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6747B1 -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747B1
KR100716747B1 KR1020060029335A KR20060029335A KR100716747B1 KR 100716747 B1 KR100716747 B1 KR 100716747B1 KR 1020060029335 A KR1020060029335 A KR 1020060029335A KR 20060029335 A KR20060029335 A KR 20060029335A KR 100716747 B1 KR100716747 B1 KR 100716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capability
type
materials
techn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룡
박의석
김정진
하청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산업기술재단
주식회사 테크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산업기술재단, 주식회사 테크란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산업기술재단
Priority to KR102006002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7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74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기술협력이 요구되는 부품소재들의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복수의 부품소재들에 대한 시장&산업 역량 평가 데이터 및 R&D 역량 평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부품소재들을 투자유치형과 기술도입형으로 분류한다. 투자유치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을 R&D 역량 평가 데이터와 시장 규모를 고려하여 R&D 센터와 그린필드형으로 분류한다. 기술도입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을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와 R&D 역량 평가 결과를 근거로 공동연구개발과 기술도입형으로 분류한다. 이에 따라, 부품소재들 각각에 대해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을 포지셔닝시키므로써, 해당 부품소재들에 대응하는 기술협력 유형을 R&D 센터형, 그린필드형, 공동연구개발형, 또는 기술도입형으로 진행할지를 선정할 수 있다.A system for selec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for parts and materials requiring technical cooperation is disclosed. Based on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for a plurality of parts materials, the parts materials are classified into investment promotion type and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Component materials classified as investment type are classified into R & D center and green field type in consideration of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market size. Component materials classified as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are classified into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type and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based on technology capacity evaluation data and R & D capacity evaluation results. Accordingly, by positioning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for each part material, R & D center type, green field type, joint R & D type, or technology introduction can be applied to the types of technical co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arts material. You can choose whether to proceed with the sentence.

기술 협력, 포지셔닝, R&D, 투자 유치, 기술 도입 Technical cooperation, positioning, R & D, investment attraction, technology introduction

Description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SYSTEM OF SELECTING A TECHNICAL COOPERATION TYPE}SYSTEM OF SELECTING A TECHNICAL COOPERATION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데이터를 포지셔닝하여 기술도입형 부품소재 및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를 선정하는 개념도이다.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selecting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and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by positioning market & industrial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data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술역량 및 R&D 역량 데이터를 포지셔닝하여 공동개발형 부품소재 및 기술이전형 부품소재를 선정하는 개념도이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selecting a jointly developed part material and a transferable part material by positioning the technolog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data shown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정되는 기술협력 유형 절차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procedu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협력 유형 선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lec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e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질의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7A to 7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questionnaire.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소재별 사업&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역량 각각에 대응되는 평점들의 일례를 설명하는 표이다.8 is a table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rat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siness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ical capability for each compon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단계 S5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00 shown in FIG. 6 in more detail.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계 S5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10 shown in FIG. 9 in more detail.

도 11은 도 10에 의해 포지셔닝되어 투자유치형과 기술도입형 부품 소재들의 분류 일례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FIG. 11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investment-induced and technology-induced part materials positioned by FIG. 10.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단계 S5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20 shown in FIG. 9 in more detail.

도 13은 도 12에 의해 포지셔닝되어 R&D 센터형과 그린필드형 부품 소재들의 분류 일례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FIG. 13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R & D center type and greenfield part materials positioned by FIG.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단계 S53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30 shown in FIG. 9 in more detail.

도 15는 도 14에 의해 포지셔닝되어 공동연구개발 및 기술이전형 부품 소재들의 분류 일례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FIG. 15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joint R & D and technology transfer part materials positioned by FIG. 1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기술협력 유형 선정 요청부 200 :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100: request for selection of technology cooperation type 200: request for selection of technology cooperation type

300 : 전문가 시스템부 400 : 관련 기업 시스템부300: expert system part 400: related company system part

210 : 평가 데이터 저장부 220 : 포지셔닝부210: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20: positioning unit

230 :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230: Technical cooperation type extraction unit

212 : 시장&산업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2: Market & Industry Capacity Assessment Data Storage

214 : R&D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4: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age

216 :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6: Technical competency evaluation data storage

222 :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 포지셔닝 모듈222: Market & Industry Competency, R & D Competency and Technology Competency Positioning Module

224 : 시장&산업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4: Market & industry competency and R & D competency positioning module

226 : 기술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6: Technology competency and R & D competency positioning module

본 발명은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술협력이 요구되는 부품소재들의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of parts materials requiring technical cooperation.

일반적으로 기술협력은 기업이 기술혁신을 목표로 다른 외부의 조직과 기술적 노하우 및 자원을 상호 보완적으로 공유하는 일련의 조직간 활동이다. 상기 기술협력의 유형은 국내기술협력 대 국제기술협력, 정부간 기술협력 대 민간기술협력, 그리고 양자간 기술협력 대 다자간 기술협력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general, technical cooperation is a series of inter-organizational activities in which companies share complementary technology know-how and resources with other external organizatio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types of technical cooperation can be classified into domestic technical cooperation versus international technical cooperation, intergovernmental technical cooperation versus private technical cooperation, and bilateral technical cooperation versus multilateral technical cooperation.

상기 기술협력은 기업이 보유한 제한된 능력 및 자원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획득비용을 줄이기 위해, 연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규모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그리고 기업협력 촉진을 위한 정부지원정책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cooperation can benefit from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to supplement the limited capacity and resources held by the enterprise, to reduce the cost of technology acquisition, to secure the size of the workforce to conduct research properly, and to promote business cooperation. It is done to enjoy.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협력이 요구되는 부품소재들 각각에 대해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 등을 기초로 해당 부품소재들의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echnical cooperation of the parts materials on the basis of market & industry capabilities, R & D capabilities and technical capabilities for each of the parts materials requiring technical cooperation It is to provide a type selection system.

