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834B1 -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6834B1 KR100716834B1 KR1020050065007A KR20050065007A KR100716834B1 KR 100716834 B1 KR100716834 B1 KR 100716834B1 KR 1020050065007 A KR1020050065007 A KR 1020050065007A KR 20050065007 A KR20050065007 A KR 20050065007A KR 100716834 B1 KR100716834 B1 KR 100716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character
- recognition
- movement
- tre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3—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number of classes
- G06F18/24323—Tree-organised classifi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Depth 1 | Depth 2 | Depth 3 | Depth 4 | Depth 5 | 출 력 |
U_DOWN U_DOWN U_DOWN U_DOWN | HOLD L_CIRCLE L_RIGHT L_RIGHT | L_RIGHT D_UP U_DOWN | U_DOWN | 1 5 4 7 | |
L_CIRCLE L_CIRCLE | L_CIRCLE L_RIGHT | 3 2 | |||
RD_DIAG | L_CIRCLE | 0 | |||
R_CIRCLE | R_CIRCLE | 6 | |||
L_RIGHT L_RIGHT | R_CIRCLE R_CIRCLE | R_LEFT U_DOWN | L_CIRCLE | 8 9 |
Depth 1 | Depth 2 | Depth 3 | Depth 4 | Depth 5 | 출 력 |
RD_DIAG R_LEFT L_CIRCLE | L_CIRCLE L_CIRCLE HOLD | HOLD HOLD | 0 0 0 | ||
RU_DIAG | HOLD | 1 | |||
RD_DIAG | L_CIRCLE | L_RIGHT | 2 | ||
RD_DIAG L_RIGHT | L_CIRCLE RU_DIAG | L_CIRCLE L_CIRCLE | 3 3 | ||
RU_DIAG RU_DIAG | L_RIGHT L_RIGHT | D_UP RD_DIAG | U_DOWN U_DOWN | 4 | |
U_DOWN | L_CIRCLE | D_UP | L_RIGHT | 5 | |
U_DOWN RU_DIAG | R_CIRCLE L_RIGHT | R_CIRCLE | 6 6 | ||
L_RIGHT | RU_DIAG | 7 | |||
L_CIRCLE | R_LEFT | L_CIRCLE | 8 | ||
L_CIRCLE | U_DOWN | 9 |
Claims (16)
- 임의의 공간에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기기가 이동되는 위치를 감지하고, 그 기기 위치 변화에 따른 3축 방향으로의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해 주는 가속도 감지부와;각 문자 인식에 필요한 정량화된 패턴 요소로 구성된 패턴 트리들을 저장하고 있는 패턴 트리 저장부와;상기 가속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임 방향 및 위치 변화에 대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 후에 이를 상기 패턴 트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 트리와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문자 패턴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패턴 분석부와;상기 동작 패턴 분석부에 의해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것으로 인식된 패턴 정보가 저장되는 인식 패턴 메모리부와;상기 동작 패턴 분석부로부터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이 완료되었음이 보고되는 경우 상기 인식 패턴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식 패턴 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움직임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그 문자 인식 결과를 출력해 주는 인식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속도 감지부는, 3차원 축 방향 가속도 감지가 가능한 마이크로 자이로스코프 센서나 3축 가속도 센서 또는 지가기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패턴 트리 저장부는, 각 문자를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정량화된 패턴 요소들이 각 문자별로 소정의 깊이(Depth)로 연결되어 있는 패턴 트리를 저장하되, 각 문자 인식의 골격이 되는 기본 패턴 트리와, 개인마다 다른 필체를 인식하기 위한 각 문자 인식의 보조 요소가 되는 보조 패턴 트리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기본 패턴 트리와 보조 패턴 트리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UP_DOWN' 패턴,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DOWN_UP' 패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LEFT_RIGHT' 패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LEFT' 패턴, 왼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LEFT_CIRCLE' 패턴, 오른쪽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CIRCLE' 패턴,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 방향으로 대각선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UP_DIAGONAL' 패턴,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 방향으로 대각선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DOWN_DIAGONAL' 패턴,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를 의미하는 'HOLD'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패턴 분석부는, 문자 인식 모드로 진입한 후에 첫번째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순서대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을 패턴 트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 및 확장 패턴 트리의 대응하는 깊이의 패턴 요소와 차례로 비교하여 