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6828B1 -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 Google Patents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828B1
KR100716828B1 KR1020050025245A KR20050025245A KR100716828B1 KR 100716828 B1 KR100716828 B1 KR 100716828B1 KR 1020050025245 A KR1020050025245 A KR 1020050025245A KR 20050025245 A KR20050025245 A KR 20050025245A KR 100716828 B1 KR100716828 B1 KR 10071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lexible substrate
flexible
excess
subst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376A (ko
Inventor
문양호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828B1/ko
Priority to US11/387,352 priority patent/US20060213682A1/en
Publication of KR2006010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1Locally and permanently deformed areas including dielectr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연성기판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성기판들 사이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기판이 계속적으로 사용되어 굴곡이 반복됨에 따라 기판 내 배선이 굴곡피로에 의해 단선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연성기판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연성기판의 소정의 위치에 굴곡된 잉여 굴곡부를 다수 형성한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이를 통하여 연성기판 내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덧붙여 잉여 굴곡부를 형성할 때 가열 가능한 성형금형을 이용함으로써 잉여 굴곡부 형성 공정에서 불필요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잉여 굴곡부를 형성한 연성기판의 굴곡수명이 향상됨으로써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적용되는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연성기판, 경성기판, 잉여 굴곡부, 굴곡피로, 배선, 단선

Description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 Flexible PCB with surplus bent for electronic equipments }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연성기판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연성기판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기판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연성기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조립도; 및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라 연성기판에 잉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렉시블 기판 12 : 폴리이미드 테이프
14 : 배선 16 : 솔더 레지스트
20 : 박막트랜지스터 유리기판 22 : 색필터 유리기판
24 : 이방성필름 26 : 수지층
30, 130 : 연성기판 50, 150 : 제 1 기판
52, 152 : 기판몸체 54, 154 : 윈도우
56, 156 : 커넥터 60, 160 : 제 2 기판
62, 162 : 기판몸체 64, 164 : 단자
66, 166 : 커넥터 110 : 제 1 기판
112, 122 : 상부기판 114, 124 : 배선
116, 126 : 하부기판 120 : 제 2 기판
132 : 기판몸체 132a, 132b : 단부
134 : 배선 142, 144, 146 : 잉여 굴곡부
170 : 제 1 구조물 172 : 제 2 구조물
174 : 메인기판 176 : LCD용 윈도우
178 : 키패드용 윈도우 180 : 힌지
192 : 상부 성형금형 192a, 192b, 192c : 오목부
194 : 하부 성형금형 194a, 194b, 194c : 볼록부
종래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35888호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연성기판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성기판들 사이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기판이 계속적으로 반복 사용되어 굴곡됨에 따라 기판 내 배선이 굴곡피로에 의해 단선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연성기판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성 재질의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과 같은 기판 내에 임의의 배선(pattern)을 형성함으로써 사용 중 굴곡이 가능한 연성기판이 프린터 및 휴대폰 등의 첨단 전자기기 내에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의 경우 기존의 일체형 플립(flip) 구조에서, 복합 구조의 폴더(folder) 및 슬라이더(slider) 구조로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플립형 휴대폰에서 사용되지 않던 연성기판이 적용되고 있다. 복합 구조의 휴대폰이라 함은, 단일 케이스 내에 LCD 등의 출력부와 키패드 등의 입력부가 상대적으로 고정된 일체형 구조와는 달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폴더와 본체,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더 및 본체와 같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물들이 사용되는 휴대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합 구조의 휴대폰에서, 예컨대 폴더와 본체 내에는 각각 LCD 등의 출력부용 경성기판과 키패드 등의 입력부용 경성기판이 형성되며, 이러한 경성기판들이 힌지를 통해 구성되는 연성기판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두 경성기판 사이에 연결되는 연성기판은 두 경성기판들이 장착된 구조물들(예컨대, 폴더 및 본체) 사이에서 두 경성기판들 사이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로써 기능한다.
이러한 연성기판은 경성기판에 고정되는 양측 단부와 양 단부 사이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굴곡되는 기판몸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성기판들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연성기판의 일부분 - 예컨대, 양 단부에 인접한 위치 등 - 에서 응력이 누적되어 굴곡피로로 인한 단선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연성기판이 사용된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경성 재질의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유리기판에 단부가 부착된 연성 재질의 플렉시블기판이 부착된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르면, 색필터 유리기판(22)이 부착된 경성 재질의 박막트랜지스터 유리기판(20)에 이방성필름(24; 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개재하여 연성 재질의 플렉시블 기판(10)이 연결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기판(10)은 배선(14)이 구비된 폴리이미드 테이프(12; polyimide tape)로 구성된다. 이방성필름(24)을 개재하여 접착된 면에는 솔더 레지스트(16; solder resist)가 형성되고, 그 반대면에는 배선의 단선 방지를 위해 부가의 수지층(26)이 더 형성된다.