삭제delet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은 평가 데이터 저장부, 포지셔닝부 및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 데이터 저장부는 설문지, 기술시장정보 및 통계자료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부품소재들에 대응하는 시장&산업 역량 평가 데이터, R&D 역량 평가 데이터 및 기술역량 평가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포지셔닝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시장&산업, R&D 및 기술역량 평가 데이터들 중 적어도 2개의 평가 데이터들을 X-Y 평면상에 포지셔닝시킨다. 상기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는 상기 포지셔닝부에 의해 X-Y 평면상에 포지셔닝된 평가 데이터들을 근거로 기술도입형 또는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로 각각 분류하고, 상기 투자유치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중 상기 포지셔닝부에 의해 X-Y 평면상에 포지셔닝된 상기 R&D 역량 평가 데이터와 시장 규모를 고려하여 분류된 R&D 센터형 및 그린필드형 부품소재들을 추출하고, 상기 기술도입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중 상기 포지셔닝부에 의해 X-Y 평면상에 포지셔닝된 상기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와 R&D 역량 평가 데이터를 고려하여 분류된 공동연구개발형 및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을 추출한다.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a positioning unit, and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extraction unit. The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stores market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data,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technology capability evalu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mponent materials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technical market information, and statistical data. The positioning unit positions at least two evaluation data of market & industry, R & D, and technical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an X-Y plane.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extracting unit classifies each of the technology introduction or investment-type parts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positioned on the XY plane by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positioning among the parts materials classified as the investment-induced types. Extracts the R & D center type and green field type parts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market size and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positioned on the XY plane by the part, and the positioning part among the part materials classified as the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The joint R & D and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are extra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echnical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positioned on the XY pla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례로, 상기 포지셔닝부는 제1 포지셔닝 모듈, 제2 포지셔닝 모듈 및 제3 포지셔닝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포지셔닝 모듈은 상기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역량 평가 데이터들을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한다. 상기 제2 포지셔닝 모듈은 상기 시장&산업 역량 및 R&D 역량 평가 데이터들을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한다. 상기 제3 포지셔닝 모듈은 상기 기술 역량 및 R&D 역량 평가 데이터들을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한다. 이때, 상기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는 상기 제1 포지셔닝 모듈에 의해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중 상대적으로 높은 시장&산업 역량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로 추출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시작&산업 역량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로 추출한다.In one example, the positioning unit includes a first positioning module, a second positioning module and a third positioning module. The first positioning module positions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ical capability evaluation data on a coordinate plane. The second positioning module positions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assessment data on a coordinate plane. The third positioning module positions the technical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on a coordinate plane. At this time,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parts materials positioned in the relatively high market & industrial capability area among the parts materials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odule as investment-induced parts materials, and relatively low start & Parts materials positioned in the industrial competence area are extracted as technology-introduced parts materials.

이러한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에 의하면, 설문지에 포함되는 부품소재들 각각에 대해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을 포지셔닝시키므로써, 기술협력이 요구되는 해당 부품소재들에 대응하는 기술협력 유형을 R&D 센터형으로 진행할지, 그린필드형으로 진행할지, 공동연구개발형으로 진행할지, 또는 기술도입형으로 진행할지를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ype of technology cooperation system,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are positioned for each component material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You can choose whether to proceed to R & D center type, green field type, joint R & D type, or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은 기술협력 유형 선정 요청부(100),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 전문가 시스템부(300), 기술시장정보 DB(400) 및 관련 기업 시스템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request unit 100,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expert system unit 300, technical market information DB 400 and related enterprise system unit 500.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 요청부(100)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대상 부품소재들의 목록을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에 제공하고, 그의 응답으로 상기 기술협력유형 선정대상 부품소재들 각각의 기술협력 유형을 제공받는다.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requesting unit 100 provides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part material list to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and in response, the technical cooperation of each of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target materials. Type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예로 37개의 부품소재들을 기술협력 유형 선정대상 부품소재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37 parts materials will be described below as part materials for selecting technology cooperation types.

기술협력유형 선정을 위한 대상 부품소재는 기술협력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준 및 방법으로 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차세대 성장동력 10개 분야별 100대 핵심 부품소재, 기술경쟁력 향상을 통해 대일 무역 역조 개선을 위한 중단기 육성형 50대 부품소재 등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협력유형 선정대상 부품소재의 선정은 산업분야별로 기술, 시장 정보를 토대로 분석한 정량정보와 해당 분야 전문가에 의한 정성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세청의 수입통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품목들 중에서 수입규모 상위 100대 부품소재를 1차 발굴한 후, 이를 전문가 위원회에서 수입원인 분석, 국내외 수출입업체, 수입규모, 기술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부품소재를 협력유형 선정 대상으로 하였다. The target parts and materials for selecting the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can be determined by various standard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urpose of technical cooperation. For example, it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purpose, such as 100 core parts and materials for each of the 10 next-generation growth engines and 50 medium-term parts for medium-term development to improve trade with Japan through improv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 selection of parts and materials to be selected for this type of technology cooperation is generally decided based on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and market information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by experts in each field. It is okay. In this example, the top 100 parts materials are imported from the items registered in the import statistics database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and then analyzed by the expert committee for the cause of import, domestic and foreign import and export companies, import scale, technology level, etc. The selected parts and materials were selected for the cooperation type.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에서는 선정된 대상 부품소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이 포함된 평가 질문서를 작성하여 상기 전문가 시스템부(300)에 제공한다. 상기 질문서는 협력유형 선정 목적에 적합하도록 평가항목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술력, R&D, 인력, 시장, 산업, 국내 역량, 기술수준, 파급효과 등을 반영하여 질문서를 작성하였다.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prepares an evaluation questionnaire including an evaluation item for evaluating the selected target component material and provides it to the expert system unit 300. The questionnaire constitutes an evaluation item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a cooperation type, and in this embodiment, a questionnaire is prepared by reflecting technology, R & D, manpower, market, industry, domestic capability, technology level, and ripple effect.

상기 전문가 시스템부(300)에서는 상기 기술시장정보 DB(400)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활용하여 상기 질문서에 평가 의견을 기재하여 기술협력유형선정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전문가 시스템부(300)에서 질문서의 평가는 대상 부품소재별로 선정된 전문가들이 상기 전문가 시스템부(300)에 네트웍을 통해 접속하여 평가를 할 수도 있고, 이메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평가를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면으로 평가를 한 것을 별도로 취합한 후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xpert system 300 writes an evaluation opinion on the questionnaire by us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technical market information DB 400 and provides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Evaluation of the questionnaire in the expert system unit 300 may be evaluated by experts selected by the target parts and materials connected to the expert system unit 300 through a network, or by using an e-mail system. . Alternatively, the evaluations in writing can be collected separately and entered into the system.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는 상기 전문가 시스템부(300)에서 평가된 질문서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부품소재에 대한 점수화를 실시하고 이를 다시 분석하여 기술협력 유형들을 선정한 후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 요청부(100)에 제공한다.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scores the target parts and materials by using the result data of the questionnaire evaluated by the expert system unit 300 and analyzes them again to select types of technical cooperation, and then the technical cooperation. The type selection request unit 100 is provided.

이때 선정되는 기술협력 유형은 투자유치형의 예로서 그린필드형 및 R&D 센터형과, 기술도입형의 예로서 공동연구개발형 및 기술이전형을 포함한다. 상기 그린필드형은 일례로, 공장 유치와 같은 기술협력 유형이다. 상기 R&D 센터형은 공장은 유치하지 않으면서 R&D 센터를 유지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협력 유형이다. 상기 공동연구개발형은 외국의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갖는 업체와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기술협력 유형이다. 상기 기술이전형은 외국의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갖는 업체에서 보유하는 기술을 이전받아 스스로 기술을 개발 확보하는 기술협력 유형이다. The selected types of technology cooperation include greenfield type and R & D center type as investment promotion type, and joint R & D type and technology transfer type as examples of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The green field type is, for example, a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such as plant attraction. The R & D center type is a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that can be achieved by maintaining an R & D center without attracting factories. The joint R & D type is a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for conducting joint research with foreign companies with a high level of technology. The technology transfer type is a type of technology cooperation in which a technology possessed by a high-level foreign company is transferred to develop and secure the technology on its own.