그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정보를 인식 패턴 메모리에 차례대로 입력하는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패턴 분석부는,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순서대로 그 움직임 패턴과 서로 일치하는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의 마지막 패턴 요소까지 패턴 비교를 수행하여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을 완료한 경우 이를 인식 결과 출력부로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패턴 분석부는, 상기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이 완료되었음을 인식 결과 출력부로 보고한 후에도 문자 인식 모드가 해제되지 않고 일정시간 사용자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를 의미하는 'HOLD'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연속적인 문자 입력으로 인지하여 상기 'HOLD' 패턴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문자 입력을 위한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인식 결과 출력부는, 동작 패턴 분석부로부터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 완료가 보고된 후에도 문자 인식 모드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연속적인 문자 입력으로 인지하여 해당되는 문자 패턴 인식 완료가 보고될 때마다 문자 인식 결과를 버퍼에 차례로 저장하였다가 문자 인식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저장된 연속적인 문자 인식 결과를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인식 결과 출력부는, 상기 문자 인식 결과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거나, 특정 기능 선택 또는 정보 접근을 위한 입력 키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 기기 위치 변화에 따른 3차원 가속도 감지가 가능한 가속도 감지 수단이 구현된 기기에서의 문자 인식 방법에 있어서,문자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가속도 감지 수단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 동작에 따라 위치 이동되는 기기 위치 변화에 따른 3축 방향에 대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과;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임 방향 및 위치 변화에 대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 후에 이를 정량화된 패턴 요소들로 구성된 패턴 트리와 비교하여 상기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상기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이 완료되는 경우 현재까지 인식된 패턴 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움직임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한 후에 그 문자 인식 결과를 출력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첫번째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순서대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을 기설정된 기본 및 확장 패턴 트리의 대응하는 깊이의 패턴 요소와 차례로 비교하여 그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정보를 인식 패턴 메모리에 차례대로 입력하여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상기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순서대로 그 움직임 패턴과 서로 일치하는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의 마지막 패턴 요소까지 패턴 비교를 수행하여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을 완료한 경우 그 문자 패턴 인식 완료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문자 인식 모드로 진입한 후에 가속도 감지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임 방향 및 위치 변화에 대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와;상기 움직임 패턴을 감지한 후에 그 움직임 패턴을 기설정된 기본 및 확장 패턴 트리의 최상위 깊이의 패턴 요소들과 비교하여 그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최상위 깊이의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를 검출하는 단계와;상기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최상위 깊이의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를 검출한 후에 상기 감지된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정보를 인식 패턴 메모리부에 입력하는 단계와;상기 인식 패턴 정보를 인식 패턴 메모리부에 입력한 후에 가속도 감지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다음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와;상기 현재 감지된 움직임 패턴을 이전에 감지된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의 다음 깊이의 패턴 요소와 비교하여 현재 감지된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현재 감지된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가 존재하는 경우 그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정보를 인식 패턴 메모리부에 입력하는 단계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현재 감지된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요소를 갖는 패턴 트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되는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정보를 인식 패턴 메모리부에 입력한 후에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 반의 문자 인식 방법.
