을 비교하였다.
위의 분석과 같이 비디오가 길이가 120분이라고 가정하고 실험하였다. m=2인 경우도 Skyscraper Broadcasting보다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m이 증가함에 따라 더 좋은 효율을 보여주고 있다.
단말기이 제한된 저장 공간을 갖는 경우, Skyscraper Broadcasting에서와 같이 뒷부분의 조각들을
Figure 112005063924890-pat00030
로 제한함으로써 제한된 저장공간을 갖는 장치를 위해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 경우 Skyscraper Broadcasting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도 3에서 보이는 정도의 효과만 나타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은 이하의 과정을 통해 실시된다.
S10 ; 비디오의 재생대역폭에 대한 단말기의 상대적인 네트워크 대역폭(m) 확인단계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은 비디오의 재생 대역폭에 대한 단말기의 상대적인 네트워크 대역폭의 크기인 'm'을 기준으로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크기를 결정하므로, 해당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상기 m 값을 확인해야 한다.
상기 m 값은 단말기에 따라 다르므로,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은 어떠한 통신환경에서도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S20 ;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함에 있어서, 분할크기를 상기 m에 따라 분할서열별로 다르게 분할하는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다수의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러한 방식을 위해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가 다수개로 분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수식(1)이 적용된다.
상기 수식(1)을 통한 분할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예시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m 값은 단말기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 기 m 값이 2 내지 4 경우에 대해 각각 예시를 들겠다. 한편, m 값이 2와 3의 경우에는 도 1에서 상세히 도시되므로 이를 참조할 수 있다.
1) m=2
분할되어야 할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L)가 50w인 상황에서, 상기 m 값이 2이면, 첫번째 분할서열과 두번째 분할서열은 상기 수식(1)의 첫번째 정의가 적용된다.
따라서, 첫번째 분할서열과 두번째 분할서열은 각각 1w과 2w가 된다.
계속해서, 세번째 분할서열부터는 상기 수식(1)의 두번째 정의가 적용된다.
따라서, 세번째 이후의 분할서열부터는 각각 순서대로 3w, 5w, 8w, 13w, 21w...이 된다.
그런데, 해당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L)가 50w이므로, 일곱번째 분할서열인 21w까지만 분할하면 된다. 한편, 일곱번째 분할서열의 데이터 크기는 21w에 못 미치는 18w가 된다.
2) m=3
분할되어야 할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L)가 50w인 상황에서, 상기 m 값이 3이면, 첫번째 분할서열과 두번째 분할서열 및 세번째 분할서열은 상기 수식(1)의 첫번째 정의가 적용된다.
따라서, 첫번째 분할서열, 두번째 분할서열 및 세번째 분할서열은 각각 1w, 2w 및 4w가 된다.
계속해서, 네번째 분할서열부터는 상기 수식(1)의 두번째 정의가 적용된다.
따라서, 네번째 이후의 분할서열부터는 각각 순서대로 7w, 13w, 24w, 44w, 81w...이 된다.
그런데, 해당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L)가 50w이므로, 여섯번째 분할서열인 24w까지만 분할하면 된다. 한편, 여섯번째 분할서열의 데이터 크기는 24w에 못 미치는 23w가 된다.
3) m=4
분할되어야 할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L)가 50w인 상황에서, 상기 m 값이 4이면, 첫번째 분할서열 내지 네번째 분할서열은 상기 수식(1)의 첫번째 정의가 적용된다.
따라서, 첫번째 분할서열 내지 네번째 분할서열은 각각 1w, 2w, 4w 및 8w가 된다.
계속해서, 다섯번째 분할서열부터는 상기 수식(1)의 두번째 정의가 적용된다.
따라서, 다섯번째 이후의 분할서열부터는 각각 순서대로 15w, 29w, 56w, 108w, 208w...이 된다.
그런데, 해당 비디오 데이터의 길이(L)가 50w이므로, 여섯번째 분할서열인 29w까지만 분할하면 된다. 한편, 여섯번째 분할서열의 데이터 크기는 29w에 못 미치는 20w가 된다.