도 1에서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요청부(100)가 37개의 기술협력 대상 부품소재들을 선정한 후 선정된 부품소재 목록을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에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기술협력 대상 부품소재 목록의 선정을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에서 진행할 수도 있다. In FIG. 1,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request unit 100 selects 37 technical cooperation target parts and then provides the selected component material list to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The selection of the parts and materials list may be performed by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상기 전문가 시스템부(300)는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에서 작성된 질문서가 제공됨에 따라, 질문서에 포함되는 공란에 소정의 답변들을 기입하고, 기입된 질문서를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에 제공한다. As the questionnaire created by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is provided, the expert system unit 300 fills in predetermined answers in the blank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written questionnaire forms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 200).

상기 기술시장정보 DB(400)는 각 부품소재들의 기술 정보 및 시장 정보와 이들에 대응되는 각종 통계 자료들을 저장하고, 상기 기술협력 유형 선정 요청부(100),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 또는 전문가시스템부(3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 정보는 각 부품소재들을 제조하는 제조사측의 기술인력 정보, 각 부품소재들에 대응되는 기술동향 전망 정보, 각 부품소재들의 기술분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분류 정보는 각 부품소재들의 경쟁기술 정보, 각 부품소재들의 대체기술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시장 정보는 각 부품소재들의 국내외 시장 규모 정보, 각 부품소재들의 주요 생산 업체 정보, 각 부품소재들의 업체별 점유율 정보, 각 부품소재들의 구성 부품의 수급 관계 정보, 각 부품소재들의 원가 구조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technical market information DB 400 stores technical information and market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and various statistical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requesting unit 100,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ng unit 200, or the lik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at the request of the expert system unit 300. The technical information includes technical manpower information of a manufacturer who manufactures each component, technical trend prospect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and techn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The techn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competition technology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material, alternative technology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material, and the like. The market information includ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size information of each parts, main producers of each parts, information on the market share of each parts, supply and demand relations of components of each parts, and cost structure information of each parts. Include.

상기 관련 기업 시스템부(500)는 상기 기술협력유형 선정 요청부(100)에서 제공되는 특정 부품소재에 대한 기술협력 유형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관련 기업 시스템부(500)를 운영자측에서는 해당 기술협력 유형 데이터를 근거로 그린필드형으로 진행할지, R&D 센터형으로 진행할지, 공동연구개발형으로 진행할지 아니면 기술이전형으로 진행할지 등에 대해서 특정 부품소재의 기술협력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The relevant enterprise system unit 500 is provided with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data for a specific component material provided by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request unit 100. Accordingly, the operator side proceeds to the green field type, R & D center type,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type, technology transfer type, etc., based on the corresponding technical cooperation type data. The technical cooperation strategy of specific parts and materials will be establish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데이터를 포지셔닝(positioning)하여 기 술도입형 부품소재 및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를 선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술역량 및 R&D 역량 데이터를 포지셔닝하여 공동개발형 부품소재 및 기술이전형 부품소재를 선정하는 개념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selecting technology-driven component materials and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by positioning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data shown in FIG. 2.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selecting a jointly developed part material and a transferable part material by positioning the technolog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data shown in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협력 유형 선정부(200)는 평가 데이터 저장부(210), 포지셔닝부(220) 및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0, a positioning unit 220, and a technical cooperation type extraction unit 230.

상기 평가 데이터 저장부(210)는 시장&산업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2), R&D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4) 및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6)를 포함하며, 질문서의 평가 결과 데이터를 점수화 한다.The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0 includes a market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2, an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4, and a technology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6, and evaluation result data of a questionnaire. Score it.

구체적으로, 상기 시장&산업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2)에는 해당 부품소재의 수입규모, 부품소재의 용도, 부품소재의 적용 제품의 국가 경쟁력, 규제 또는 장애 요소, 내수 시장 성장 잠재력 및 원료 공급 시스템, 및 국내 역량에 대응되는 평가 데이터들이 점수화 되어 저장된다. 점수화 하는 과정에서 일부 항목들에 대한 평가 데이터들은 점수화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는 해당 평가 항목에 대한 결과가 점수로 정량화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점수화시 중복의 가능성이 있거나 특정 평가 항목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한 결과이거나 평가와 무관한 내용인 경우 등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평가 질문서를 작성할 경우에는 실제 사용할 항목보다 많은 항목을 질문서에 반영하기 때문이다.Specifically,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2 includes the import scal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terial, the use of the component material,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applied product of the component material, regulatory or obstacles, the domestic market growth potential and raw material supply system. , And assessment data corresponding to domestic competence are scored and stored. In the process of scoring, the evaluation data for some items may not be scored. In this cas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tems are difficult to quantify by score,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lap in scoring, or the results of a particular evaluation item are supported. For example, or in cas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evalua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s prepar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 more items than the items to be actually used are reflected in the questionnaire.

평가결과 데이터를 점수화 하는 기준에는 1~5까지의 5점 척도, 7점 척도, 상중하, 우수(양호)-보통-낮음(미흡)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우수나 양호한 경우에는 +1, 보통인 경우에는 0, 보통수준보다 낮거나 미흡한 경우에는 -1로 점수화 한다. 이러한 점수화 기준은 R&D 역량평가, 기술역량평가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scoring the evaluation result data, such as 5-point scale, 7-point scale, upper and lower, excellent (good) -normal-low (not goo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 1, 0 for normal, -1 for lower or less than normal levels. These scoring criteria are applied to both R & D competency evaluation and technology competency evaluation.

상기 R&D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4)에는 숙련인력의 보유정도, 숙련인력의 공급, 관련 인력 및 R&D 인프라에 대응되는 평가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4 stores evalu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possession of skilled workers, the supply of skilled workers, related personnel, and R & D infrastructure.

상기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 저장부(216)에는 보유 국내 기술의 수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보유 기술력 핵심, 부족 기술 및 기술 파급 효과 등에 대응되는 평가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The technical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6 stores evalu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domestic technology possessed, technology gap with developed countries, core technology possessed, insufficient technology, and technology ripple effect.