이때, 솔더 레지스트(16)와 유리기판(20) 사이는 소정의 간격(a)만큼 이격되고, 수지층(26)과 솔더 레지스트(16)는 소정의 길이(L)만큼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플렉시블 기판(10)을 굴곡시키는 경우, 경성 재질의 유리기판(20)의 단부와 플렉시블 기판(10)의 솔더 레지스트(16) 단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응력 집중에 의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배선(14)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면(이방성필름이 부착된 면)의 반대 측면에 부가의 수지층을 형성한 것이며, 이를 통하여 배선의 단락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달리 복합 구조의 휴대폰에서는 LCD 등의 출력부가 형성된 폴더와 키패드 등이 형성된 본체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힌지를 통한 회전)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며, 그 회동범위가 크기 때문에 휴대폰 내에 장착되는 연성기판의 굴곡피로가 한층 가중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구조의 휴대폰에 적용된 연성기판의 경우, 연성기판의 양단부와 함께 연성기판이 구조물과 접촉하여 마찰되는 면 등에서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굴곡피로로 인한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종래의 연성기판(30)은 폴더와 같은 구조물 내에 장착되는 제 1 경성기판(50)과 본체와 같은 구조물 내로 장착되는 제 2 경성기판(60) 사이를 연결한다. 제 1 경성기판(50)은 LCD가 장착되는 윈도우(54)가 중앙에 형성되고 일측에 커넥터(56)가 형성된 기판 몸체(52)를 포함하고, 제 2 경성기판(60)은 본체 내 메인기판(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되는 매개기판이며, 역시 메인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들(64) 및 커넥터(66)가 형성된 기판 몸체(6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처럼 두 개의 경성기판들(50, 60)에 각각 양 단부가 연결되는 연성기판(3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예컨대, A, B, C)에서 굴곡피로로 인한 단선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연성기판의 양단부(A, C)와 함께 연성기판 자체가 좌우로 굽어지거나 또는 연성기판을 수용하는 구조물과 접촉되는 부위(B) 등에서 굴곡피로로 인한 단선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연성기판이 반복적 사용에 의해 굴곡피로가 누적되고 결과적으로 연성기판 내 배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더형 구조, 슬라이드형 구조 및 회전형 구조와 같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구조물을 갖는 전자기기(예컨대,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 내 연성기판이 굴곡피로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성기판들 사이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기판에 관한 것이며, 연성기판은 전기적 신호의 전달 통로가 되는 다수의 배선들; 및 배선들이 부착되고, 경성기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 재질의 기판몸체;를 포함하고, 연성기판의 소정의 위치에 경성기판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탄성적으로 작용하도록 굴곡진 형상의 잉여 굴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의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여 굴곡부가 형성되는 소정의 위치는 기판몸체 중 경성기판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잉여 굴곡부는 경성기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몸체에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잉여 굴곡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몸체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경성기판들은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LCD 표시부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구비된 제 2 기판으로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기판들은 서로 분리된 다른 구조물 내에 장착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연성기판은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잉여 굴곡부는 굴곡진 형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하부 성형금형에 의해 압착 성형되고, 이때 한 쌍의 상/하부 성형금형 중 적어도 하나는 가열된 상태에서 연성기판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성기판은 다수의 배선들이 형성된 배선층과 배선층에 대응되는 연성 재질의 기판몸체의 서브기판이 다수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기판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성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이들 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기판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성기판(130)은 폴더와 같은 구조물 내에 장착되는 제 1 기판(150)과 본체와 같은 구조물 내로 장착되는 제 2 기판(160) 사이를 연결한다. 