-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기본 및 확장 패턴 트리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UP_DOWN' 패턴,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DOWN_UP' 패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LEFT_RIGHT' 패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직선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LEFT' 패턴, 왼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LEFT_CIRCLE' 패턴, 오른쪽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CIRCLE' 패턴,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 방향으로 대각선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UP_DIAGONAL' 패턴,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 방향으로 대각선을 그리는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RIGHT_DOWN_DIAGONAL' 패턴,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를 의미하는 'HOLD'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이 완료된 후에도 문자 인식 모드가 해제되지 않고, 가속도 감지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한 결과 일정시간 사용자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를 의미하는 'HOLD'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연속적인 문자 입력으로 인지하여 현재까지 인식된 패턴 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움직임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한 후에 그 문자 인식 결과를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과;상기 'HOLD' 패턴을 감지한 이후에 첫번째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순서대로 감지되는 움직임 패턴을 기본 및 확장 패턴 트리의 대응하는 깊이의 패턴 요소와 차례로 비교하여 그 움직임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 정보를 인식 패턴 메모리에 차례대로 입력하는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인식 패턴 메모리부에 저장된 패턴 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움직임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한 후에 그 문자 인식 결과를 버퍼에 차례로 저장하고, 문자 인식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버퍼에 저장된 문자들을 연속적인 문자 인식 결과로 출력해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문자 인식 결과를 출력해 주는 과정은, 일련의 문자 패턴 인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문자 패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인식 패턴 메모리부에 차례로 저장된 인식 패턴 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 움직임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와;상기 문자 인식 결과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거나, 특정 기능 선택 또는 정보 접근을 위한 입력 키 값으로 출력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5007A KR100716834B1 (ko) | 2005-07-18 | 2005-07-18 |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5007A KR100716834B1 (ko) | 2005-07-18 | 2005-07-18 |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0444A KR20070010444A (ko) | 2007-01-24 |
KR100716834B1 true KR100716834B1 (ko) | 2007-05-09 |
Family
ID=3801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50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834B1 (ko) | 2005-07-18 | 2005-07-18 |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683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25217A (ko) * | 1994-12-13 | 1996-07-20 | 구자홍 | 오프라인 문자의 획의 동적정보 추출방법 |
KR20020091002A (ko) * | 2001-11-06 | 2002-12-05 | 주식회사 와이어리스리퍼블릭 | 가속도 가공 장치 및 방법, 및 그의 응용 및 상기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
-
2005
- 2005-07-18 KR KR1020050065007A patent/KR10071683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25217A (ko) * | 1994-12-13 | 1996-07-20 | 구자홍 | 오프라인 문자의 획의 동적정보 추출방법 |
KR20020091002A (ko) * | 2001-11-06 | 2002-12-05 | 주식회사 와이어리스리퍼블릭 | 가속도 가공 장치 및 방법, 및 그의 응용 및 상기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19960025217 * |
1020020091002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0444A (ko) | 200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6203B1 (ko) |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atz et al. | HoverFlow: expanding the design space of around-device interaction | |
US904302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actuating a key of a keyboard with a tracer finger of a robot | |
CN101751200B (zh) | 移动终端的空间输入法及其实现装置 | |
US20090090567A1 (en) | Gestur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 |
US20040239624A1 (en) | Freehand symbolic input apparatus and method | |
US20070103431A1 (en) | Handheld tilt-text computing system and method | |
EP2533228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device having touch screen | |
JP2003529130A (ja) | 一体型キーパッドシステム | |
US20030099398A1 (en) |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 |
KR100630806B1 (ko) | 동작 인식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 |
JPH0836462A (ja) | 2つ以上の感知技術を用いるハンドライティング入力装置 | |
US859913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2006244463A (ja) | 記述グラフィカル・デバイス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 |
CN103097979A (zh) | 用于传感器使能的用户界面的自动化控制 | |
EP2626813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handwriting input for handwriting recognition | |
KR101053411B1 (ko) |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 |
KR100777107B1 (ko) |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 |
KR100716834B1 (ko) | 패턴 트리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 |
CN103425406A (zh) | 一种移动终端的输入方法及装置 | |
KR101348763B1 (ko) | 손동작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KR20060035148A (ko) | 모바일 기기의 동작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의동작 인식 방법 | |
KR100933891B1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JP2006079221A (ja) | 文字入力装置 | |
KR101890228B1 (ko) |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