상기 포지셔닝부(220)는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 포지셔닝 모듈(222), 시장&산업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4) 및 기술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6)을 포함하며, 상기한 평가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점수를 이용하여 기술협력 유형 선정 대상 부품소재별로 좌표상에 포지셔닝(Positioning)시킨다. The positioning unit 220 includes a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2, a market & industr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4, and a technolog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6, Using the scores stored in the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210 is positioned on the coordinate for each component material to be selected for technical cooperation type.

구체적으로, 상기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 포지셔닝 모듈(2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축 및 Y 축을 시장&산업 역량 평가 점수 및 R&D 역량 평가 점수로 각각 설정하여 그 결과를 X-Y 좌표상에 포지셔닝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2 sets the X and Y axes as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score and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score, respectively. Position the result on XY coordinates.

본 실시예에서, 핵심기술의 보유 여부와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 등을 고려하여 기술역량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와 같이 변별력이 낮은 경우, 투자유치형과 기술도입형의 분류시에는 적용하지 않고,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중에서 공동연구개발과 기술이전의 경우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iscrimination ability is low, such as the case where the technical capability is generally estimated to be low in consideration of the possession of core technology and the technology gap compared to the developed countries, it is not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of investment type and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In this regard, it is used as a criterion to distinguish the cases of joint R & D and technology transfer among technology-induced parts and materials.

상기 시장&산업 역량 평가 점수는 질문서에 포함되는 국내 산업 경쟁력, 부품소재 관련 규제 및 장애, 내수시장의 성장 잠재력, 원료수급 역량 항목에 대한 각각의 점수를 평균하여 산출한다. 점수의 평균은 가중평균이나 산술평균 등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R&D 역량이나 기술 역량 등 다른 역량 평가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도록 한다. 상기 R&D 역량 평가 데이터는 질문서에 포함되는 숙련인력의 보유 정도 및 공급 정도, 해당 부품소재 관련 인력의 정도, R&D 인프라의 항목들에 대한 점수를 평균하여 산출한다. 상기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는 설문지에 포함되는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보유 기술력의 항목들에 대한 점수를 평균하여 산출한다. The market & industry competency evaluation score is calculated by averaging each of the scores for domestic industrial competitiveness, parts and materials related regulations and obstacles, domestic market's growth potential, and raw material supply and demand capability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average of the scores may be weighted average or arithmetic average, but the same criteria as the evaluation of other competencies such as R & D competency or technical competency should be applied.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is calculated by averaging scores of the degree of possession and supply of skilled worker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degree of manpower related to the parts and materials, and items of the R & D infrastructure. The technical competency evaluation data is calculated by averaging scores of items of skill level, technology gap, and possessed skills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상기 시장&산업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축 및 Y 축을 시장&산업 역량 평가 점수 및 R&D 역량 평가 점수로 각각 설정하여 그 결과를 X-Y 좌표상에 포지셔닝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4 sets the X and Y axes as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score and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score, respectively, and sets the result on XY coordinates. Position.

상기 기술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축 및 Y 축을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 및 R&D 역량 평가 데이터로 각각 설정하여 그 결과를 X-Y 좌표상에 포지셔닝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echnical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6 sets the X and Y axes as the technical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respectively, and positions the result on the X-Y coordinate.

상기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230)는 기술 도입형 추출부(231), 투자유치형 추출부(232), R&D 센터형 추출부(233), 그린필드 추출부(234), 공동연구개발형 추출부(235) 및 기술이전형 추출부(236)를 포함한다. The technology cooperation type extraction unit 230 is a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extraction unit 231, investment attraction type extraction unit 232, R & D center type extraction unit 233, green field extraction unit 234, joint R & D extraction unit 235 and the technology transfer extraction unit 236.

구체적으로, 상기 기술 도입형 추출부(231)는 상기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 포지셔닝 모듈(222)에 의해 포지셔닝된 X-Y 좌표상에서 상대적으 로 낮은 시장&산업 평가 점수를 갖는 부품소재가 포지셔닝된 영역에 대응되는 부품소재들을 추출하여 기술 도입형 부품소재로 분류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Y 좌표의 2사분면 및 3사분면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은 기술 도입형 부품소재로 분류된다. Specifically, the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extractor 231 has a component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market & industry evaluation score on the XY coordinates positioned by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2. Component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ed region are extracted and classified as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That is, as shown in FIG. 3,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quadrants of the X-Y coordinate are classified as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상기 투자유치형 추출부(232)는 상기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 포지셔닝 모듈(222)에 의해 포지셔닝된 X-Y 좌표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시장&산업 평가 점수를 갖는 부품소재가 포지셔닝된 영역에 대응되는 부품소재들을 추출하여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로 분류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Y 좌표의 1사분면 및 4사분면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은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로 분류된다. The investment attraction extracting unit 232 is located in an area where a component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market & industry evaluation score is positioned on an XY coordinate positioned by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2. Corresponding component materials are extracted and classified as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first and fourth quadrants of the X-Y coordinates are classified as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상기 R&D 센터형 추출부(233)는 상기 시장&산업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4)에 의해 포지셔닝된 X-Y 좌표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시장&산업 평가 점수가 포지셔닝된 영역과 상대적으로 높은 R&D 평가 점수가 포지셔닝된 영역에 대응되는 부품소재들을 추출하여 R&D 센터형 부품소재로 분류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Y 좌표의 1사분면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은 R&D 센터형 부품소재로 분류된다. The R & D center type extractor 233 has a relatively high market & industrial evaluation score position and a relatively high R & D evaluation score position on the XY coordinates positioned by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4. Parts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ed area a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R & D center type parts materials.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first quadrant of the X-Y coordinate are classified as R & D center component materials.

상기 그린필드 추출부(234)는 상기 시장&산업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4)에 의해 포지셔닝된 X-Y 좌표상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R&D 평가 점수가 포지셔닝된 영역에 대응되는 부품소재들을 추출하여 그린필드형 부품소재로 분류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Y 좌표의 4사분면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 들은 그린필드형 부품 소재로 분류된다. The green field extractor 234 extracts the parts and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relatively low R & D evaluation score is positioned on the XY coordinates positioned by the market & industrial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4. Classified as a part material.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quadrant of the X-Y coordinates are classified as greenfield component materials.

상기 공동연구개발형 추출부(235)는 상기 기술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6)에 의해 포지셔닝된 X-Y 좌표상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기술 역량 평가 점수가 포지셔닝된 영역에 대응되는 부품소재들을 추출하여 공동연구개발형 부품소재로 분류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Y 좌표의 2사분면 및 3사분면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은 공동연구개발형 부품소재로 분류된다. The joint R & D extraction unit 235 extracts the parts and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relatively low technical competency evaluation score is positioned on the XY coordinates positioned by the technical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6. Classified as a part material.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quadrants of the X-Y coordinates are classified as joint R & D component materials.