S30 ;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크기 제한 확인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는 분할서열에 따라 그 양이 증가한다. 따 라서, 비교적 큰 데이터량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 경우에는 뒤쪽 분할서열로 갈수록 그 크기가 커진다. 그런데, 해당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이 분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다면 문제가 될 것이다. 또한, 통신환경과 시스템 작동의 최적화를 위해 일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량을 한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크기가 제한되도록 셋팅되면, 분할된 비디오 데이터가 수식(1)에 따라 상기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31
)을 초과하더라도, 분할크기가 제한된 상기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32
)으로 그 크기가 한정된다.
물론, 상기 최대값이 설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식(1)에 따라 크기의 제한없이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한다.
S40 ; 분할된 비디오 데이터를 다수 채널을 통해 전송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에 따라 분할된 비디오 데이터는 단말기로 전송되기 위해 분할된 개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설정되며, 상기 채널들을 통해 분할된 비디오 데이터가 개별 전송된다.
이때, 채널별 데이터의 반복전송주기를 해당 채널 내 데이터의 재생길이와 일치시킴으로서, 재생 시 끊김 현상을 최소화시켰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이 적용되어 비디 오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분할되더라도, 마지막 분할서열의 실제 데이터 크기는 본 발명에 따라 설정된 분할크기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에서는 해당 채널크기를 분할된 실제 데이터 크기로 일치시킴으로서, 서버에 필요한 전송 대역폭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버의 채널효율을 개선시킨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VOD 서비스 방법에 의한 비디오 데이터 전송이 종래 방법에 비해 채널 및 대기시간이 개선되었음을 보인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BCN에서와 같은 다양한 통신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서버의 전송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편, 저장공간이 작은 단말기도 원활한 비디오 데이터 수신을 가능하게 하여, 통합적인 NVOD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Claims (5)

  1. 동영상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NVOD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의 재생대역폭에 대한 단말기의 상대적인 네트워크 대역폭(m)을 확인하는 대역폭 확인단계;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함에 있어서, 분할크기를 상기 m에 따라 분할서열별로 다르게 분할하는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에서 분할된 데이터를 다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VOD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에서 데이터의 분할크기를 제한하는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33
    )의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최대값 확인단계; 및
    상기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34
    )의 설정이 확인될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에서 해당 비디오 데이터의 분할크기가 상기 최대값(
    Figure 112005063924890-pat00035
    )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비디오 데이터 분할크기 제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VOD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는
    분할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각 채널에서, 상기 데이터의 반복전송주기를 그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일치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VOD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서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의 전송 대역폭을 줄일 수 있도록, 마지막 분할서열의 실제 데이터 크기에 해당 채널의 대역폭을 일치시키면서 그 반복전송주기는 설정된 상기 채널의 반복전송주기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VOD 서비스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분할단계는
    Figure 112007000766976-pat00036
    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가 서열별로 분할되되, 'n'은 서열번호이고, '
    Figure 112007000766976-pat00037
    '은 n 번째 데이터의 분할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VOD 서비스 방법.
KR1020050105955A 2005-11-07 2005-11-07 다양한 단말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엔브이오디 서비스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17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55A KR100717712B1 (ko) 2005-11-07 2005-11-07 다양한 단말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엔브이오디 서비스방법
US11/910,300 US7941825B2 (en) 2005-11-07 2006-11-07 Efficient NVOD service method for various client environments and apparatus there-for
PCT/KR2006/004636 WO2007066905A1 (en) 2005-11-07 2006-11-07 Efficient nvod service method for various client environments and apparatus there-for
JP2008505244A JP4779011B2 (ja) 2005-11-07 2006-11-07 多様な端末機環境に対する效果的なnvod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55A KR100717712B1 (ko) 2005-11-07 2005-11-07 다양한 단말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엔브이오디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900A KR20070048900A (ko) 2007-05-10
KR100717712B1 true KR100717712B1 (ko) 2007-05-11

Family

ID=3812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9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7712B1 (ko) 2005-11-07 2005-11-07 다양한 단말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엔브이오디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41825B2 (ko)
JP (1) JP4779011B2 (ko)
KR (1) KR100717712B1 (ko)
WO (1) WO2007066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10441T1 (de) * 2007-08-09 2011-06-15 Nokia Siemens Networks Oy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kommunikationsstation, kommunikationsnetzwerk und kommunikationsverfahren
ES2342642B1 (es) * 2007-12-21 2011-04-27 Universidad De Vigo Metodo y sistema de transmision de contenidos digitales con servicio casi bajo demanda y correccion implicita de errores.