제 1 기판(150)은 LCD가 장착되는 윈도우(154)가 중앙에 형성되고 일측에 커넥터(156)가 형성된 기판 몸체(152)를 포함하고, 제 2 기판(160)은 본체 내 메인기판(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되는 매개기판이며, 역시 메인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들(164) 및 커넥터(166)가 형성된 기판 몸체(16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기판으로 메개기판이 사용된 예가 예시되고는 있으나,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본체 내에서 키패드 등의 입력과 전기적 신호의 전달 등에 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메인기판이 본 발명의 제 2 기판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러한 연성기판(130)은 두 경성기판들 사이를 연결하며, 구조적으로는 동(Cu) 재질의 배선들(134)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 재질의 기판몸체(132)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기판몸체(132)의 소정의 위치(예컨대, 도 2에서 A, B, C의 원으로 지적된 부분)에 대응하여 굴곡된 잉여 굴곡부들(142, 144, 146)이 더 형성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잉여 굴곡부들(142, 144, 146)은 예컨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연성기판이 굴곡될 때 연성기판의 해당 부분들로 집중되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기판이 구조물(예컨대, 폴더형 구조의 휴대폰) 내로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이며, 이를 통하여 구체적인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휴대폰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각각 내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구조물(170) 및 제 2 구조물(172) 그리고 이들 구조물들의 상대적 움직임(예컨대, 회전축을 통한 회동)을 뒷받침하는 힌지(180)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연성기판(130)은 힌지(180) 내에 장착되어 제 1 구조물(170) 내에 장착되는 제 1 기판과 제 2 구조물(172) 내에 장착되는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1 구조물(170)에는 LCD용 윈도우(176)이 형성되며, 제 2 구조물(172)에는 메인기판(174)과 키패드용 윈도우(178) 등이 형성된다. 메인기판(174)은 제 2 구조물(172) 내에 장착되며, 본 발명의 제 2 기판(매개기판)이 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구조에서, 연성기판(130)은 힌지(180) 내에 장착되며, 이로 인하여 폴더(제 1 구조물)가 본체(제 2 구조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연성기판(130) 또한 함께 굴곡되면서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비교적 좁은 공간인 힌지(180) 내에서 연성기판(130)의 기판몸체가 유동적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연성기판(130)은 그 양단부(132a, 132b)에 인접한 부분들(도 2의 A, C 부분)에 잉여 굴곡부(142, 146)가 형성되고, 또한 힌지(180) 내에서 접촉되기 쉬운 부분(예컨대, 도 2의 B 부분)에 잉여 굴곡부(1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여 굴곡부들(142, 144, 146)은 각각 기판몸체가 굴곡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필요시 굴곡진 상태가 펴짐으로써 해당 부위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덧붙여 연성기판의 가용범위(폴더가 접혀진 상태의 두 경성기판들 사이의 거리에서 폴더가 젖혀진 상태의 두 경성기판들 사이의 거리까지의 범위)가 커짐으로써 결국 연성기판이 구조물(예컨대, 힌지 등)과 접촉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연성기판의 길이를 길게 한 것이 아니라, 연성기판의 비사용중(예컨대, 폴더가 접혀진 상태)에는 잉여 굴곡부가 굴곡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연성기판의 사용중(예컨대, 폴더가 젖혀진 상태)에서 잉여 굴곡부의 굴곡이 펴지도록 함으로써 연성기판이 비사용중인 경우에 늘어난 길이로 인해 연성기판이 구조물과 불필요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적용되는 제품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분리된 경성기판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구조의 대다수의 전자기기로 확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더(folder), 회전(rotary) 및 슬라이드(slide) 방식의 휴대폰과, 유사한 방식으로 뷰파인더가 본체와 분리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그리고 같은 방식의 뷰파인더를 갖는 캠코더(camcoder)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용 연성기판 등 연성기판의 굴곡에 의한 피로수명에 연관되는 모든 전자기기로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라 연성기판에 잉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잉여 굴곡부의 형성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성기판들(110, 120)과 일체로 형성된 연성기판(130)의 단면이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각 경성기판들(110, 120)은 경성 재질의 하부 기판(116, 126) 위에 배선(114, 124)이 형성되고 배선 위로 다시 상부 기판(112, 1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연성기판(130)은 역시 경성기판들의 배선(114, 124)과 일체로 형성되는 배선(134)을 가지며, 배선(134)이 기판몸체(132) 내에 형성된 구조이다. 연성기판의 기판몸체(132)는 연성 재질의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6a).
이러한 일체형의 연성기판(130)은 소정의 위치(예컨대, 도 2의 A, B, C 부분)에 대응하여 각각 오목부(192a, 192b, 192c) 및 볼록부(194a, 194b, 194c)가 형 성된 한 쌍의 성형금형들(192, 194) 사이로 공급된다. 이때 한 쌍의 성형금형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가열됨으로써, 잉여 굴곡부가 보다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온의 성형금형을 이용하여 연성기판에 잉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응력이 크게 발생하고 가공 이후에도 응력이 잔류하여 연성기판의 품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성형금형들 중 적어도 하나(도에서는 상부금형에 열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다)에 열선(heat wire)이 장착되어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b).