상기 기술이전형 추출부(236)는 상기 기술 역량 및 R&D 역량 포지셔닝 모듈(226)에 의해 포지셔닝된 X-Y 좌표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 역량 평가 점수가 포지셔닝된 영역에 대응되는 부품소재들을 추출하여 기술이전형 부품소재로 분류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Y 좌표의 1사분면 및 4사분면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은 기술이전형 부품소재로 분류된다. The technology transfer type extractor 236 extracts parts and materials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a relatively high technology competency evaluation score is positioned on the XY coordinates positioned by the technolog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positioning module 226. Classified as a part material.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first and fourth quadrants of the X-Y coordinates are classified as technology transferable component materials.

이상에서 설명된 기술협력 유형의 선정 절차를 하기하는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The procedure of selecting the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정되는 기술협력 유형 절차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procedu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예를들어, 37개 부품소재들 각각에 대한 질문 결과를 토대로 기술협력 유형을 정함에 있어, 먼저 상기 36개 부품소재들 각각을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과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로 1차적으로 분류한다. Referring to Figure 5, for example, in determining the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 for each of the 37 component materials, each of the 36 component materials, each of the investment-induced components and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s Classify primarily into materials.

이어, 1차적으로 분류된 상기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 각각을 다시 그린필드(Green-Field)형 부품소재들 및 R&D센터형 부품소재들로 2차적으로 분류한다. 이 에 병행하여, 1차적으로 분류된 상기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 각각을 다시 공동연구개발 부품소재들 및 기술이전형 부품소재들로 2차적으로 분류한다. Subsequently, each of the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classified firstly is classified into green-field component materials and R & D center component materials. In parallel with this, each of the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classified as primary is again classified into joint R & D component materials and technology transfer component materials.

상기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은 해당 부품소재 관련 국내 산업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면서 R&D 또는 시장 관련 경쟁적 요소를 보유하고 있는 부품소재인 경우이다.The investment-induced parts and materials are parts and materials that have a competitive edge in R & D or market while the domestic industry related to the parts and materials has a market competitiveness.

상기 R&D 센터형과 그린필드형간의 구분은 숙련된 R&D 인력 및 인프라 등과 같은 R&D 역량, 부품소재 적용 (완)제품 관련 국내 산업 및 시장의 경쟁력, 시장(수입)규모를 함께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부가하여, 규제 및 법규 등 기타 제반 환경적 요인을 추가적으로 감안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The distinction between the R & D center type and the green field type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 & D capability such as skilled R & D personnel and infrastruct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industry and market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parts and materials, and the market (import) scale. .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egulations and laws.

예를들어, R&D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는 R&D 센터 (숙련 인력 및 관련 인프라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R&D 역량은 R&D 센터 유치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형 투자 유치로 분류한다. 한편, R&D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는 그린필드형 투자 유치로 분류한다.For example, relatively high R & D capacities are categorized as investment attraction in the form of R & D centers (R & D capacities representing assessments of skilled personnel and related infrastructure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whether to attract R & D centers).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low R & D capacity is classified as attracting greenfield investment.

그린필드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중 시장(수입)규모가 일정 수준 이하로 적은 경우는 투자유치형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린필드형의 경우, 관련 시장규모가 일정 수준이하라면 사업의 투자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If the market size (import) of parts materials classified as green field type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it is desirable to exclude them from investment promotion type.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green field type, if the relevant market size is below a certain level,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profitability of the business.

한편, 상기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은 원천기술이 부족하고 기술기반이 취약하여 단기간 내에 국내 역량만으로 기술력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경우의 부품소재들로서, 투자유치형을 제외한 부품소재들이 이에 해당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are parts material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cure technology with only domestic capabilit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lack of original technology and weak technology base, and these include material materials other than investment promotion type.

상기 공동연구개발형은 보유 기술력이 전혀 없어 자체 역량만으로는 기술에 접근하기가 어려워 기술 보유자와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전제로 한 기술협력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핵심이든 주변기술이든 보유 기술이 전혀 없어 자체적으로는 기술 개발을 통해 기술 확보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가 이런 협력 유형에 속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Since the joint R & D type has no technical skills at all,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 technology with its own capabilities, and thus it can be said to be a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under the premise of securing technology through joint R & D with technology holders. In other words, this type of cooperation is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expect to secure technology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because there is no technology possessed, whether core or peripheral technology.

상기 순수 기술이전형은 해당 부품소재와 관련하여 높은 수준은 아니더라도 기술역량을 일부 보유하고 있어 기술만 제공이 되면 기존 보유 기술을 토대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부 경쟁력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거나 또는 일부 기술 역량을 일부 보유하고 있긴 하되, 핵심기술 역량이 없는 경우 등이다.The pure technology transfer type may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technology can be secured based on the existing technology if only the technology is provided because it possesses some technical capabilities, although not at a high level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terial. For example, they may have some competing technologies or some technical capabilities but no core technical competencies.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37개 부품소재별 각각에 대해 최종적으로 기술협력 유형을 선정한다.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we finally select the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for each of the 37 parts and materials.

이때, 기술역량에 대한 평가 결과, 핵심기술의 보유 여부와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 등을 고려했을 때, 전반적으로 낮은 것과 같이 변별이 낮게 평가되는 경우, 투자유치형과 기술도입형의 분류시에는 적용하지 않고, 기술도입형 과제들 중에서 공동연구개발과 기술이전의 경우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In this case, if the discrimination is evaluated as low as overall, considering the technology capability evaluation result, considering the possession of core technology and technology gap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it is not applicable to the classification of investment type and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Instead, it is used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cases of joint R & D and technology transfer among technology-introduced task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협력 유형 선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6에 도시된 기술협력 유형 선정 질문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소재별 사업&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역량 각각에 대응되는 평점들의 일례를 설명하는 표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lec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questionnaire shown in FIG. 6. 8 is a table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rat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siness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ical capability for each compon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기술협력 유형 선정을 위한 질문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외국인 투자 및 기술협력 관련 선행연구를 수행하여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을 포함하는 질문서(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됨.)를 작성한다(단계 S100). Referring to FIG. 6, a questionnaire including market & industrial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is performed by conducting prior studies related to foreign investment and technology cooperation as basic data for preparing a questionnaire for selecting a technology cooperation type. 7E.) (Step S100).

일례로, 질문서 작성을 위한 선행 연구로서, 외국인 투자유치, 기술획득, 기술협력과 관련한 국내외 자료들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기술협력 유형의 선정에 필요한 주요 평가항목을 발굴하고 질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선행연구는 투자유지 관련 선행연구, 기술선정 관련 선행연구 등을 포함한다.For example, as a preliminary study for creating a questionnaire, research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 related to foreign investment attraction, technology acquisition, and technical cooperation are carried out to identify key evaluation items necessary for the selection of technology cooperation and to write a questionnaire. Can conduct prior research. The preceding studies include investment maintenance related prior studies, technology selection related prior studies, and the like.