EP2101497A1 (en) * 2008-03-12 2009-09-1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image in a wireless network
KR100947980B1 (ko) * 2008-06-13 2010-03-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비디오 데이터 제공 방법
KR101104164B1 (ko) * 2009-09-21 2012-01-13 애니포인트 미디어 그룹 Bd―j규격을 지원하는 재생 장치를 위한 순차적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895671B2 (ja) 2012-03-30 2016-03-3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KR20150093153A (ko) * 2012-10-18 2015-08-17 지래픽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통신 링크 처리량을 동적으로 최대화하기 위한 혼잡 제어 방법
US9356981B2 (en) * 2012-11-29 2016-05-31 Broadcom Corporation Streaming content over a network
JP6242089B2 (ja) * 2013-06-11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82149A (ja) * 2013-10-21 2015-04-27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9807474B2 (en) 2013-11-15 2017-10-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lapsed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CN112104897B (zh) * 2020-11-04 2021-03-1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获取方法、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405A (ko) * 1999-03-26 2000-10-16 조정남 비트율-왜곡 특성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분할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893A (en) * 1994-08-03 1998-06-09 Matsushita Electrical Co. Ltd. Video-on-demand system uses adjusting positions of slots in a slot table to address additional image data distribution request from terminal devices
US5594491A (en) 1995-12-29 1997-01-14 Vxl/Hcr Technology Corporation Near-video-on-demand digital video distribution system utilizing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s
US5936659A (en) * 1996-01-31 1999-08-10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for video delivery using pyramid broadcasting
US6502139B1 (en) * 1999-06-01 2002-12-31 Tech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Ltd. System for optimizing video on demand transmission by partitioning video program into multiple segments, decreasing transmission rate for successive segments and repeatedly, simultaneously transmission
US7143431B1 (en) * 1999-08-06 2006-11-2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for reduced bandwidth for on-demand data streaming using mini-clusters
EP1470715A4 (en) * 2001-12-28 2010-11-17 Pegasus Dev Corp BROADBAND-DIRECT-TO-HOME-RUNDSENDESATELLITEN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1570667B1 (en) * 2002-12-06 2007-03-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oint service injection in a broadcas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405A (ko) * 1999-03-26 2000-10-16 조정남 비트율-왜곡 특성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분할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900A (ko) 2007-05-10
US20090217331A1 (en) 2009-08-27
WO2007066905A1 (en) 2007-06-14
US7941825B2 (en) 2011-05-10
JP2008535441A (ja) 2008-08-28
JP4779011B2 (ja)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9011B2 (ja) 多様な端末機環境に対する效果的なnvod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装置
CN103024456B (zh) 一种在线视频播放方法及视频播放服务器
EP1483914B1 (en) Multicasting of interactive data
EA200201286A1 (ru) Передача не 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на конкретного клиента "данных по требованию" по каналам тв вещания
WO2002039646A3 (en) An improve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database management
JP2005006339A5 (ko)
CN111954028B (zh) 音频数据的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592318B (zh) 一种实现hls频道回看业务的系统、设备和方法
JP2001245272A (ja) 通信プロトコル方法、オブジェクトカルーセル及びサーバ装置
Carter et al. A dynamic heuristic broadcasting protocol for video-on-demand
CN102577198A (zh) 信道信息压缩装置和方法、信道信息解压缩装置和方法、接收机、以及发送机
EP2230784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r Mehrzahl von Informationssignalen in einem flexiblen Zeitmultiplex
KR100851397B1 (ko) 부분 분할 방송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JP2006509454A5 (ko)
KR100896726B1 (ko) 부분 계단형 분할 패칭 방식을 이용한 유사 주문형 비디오전송방법
CN102917277B (zh) 一种使用广播实现点播的内容分片分配方法
KR100897835B1 (ko) 부분분할 패칭 방식을 이용한 유사 주문형 비디오 전송방법
US88393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Samouylov et al. Modelling and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cast file repair in 3GPP LTE networks
CN101729173A (zh) 一种基于地面移动多媒体广播系统的文件轮播方法
WO2002086673A3 (en) Transmission of delayed access client data and demand
US20020056127A1 (en) Video, audio and data on demand
KR101056161B1 (ko) 전송된 정보와 결합된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121408A (ko) 부분 계단형 분할 방송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Evans et al. Optimally scheduling video-on-demand to minimize delay when sender and receiver bandwidth may dif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205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5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