한 쌍의 성형금형들(192, 194)이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놓여진 연성기판에 잉여 굴곡부들을 형성하고(도 6c), 이후 성형금형들로부터 빠져나온 연성기판(130)에는 예컨대, 오목부들(192a, 192b, 192c)에 대응하여 잉여 굴곡부들(142, 144, 146)이 형성된다(도 6d).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연성기판(130)은 경성기판들(110, 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들어 설명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 한정되지 않는 점에 유의한다. 즉, 경성기판과 별개로 제작되어 추후 부착되는 단품의 연성기판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잉여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덧붙여,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은 다수의 배선들이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에 대응되는 연성 재질의 기판몸체의 서브기판이 다수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즉, 다수의 서브기판이 적층되어 형성된 연성기판에 대하여 가열가능한 성형금형을 이용하여 잉여 굴곡 부를 형성함으로써, 연성기판의 제작시 잔류응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서브기판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서브기판으로 구성된 연성기판이 사용된 경우에, 제품의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서브기판들 사이가 벌어지는 단점이 본 발명에 따른 잉여 굴곡부의 형성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연성기판의 굴곡수명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성기판 내 소정의 위치에 다수의 잉여 굴곡부를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연성기판 내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여 굴곡부를 형성함에 있어 가열가능한 성형금형을 이용하여 압착 성형함으로써 잉여 굴곡부 형성과정에서 불필요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여 굴곡부를 형성한 연성기판의 굴곡수명이 향상됨으로써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적용되는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기판에 잉여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연성기판 내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여 굴곡부를 형성함에 있어 가열가능한 성형금형을 이용하여 압착 성형함으로써 잉여 굴곡부 형성과정에서 불필요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여 굴곡부를 형성한 연성기판의 굴곡수명이 향상됨으로써 본 발명의 연성기판이 적용되는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서로 분리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성기판들 사이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기판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연성기판은
    전기적 신호의 전달 통로가 되는 다수의 배선들; 및
    상기 배선들이 부착되고, 상기 경성기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 재질의 기판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기판의 소정의 위치에 굴곡진 형상의 잉여 굴곡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경성기판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대해 상기 잉여 굴곡부가 탄성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연성기판의 굴곡수명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굴곡부가 형성되는 소정의 위치는 상기 기판몸체 중 상기 경성기판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굴곡부는 상기 경성기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몸체에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굴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몸체의 단 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기판들은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LCD 표시부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구비된 제 2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들은 서로 분리된 다른 구조물 내에 장착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굴곡부는 상기 굴곡진 형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하부 성형금형에 의해 압착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하부 성형금형 중 적어도 하나는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기판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은 다수의 배선들이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에 대응되는 연성 재질의 기판몸체의 서브기판이 다수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KR1020050025245A 2005-03-26 2005-03-26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KR10071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45A KR100716828B1 (ko) 2005-03-26 2005-03-26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US11/387,352 US20060213682A1 (en) 2005-03-26 2006-03-22 Flexible PCB having surplus bends for electronic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45A KR100716828B1 (ko) 2005-03-26 2005-03-26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76A KR20060103376A (ko) 2006-09-29
KR100716828B1 true KR100716828B1 (ko) 2007-05-09

Family

ID=3703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45A KR100716828B1 (ko) 2005-03-26 2005-03-26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13682A1 (ko)
KR (1) KR100716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777A (ja) * 2006-10-04 2008-04-1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トランシーバ
KR100780204B1 (ko) * 2006-12-13 2007-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지용 더미기판을 갖는 카메라 모듈
TWI423729B (zh) * 2010-08-31 2014-01-11 Au Optronics Corp 整合放大器的源級驅動器
KR101222388B1 (ko) * 2011-10-14 2013-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 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장치
JP6652493B2 (ja) 2014-02-14 2020-02-26 ジェンサ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entherm Incorporated 伝導性および対流性の温度調節シート
US9560749B2 (en) 2014-03-17 2017-01-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stress concentrato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11639816B2 (en) 2014-11-14 2023-05-02 Gentherm Incorporated Heating and cooling technologies including temperature regulating pad wrap and technologies with liquid system