또한, 외국인투자 및 기술협력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자료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기술협력 유형 선정에 필요한 질문서를 시장&산업, R&D, 기술역량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작성한다.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priorities related to foreign investment and technical cooperation, a questionnaire for selecting the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is prepared centering on items such as market & industry, R & D, and technology capability.

이어, 상기 단계 S100에서 작성된 질문서를 전문가 또는 전문가 집단측에 제공한다(단계 S200). Subsequently, the questionnaire created in step S100 is provided to the expert or expert group (step S200).

이어, 전문가 또는 전문가 집단들로부터 기입된 질문서의 수신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0), 상기 전문가 또는 전문가 집단들로부터 기입된 질문서가 수신됨에 따라, 기선정된 부품소재에 대한 질문서를 평가한다(단계 S400). 특히, 기선정된 부품소재에 대해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고, 제2의 전문가 또는 전문가 집단들을 활용하여 질문서 평가를 실시할 수도 있다.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questionnaire written from the experts or expert groups is received (step S300), and as the questionnaire written from the experts or expert groups is received, the questionnaire for the pre-selected parts and materials is evaluated ( Step S400). In particular, pre-selected parts and materials can be evaluated on their own, or questionnaires can be evaluated using a second expert or group of experts.

일례로, 상기 단계 S400에서 각 부품소재들에 대한 사업&산업 역량 평가 데 이터, R&D 역량 평가 데이터 및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For example, in the step S400, business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data,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technology capability evaluation data for each component material are shown in FIG. 8.

이어, 상기 질문서 평가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부품소재별 역량을 포지셔닝(positioning)하고, 포지셔닝된 소재부품별 역량을 토대로 기술협력 유형을 분류한다(단계 S500). 상기한 기술협력 유형은 그린필드형이나 R&D 센터형과 같이 투자유치형으로 분류될 수도 있고, 공동연구개발형이나 기술이전형과 같이 기술도입형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Subsequently, an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evaluation result to position the capability of each component and classify the type of technical cooperation based on the capability of the positioned material component (step S500). The above-mentioned types of technology cooperation can be classified as investment promotion type such as green field type or R & D center type, or can be classified as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such as joint R & D type or technology transfer type.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단계 S5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00 shown in FIG. 6 in more detail.

도 9를 참조하면, 시장&산업 및 R&D 역량 평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과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로 분류한다(단계 S510).Referring to Figure 9, based on the market & industry and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is classified into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and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step S510).

이어, 투자유치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을 R&D 센터형 부품소재들과 그린필드형 부품소재들로 각각 분류한다(단계 S520).Subsequently, the component materials classified as investment-induced type are classified into R & D center type component materials and green field type component materials, respectively (step S520).

이어, 기술도입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을 공동연구개발형 부품소재들과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로 각각 분류한다(단계 S530). Subsequently, the component materials classified as technology introduction types are classified into joint R & D component materials and technology introduction component materials, respectively (step S530).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계 S5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의해 포지셔닝되어 투자유치형과 기술도입형 부품 소재들의 분류 일례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10 shown in FIG. 9 in more detail. FIG. 11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investment-induced and technology-induced part materials positioned by FIG. 10.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400에 이어, 시장&산업 역량에 대응하는 평점(또는 평가 데이터)과 R&D 역량에 대응하는 평점을 X 좌표 및 Y 좌표상에 각각 포지셔닝한다(단계 S511). 일례로, 37개 부품소재들에 대한 평점을 시장&산업역량 및 R&D역량을 기준으로 하여 X-Y 좌표상에 포지셔닝시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10 and 11, following step S400, a rating (or evalu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and a rating corresponding to the R & D capability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X coordinate and the Y coordinate (step S511). For example, if the ratings of the 37 component materials are positioned on the X-Y coordinates based on the market & industrial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they are shown in FIG. 11.

단계 S511에 의해 포지셔닝된 양의 X 좌표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12). 단계 S512에서 양의 X 좌표상에 포지셔닝되는 부품소재들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품소재들을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로 분류한다(단계 S513).In step S511, it is checked whether there ar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positive X coordinate positioned (step S512). If there ar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positive X coordinate in step S512,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terials are classified as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step S513).

단계 S512에서 양의 X 좌표상에 포지셔닝되는 부품소재들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및 단계 S513에 이어, 음의 X 좌표상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14). 단계 S514에서 음의 X 좌표상에 포지셔닝되는 부품소재들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품소재들을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로 분류한 후(단계 S515), 단계 S520으로 피드백한다.When there are no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positive X coordinate in step S512 and after step S513,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re ar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negative X coordinate (step S514). If there ar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on the negative X coordinate in step S514,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terials are classified into technology-introduced component materials (step S515), and the feedback is returned to step S52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업&산업 평점이 중간값 이상인 19개의 부품소재들은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로 분류되고, 중간값 이하인 것은 18개의 부품소재들은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로 분류된다.Through this process, 19 parts and materials with medium and higher business and industry ratings are classified as investment-induced parts and 18 parts and materials with median and lower are classified as technology-induced parts and materials.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단계 S5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의해 포지셔닝되어 R&D 센터형과 그린필드형 부품 소재들의 분류 일례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20 shown in FIG. 9 in more detail. FIG. 13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R & D center type and greenfield part materials positioned by FIG.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큰 Y 좌표상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21), 상대적으로 큰 Y 좌표상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R&D 센터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22). 일 례로, 투자유치형으로 분류된 19개 부품소재들을 R&D 역량을 중심으로 구분하면 도 13과 같이 포지셔닝된다. 상기한 19개 부품소재들중에서 R&D 역량이 상위권에 속하는 5개 부품소재의 경우, R&D 센터 유치가 가장 바람직한 협력 유형이다. 12 and 13, it is checked whether the parts are positioned on a relatively large Y coordinate (step S521), and when the parts are checked to be positioned on a relatively large Y coordinate, the R & D center is checked. It is classified into a type (step S522). For example, if 19 parts materials classified as investment type are classified based on R & D capability, they are positioned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five parts, which have the highest R & D capability among the above 19 parts, the R & D center is the most desirable type of cooperation.

한편, 상대적으로 작은 Y 좌표상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23), 상대적으로 작은 Y 좌표상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그린필드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24). 일례로, R&D 역량이 하위권에 속하는 8개 부품소재들에 대해서는 그린필드형 투자 유치가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omponent materials are positioned on the relatively small Y coordinate (step S523), and if it is checked that the component materials are positioned on the relatively small Y coordinate, it is classified as a green field type (step S524). ). For example, investment in greenfield-type investments is desirable for eight component materials with low R & D capabilities.

이어, Y 좌표의 중간 영역에 부품 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25), Y 좌표의 중간 영역에 부품 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품 소재의 시장 규모가 큰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26).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part materials are position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Y coordinate (step S525), and if the part materials are position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Y coordinate, it is checked whether the market siz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terial is large ( Step S526).

상기 단계 S526에서 해당 부품 소재의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품소재들을 그린필드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27). 한편, 그린필드형 투자 유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투자로 인해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시장의 규모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8개 부품소재들중에서 국내 수입규모가 작은 4개 부품소재의 경우에는 제외한다. 상기 제외된 4개의 부품소재들은 기술도입형으로 분류한다. If it is checked in step S526 that the market size of the part material is relatively small, the part material is classified into a green field type (step S527). Meanwhile, in order to attract greenfield investment, the size of the market that is expected to be secured by investment should be premised. Therefore, out of the eight parts, four parts with small domestic imports are excluded. The four component materials excluded above are classified as technology-introduced.

상기 단계 S526에서 해당 부품 소재의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품소재들을 R&D 센터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28).If it is checked in step S526 that the market size of the component material is relatively large, the component material is classified into an R & D center type (step S528).

이러한 과정을 통해 R&D 센터형으로 10개 부품소재들이 분류되고, 그린필드형으로 5개 부품소재들로 분류된다.Through this process, 10 parts materials are classified into R & D center type and 5 parts materials into green field type.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단계 S53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의해 포지셔닝되어 공동연구개발 및 기술이전형 부품 소재들의 분류 일례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1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S530 shown in FIG. 9 in more detail. FIG. 15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joint R & D and technology transfer part materials positioned by FIG. 14.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기술역량에 대응하는 평점과 R&D 역량에 대응하는 평점을 X-축 및 Y-축상에 각각 포지셔닝한다(단계 S531). 일례로, 최초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로 분류된 18개의 투자유치형 중에서 기술도입형으로 재분류된 4개를 더한 22개 부품소재에 대한 평점을 기술역량과 R&D 역량을 X-Y축으로 하는 좌표상에 포지셔닝시키면 도 15와 같이 나타난다. 14 and 15, the rating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capability and the rating corresponding to the R & D capability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X-axis and the Y-axis (step S531). For example, among the 18 investment-induced types classified as the first technology-induced parts materials, the ratings of 22 parts materials plus four reclassified as technology-introduced types are given on the coordinates of the technical capacity and R & D capability as the XY axis. Positioning appears as shown in FIG. 15.

이어, 양의 X-축 영역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32), 양의 X-축 영역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기술이전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33).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components are positioned in the positive X-axis region (step S532), and if it is checked that the components are positioned in the positive X-axis region, it is classified as technology transfer type (step S533). ).

이어, 음의 X-축 영역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34), 음의 X-축 영역에 부품소재들이 포지셔닝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공동개발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35).Subsequently, it is checked whether the parts are positioned in the negative X-axis area (step S534), and if the parts are checked to be positioned in the negative X-axis area, it is classified as a joint development type (step S535). .

이어, 기술역량은 중간이고, R&D 역량이 낮은지를 체크하여(단계 S536), 기술 역량이 중간이고, R&D 역량이 낮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공동개발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37). 일례로, 기술역량이 중간 수준인 2개 부품소재의 경우 R&D 역량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D 역량이 낮은 경우 자체적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R&D 역량이 높은 경우에 비해 낮으므로 공동연구개발형 부품소재로 분류한다. Subsequently, it is checked whether the technical capability is medium and the R & D capability is low (step S536), and if it is checked that the technical capability is medium and the R & D capability is low, it is classified as a joint development type (step S537). For example, two component materials with medium technical capability may show differences in R & D capabilities. Therefore, if the R & D capability is low, the ability to conduct R & D on its own is lower than that of the high R & D capability, so it is classified as a joint R & D component material.

이어, 기술역량은 중간이고, R&D 역량이 큰지를 체크하여(단계 S538), 기술 역량이 중간이고, R&D 역량이 큰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기술이전형으로 분류한다(단계 S539).Subsequently, by checking whether the technical capability is medium and the R & D capability is large (step S538), if the technical capability is medium and the R & D capability is checked as large, it is classified as technology transfer type (step S539).