US11857004B2 (en) 2014-11-14 2024-01-02 Gentherm Incorporated Heating and cooling technologies
US9553385B2 (en) * 2015-06-18 2017-01-24 Dxo Labs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electronic connector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US10728497B2 (en) 2018-05-22 2020-07-28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video device with viewer
US11223004B2 (en) 2018-07-30 2022-01-11 Gentherm Incorporated Thermoelectric device having a polymeric coating
USD889404S1 (en) 2018-11-14 2020-07-07 Amazon Technologies, Inc. Light transformer
USD937277S1 (en) 2018-11-14 2021-11-30 Amazon Technologies, Inc. Sync module
JP7608337B2 (ja) 2018-11-30 2025-01-06 ジェンサ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熱電調整システム及び方法
USD889300S1 (en) 2018-12-13 2020-07-07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video doorbell and door viewer
USD889301S1 (en) 2018-12-13 2020-07-07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video doorbell and door viewer
USD895465S1 (en) 2019-01-02 2020-09-08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activation device for security system
KR102769277B1 (ko) * 2019-02-13 2025-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52557B2 (en) * 2019-02-20 2021-10-19 Gentherm Incorporated Thermoelectric module with integrated printed circuit board
CN113078696B (zh) * 2020-01-03 2024-05-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充电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
US11975203B1 (en) 2023-08-18 2024-05-07 E-Valve Systems Ltd. Prosthetic aortic valve pacing systems
US11931255B1 (en) 2023-08-18 2024-03-19 E-Valve Systems Ltd. Prosthetic aortic valve pacing system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23A (ja) * 1993-06-23 1995-01-17 Nec Corp 接続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盤の収納構造
JPH11204964A (ja) 1998-01-13 1999-07-30 Yazaki Corp 屈曲配線板
JP2002171063A (ja) 2000-12-01 2002-06-14 Sony Chem Corp 多層フレキシブル配線板
JP2004079730A (ja) * 2002-08-15 2004-03-11 Nippon Mektron Ltd 可撓性回路基板
KR20050040379A (ko) * 2003-10-28 2005-05-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요철 형상의 fpcb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폰
KR20050102191A (ko) * 2004-04-21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469A (ja) * 1994-05-16 1995-11-28 Nippon Mektron Ltd 多層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屈曲部構造
JP2606177B2 (ja) * 1995-04-26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印刷配線板
US6948240B2 (en) * 2001-10-05 2005-09-27 Benq Corporation Method for shaping an object
US7529100B2 (en) * 2003-12-16 2009-05-05 Tpo Displays Corp.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 f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23A (ja) * 1993-06-23 1995-01-17 Nec Corp 接続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盤の収納構造
JPH11204964A (ja) 1998-01-13 1999-07-30 Yazaki Corp 屈曲配線板
JP2002171063A (ja) 2000-12-01 2002-06-14 Sony Chem Corp 多層フレキシブル配線板
JP2004079730A (ja) * 2002-08-15 2004-03-11 Nippon Mektron Ltd 可撓性回路基板
KR20050040379A (ko) * 2003-10-28 2005-05-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요철 형상의 fpcb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폰
KR20050102191A (ko) * 2004-04-21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3682A1 (en) 2006-09-28
KR20060103376A (ko)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828B1 (ko) 잉여 굴곡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연성기판
CN102480837B (zh) 柔性布线板
US7301104B2 (en) Double-sided flexible printed circuits
US7447040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electronic equipment
US2012002162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flexible circuit board
US7989709B2 (en) Flexible sheet with electrical connecting locations engaging through holes in a rigid substrate
JP2006344950A5 (ko)
WO2007088805A1 (ja) 光電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接続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光電フレキシブル配線板
EP2209288A1 (en) Harness-integrated type slide hinge, and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US8197284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US20140313402A1 (en) Wiring substrate and camera module
JP4696924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US20100157548A1 (en) Foldable electrical devices
JP3992470B2 (ja) ケーブル部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US20210084777A1 (en) Display System and Rigid Flex PCB with Flip Chip Bonded Inside Cavity
JP2003158355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4121391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を有する折り畳み式電子機器
CN103781294A (zh) 印制配线基板
KR20150050944A (ko) 단차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모바일 안테나 배터리
US7452223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KR200419714Y1 (ko) 동축케이블과 필름케이블간의 연성 접속구조
KR101533304B1 (ko) 단자부와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하는 장치
KR1013300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 장치
KR100619956B1 (ko) 회로기판 연결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N102422729B (zh) 电路基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