이러한 과정을 통해 22개의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중에서 공동연구개발형 부품소재는 13개이고, 기술이전형 부품소재는 9개인 것으로 분류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re are 13 joint R & D part materials and 9 technology transfer part materials among 22 technology introduction part material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술협력 유형을 정함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 도 9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X-Y의 2차원 좌표 평면상에 먼저 기술도입형과 투자유치형을 구분하는 단계와, 이를 다시 공동연구개발형, 기술이전형, R&D 센터형, 그린필드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and the investment attraction type are first distinguished o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plane of XY as shown in FIGS. 3 to 5 and 9 to 15 in determining the technology cooperation type. In addition, the process of dividing the process into four types of joint R & D, technology transfer, R & D center, and green field was explained.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X-Y-Z의 3차원 좌표 평면상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3차원 좌표 평면상에 적용하는 경우, 전체적인 협력 유형 결정 과정은 보다 간단해 질 수 있다. However, this process can also be applied o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plane of X-Y-Z. When applied on the abo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plane, the overall cooperative type determina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설문지에 포함되는 부품소재들 각각에 대해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 역량을 포지셔닝시키므로써, 기술협력이 요구되는 해당 부품소재들에 대응하는 기술협력 유형을 R&D 센터형으로 진행할지, 그린필드형으로 진행할지, 공동연구개발형으로 진행할지, 또는 기술도입형으로 진행할지를 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ositioning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for each of the component material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terials requiring technical cooperation is required. You can choose whether to proceed to R & D center type, green field type, joint R & D type, or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 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Claims (2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설문지, 기술시장정보 및 통계자료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부품소재들에 대응하는 시장&산업 역량 평가 데이터, R&D 역량 평가 데이터 및 기술역량 평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평가 데이터 저장부;An evaluation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market & industry capability evaluation data,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technology capability evalu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arts materials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technical market information, and statistical data;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시장&산업, R&D 및 기술역량 평가 데이터들증 적어도 2개의 평가 데이터들을 X-Y 평면상에 포지셔닝시키는 포지셔닝부; 및 A positioning unit for positioning at least two evaluation data of market & industry, R & D and technology capability evalua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an X-Y plane; And 상기 포지셔닝부에 의해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된 평가 데이터들을 근거로 기술도입형 또는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로 각각 분류하고,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positioned on the coordinate plane by the positioning unit is classified into technology-introduced or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respectively 상기 투자유치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중 상기 포지셔닝부에 의해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된 상기 R&D 역량 평가 데이터와 시장 규모를 고려하여 분류된 R&D 센터형 및 그린필드형 부품소재들을 추출하고,Extracting the R & D center type and green field type parts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market size and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positioned on the coordinate plane by the positioning unit among the parts materials classified as the investment promotion type; 상기 기술도입형으로 분류된 부품소재들중 상기 포지셔닝부에 의해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된 상기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와 R&D 역량 평가 데이터를 고려하여 분류된 공동연구개발형 및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을 추출하는 기술협력 유형 추 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A technology for extracting joint R & D and technology introduction part materials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technology capability evaluation data and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positioned on a coordinate plane by the positioning unit among the component materials classified as the technology introduction typ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comprising a cooperation type extraction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부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상기 시장&산업 역량, R&D 역량 및 기술역량 평가 데이터들을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하는 제1 포지셔닝 모듈;A first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R & D capability, and technical capability evaluation data on a coordinate plane; 상기 시장&산업 역량 및 R&D 역량 평가 데이터들을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하는 제2 포지셔닝 모듈;A second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market & industry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assessment data on a coordinate plane; 상기 기술 역량 및 R&D 역량 평가 데이터들을 좌표 평면상에 포지셔닝하는 제3 포지셔닝 모듈을 포함하고,A third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technical capability and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on a coordinate plane; 상기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는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extraction unit 상기 제1 포지셔닝 모듈에 의해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중 상대적으로 높은 시장&산업 역량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로 추출하고,Extracting th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in the relatively high market & industrial capability area among the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odule as investment-induced component materials, 상대적으로 낮은 시작&산업 역량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extracting parts materials positioned in the relatively low starting & industrial competence area as technology-introduced parts material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투자유치형 부품소재들은 상기 제2 포지셔닝 모듈에 의해 포지셔닝되고,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ttracted component materials ar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odule, 상기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R&D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R&D 센터형 부품소재들로 정의하여 추출하고, 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extracting unit defines and extracts component materials positioned in a relatively high R & D area as R & D center type component materials, 상대적으로 낮은 R&D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그린필드형 부품소재들로 정의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of parts positioned in a relatively low R & D area by defining them as green field type part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기술도입형 부품소재들은 상기 제3 포지셔닝 모듈에 의해 포지셔닝되고,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extracted technical component is positioned by the third positioning module, 상기 기술협력 유형 추출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술 역량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공동개발형 부품소재들로 정의하여 추출하고,The technical cooperation type extracting unit defines and extracts parts materials positioned in a relatively low technical capability area as jointly developed parts materials,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 역량 영역에 포지셔닝된 부품소재들을 기술이전형 부품소재들로 정의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Technology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of parts positioned in the relatively high technical competence areas defined as technology transferable parts material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산업 역량 평가 데이터는 상기 설문지에 포함되는 국내 산업 경쟁력, 부품소재 관련 규제 및 장애, 내수시장의 성장 잠재력, 원료수급 역량 항목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arket & industrial capability evaluation data is calculated by weighted average of domestic industrial competitiveness, parts and materials related regulations and obstacles, growth potential of domestic market, and raw material supply and demand capability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D 역량 평가 데이터는 상기 설문지에 포함되는 숙련인력의 보유 정도 및 공급 정도, 해당 부품소재 관련 인력의 정도, R&D 인프라의 항목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19. The technical cooperation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R & D capability evaluation data is calculated by weighted average of the degree of possession and supply of skilled personnel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degree of manpow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parts and materials, and the items of the R & D infrastructure. Type selection system.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역량 평가 데이터는 상기 설문지에 포함되는 선 진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보유 기술력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협력 유형 선정 시스템.19. The system of claim 18, wherein the technology competency evaluation data is calculated by weighted average of technology level, technology gap, and possessed technology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KR1020060029335A 2006-03-31 2006-03-31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Active KR100716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35A KR100716747B1 (en) 2006-03-31 2006-03-31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35A KR100716747B1 (en) 2006-03-31 2006-03-31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747B1 true KR100716747B1 (en) 2007-05-14

Family

ID=3827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335A Active KR100716747B1 (en) 2006-03-31 2006-03-31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7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107B1 (en) 2008-06-16 2010-06-28 한국과학기술원 Selection method of development form and priority selection method using industry / technology synergy effect for industrial integration technology roadma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8554A (en) 1995-09-19 2000-03-14 Vig; Tommy Non-Subjective Valuing© the computer aided calculation, appraisal and valuation of anything and anybody
KR20020036195A (en) * 2000-11-08 2002-05-16 이구택 method of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and the system of using the same
KR20040107971A (en) * 2003-06-16 2004-12-23 심학봉 Method and system for technology assess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8554A (en) 1995-09-19 2000-03-14 Vig; Tommy Non-Subjective Valuing© the computer aided calculation, appraisal and valuation of anything and anybody
KR20020036195A (en) * 2000-11-08 2002-05-16 이구택 method of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and the system of using the same
KR20040107971A (en) * 2003-06-16 2004-12-23 심학봉 Method and system for technology assess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107B1 (en) 2008-06-16 2010-06-28 한국과학기술원 Selection method of development form and priority selection method using industry / technology synergy effect for industrial integration technology roadm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uomi et al. x=(tourism_work) y=(sdg8) while y= true: automate (x)
Roth et al. Manufacturing strategy, manufacturing strength, managerial success, and economic outcomes
Duarte et al. Modelling lean and green: a review from business models
Crowe et al.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within manufacturing strategy: an international study
Pietrzak et al. The roles and qualities of management accountants in organizations–evidence from the field
Braglia et al. Towards a taxonomy of search patterns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Dreyfus et al. The impact of just-in-time implementation and ISO 9000 certification on total quality management
Singh et al. Investigating the impact of dynamic and relational learning capabilities on green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Sadeghi et al. Application of grey TOPSIS in preference ordering of action plans in balanced scorecard and strategy map
Lončar The impact of strategic management and strategic thinking approach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retail industry
Ramesh et al. 5S route for safety management
Kondo et al. Quality in japan
KR100716747B1 (en) Technical Cooperation Type Selection System
Ju et al. Organizational teamwork in high-speed management
Baldwin et al. Training as a human resource strategy: the response to staff shortages and technological change
Park Factory automation and learning capability in the knowledge transfer proces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A case study of Japanese healthcare company
Costa et al. Automation and the importance of reskilling workers: A case study in the automotive industry
Alaluf et al. Local Employment, Training Structures and New Technologies in Traditional Industrial Regions: European Comparisons
Steenhuis et al. Differentiating between types of technology transfer: The technology building
Kochan et al. The mutual gains enterprise
Pospichil et al. The Contribution of the Dynamic Capabilities to Promote Sustainability in Industrial and Service Companies
Germeraad et al. How Avery Dennison manages its intellectual assets
Jasni et al. Internal Business Factors for Business Sustainability: A realistic view from sustainability managers
McCuaig Auditing, assurance, CSA.
Yuan et al. Analysis on the key factors influencing competitive advantages of DRAM industry in Taiw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207

Appeal identifier: 2006101011338

Request date: 2006122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13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